KR0121757Y1 - 동전지갑 - Google Patents

동전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57Y1
KR0121757Y1 KR2019950030270U KR19950030270U KR0121757Y1 KR 0121757 Y1 KR0121757 Y1 KR 0121757Y1 KR 2019950030270 U KR2019950030270 U KR 2019950030270U KR 19950030270 U KR19950030270 U KR 19950030270U KR 0121757 Y1 KR0121757 Y1 KR 0121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urse
coins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965U (ko
Inventor
배경철
Original Assignee
배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철 filed Critical 배경철
Priority to KR2019950030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57Y1/ko
Publication of KR970015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2Pur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동전, 토큰 등을 휴대하기 위한 동전지갑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동전집은 특히 동전을 확인하고 쉽게 꺼낼 수 있게 개량된 것으로, 동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동전갑체와 이 동전갑체에 접철가능한 덮개로 구성된다. 동전은 그 수납공간과 덮개 사이를 개구를 통해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으로부터 이동한 동전이 떨어지지않도록 그 덮개의 가장자리에 보호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전지갑은 동전을 헤아리고 꺼내는데 편리하며 특히 동전을 떨어트릴 염려없이 흔들리는 버스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전지갑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을 펼쳐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의 후면을 보인 을 펼쳐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의 일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동전갑체 2:덮개
3:동전 수납공간 4:개구
5:동전 6:보호벽
7:동전갑체의 측면부 8:승차권 수납부
10:승차권 11:절결부
본 고안은 동전, 토큰등을 휴대하기 위한 동전지갑에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전을 확인하고 쉽게 꺼낼 수 있게 개량된 동전지갑에 관한 것이다.
동전은 지폐와 달리 무겁고 소리가 나며 또한 유동성이 있어서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가 다소 번거러운 것이다. 따라서 동전을 따로 모아서 휴대하기 위해 동전지갑을 소지하게 되는데, 종래의 동전지갑은 대개 그 입구가 좁아서 동전을 집어넣기에는 무리가 없으나 동전을 꺼내기에 불편하게 되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동전지갑은 종류(10원권, 50원권, 100원권, 500원권, 토큰 등)별로 각각 얼마나 남아 있는지 확인이 잘되지 않아서 원하는 동전을 필요한 개수만큼 꺼내기가 쉽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는 일단 모든 동전을 손바닥에 쏟아 놓고 필요한 것을 집은 뒤 다시 동전지갑에 넣게 되는데, 그 과정이 매우 번거러울 뿐 아니라 자칫 떨어트려 곤란을 겪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동전 외에 보통 전철표와 같은 승차권을 소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동전지갑은 이와 같은 승차권을 보관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따로 보관하는 번거러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8-2582호에 의하여 알려진 것은 각각 외향으로 볼록하고 상호 접철가능한 주머니와 덮개로 이루어지고 그 주머니와 덮개를 펼친 상태에서 반대편으로 동전을 이동시킬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주머니에 들어있는 동전을 덮개쪽으로 일시에 이동시킴으로써 동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 동전을 꺼내는 데에도 편리한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 주머니와 덮개 사이를 동전이 이동할 때 그 사이의 개구에 동전이 걸려 잘 이동되지 않으며 종종 동전이 밖으로 흘러 떨어지게 되는 구조적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전을 확인하고 꺼내는데 편리한 동시에 동전이탈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동전지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전 이외의 승차권을 함께 소지할 수 있는 동전지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를 열지 않고도 동전을 집어넣을 수 있는 동전지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전이 수납되는 동전갑체와 이에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덮개를 가지며 그 동전갑체와 덮개 사이를 동전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전지갑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에, 그 접철시에 상기한 동전갑체의 측면부를 둘러싸며 그 전개시에는 상기한 동전갑체로 개구를 통해 이동한 동전을 이탈하지 못하게 막아주도록 하는 보호벽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전철표와 같은 승차권을 동전과 함께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동전갑체의 이면 또는 덮개의 이면에 승차권 수납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한 동전지갑의 덮개를 일일이 열지 않고 동전을 그 동전갑체로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동전갑체의 이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동전갑체의 측면부에서 그리 멀지 않은 부위에 동전을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은 제1도와 같이, 동전갑체(1)와 덮개(2)로 구성된다. 동전갑체(1)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전이 수납되는 수납공간(3)을 가지며 덮개(2)가 연결된 부위에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는 동전갑체(1)의 일측면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그 동전갑체(1)의 타측면에 접철가능하게 된 것으로, 그 접철상태(제2도)에서 개구(4)를 가리며 그 전개상태(제3도)에서는 그 개구(4)를 개방시킨다. 이 덮개(2)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동전갑체(1)의 수납공간(2)으로부터 개구(4)를 통해 이동되어진 동전(5)들이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는 보호벽 (6)을 가진다. 이 보호벽(6)은 덮개(2)를 동전갑체(1)에 접철시켰을 때 그 동전갑체(1)의 측면부(7)를 완전히 둘러싼다(제1도 참조)
제4도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동전지갑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며, 동전갑체(1)의 이면에는 투명필름을 그 상단에 삽입구(9)가 형성되도록 접착하여 되는 승차권(10) 수납부(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동전지갑은 그 후면 일측의 상기한 보호벽(6)가까이에 동전 삽입을 위한 절결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동전지갑은 인조 또는 천연 피혁이나 직물 등의 봉제로 구성하거나 합성수지로 사출할 수 있으며 후지(厚紙)로도 제작가능한 것이다. 특히 외부에서 동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덮개(2)의 안전한 접철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매직테이프나 단추등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에 있어서, 제2도와 같이 덮개(2)가 접철된 상태에서 동전갑체(1)의 개구(3)가 그 덮개(2)에 의해 가려지고 사용자는 통상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므로 그 덮개(2)가 벌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그 동전갑체(1)의 수납공간(3)에 수납된 동전(5)은 안전하게 보관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은 제3도와 같이 덮개(2)를 펼친 상태에서 개구(4)를 통해 수납공간(3)에 동전(5)를 투입할 수 있고 그로부터 꺼낼 수 있다. 특히 동전갑체(1)를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수납공간(3)에 수납되어 있는 동전(5)들이 일시에 개구(4)를 통해 덮개(2)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덮개(2)의 보호벽(6)에 의하여 덮개(2)에 안전하게 놓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러한 상태에서 동전(5)들을 그 종류별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또 원하는 종류를 원하는 개수만큼 간편하게 집을 수 있게 된다.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덮개(2)를 위로 기울이면 그 덮개(2)상에 있는 동전(5)들이 개구(4)를 통해 동전갑체(1)의 수납공간(2)으로 재투입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은 동전이 개구(4)를 통하여 동전갑체(1)의 수납공간(3)과 덮개(2)사이를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동전을 헤아리고 원하는 만큼 꺼내고 그 후 다시 투입시키는 과정이 매우 간편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동전지갑은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승차권 수납부(8)을 구비하므로 전철표와 같은 승차권(10)을 함께 휴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수납부(8)가 동전갑체(1)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덮개(2)를 열지 않고도 승차권(10)을 인출할 수 있어 편리한 것이다. 한편, 그 동전갑체(1)의 이면에는 승차권 수납부(8)옆에 동전을 삽입할 수 있는 절결부(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5도와 같이 덮개(2)를 펼치지 않고도 동전을 동전갑체(1)의 수납공간(3)으로 삽입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그 절결부(11)는 동전갑체(1)의 측면부(7)가까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벌어질 염려가 없다. 따라서 수납공간(3)에 수납된 동전이 그 절결부(11)를 통해 저절로 이탈될 염려 또한 없는 것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동전지갑은 구조적으로 동전을 취급하기가 용이하여 예를 들면 흔들리는 버스에서도 동전을 떨어트릴 염려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철표와 같은 승차권을 동전과 함께 휴대하되 그 동전과는 별개로 취급할 수 있고 또한 덮개를 펼치지 않고 동전을 삽입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동전을 수납하는 동전갑체와 이에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덮개를 가지며 그 동전갑체와 덮개 사이를 동전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전지갑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에, 그 접철시에 상기한 동전갑체의 측면부를 둘러싸며 그 전개시에는 상기한 동전갑체로 개구를 통해 이동한 동전을 이탈하지 못하게 막아주도록 하는 보호벽과, 상기한 동전갑체 또는 상기 덮개의 이면에 승차권을 수납하는 승차권 수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지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전갑체의 이면에 동전삽입을 위한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지갑.
KR2019950030270U 1995-10-25 1995-10-25 동전지갑 KR0121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270U KR0121757Y1 (ko) 1995-10-25 1995-10-25 동전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270U KR0121757Y1 (ko) 1995-10-25 1995-10-25 동전지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65U KR970015965U (ko) 1997-05-23
KR0121757Y1 true KR0121757Y1 (ko) 1998-08-01

Family

ID=1942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270U KR0121757Y1 (ko) 1995-10-25 1995-10-25 동전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65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199A (en) Billfold with coin holder
US5881788A (en) Handbag having credit card holder insert
US5277315A (en) Personal carrying container for cigarette and lighter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US3927809A (en) Film cartridge carrier
KR0121757Y1 (ko) 동전지갑
KR200462270Y1 (ko) 핸드폰 보관 케이스
US3276572A (en) Spectacle cases
KR200491398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8055Y1 (ko)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KR880003323Y1 (ko) 동전지갑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95098B1 (ko)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US20080210723A1 (en) Doggie wallet
KR200183414Y1 (ko) 다용도 봉제필통
JP3048183U (ja) 鍵整理ポーチ
KR20190056649A (ko) 여닫이 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180013510A (ko) 개량형 저금통
KR200426277Y1 (ko) 휴대가 용이한 동전 보관용 수첩
JP3140837U (ja) カード収納部を有する携帯可能な喫煙用収納具
JP2537209Y2 (ja) 携帯式ゲーム盤用ケース
KR20170003016U (ko)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20080067087A1 (en) Small item dispenser attachable to a cigarette pack
JP3138635U (ja) 携帯式usb機器ホルダ
JP2017113130A (ja) 組み付け財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