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601Y1 -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601Y1
KR0121601Y1 KR2019950040995U KR19950040995U KR0121601Y1 KR 0121601 Y1 KR0121601 Y1 KR 0121601Y1 KR 2019950040995 U KR2019950040995 U KR 2019950040995U KR 19950040995 U KR19950040995 U KR 19950040995U KR 0121601 Y1 KR0121601 Y1 KR 0121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driver
horn switch
seat
sea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203U (ko
Inventor
민장홍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601Y1/ko
Publication of KR970033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가 위급한 상황을 알았을 경우에 운전자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조수석측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0)상에 스티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측 혼 스위치(24)와 병렬로 접속되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26)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瓊音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측 혼 스위치가 조수석측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설치된 혼 스위치의 구조를 보이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측 혼 스위치와 조수석측 혼 스위치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보이는 전기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인스트루먼트 패널 22:스티어링 핸들
24:운전석측 혼 스위치 26:조수석측 혼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조수석측에 조수석측 혼 스위치를 설치하여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차량에 의해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 보행자에게 운전자에게 알리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위급한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혼 스위치는 운전석측에 위치된 스티어링 핸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제일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운전자가 조작하기에 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발견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가 발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때에 예를 들어서 보행자와 운전자가 서로 차량이 보행자를 향해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서로 인지 못하고 있는 반면에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자는 이를 발견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일반적인 경우에는 위급한 상황을 발견한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자는 경음기와 가까이에 있는 운전자에게 위급한 상황임을 음성으로 알려주고 운전자가 이를 알아들은 다음에 운전석측에 설치되어 있는 혼 스위치를 눌러 경고음을 발생시켜 위험에 처한 보행자에게 피할 수 있도록 알려주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자와 운전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것 때문에 보행자가 피할 수 있는 시간을 넘겨 사고를 불러 일으키는 매우 안타까운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가 위급한 상황을 알았을 경우에 운전자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자동차의 조수석측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스티어링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측 혼 스위치(24)와 병렬로 접속되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수석측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0)상에 스팅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측 혼 스위치(4)와 병렬로 접속되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26)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조수석측 혼 스위치(26)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0)상에 턱(20a)을 가진 장방형의 삽입구멍(20b)을 형성하고, 그 삽입구멍(20b)에 마련되어 있는 턱(20a)에 접착액을 주입한 다음 스위치 하우징(26a)을 이 곳에 삽입하면서 가압하여 스위치 하우징(26a)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상기 운전석측 혼 스위치(24)와 조수석측 혼 스위치(26)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경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BT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가 운전하고 있는 차량에 의해 보행자가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운전자와 보행자가 서로 인지하지 못하고,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는 알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 이를 발견한 조수석측에 착석한 탑승자가 운전자에게 알리지 않고 바로 앞에 위치되어 있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26)를 손으로 누르게되면, 경음장치(32)가 작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보행자와 운전자가 소리를 듣고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알고 급브레이크를 밟거나 차량의 속도를 줄여 안전사고로부터 보행자와 차량을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조수석측에 탑승한 승차자가 조수석측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힘을 빌리지 않고 탑승한 차량에 의해 위험에 처한 보행자나 생물체에 빠르게 경고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조수석측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상(20)상에 스티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측 혼 스위치(24)와 병렬로 접속되는 조수석측 혼 스위치(26)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KR2019950040995U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KR0121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995U KR0121601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995U KR0121601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203U KR970033203U (ko) 1997-07-26
KR0121601Y1 true KR0121601Y1 (ko) 1998-08-01

Family

ID=1943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995U KR0121601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6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203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601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경음기
KR200271315Y1 (ko) 자동차용 비상등 스위치
KR200159990Y1 (ko) 자동차의 조향휠 혼 스위치 컨넥터 고정구조
KR100214963B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작동음 발생 장치
KR0128528Y1 (ko) 후진용 경보장치
KR970037856A (ko) 자동차용 경음기
KR100245014B1 (ko) 기어 오조작 경보 장치
KR19980062109U (ko) 자동차의 경음기
JP2000062527A (ja) 車のuターン表示ランプ
KR960021783A (ko) 자동차의 운전석내의 조작부재를 위한 장치
KR200205656Y1 (ko) 차량 속도 감속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970000883A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0128190Y1 (ko) 급제동으로 인한 충돌 방지용 비상등 발생장치
KR19980047197U (ko) 자동차의 경음기
GB2168484A (en) Motor vehicle carried speed indicator system
KR19980040186U (ko) 경고신호용 조향핸들 진동장치
KR19980031496A (ko) 경음기 겸용 비상램프
KR970020698A (ko) 자동차의 혼 및 비상등 스위치 구조체
KR19990023869U (ko) 차량용 경음기 작동구조
KR19990020297U (ko) 차량용 경보장치
KR19990011558U (ko) 상용차 스페어 타이어 탈거 경보장치
KR19980010789U (ko) 차량 사고시 자동 경적음 발생 장치
KR19990059392A (ko) 급가속 및 급정거 경고 장치
KR19980085347A (ko) 자동차용 위험 경고장치
JPH04244478A (ja) 居眠り事故防止ステア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