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91Y1 -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91Y1
KR0121591Y1 KR2019940014812U KR19940014812U KR0121591Y1 KR 0121591 Y1 KR0121591 Y1 KR 0121591Y1 KR 2019940014812 U KR2019940014812 U KR 2019940014812U KR 19940014812 U KR19940014812 U KR 19940014812U KR 0121591 Y1 KR0121591 Y1 KR 0121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circuit board
board holder
front cabinet
protru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516U (ko
Inventor
김상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4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91Y1/ko
Publication of KR960003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면 케비넷에 형성되는 콘트롤박스 삽입홈의 양쪽 내측 벽면에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를 돌설하고, 콘트롤박스의 양쪽 측벽에는 상기 보스에 일치하는 브라켓을 형성하여 여기에 체결되는 나사로 콘트롤박스를 고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나사를 사용함에 따라 부품이 증가하고 조립과 분해시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나사 체결용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나사, 수공구 등이 없이 콘트롤박스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콘트롤박스(16)와 회로기판 홀더(11)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콘트롤박스(16)와 회로기판 홀더(11)의 어느 한 쪽에 돌출부재(12)(15)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이 돌출부재(12)(15)가 걸리거나 벗겨지기가 자유롭게 걸리는 걸림부재(18)(19)를 형성하여 고정하고, 콘트롤박스(16)와 전면 캐비넷(10)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돌출부재(21)와 이 돌출부재(21)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에서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부재(2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 콘트롤박스의 고정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저면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캐비넷 11 : 회로기판 홀더
12,15 : 돌출부재 16 : 콘트롤박스
18,19 : 걸림부재 21 : 돌출부재
24 : 요홈
본 고안은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콘트롤박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전면 캐비넷(2)에 형성되는 콘트롤박스 삽입홈(3)의 양쪽 내측 벽면에 나사(4)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5)를 돌설하고, 콘트롤박스(2)의 양쪽 측벽에는 상기 보스(5)에 일치하는 브라켓(6)을 형성하여 여기에 체결되는 나사(4)로 콘트롤박스(1)를 고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나사(4)를 사용함에 따라 부품이 증가하고 조립과 분해시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나사 체결용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렇게 콘트롤박스(1)가 고정된 다음에는 회로 기판(6)과 커넥터(7)로 연결되는데 특히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은 영상표시기기에서는 브라운관을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콘트롤박스를 고정한 다음 커넥터(8)를 연결하게 됨에 따라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작업이 어렵게 되므로써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제품을 차후에 수리할 때에는 콘트롤박스(1)와 회로 기판(9)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8)를 먼저 뽑아내고 회로기판을 홀더에서 분리시킨 다음 브라운관 아래에 깊숙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나사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수리를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체결용 요소나 수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 만으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를 회로기판 홀더에 고정하는 수단과, 회로기판 홀더를 세트에 고정할 때 콘트롤박스가 전면 캐비넷에 고정되는 수단을 구비하여 회로기판 홀더가 세트에 고정될 때 콘트롤 박스가 회로기판 홀더와 전면 캐비넷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콘트롤박스를 회로기판 홀더에 고정하는 수단은 콘트롤박스와 회로기판 홀더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콘트롤박스와 회로기판 홀더의 어느 한쪽에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이 돌출부재가 걸리거나 벗겨지기가 자유롭게 걸리는 걸림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와 걸림부재는 콘트롤박스의 측면과 바닥면에서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면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회로기판의 부재는 콘트롤박스를 받쳐줄 수 있게 되어 콘트롤박스가 회로기판 홀더에 결합되었을 때 콘트롤박스는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과 아래쪽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서로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걸림부재의 어느 하나는 서로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로기판 홀더는 전면 캐비넷에 브라운관이 설치된 다음 고정되며, 콘트롤박스가 고정되고 콘트롤박스와 회로기판이 커넥터로 연결된 상태에서 세트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회로기판 홀더가 세트에 안착될 때 콘트롤부의 전면부는 전면 캐비넷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콘트롤박스를 전면 캐비넷에 고정하는 수단은 콘트롤박스와 전면 캐비넷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이 돌출부재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에서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부재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를 회로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회로기판 홀더를 세트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콘트롤박스의 선단이 전면 캐비넷의 삽입구에 들어가게 되어 밀착 고정되고 회로기판 홀더를 당길 때 이탈될 수 있게 맞물려 있는 돌출부재와 걸림부재가 분리되므로써 나사와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캐비넷(10)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회로기판 홀더(11)의 측벽 양쪽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돌출부재(1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12)는 회로기판 홀더(11)의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탄성편(13)의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고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광하협한 단면을 가지는 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15)는 콘트롤박스(16)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게 수평상으로 돌출되면서 그 중앙에는 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콘트롤박스(16)의 양쪽 측벽과 바닥면에는 회로기판 홀더(11)의 돌출부재(14)(15)가 걸리는 걸림부재(18)(1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8)는 콘트롤박스(16)의 양쪽 측벽에 돌설되어 돌출부재(12)가 안내되는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9)는 콘트롤박스(16)의 저면 양쪽에서 상광하협한 단면으로 되는 돌기(14a)와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회로기판 홀더(11)의 돌출부재(15)의 공간(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전면 캐비넷(10)의 내측 벽면에는 콘트롤박스(16)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재(21)가 돌설되어 있고, 콘트롤박스(16)와 앞쪽의 측벽에는 전면 캐비넷(10)의 돌출부재(21)가 삽입되는 부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23)에는 걸림부재(19)의 돌기(14a)가 삽입되는 요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로기판 홀더(11)에 콘트롤박스(16)의 후위를 결합하면 돌출부재(12)가 탄성편(13)의 탄성으로 걸림부재(18)의 경사면(20)을 타고 넘어가서 돌기(14)가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에 있는 돌출부재(15)가 콘트롤박스(16)의 걸림부재(19)의 돌기(14a)를 제치고 전진하여 돌기(14a)가 공간(17)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써 콘트롤박스(16)는 회로기판 홀더(11)에 고정된다.
돌출부재(12)는 걸림부재(18)에 결합될 때 경사면(20)의 상단과 돌기(14)가 일정한 거리(S)가 형성된다.
이렇게 콘트롤박스(16)가 고정되면 회로기판 홀더(11)를 제품의 세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안착시키면서 콘트롤박스(16)의 앞쪽에 형성된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부재(22)에 돌출부재(21)가 안내되어 결합되면서 콘트롤박스(16)의 선단은 전면 캐비넷(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25)까지 정확하게 안내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각각의 돌출부재와 걸림부재가 좌우상하로 간격이 없이 결합되게 하므로써 콘트롤박스(16)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이후에 고장 수리를 하기 위해서 콘트롤박스(16)를 분리시킬 때에는 회로기판 홀더(11)를 잡아 당기면 돌출부재(12)의 돌출(14)가 거리(S)만큼 이동하는 동안 돌출부재(15)가 걸림부재(19)의 경사면을 밀어올려서 돌기(14a)를 요홈(24)에서 이탈시키므로써 회로기판 홀더(11)와 함께 세트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분해 작업은 콘트롤박스(16)와 회로기판에 연결된 커넥터를 뽑아내지 않고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콘트롤박스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른 구조로 변경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상의 실시에에서는 돌출부재(12)의 돌기(14)가 거리(S)를 두고 걸림부재(18)에 결합되고, 콘트롤박스(16)의 걸림부재(19)가 전면 캐비넷(10)의 내측에 형성한 요홈(24)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돌기(14)가 걸림부재(18)의 상단을 바로 넘어서는 순간에 걸리게 되고, 걸림부재(19)가 요홈(24)에 걸리게 하지 않고 돌출부재(15)의 공간(17)에 고정하여 회로기판 홀더(11)를 당김과 동시에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이 전면 케비넷에 브라운관이 고정된 상태의 좁은 공간에서도 콘트롤박스를 쉽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과 분리작업은 회로기판 홀더와 콘트롤박스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세트의 제작을 위한 조립시 양호한 작업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수리를 위한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콘트롤박스를 회로기판 홀더에 고정하는 수단과, 콘트롤박스를 전면 캐비넷에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콘트롤박스가 고정된 회로기판 홀더가 세트에 고정될 때 콘트롤박스가 회로기판 홀더와 전면 캐비넷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를 회로기판 홀더에 고정하는 수단은 콘트롤박스와 회로기판 홀더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콘트롤박스와 회로기판 홀더의 어느 한 쪽에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이 돌출부재가 걸리거나 벗겨지기가 자유롭게 걸리는 걸림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를 전면 캐비넷에 고정하는 수단은 콘트롤박스와 전면 캐비넷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이 돌출부재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에서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돌출부재와 걸림부재는 콘트롤박스의 측면과 바닥면에서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면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회로기판 홀더의 부재는 콘트롤박스를 받쳐줄 수 있게 되어 콘트롤박스가 회로기판 홀더에 결합되었을 때 콘트롤박스가 좌우측 방향과 아래쪽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박스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회로기판 홀더에 삽입되는 부재가 전면 캐비넷에 형성된 요홈에 걸리고, 회로기판 홀더가 당겨질 때 요홈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고정 장치.
KR2019940014812U 1994-06-21 1994-06-21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KR0121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812U KR0121591Y1 (ko) 1994-06-21 1994-06-21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812U KR0121591Y1 (ko) 1994-06-21 1994-06-21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16U KR960003516U (ko) 1996-01-22
KR0121591Y1 true KR0121591Y1 (ko) 1998-10-01

Family

ID=1938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812U KR0121591Y1 (ko) 1994-06-21 1994-06-21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16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7276A (en) Connector clip for ribbon cable connector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0121591Y1 (ko) 전기.전자 제품의 콘트롤 박스 고정 장치
JPH10129299A (ja) 機器の接続固定構造及び接続固定方法
CN213333397U (zh) 显示设备
KR0137215Y1 (ko) A/v 단자부의 터미널 고정장치
GB2105922A (en) Mounting a wiring appliance in an aperture
KR0137376Y1 (ko) 패널고정구를 이용한 스위치패널의 고정장치
KR0131106Y1 (ko) 전자제품의 pcb기판조립장치
KR200334300Y1 (ko) 전기전자기기
KR200149014Y1 (ko)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KR0131226Y1 (ko)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JP3718826B2 (ja) 配線器具取付用フレーム
KR890001082B1 (ko) 전기배선기구
KR100243880B1 (ko) 텔레비전용 스피커 조립체의 고정구조
JPS6130358Y2 (ko)
KR200157911Y1 (ko) 텔레비젼용 인쇄회로기판의 수직 결합장치
KR0129334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JPH0758465A (ja) 電子装置の実装構造
KR0138553Y1 (ko) 복합 영상기기의 샤시 홀더 고정장치
KR20050105762A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프론트 패널의 결합 구조
KR0123932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프레임
KR910005795Y1 (ko) 콘센트 고정 장치
KR960010721Y1 (ko) Vcr의 저면카버 체결장치
KR19990015056U (ko) 텔레비젼 인쇄회로기판용 프레임의 프론트 마스크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