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083Y1 -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083Y1
KR0121083Y1 KR2019940014992U KR19940014992U KR0121083Y1 KR 0121083 Y1 KR0121083 Y1 KR 0121083Y1 KR 2019940014992 U KR2019940014992 U KR 2019940014992U KR 19940014992 U KR19940014992 U KR 19940014992U KR 0121083 Y1 KR0121083 Y1 KR 0121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pacer
circuit pattern
spac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990U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4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083Y1/ko
Publication of KR960002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spacers between contact carrying layers

Abstract

본 고안은 콘트롤패널용 멤므레인에 관한 것으로, 종래 멤브레인은 많은 부품수로 이루어져 있고,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알루미늄테이프(6)의 어스테일(11)을 스크루로 접지시키며, 전후측 컨텍트쉬트(5)(2)와 PE필름의 스페이서(3)를 적층시키는 공정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이들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컨텍트쉬트(5)(2)사이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스페이서(20)로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스페이서(20)로 형성되는 공간부사이는 최소 4㎜이상 이격되게 형성하며, 전측의 컨텍트쉬트(5)에는 보호비닐(8)이 부착된 화장판(7)을 부착구성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므레인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므레인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종래 멤브레인을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A부 확대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이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므레인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고안의 멤브레인을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B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양면테이프 2,5:전후 컨텍트쉬트
3,20:스페이서 4:회로패턴
6:알루미늄테이프 7:화장판
8:보호비닐 9,10:공간부
11:어스테일 12:케이블
본 고안은 콘트롤패널의 전면에 취부되는 멤브레인(Membrane)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멤브레인의 제조작업공정수를 감축한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므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들면 전자렌지등의 가전제춤에 있어서, 콘트롤패널의 전면판에 부착되는 멤브레인에 표시된 각종 기능표시부를 누르면, 그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각 기능표시부의 신호가 각 제어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가전제춤이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멤브레인은 각각의 역활을 가진 여러장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멤브레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첨부된 도면 제 1 도의 (b)를 통해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롤패널의 전면판에 부착되는 멤브레인은 순차적으로 상기 전면판의 부착부위인 양면테이프(1)와, 그 양면테이프(1)의 위에 접착되는 회로패턴(4)이 인쇄된 후측 컨텍트쉬트(Contact Sheet)(2)와, 그 후측 컨텍트쉬트(2)에 스페이서(Spacer)(PE필름)(3)를 적층하고, 그 스페이서(3)에 회로패턴(4)이 인쇄된 전측 컨텍트쉬트(5)를 적층하여 상기 전후측 컨텍트쉬트(5)(2) 사이에 일정한 다수개의 공간부(9)(10)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전측 컨텍트쉬트(5)의 표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6)와, 그 알루미늄 테이프(6)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화장판(7) 및 보호비닐(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알루미늄 테이프(6)는 손가락으로 기능표시부를 눌렀을 때 정전기가 내부의 다른 기능표시부의 회로패턴(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에 어스테일(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후측 컨텍트쉬트(5)(2)에는 회로패턴(4)이 인쇄되어 그 회로패턴(4)의 입력회로가 인쇄된 케이블(12)이 PCB기판등에 접속되어 그 입력신호를 각종 제어장치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화장판(7)에는 각종 기능표시부가 인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멤브레인 상기 전후측 컨텍트쉬트(5)(2)와 스페이서(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9)(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형성되고, 각각의 공간부(9)(10)에 각기 구별되는 신호를 발생할수 있는 회로패턴(4)들이 각각 형성되어 다수의 기능표시부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전후측 컨텍트쉬트(5)(2) 사이에서 일정하게 배열된 공간부(9)(10)내에 회로패턴(4)이 형성되어 다수의 기능표시부를 이룬 멤브레인을 그 양면테이프(1)의 접착성을 이용하여 콘트롤판넬의 전면판에 부착시키고, 전후측 컨텍트쉬트(5)(2)에 형성된 회로패턴(4)을 스캔할수 있도록 케이블(12)에 의해 PCB기판등에 연결시켜 각종 제어장치에 연결시킨다.
이에따라 멤브레인의 임의의 기능표시부를 가볍게 눌러주면, 전측 컨텍트쉬트(5)에 형성된 회로패턴(4)이 후측 컨텍트쉬트(2)에 형성된 회로패턴(4)에 접촉되어 그 기능신호를 그 제어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멤브레인의 구조는 회로패턴94)을 제외하고 일곱 층으로 많은 부품수로 이루어져 있고,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6)의 어스테일(11)스크류로 접지시키며, 전후측 컨텍트쉬트(5)(2)와 PE필름의 스페이서(3)를 적층시키는 공정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이들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멤브레인을 이루는 적층 부품수를 줄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도모한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브레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목적은 어스테일이 형성된 알루미늄테이프를 삭제하고, 스페이서를 에폭시수지로 사용하고, 그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측 컨택트쉬트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부간은 4㎜이상 이격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브레인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고안의 멤브레인을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B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멤브레인은 순차적으로 상기 전면판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1)와, 그 양면테이프(1)의 위에 접착되는 회로패턴(4)이 인쇄된 후측 컨텍트쉬트(Contact Sheet)(2)와, 그 후측 컨텍트쉬트(2)에 적층되는 스페이서(Spacer)(20)와, 그 스페이서(20)에 적층되는 회로패턴(4)이 인쇄된 전측 컨텍트쉬트(5)와, 상기 전후측 컨텍트쉬트(5)(2)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20)로 인해 형성된 일정한 다수개의 공간부(9)(10)와, 상기 전측 컨텍트쉬트(5)의 표면에 부착되는 화장판(7) 및 보호비닐(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다면 종래의 알루미늄테이프를 제거한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에서 상기 스페이서(20)는 에폭시수지를 그 재질로 하였는 바, 이는 에폭시수지로 스페이서(20)를 형성 하는 데에는 두가지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첫째는 종래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PE필름은 단지 접속단자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그자체로 어느정도 절연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가 불완전하여 별도로 알루미늄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점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전자렌지의 몸체등으로 유도하도록 하였으나, 에폭시수지는 정전기 자체가 침투가 안되기 때문에 절연거리를 통하여 정전기가 접점쪽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알루미늄 테이프가 불필요 한 것이다.
둘째로는 공정성 문제인 데, 종래와 같이 PE수지를 사용하여 스페이서를 만들면 타발과정을 거쳐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붙여야 하였으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스페이서를 만들면, 인쇄공정을 통해 컨텍트시트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회로패턴에 에폭시수지 인쇄공정을 더하면 되는 것으로, 공정상의 잇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부(9)와 공간부(10)사이는 최소 4㎜이상 이격되게 형성하는 데, 이렇게 4㎜의 이격을 형성하는 이유는 유럽의 전자제품규격상 도체와 전기라인 그리고 인체와 닿을 수 있는 연변거리 규정을 만족하고, 회로패턴간의 절연거리확보와 정전기 침투를 억제하는 데에 적당한 절연거리 값이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 사용되던 알루미늄 테이프(6)는 손가락으로 기능표시부를 눌렀을 때 정전기가 내부의 다른 기능표시부의 회로패턴(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데, 본 고안에 의한 스페이서(20)는 종래의 스페이서(3)의 재질(PE필름)과 다른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밀봉하고, 그 스페이서(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9)와 공간부(10) 사이의 거리는 최소 4㎜로 함으로써 정전기를 차단 할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어스테일(11)이 형성된 알루미늄 테이프(6) 없이 화장판(7)만을 상기 전측 컨텍트쉬트(5)에 부착하여도 각 기능표시부의 회로패턴(4)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멤브레인은 상기 전후측 컨텍트쉬트(5)(2)와 스페이서(20)에 의해 접점 공간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형성되어 그 각각의 공간부에 각기 구별되는 신호를 발생할수 있는 회로패턴(4)들이 각각 전후측 컨텍트쉬트(5)(2)에 인쇄되어 다수의 기능표시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공간부내에서 대향된 전후측 컨텍트쉬트(5)(2)의 회로패턴(4)에 의해 다수의 기능표시부를 이룬 멤브레인을 양면테이프(1)의 접착성을 이용하여 콘트롤판넬의 전면판에 부착시키고, 회로패턴이 인쇄된 전후측 컨텍트쉬트(5)(2)를 스페이서(20)용 에폭시수지를 160℃이상의 고열로 접착시켜 부착하여 이에 형성된 회로패턴(4)을 스캔할수있도록 각종 제어장치에 그 케이블(12)로 연결시킨다.
이에따라 멤브레인의 임의의 기능표시부를 가볍게 눌러주면, 전측 컨텍트쉬트(5)에 인쇄된 회로패턴(4)이 후측 컨텍트쉬트(2)에 인쇄된 회로패턴(4)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기능신호를 그 기능 제어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컨트롤패널용 멤브레인은 알루미늄시트를 제거하고 스페이서를 에폭시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회로패턴(4)이 인쇄된 전후측 컨텍트쉬트(5)(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눌렀을때, 상기 회로패턴(4)이 상기 공간부에서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브레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쉬트(5)(2)사이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스페이서(20)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공간부 사이를 4㎜이상을 이격되게 인쇄공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용 멤브레인.
KR2019940014992U 1994-06-23 1994-06-23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KR0121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992U KR0121083Y1 (ko) 1994-06-23 1994-06-23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992U KR0121083Y1 (ko) 1994-06-23 1994-06-23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90U KR960002990U (ko) 1996-01-22
KR0121083Y1 true KR0121083Y1 (ko) 1998-07-15

Family

ID=1938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992U KR0121083Y1 (ko) 1994-06-23 1994-06-23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65B1 (ko) * 2002-05-24 2005-06-22 조한진 상수도 급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92A (ja) * 2000-03-29 2000-07-28 Konami Co Ltd フットスイッチ
KR100976962B1 (ko) * 2004-05-12 2010-08-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멤브레인 어스테일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65B1 (ko) * 2002-05-24 2005-06-22 조한진 상수도 급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90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7537B2 (en) Touch panel
KR900000760A (ko) 터치 스크린 오버레이
JPH10161790A (ja) キーボード装置および押されたキーを識別する方法
EP0203261A3 (en) Improved keyboar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GB1501125A (en) Switching assembly
US296162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0121083Y1 (ko) 전자렌지의콘트롤패널용멤브레인
CN108925028A (zh) 一种柔性电路板、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4385213A (en) Switch and component attachment to flexible printed circuitry
JPH039488B2 (ko)
CN217968763U (zh) 一种采用聚酰亚胺膜的新型绝缘材料
CN214011959U (zh) 传感器组件、触控装置和电子设备
US1103291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board
CN218830780U (zh) 一种挠性线路板及智能终端设备
CN211128373U (zh) 柔性电路板
CN215209222U (zh) 一种防气泡生成的麦拉片
JPH0129642Y2 (ko)
KR0125221Y1 (ko) 멤브레인 키보드의 구조
JP2745864B2 (ja) 電気回路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970003730Y1 (ko) 옾셋인쇄에 의하여 제조된 화판을 갖는 박막스위치
CN106373817A (zh) 薄膜开关及其线路设置方法
JPS6351014A (ja) メンブレンキ−ボ−ドスイツチ
KR100453333B1 (ko) 평판소자의접속구조
JPH0129641Y2 (ko)
KR200327366Y1 (ko) 멤브레인 스위치를 갖는 그림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