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71U -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71U
KR20160004471U KR2020150004012U KR20150004012U KR20160004471U KR 20160004471 U KR20160004471 U KR 20160004471U KR 2020150004012 U KR2020150004012 U KR 2020150004012U KR 20150004012 U KR20150004012 U KR 20150004012U KR 20160004471 U KR20160004471 U KR 201600044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ver
case
storag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영
Original Assignee
박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영 filed Critical 박미영
Priority to KR2020150004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471U/ko
Publication of KR20160004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에 카드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여 카드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수납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와, 후면 덮개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에 카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의 상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로 11자로 절개되어 상부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ase}
본 고안은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에 카드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여 카드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수납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람들이 외출시 지갑과 함께 스마트폰을 휴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소형화되고 있으나, 극히 일부 짧은 시간 동안 통화를 하기 위해 하루 종일 휴대하고 다님으로써 별도 수납에 따른 분실의 가능성과 불편함이 상존하였고, 따라서 지폐나 각종 카드를 대신하여 기능 하는 복합 기능 스마트폰과 지갑을 하나로 묶어서 휴대할 수 있는 다목적의 수납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는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지갑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이어리형과,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내부의 수납공간에 스마트폰을 끼워 스마트폰의 후면만을 커버하는 케이스(case) 형으로 구별되며,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면에 카드 수납부를 형성하여 카트수납함에 카드를 수납하여 휴대폰과 카드를 동시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닌다.
이와 같은 케이스형은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를 스마트폰에 수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이어리형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갑의 커버를 열거나 펼쳐 그 내부에 수납된 카드를 빼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카드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드 수납부의 수납홈에 카드를 삽입하여 보관하기 위해서 처음 사용할 때에는 카드수납함이 튼튼하여 카드수납함에서 삽입된 카드가 잘 빠지지 않지만, 오랫동안 카드수납함에 카드를 삽입 및 인출하면서 사용하다 보면, 카드수납함이 느슨하게 되어 이동 중에 카드수납함에서 카드가 빠져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개 제2014-0000826호 "스마트폰 케이스"(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중앙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접힘선(L1)과 제2접힘선(L2)에 의해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로 구획되는 가죽재질의 커버부(110)와, 상기 커버부(110)의 제2커버(110b) 내면에 구비되되 스마트폰(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플라스틱재의 안착부(1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제2커버(110b)의 측단에 기단이 연결되고 선단은 상기 제2커버(110b)의 일측단 반대방향으로 뻗은 체결끈(111);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에서 기단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접힘선(L3); 상기 커버부(110)의 제1커버(110a) 외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멍(11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끈(111)의 선단은, 상기 제1커버(110a)의 외면과 상기 제2커버(110b)의 외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가 상기 제1접힘선(L1)과 제2접힘선(L2)을 기준으로 각각 선회되면, 상기 제3접힘선(L3)을 따라 선회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멍(113)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버(110a)와 제2커버(110b)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덮개 내부에 구성되는 수납부는 덮개를 덮더라도 상부가 뚫려 있어, 카드가 외부로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개 제2014-0000826호 "스마트폰 케이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카드 수납부의 상부에 카드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여 자주 사용하는 카드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와, 후면 덮개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에 카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의 상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로 11자로 절개되어 상부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아치형상으로 절개된 인출 개구부가 구성되어, 인출 개구부를 하부로 젖혀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를 밀어 올릴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면 덮개의 내측면의 후면 덮개 방향으로 치우친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지폐 및 영수증이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카드 수납부의 상부에 카드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여 자주 사용하는 카드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외부 사사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외부 사사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일반적인 종래의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와 동일하게,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다이어리형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적용된다.
카드 수납부(21)는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입구로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에서 높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추가로 전면 덮개(20)의 외측면에 카드 이탈 방지부(22)를 구성하도록 하여, 최상부에 위치하는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되는 카드(C)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에 카드(C)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의 상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로 11자로 절개되어 상부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카드 이탈 방지부(22)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1)는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와 유사하다.
후면 덮개(10)의 상부면에는 수납 케이스(11)가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수납 케이스(11)는 스마트폰의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납되는 부분으로,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스피커, 볼륨 스위치 전원 스위치, 이어폰잭, DMB안테나 등을 위한 카메라공(12) 등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멍의 위치 및 크기는 스마트폰의 제조사, 종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후면 덮개(10)에도 수납 케이스(11)의 카메라공(12)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면 덮개(20)는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에 한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된다.
카드 수납부(21)는 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슬릿을 통하여 카드(C)를 수납하도록 한다.
또한, 전면 덮개(20)의 후면 덮개(1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절개선을 통하여 전면 덮개(20)의 내부에 영수증, 현금 등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의 후면 덮개(10) 방향으로 치우친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지폐 및 영수증이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수납부(2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카드 이탈 방지부(22)는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의 상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로 11자로 절개되어 상부로 젖혀지도록 형성된다.
즉, 카드 이탈 방지부(22)의 하단부는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의 절개부와 일치되고, 상단부는 전면 덮개(20)에서 붙어 있는 상태로 되어, 하단부가 상부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되는 카드는 상단부가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에서 다소 돌출되도록 수납되는데, 이때, 타드의 상단부를 카드 이탈 방지부(22)가 덮도록 하여 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를 인출할 시에는 카드 이탈 방지부(22)의 하단부를 상부로 젖혀 카드를 인출 할 수 있다.
또한,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아치형상으로 절개된 인출 개구부(23)가 구성되도록 하여, 수납된 카드(C)의 인출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인출 개구부(23)는 도 3에서와 같이, 인출 개구부(23)를 하부로 젖혀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를 밀어 올릴수 있도록 하여,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의 인출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잇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의 내측 카드 수납부의 상부에 카드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여 자주 사용하는 카드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10 : 후면 덮개
11 : 수납 케이스
20 : 전면 덮개
21 : 카드 수납부
22 : 카드 이탈 방지부
23 : 인출 개구부
24 : 지폐 수납부

Claims (3)

  1. 스마트폰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11)가 상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10)와, 후면 덮개(10)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납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 구성되며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에 카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카드 수납부(21)가 형성되는 전면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최상부의 카드 수납부(21)의 상부에서 상부의 일정 높이로 11자로 절개되어 상부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카드 이탈 방지부(2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아치형상으로 절개된 인출 개구부(23)가 구성되어,
    인출 개구부(23)를 하부로 젖혀 최하부의 카드 수납부(21)에 수납된 카드의 하단부를 밀어 올릴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전면 덮개(20)의 내측면의 후면 덮개(10) 방향으로 치우친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지폐 및 영수증이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수납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50004012U 2015-06-18 2015-06-18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044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12U KR20160004471U (ko) 2015-06-18 2015-06-18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12U KR20160004471U (ko) 2015-06-18 2015-06-18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71U true KR20160004471U (ko) 2016-12-28

Family

ID=5770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012U KR20160004471U (ko) 2015-06-18 2015-06-18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4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07Y1 (ko) 2021-07-02 2022-10-14 이요나 카드 분실 방지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26A (ko) 2012-06-25 2014-01-06 정희철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26A (ko) 2012-06-25 2014-01-06 정희철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07Y1 (ko) 2021-07-02 2022-10-14 이요나 카드 분실 방지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5991Y1 (ko) 인출식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3708Y1 (ko)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0483756Y1 (ko)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150012671A (ko) 카드 수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60004471U (ko) 카드 이탈 방지부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20000390U (ko) 아이패드 외부 수납형 가방
KR200479105Y1 (ko) 카드 수납부를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KR200478448Y1 (ko) 덮개형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81877A (ko) 수납 케이스의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177667B1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수첩
KR20170003016U (ko) 개폐형 수납 덮개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0734Y1 (ko) 명함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명함케이스
KR200477958Y1 (ko)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
CN207374946U (zh) 多功能红包
KR200487647Y1 (ko)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210001369U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7191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529168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150059430A (ko) 스마트폰 수납 기능을 갖는 지갑
KR200473243Y1 (ko) 카드 케이스
KR100913225B1 (ko) 메모리카드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