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13Y1 - 관통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관통형 콘덴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13Y1
KR0121513Y1 KR92018743U KR920018743U KR0121513Y1 KR 0121513 Y1 KR0121513 Y1 KR 0121513Y1 KR 92018743 U KR92018743 U KR 92018743U KR 920018743 U KR920018743 U KR 920018743U KR 0121513 Y1 KR0121513 Y1 KR 0121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or
flat terminal
groove
groun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570U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92018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13Y1/ko
Publication of KR940008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6Terminals leading through the housing, i.e. lead-throug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관통형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관통형 콘센서의 평단자(14) 하측으로 전극금구(3)상에 돌설된 접지편(10)이 내삽되는 요철홈(11)을 형성하고, 이에 전극금구(3)와 일체로 형성된 접지편(10)을 삽입고정토록 하며, 상기 전극금구(3)의 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12) 및 절연 튜브 삽입홈(13)을 각각 형성하여 관통도체(4) 및 절연튜브(4')를 내삽토록 하여 상기 평단자(14)의 요철홈(11) 및 이에 내삽된 접지편(10)을 압입 가공토록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평단자에 전극금구 및 관통도체의 착설시 정확한 위치로 이를 고정토록 함은 물론, 이로인한 조립불량 및 절연수지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의 제작이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관통형 콘덴서
제1도는 일반적인 관통형 콘덴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관통형 콘덴서의 단자부상에 관통도체및 전극금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의 단자부상에 관통도체 및 전극금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 상태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판 2 : 콘덴서 소자
3 : 전극금구 4 : 관통도체
4' : 절연튜브 5 : 절연케이스
6 : 절연커버 10 : 접지편
11 : 요철홈 12 : 관통도체 삽입홈
13 : 절연튜브삽입홈 14 : 평단자
본고안은 방송용 기기나 전자레인지등과 같은 대전력 전자파기기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 장치의 마그네트론을 공진 구동시키기 위한 관통형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통형 콘데서의 평단자 하측으로 전극 금구상에 돌설된 접지편이 내삽되는 요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금구 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 및 절연튜브 삽입홈을 각각 형성시켜 관통도체 및 절연튜브를 전극금구에 내삽시켜 평단자 하측의 요철홈에 삽입하여 압입가공함으로써, 평단자에 전극금구 및 관통도체의 착설시 정확한 위치로 이를 고정토록 함은 물론, 이의 제작이 용이하도록한 관통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용 기기나 전자레인지등에서 요구되는 초단파는 통상 마그네트론 장치로 부터 얻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론 장치는, 차폐된 실드 케이스내의 마그네트론(Magnetion)에 가속용 전압(약 4.2KV)을 걸어 매우 높은 주파수(기본파 : 2.45GHz)를 얻는데, 이는 관통형 콘덴서와 코일에 의한 공진회로를 통하여 얻는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가능한한 외부와 완전차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가속용 전압을 필수적으로 관통형 콘덴서를 통해서 마그네트론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관통형 콘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존재해 있다.
즉, 접지판(1)의 상단에 콘덴서 소자(2)와 2개의 전극 금구(3)가 차례로 재치 고정되고, 그 내면에는 2개의 관통도체(4)가 수직상태로 각각 삽입 고정되며, 상기 관통도체(4)와 접지판(1)이 절연 케이스(5)의 하단으로 부터 끼워지고, 상기 접지판(1)의 하측에는 별도의 절연커버(6)를 삽입고정하여 절연케이스(5)의 내면에 절연 수지물이 몰딩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관통도체(4)의 상단에는 판상의 평단자(7)가 마련된어 관통도체(4)의 삽입후, 솔더링(Soldering) 혹은 압입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토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관통형 콘덴서는, 관통도체(4)에 판상의 평단자(7)를 삽입후, 솔더링 혹은 압입가공에 의해 이를 일체로 형성한후, 상기관통 도체(4)에 재차 전극금구(3)를 끼워 조립한 다음, 이를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극금구(3)의 접착 불량 또는 기울어져 접속될 경우, 콘덴서 소자(2)의 관통홀과 평행하게 관통도체(4)가 끼워지지 않게 되어 상기 관통도체(4)에 고압의 가속용 전압을 인가시 관통도체(4)와 접지판 사이의 방전으로 인하여 절연 수지물이 열화되고, 쇼트되어 치명적인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형 콘덴서의 절연 케이스(5) 상측으로 부터 절연 수지물을 충전 시킬 경우, 상기 절연수지물은 하부케이스인 절연 커버(6)쪽으로 흐르게 되어 완전한 밀봉을 할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와 제반 여건 및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관통형 콘덴서의 평단자 하측으로 전극 금구상에 돌설된 접지편에 내삽되는 요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금구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 절연튜브 삽입홈을 각각 형성시켜 관통도체및 절연 튜브를 전극금구에 내삽시켜 평단자 하측의 요철홈에 삽입하여 압입가공함으로써, 평단자에 전극금구및 관통도체의 착설시 정확한 위치로 이를 고정토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한 조립불량 및 절연수지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의 제작이 용이한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3도는 본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의 단자부상에 관통도체 및 전극금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로서, 접지판(1)의 상단에 콘덴서 소자(2)와 2개의 전극금구(3)가 차례로 설치되고, 그 내면에는 2개의 관통도체(4)가 수직상태로 각각 삽입고정되며, 상기 관통도체(4)와 접지판(1)이 절연 케이스(5)의 하단으로 부터 끼워지고, 상기 접지판(1)의 하측에는 별도의 절연 커버(6)를 삽입고정하여 절연 케이스(5)의 내면에 절연 수지물이 몰딩된 관통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콘덴서의 평단자(14) 하측으로 전극금구(3)상에 돌설된 접지편(10)이 내삽되는 요철홈(11)을 형성하고, 이에 전극금구(3)와 일체로 형성된 접지편(10)을 삽입고정토록 하며, 상기 전극금구(3)의 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12)및 절연 튜브 삽입홈(13)을 각각 형성하여 관통도체(4)및 절연 튜브(4')를 내삽토독 하여 상기 평단자(14)의 요철홈(11)및 이에 내삽된 접지편(10)을 압입 가공토록 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통형 콘덴서의 상측에 마련되는 판상의 평단자(14) 하측으로 형성된 요철홈(11)내에 전극금구(3)의 접지편(10)을 삽입토록 함으로써, 상기 평단자(14) 하측에 전극금구(3)가 간단하게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극금구(3)내측에 형성된 관통도체 삽입홈(12)및 절연튜브 삽입홈(13)내에 관통도체(4) 및 절연 튜브(4')를 내삽토록 한 다음, 판상의 평단자(14) 하측부의 요철홈(11)내에 결합된 전극금구(3)의 접지편(10)을 요철홈(11)과 일체로 압입가공에 의해 결합고정토록 함으로써, 관통도체(4)및 전극금구(3)가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결합고정되며, 상기 결합작업 또한 용이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관통형 콘덴서에 의하면, 관통형 콘덴서의 평단자 하측으로 전극금구상에 돌설된 접지편이 내삽되는 요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금구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 및 절연튜브 삽입홈을 각각 형성시켜 관통도체 및 절연튜브를 전극금구에 내삽시켜 평단자 하측의 요철홈에 삽입하여 압입가공함으로써, 평단자에 전극금구 및 관통도체의 착설시 정확한 위치로 이를 고정토록 함은 물론, 이로인한 조립불량 및 절연 수지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의 제작이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지판(1)의 상단에 콘덴서 소자(2)와 2개의 전극금구(3)가 차례로 설치되고, 그 내면에는 2개의 관통도체(4)가 수직상태로 각각 삽입고정되며, 상기 관통도체(4)와 접지판(1)이 절연케이스(5)의 하단으로 부터 끼워지고, 상기 접지판(1)의 하측에는 별도의 절연커버(6)를 삽입고정하여 절연 케이스(5)의 내면에 절연 수지물이 몰딩된 관통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콘덴서의 평단자(14) 하측으로 전극금구(3)상에 돌설된 접지편(10)이 내삽되는 요철홈(11)을 형성하고, 이에 전극 금구(3)와 일체로 형성된 접지편(10)을 삽입 고정토록하며, 상기 전극금구(3)의 내측에는 관통도체 삽입홈(12) 및 절연 튜브 삽입홈(13)을 각각 형성하여 관통도체(4)및 절연튜브(4')를 내삽토록하여 상기 평단자(14)의 요철홈(11) 및 이에 내삽된 접지편(10)을 압입 가공토록 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콘덴서.
KR92018743U 1992-09-30 1992-09-30 관통형 콘덴서 KR0121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743U KR0121513Y1 (ko) 1992-09-30 1992-09-30 관통형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743U KR0121513Y1 (ko) 1992-09-30 1992-09-30 관통형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570U KR940008570U (ko) 1994-04-18
KR0121513Y1 true KR0121513Y1 (ko) 1998-08-17

Family

ID=1934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743U KR0121513Y1 (ko) 1992-09-30 1992-09-30 관통형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570U (k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980B1 (ko) 관통형 커패시터 및 그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US7184256B1 (en) High-voltage feed-through capacitor and magnetron
KR950003640B1 (ko) 관통형콘덴서
KR0121513Y1 (ko) 관통형 콘덴서
KR950008077Y1 (ko) 관통형 콘덴서
US5600531A (en) Capacitor for magnetron of microwave oven
US20050168912A1 (en) High-voltage capacitor, hight-voltage capacitor device and magnetron
US5455405A (en) Noise shielding apparatus for magnetron of microwave oven
KR920005447Y1 (ko) 관통형 콘덴서
KR960014523B1 (ko) 관통형 커패시터
KR100482916B1 (ko) 관통형세라믹콘덴서,관통형세라믹콘덴서지지체및lc복합부품장치
KR0116903Y1 (ko) 관통형 콘덴서의 접지판 결합구조
KR920006649Y1 (ko) 관통형 콘덴서
KR970011500B1 (ko) 관통형 커패시터와 이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KR920006650Y1 (ko) 관통형 콘덴서
KR0116902Y1 (ko) 관통형 콘덴서의 접지판 결합구조
KR920006651Y1 (ko) 관통형 콘덴서
KR920001828B1 (ko) 관통형콘덴서가 일체로 된 마그네트론 장치
KR920007941Y1 (ko) 코일이 내장된 관통형 콘덴서
KR200331049Y1 (ko) 관통형 콘덴서
KR920005446Y1 (ko) 관통형 콘덴서
KR0123268B1 (ko) 관통형 커패시터 및 이와 일체화된 마그네트론
KR970011497B1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의 커패시터(capacitor)
KR200331057Y1 (ko) 관통형 콘덴서
KR920006942B1 (ko) 마그네트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