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07B1 -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307B1
KR0121307B1 KR1019940028995A KR19940028995A KR0121307B1 KR 0121307 B1 KR0121307 B1 KR 0121307B1 KR 1019940028995 A KR1019940028995 A KR 1019940028995A KR 19940028995 A KR19940028995 A KR 19940028995A KR 0121307 B1 KR0121307 B1 KR 012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composition
soil
solidify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076A (ko
Inventor
이남출
Original Assignee
임성기
주식회사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기, 주식회사한미 filed Critical 임성기
Priority to KR101994002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307B1/ko
Publication of KR96001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6Sealing of existing landfills, e.g. using min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현장토에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시멘트, 석회, 벤토나이트, 고화제, 차수제 등에서 선택한 조성물을 첨가하여 각 기능에 따라 차수막보강층, 법면차수막층, 차수막층으로 구성되는 고결고화에 의한 가두리식 폐기물 매립장의 조성공법.

Description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의 단면도.
본 발명은 현장토 일명원토를 차수용토의 모재로 하고 여기에 폐주물사 석탄회, 시멘트, 응고재 등을 혼합하여 차수막 보강층과 일체로 한 경사면이 법면 차수막층을 구성하고 차수막 보강층위에 차수막층을 형성시키므로서 부등침하를 방지하고 통과수의 자생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지반 및 구조물의 붕괴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반영구적이고 2차 환경오염으로부터 차단되는 가두리식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매립장 조성공사에서 채용되고 있는 시트(폴리에치렌필름)라이닝공법은 매립장 연약지반의 자연환경과 지형토질의 구조 및 성상 등을 고려하지 않은 체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점통층으로 마감되고 있어 비닐시트에 구멍이 생기든가 이음부분이 충분히 접착되지 않을 경우 침출수는 그대로 지하수의 오염원이 되는 것이며, 또는 인위적 파손 및 법면의 장기 방치에 따른 자외선으로 열화에 의한 파손은 시트라이닝 공법의 가장 큰 취약점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점토층을 깔고 있으나 점토층은 고결능력이 없을뿐더러 지하용출수 주변유입수, 우수 등에 무방비 상태이며, 시트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차단하거나 여과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그 밖에 점토와 벤토나이트의 혼합물로 차수막을 구성하는 어스라이닝 공법은 매립장의 대부분이 해면, 늪지대, 계곡, 산간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고결력이 없는 점토와 벤토나이트로 차수막을 형성하여서는 지지력의 부족과 유실 등에 의한 분리현상등 큰 문제점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은 종래 폐기물 매립장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공법으로 원지반의 성장 및 토질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있으며 연약지반을 개량하고 지반의 부등침하 현상과 용출수 자연수 유입으로부터 지반의 안정고화된 토양을 유지할 수 있고, 차수막층, 차수막보강층(연약지반개량층), 법면차수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자체가 오염수로부터 자생능력을 갖는 지반구졸되어 있고, 매립층 주변의 지각변동, 붕괴유실로 인한 방지측면도 고려되어 있다. 또 시공성이 양호하고 공기 단축의 잇점도 있으며, 2차 환경오염의 방지와 반영구적인 차단식 매립장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매립장 조성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별첨 도면에서와 같이 상광하협의 육면체형으로 흙을 파낸 다음 하면에 차수막보강층(1)을 형성하고 이와 일체로 연설되는 경사면인 법면차수막층(2)을 구성하고 차수막보강층(1)위에 적층하여 차수막층(3)을 고결에 의한 고화방식으로 구성하여서 된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으로 각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위의 폐기물 매립장을 형성함에 있어서 차수막보강층은 강도를 지나치게 강하게 하지 않고 현지반의 특성에 따라 연약지반 개량이나 불량지반을 개량하는 것으로, 체모양의 인공지오라이트와 같은 지반으로 형성하므로서 윗층의 차수막층으로부터 스며드는 통과수를 무공해화시킴은 물론 연약지반 또는 불량지반토질에는 석탄화 또는 생석회를 혼합시켜 토질을 안정화시킨 다음 고결시키므로서 부등 침하방지, 용출수 및 지하수 등에 의한 유실방지 및 붕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수막보강층이라 할 수 잇으며, 이와 같은 차수막보강층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현장토 30-70%,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30-7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부에 시멘트 70부, 석회 30부 순서로 충분히 교반한 것에 1부의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을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서 이를 고결시킨 고화제이다.
또 법면차수벽층은 로울러 다짐을 할 수 없고, 작업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특수어터치먼트를 백호어(Bakhoe)에 장착시켜 조성물을 정형과 전압다짐을 하게 되며, 법면은 사면 경사각도가 있어 완벽한 고화토 조성물로 법면시공을 요하기 때문에 먼저 석회를 현장토에 첨가시켜 불량토양을 양질토양으로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를 첨가 배합하여 법면 지지력증가 효과를 극대화시켜 법면지수 역할을 물론 붕괴 파손방지 능력을 크게 보강시킨 것으로 이에 사용되는 조성물과 조성방법은 먼저, 현장토(산토, 해성토, 점토, 뻘) 30-70%와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토 1000부에 석회 40부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 100부를 첨가하는 순서로 교반시켜 1부의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 결합수로 살포교반 혼합하여 얻어진 조성물로서 밑으로부터 위로 특수 어터치먼트로 정형하면서 정전압 다짐하여 고결 고화시킨다.
끝으로 바닥 차수막층을 동결방지나 버려지는 쓰레기의 충격으로부터 견디기 위하여 시멘트량을 많이하여 강도를 높이고 또한 석고 함유 산화마그네슘이 첨가된 몬모리나이트가 함유된 벤토나이트를 첨가시켜 불투수성을 높이는 반면에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된 산성물질, 화학유해 및 유독물질, 회재등으로부터 표층의 손상을 방지하게 하는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조성물로는 현장토 30-70%에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30-7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1000부에 대하여 시멘트 120부, 벤토나이트 또는 차수제 40부를 순서대로 혼합교반시킨 다음 1부의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서 이를 고결시킨 고화층이 바닥차수막층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을 구성하는 차수막보강층(1), 법면차수막층(2), 차수막층(3)을 시공함에 있어서 사용되어지는 현장토라 함은 산토, 해성토, 점토, 뻘 등을 들 수 있으며, 현장토의 종류에 따라 주물사나 푸라이애쉬 사용량이 30-70% 범위내에서 달라질 수 있으며, 마사토나 사질성분이 많은 경우나 함수율이 적은 현장토일 경우에는 폐주물사나 푸라이애쉬를 생략하고 현장토를 전량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첨가량이나 조성 및 시공하는 방법도 동일하며, 이로 인해 얻어지는 효과도 거의 동일하다 하겠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사토나 사질성분이 많은 경우나 함수율이 적은 현장토(원토)일 경우 차수막 보강층(1)은 현장토 1000부에 대해서 시멘트 70부, 석회 30부의 순서로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의 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이고, 법면차수막층(2)은 현장토 100부에 대하여 석회 40부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 1000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호제 B 또는 E의 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고결시킨 고화층이며, 차수막층(3)은 중량비로 현장토 1000부에 대하여 시멘트 120부, 벤토나이트 또는 차수레 40부를 혼합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의 1를 수용액으로 결합수를 첨가 고결시킨 고화층이라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해성토는 단위 중량이 약 1.7t/m2, 산토는 단위 중량이 1.38t/m3으로 여기에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50-70%를 혼합할 경우에는 단위중량은 1.4t/m3-1.7t/m3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더욱이 본 공법 시공시 사용되는 현장 또는 함수비율시 시공시 80% 이내로 하여야 하며 함수비율이 낮을수록 고결고화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시공성이 좋으며 고결강도가 증가되며 함수비율이 80% 이상으로 갈수록 응고하여 고화되는 반응이 지연되며 100% 이상에서는 고결하여 고화하는 능력이 거의 없어진다.
이상의 조성공법에서 현장토에서 첨가되는 첨가제중 고화제 B의 구성성분과 조성비는 염화난트륨 20%, 염화제 2철 또는 염화코발트 2%, 염화마그네슘 25%, 영화카리움 30%, 염화칼슘 15%, 유산칼슘 3%, 인산칼슘 3%, 탄소 2%의 조성비를 갖으며, 차수제는 200매쉬이 생석회에 대하여 식물성 오일 0.3%으로 코팅한 것으로 차수 및 고화 촉직 기능을 가지는 첨가제라 할 수 있다.
또 첨가물로서 몬모리나이트가 함유된 벤토나이트 250매쉬 정도의 입도로서 차수능이 뛰어나며 현탁성과 점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방법에서 사용하는 벤토나이트는 아래와 같은 물성을 갖고 있다.
(1) 벤토나이트의 화학적 조성
(2) 물리적 성질
수분 : 10±1
입도 : 250mesh/85%
점토(8%) : 22-23초
PH : 9.5-10
팽윤도(cc/g) : 15cc 이상
메칠렌불루(0.5g) : 30cc 이상
몬모리나이트함유 : 30cc/500mg
위의 벤토나이트에는 산화마그네슘에 석고 0.5%을 첨가한 표면손상방지제 1.5%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그 밖에 첨가로서 고화제 E는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화제라 할 수 있다.
본 공법에서 고화제의 작용은 토입자 표면에는 부착수가 있어 R-COOH, RHO등 후민산계의 부식물이 다량으로 용해되어 있어 대략 200kgf/cm2라는 거대한 힘으로 토입자를 거두고 있어 이 부착수가 토입자와 토입자를 직접 시멘트만으로 고화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토를 고화제의 수용액으로 결합수의 작용을 하게 하므로서 고결능을 증대시키는 기법으로 토입자 주변의 부착수 전위를 적당히 저하시켜 이온효과를 얻는 일에 따라 시멘트 액상중의 칼슘이온이 토입자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각 입자는 배열이 정열되어 시멘트의 접착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켜 다량의 수분을 결합수로 받아들여 결합을 장기적으로 큰 강도를 갖게 한다.
특히 실리카 및 알루미나계 고화제 E을 시멘트 액상중에 첨가하여 연약지반, 불량 토질개량, 토질안정을 수화반응에 의해 불용성 경화생성물을 형성시켜 포조란 반응을 일으키게 함과 동시에 일으키게 사용할때는 동절기 -5oC 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화제 성분인 나트륨, 카리움, 칼시움 등의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 금속을 토양의 유기성분이 휴민산푸로톤(H+)과 이온교환시켜 토양중의 유기성분이 토양입자 내부에서 세밀구조로 결합되도록하여 다량의 결합수를 요구하는 에트린지트(Ettringite)를 형성촉직시켜 함수비를 고결촉진 및 강도증진 효과를 갖게하여 중금속 흡착력을 침상 결정체의 구조가 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오수를 무공해화 한다. 또 차수제 D는 생석회에 대하여 식물성 오일 0.3%으로 고팅한 첨가제로서 토양의 고화 촉직은 물론 투수계수를 높이므로서 차수효과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산화마그네슘에 0.5%의 석고를 첨가하여 처리한 조성을 1.5%를 배합시킨 몬모리나이트 함유 벤토나이트는 불투성을 높이고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산성물질, 유해 및 유독화학물질, 화재 등에 의한 표충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밖에 석회 또는 석고등은 이를 첨가하므로서 고함수 토질을 저함수 안정토질로 안정화하여 시멘트의 고결능력과 토양입자에의 결합능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고화제 B나 고화제 E는 현장토의 성분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도,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사용 할 수도 있으며, 벤토나이트나 차수제 D도 고의 같은 기능을 갖고 있지만 매립될 폐기물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하겠다.
특히 고화제는 사용 30분전에 필요한 량을 물에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된 상태에서 적어도 12시간 이내에 사용하고 고화제 1kg당 물 5-20ℓ범위로 현장토의 함수비에 따라 첨가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며 흡수성이 높은 토재를 사용할 경우는 토재가 물을 40-50% 흡수한 다음에 고화제 수용액을 산포하며 함수비의 조정은 고결에 의한 고화속도 강도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위와 같은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매립장의 시공은 차수막층, 자반보강층, 법면차수벽층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교반량은 약 20m3단위로 하되 교반은 1-0.7m3용량의 백호어 및 교반 혼합기 등으로 원료, 폐주물사, 푸라이애쉬, 석회, 시멘트 석고 벤토나이트 중에서 조성되는 조성물을 정밀하게 교반한 다음 여기에 고화제를 물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골고루 살포하여 10회 이상 교반시킨다.
교반혼합이 완료되면 터파기가 완료된 지반에 포설하되 이때 지반이 요철이 없도록 인력 또는 장비로 지방정지를 선행하여 시공하며 지하수가 발생할 경우 배수로 설치 또는 양수기로 배수한 후 포설하고 포설시 지반보강층은 1/2두께로 2회로 하되 1회에 20-25cm로 포설하도록 하며 1-6톤의 진동로울러로 동시 종횡으로 1a당 약 2시간 다짐을 실시하고 차수층은 포설 역시 1-6톤급 전압을 가하여 마무리 하되 전압은 조성물 포설 후 30분 이내에 다짐한다. 시공시 주의점은 전 조성물이 완전히 교반된 상태에서 포설하며 조성물에 살포되는 고화제 수용액은 12시간 이내에 분무기로 균일하게 살포하고 시공현장에는 측량기를 비치하여 시공시 지반의 고저를 측량확인하고 작업 진행 방향의 계획 지반고 및 시공두께를 유지하도록 해야하며 지하 용출수로 인하여 포층흙의 하수비 100%이상되는 상태인 경우 포설준비가 완료된 조성물을 부설하면서 작업진행 방향으로 밀어내기 식으로 배수처리하면서 시공한다.
이상의 조성물과 시공방법이 시공된 매립장은 차수막 두께가 20-30cm, 투수계수가 1초당 천만분의 1cm(10-7)이하이고, 일측 압축강도가 15kg/cm2-50kg/cm2이며 바닥차수막 보강층은 두께 40-50cm 투수계수가 1초당 천만분의 1cm(10-5)이하이며 일측압축 강도 5kg/cm2-10kg/cm2범위이다. 또 법면차수 벽층의 두께는 40-60cm, 투수계수 10-6이하이며 일측강도가 10kg/cm2-20kg/cm2의 범위이다.
이상의 조성공법으로 얻어진 폐기물 매립장의 기능과 작용효과를 좀더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들었다.
(실시예 1)
차수막 보강층
함수비 80%로 조정한 해성토 60%와 폐주물사 4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kg에 시멘트 70kg, 석회 30kg의 순서로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1kg을 5ℓ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으로 살포 교반하여 고결고화시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2)
법면차수막층
함수비 80%로 조성한 해성토 60%와 푸라이애쉬 4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kg에 석회 40kg을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 100kg을 첨가하는 순서로 교반시켜 고화제 B 1kg을 8ℓ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으로 살포 교반하여 고결 고화시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3)
차수벽층
함수비 45%로 조정한 산토 60% 폐주물사 4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kg에 시멘트 120kg, 벤토나이트 40kg을 순서대로 혼합교반시킨 다음 고화제 B1kg을 15ℓ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으로 살포 교반하여 고결고화시킨 시료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은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시험기
(1) 변수위 투수시험기 : 삼축시험이용
(2) 몰드 : h=140mm, φ=70mm
(3) 교반기
2. 시험방법
(1) 시료를 배합기에 따라서 준비
(2) 준비된 시료를 교반 및 배합
(3) 4층으로 나누어 다지고 다짐방법을 충격식과 진동식을 병행하였다.
(4) 양생 : 걍도시험용과 투수시험용에 따라 각각 다르게 양생시킨다.
강도시험용시료 : 공기중 항은 양생
투수시험용시료 : 공기중 항은 양생후 수중양생(투수시험 1주일전)
(5) 강도시험 : 28일 강도시험
(6) 투수시험 : 28일 이후 투수시험
삼축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변수위 투수시험 JSF T311-1990)
또 삼축시험기에서 축압을 1.5kg/cm²이상 일정하게 유지하며 시험전 1주일이상 수중양생시켜 시료가 충분히 포화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실시예(1)-실시예(3)으로 얻은 시료로 시험한 결과 일축 압축강도 및 차수효과는 다음 표(1)과 같다.

Claims (15)

  1. 상광하협의 육면체형으로 흙을 파내어 하면에 차수막 보강층을 형성하고 이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경사면의 법면차수막층을 구성하고, 상기 차수막보강층 위에 차수막층을 적층구성시킨 폐기물 매립장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매립장을 구성하는 차수막보강층(1), 법면차수막층(2) 및 차수막층(3)을 현장토(원토), 폐주물사, 푸라이애쉬, 석탄회, 벤토나이트, 차수제, 고화제 B, 고화제 E중의 하나이상을 선택혼합하여 고결에 의한 고화방식으로 축조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수막보강층(1)은 현장토 30-70%, 폐주물사 또는 푸라애쉬 30-7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부에 대하여 시멘트 70부, 석회 30부의 순서로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 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법면차수막(2)은 현장토 30-70%,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30-7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토 1000부에 대하여 석회 40부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 100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차수막층(3)은 현장토 30-70%에 폐주물사 또는 푸라이애쉬 30-70%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1000부 대하여 시멘트 120부, 벤토나이트 또는 차수제 40부를 혼합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차수막보강층(1)이 중량비로 현장토 1000부에 대하여 시멘트 70부, 석회 30부의 순으로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하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법면차수막(2)이 현장토 1000부에 대하여 석회 40부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시멘트 100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E1부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차수막층(3)이 중량비로 현장토 1000부에 대하여 시멘트 120부, 벤토나이트 또는 차수제 40부를 혼합 교반한 것에 고화제 B 또는 고화제 E1부를 수용액으로 한 것을 조성물의 결합수로 살포 교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 고결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화제 B가 중량비로 염화나트륨 20%, 염화마그네슘 25%, 염화카리움 30%, 염화칼슘 15%, 염화제 2철 2%, 유산칼슘 3%, 인산칼슘 3%, 탄소 2%의 조성비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9. 제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화제 E는 실리카 및 알루미나계 고화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0. 제4항에 있어서, 벤토나이트는 중량비로 산화마그네슘 0.5%의 석고를 첨가하여 처리한 조성물 1.5%를 첨가 배합시킨 몬모리나이트 함유 벤토나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1. 제4항에 있어서, 차수제는 중량비로 생석회에 식물성 오일 0.3%를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2. 제1항에 있어서, 현장토가 함수비율이 80%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3. 제2항에 있어서, 차수막보강충은 투수계수가 10-5이하이며, 일축압축강도가 5kg/cm2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4. 제3항에 있어서, 법면차수막(2)는 투수계수가 10-6이하이며, 일축압축강도가 10kg/cm2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15. 제3항에 있어서, 차수막층(3)은 투수계수가 10-7이하이며, 일축합축강도가 15kg/cm2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KR1019940028995A 1994-11-05 1994-11-05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KR012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95A KR0121307B1 (ko) 1994-11-05 1994-11-05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95A KR0121307B1 (ko) 1994-11-05 1994-11-05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76A KR960018076A (ko) 1996-06-17
KR0121307B1 true KR0121307B1 (ko) 1997-11-13

Family

ID=1939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995A KR0121307B1 (ko) 1994-11-05 1994-11-05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75B1 (ko) * 2001-11-26 2004-09-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침투성 방수제에 의한 불투수성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2477B1 (ko) * 2004-10-19 2007-11-01 서동혁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장
KR101423123B1 (ko) * 2014-02-11 2014-07-25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폐기물 매립장 지반조성용 차수층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490B1 (ko) * 1997-12-12 2000-06-01 문상운 자가형성 및 자가치유 기능을 보유한 폐기물 매립장 차수재 조성물
KR100349181B1 (ko) * 1997-12-24 2002-10-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제철소제선공정의수재슬래그를이용한차수재
KR100459077B1 (ko) * 2002-02-23 2004-12-03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폐기물 매립지의 건설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75B1 (ko) * 2001-11-26 2004-09-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침투성 방수제에 의한 불투수성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2477B1 (ko) * 2004-10-19 2007-11-01 서동혁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장
KR101423123B1 (ko) * 2014-02-11 2014-07-25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폐기물 매립장 지반조성용 차수층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76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937B2 (en) Lightweight drainable cellular concrete
US20080210135A1 (en) Construction Material Based Upon a Sludge or Sludged Waste Material
CN1792898A (zh) 钻井废泥浆固化剂
CN112723906A (zh) 一种基于建筑泥浆的轻质填料制备及施工方法
JP3452330B2 (ja) 砕石粉混入固化材料及び砕石粉混入固化材料による施工方法
CN113636809A (zh) 一种湿陷性黄土集料填筑材料
KR0121307B1 (ko) 폐기물 매립장 조성공법
KR100689061B1 (ko) 지반경화 안정처리공법
JPH02500500A (ja) 特に堆積処分場造成のための水密土層形成方法
DE10302772A1 (de) Bau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782984A (ja) 流動化処理工法
KR101051968B1 (ko) 친환경 그라우트재를 이용한 심층혼합공법
KR100356344B1 (ko)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의 설치방법
KR20140098416A (ko) 지반개량을 위한 고화토 형성방법
KR101423123B1 (ko) 폐기물 매립장 지반조성용 차수층 시공방법
KR100266727B1 (ko) 자가형성 및 자가치유 기능을 가진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층 시공 방법
DE2541747A1 (de) Baustoffmischung fuer unterwasser- bauten
KR100272950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벽 설치공법
KR20170036454A (ko) 토질개량제를 이용한 흙 표면처리공법
KR100272947B1 (ko) 토양안정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 조성방법
EP2055685A1 (en) Method for preparing a structure in a body of water.
EP165541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agschicht
AT394037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ungsschicht
KR100881149B1 (ko) 고함수 준설니토 고화용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개질토제조방법
KR100448475B1 (ko) 침투성 방수제에 의한 불투수성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층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