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16U -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16U
KR20170003016U KR2020160000866U KR20160000866U KR20170003016U KR 20170003016 U KR20170003016 U KR 20170003016U KR 2020160000866 U KR2020160000866 U KR 2020160000866U KR 20160000866 U KR20160000866 U KR 20160000866U KR 20170003016 U KR20170003016 U KR 201700030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rd
lid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혁
Original Assignee
(주)앤에스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에스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앤에스케이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0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16U/ko
Publication of KR20170003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외측에 별도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카드 수납부를 덮개형으로 구성하여 카드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와, 후면 덮개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일정 크기로 내측면의 타단부의 내측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일단부가 전면 덮개 내측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거나 후면 덮개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 덮개 또는 후면 덮개에는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ase}
본 고안은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외측에 별도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카드 수납부를 덮개형으로 구성하여 카드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람들이 외출시 지갑과 함께 스마트폰을 휴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소형화되고 있으나, 극히 일부 짧은 시간 동안 통화를 하기 위해 하루종일 휴대하고 다님으로써 별도 수납에 따른 분실의 가능성과 불편함이 상존하였고, 따라서 지폐나 각종 카드를 대신하여 기능 하는 복합 기능 스마트폰과 지갑을 하나로 묶어서 휴대할 수 있는 다목적의 수납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는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지갑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이어리형과,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내부의 수납공간에 스마트폰을 끼워 스마트폰의 후면만을 커버하는 케이스(case) 형으로 구별되며,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면에 카드 수납부를 형성하여 카트수납함에 카드를 수납하여 휴대폰과 카드를 동시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닌다.
이와 같은 케이스형은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를 스마트폰에 수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이어리형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갑의 커버를 열거나 펼쳐 그 내부에 수납된 카드를 빼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카드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드 수납부의 수납홈에 카드를 삽입하여 보관하기 위해서 처음 사용할 때에는 카드수납함이 튼튼하여 카드수납함에서 삽입된 카드가 잘 빠지지 않지만, 오랫동안 카드수납함에 카드를 삽입 및 인출하면서 사용하다 보면, 카드수납함이 느슨하게 되어 이동 중에 카드수납함에서 카드가 빠져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개 제2014-0000826호 "스마트폰 케이스"(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중앙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접힘선(L1)과 제2접힘선(L2)에 의해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로 구획되는 가죽재질의 커버부(110)와, 상기 커버부(110)의 제2커버(110b) 내면에 구비되되 스마트폰(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플라스틱재의 안착부(1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제2커버(110b)의 측단에 기단이 연결되고 선단은 상기 제2커버(110b)의 일측단 반대방향으로 뻗은 체결끈(111);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에서 기단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접힘선(L3); 상기 커버부(110)의 제1커버(110a) 외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멍(11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은, 상기 제1커버(110a)의 외면과 상기 제2커버(110b)의 외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가 상기 제1접힘선(L1)과 제2접힘선(L2)을 기준으로 각각 선회되면, 상기 제3접힘선(L3)을 따라 선회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멍(113)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전면 덮개를 펼쳐 그 내부에 수납된 카드를 빼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전면 덮개를 펼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덮개 내부에 구성되는 수납부는 덮개를 덮더라도 상부가 뚫려 있어, 카드가 외부로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개 제2014-0000826호 "스마트폰 케이스"
본 고안은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별도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카드 수납부를 일측이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형으로 구성하여 카드 등의 수납공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와, 후면 덮개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일정 크기로 내측면의 타단부의 내측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일단부가 전면 덮개 내측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거나 후면 덮개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 덮개 또는 후면 덮개에는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폐형 수납 덮개는 외측면에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며 최외측의 카드 수납부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인출홈이 형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인창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폐형 수납 덮개의 타단부에서는 외측으로 더 돌출하여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수단과 개폐형 수납 덮개의 결합수단은 자석으로 형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수단과 개폐형 수납 덮개의 결합수단은 각각 암수의 벨크로 또는 암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별도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카드 수납부를 일측이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형으로 구성하여 카드 등의 수납공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개폐형 수납 덮개의 고정 위치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서 개폐형 수납 덮개의 고정 위치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외측에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서 개폐형 수납 덮개의 고정 위치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서 개폐형 수납 덮개의 고정 위치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외측에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일반적인 종래의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와 동일하게,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다이어리형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적용되며, 본 고안에서는 추가로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이나 후면 덮개(10)의 외측면에 개폐형 수납 덮개(40)가 개폐가 가능한 덮개형으로 구성되어 용이하게 카드의 수납과 인출할 수 있어 카드의 수납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일단부가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의 상부나 하부 또는 후면 덮개(10)의 외측면의 상부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와 유사하다.
후면 덮개(10)의 상부면에는 수납 케이스(11)가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수납 케이스(11)는 스마트폰의 전면부가 방된 상태로 수납되는 부분으로,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스피커, 볼륨 스위치 전원 스위치, 이어폰잭, DMB안테나 등을 위한 카메라공(12) 등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멍의 위치 및 크기는 스마트폰의 제조사, 종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후면 덮개(10)에도 수납 케이스(11)의 카메라공(12)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면 덮개(20)는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된다.
카드 수납부(21)는 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슬릿을 통하여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며, 전면 덮개(20)의 후면 덮개(1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절개선을 통하여 전면 덮개(20)의 부에 영수증, 현금 등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수납부(21)의 최상면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인창(211)이 형성되도록 하여 신분증 등을 수납하여 수납된 내부의 신분 증 등을 확인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확인창(211)에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인출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신분증, 카드 등의 인출을 할 때, 인출홈의 방향으로 손가락을 밀어올려 인출하도록 하여 인출이 용이하게 한다.
개폐형 수납 덮개(4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의 상부에 봉제, 접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부를 회전시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일단부가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의 하부에 봉제, 접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부를 회전시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후면 덮개(10)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내측면에는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42)가 형성되도록 하며,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가 개폐가 가능하게 고정이 되도록 타단부의 내측면에는 결합수단(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에는 결합수단(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수단(22)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개폐형 수납 덮개(40)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단이 개폐가 가능하도록 고정되도록 하여, 일단부를 축으로 타단부가 전면 덮개(20)의 내측면 또는 후면 덮개(10)의 외측면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회전하여 열 수 있도록 하여, 덮개형 수납 케이스(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카드 수납부(42)에 수납되는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가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내부에 수납된 카드가 외부로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카드 수납부(42)는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타단부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카드 수납부(42) 내부에 수납된 카드를 사용하거나 수납하기 위해서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였을 때 사용자가 보는 관점에서 카드 수납부(42)의 삽입방향이 고정된 일단부측에 위치하여 수납된 카드가 쉽게 빠지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일단부는 전면 덮개(20)의 내측면 또는 후면 덮개(10)의 외측면에 봉제, 접착제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에는 결합수단(41)이 구성되어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에는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2)이 형성되어 결합수단(41)과 고정수단(22)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수단(22)과 결합수단(41)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특히, 고정수단(22)과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은 각각 자석으로 형성되어 자력에 의하여 결합수단(41)과 고정수단(22)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22) 및 결합수단(41)은 각각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의 내부와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하여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할 수 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22)과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은 각각 암수의 벨크로 또는 암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22)과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은 각각 암수의 버튼으로 구성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이외에도 벨크로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수단(41)은 특히,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상단부에서는 상부로 더 돌출하여 고정부(45)가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부(45)에 결합 수단(41)이 구성되도록 하여,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개폐시에 고정부(45)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5)의 내부에 자석과 같은 결합수단(41)을 구성되는 경우에도 고정부(45)에 의하여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와의 결합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폐형 수납 덮개(40)는 외측면에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43)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카드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의 카드 수납부(43)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인출홈(432)이 형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인창(431)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확인창(431)에 의하여 최외측의 카드 수납부(43) 내부에 수납된 신분증 등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확인창(431)에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인출홈(432)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에 수납된 신분증, 카드 등의 인출을 할 때, 인출홈(432)의 방향으로 손가락을 밀어올려 인출하도록 하여 인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후면 덮개(10)의 내측면에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5에서와 같이, 수납 케이스(11)가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개폐형 수납 덮개(40)가 후면 덮개(1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서로 자리를 바꿔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별도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카드 수납부를 일측이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형으로 구성하여 카드 등의 수납공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0 : 후면 덮개
11 : 수납 케이스
20 : 전면 덮개
22 : 고정수단
40 : 개폐형 수납 덮개
41 : 결합수단
42, 43 : 카드 수납부
45 : 고정부

Claims (5)

  1.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일정 크기로 내측면의 타단부의 내측면에는 결합수단(41)이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42)가 형성되는 개폐형 수납 덮개(40)가,
    일단부가 전면 덮개(20) 내측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거나 후면 덮개(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 덮개(20) 또는 후면 덮개(10)에는 결합수단(41)에 대응하는 고정수단(22)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개폐형 수납 덮개(40)는 외측면에 카드를 일측으로 인입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43)가 형성되며 최외측의 카드 수납부(43)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인출홈(432)이 형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인창(43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타단부에서는 외측으로 더 돌출하여 고정부(45)가 형성되고, 고정부(45)에 결합수단(4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2)과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은 자석으로 형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2)과 개폐형 수납 덮개(40)의 결합수단(41)은 각각 암수의 벨크로 또는 암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60000866U 2016-02-19 2016-02-19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0030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66U KR20170003016U (ko) 2016-02-19 2016-02-19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66U KR20170003016U (ko) 2016-02-19 2016-02-19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16U true KR20170003016U (ko) 2017-08-29

Family

ID=6062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66U KR20170003016U (ko) 2016-02-19 2016-02-19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0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31B1 (ko) * 2022-03-04 2023-02-08 김학성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26A (ko) 2012-06-25 2014-01-06 정희철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26A (ko) 2012-06-25 2014-01-06 정희철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31B1 (ko) * 2022-03-04 2023-02-08 김학성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991Y1 (ko) 인출식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3756Y1 (ko)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0473708Y1 (ko)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0488737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3016U (ko)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8448Y1 (ko) 덮개형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20000390U (ko) 아이패드 외부 수납형 가방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23375B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20180081877A (ko) 수납 케이스의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US11350725B2 (en) Auto-foldable pouch
KR200494079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0476433Y1 (ko) 잠금부 수납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7958Y1 (ko)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
KR20160004471U (ko)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059430A (ko) 스마트폰 수납 기능을 갖는 지갑
KR101647611B1 (ko)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20170003703U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310357Y1 (ko) 다용도 손가방
KR200486281Y1 (ko) 스마트폰 포켓케이스
KR200496007Y1 (ko) 카드 분실 방지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