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725Y1 -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725Y1
KR0120725Y1 KR2019950032311U KR19950032311U KR0120725Y1 KR 0120725 Y1 KR0120725 Y1 KR 0120725Y1 KR 2019950032311 U KR2019950032311 U KR 2019950032311U KR 19950032311 U KR19950032311 U KR 19950032311U KR 0120725 Y1 KR0120725 Y1 KR 0120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iquid
coke oven
oven gas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512U (ko
Inventor
김경태
방광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50032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725Y1/ko
Publication of KR970023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725Y1/ko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크스로가스의 냉각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크스로 가스의 차단없이 열교환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열 교환기 및 응축장치의 내부 배관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장치의 구성은 양측으로 각각의 코크스로 가스 도입관과 코크스로 가스 배출관을 설치하였고 저부에는냉매도입관 및 냉매배출관을 형성시켰으며 내부에는 양측으로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내장시켜서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본체의 중앙 즉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사이에는 세척액분사구를 설치하되, 상기 세척액분사구이 형성은 밸브가 설치된 세척액도입관의 끝단 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분리 형성된 세척액공급지관을 형성시켰으며, 상기 세척액공급지관에는 무수히 많은 세척액분사공을 형성시켰고, 응축수배출관 상에는 밸브가 설치된 세척액배출관을 일측에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응축기본체12: 코크스로 가스 도입관
13: 코크스로 가스 배출관14: 핀 튜브형 열 교환기
15: 냉매 도입관16: 냉매 배출관
17: 응축수 배출관20: 세척액 분사구
17a, 21, 25a: 밸브22: 세척액도입관
23: 세척액 공급지관24: 세척액분사공
25: 세척액 배출관
본 고안은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크스로 가스의 차단없이 열 교환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열 교환기 및 응축장치 내부의 배관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본체(11) 내부에는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가 내장되고, 상기 응축기본체(11)의 저부 일측에는 냉매도입관(15)을 설치하며, 타측에는 냉매배출관(16)을 설치하였고, 상기 냉매도입과(15)과 냉매배출관(16)의 사이에는 응축수배출관(17)을 형성시키는 한편 응축기본체(11)의 양측 면으로는 각각의 코크스로 가스 도입관(12)과 코크스로 가스 배출관(1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과정에서 코크스로 가스로 내에 불순물로 함유된 나프탈렌과 각종 나프탈렌 유도체들이 일부 응고되어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의 핀 사이 및 튜브 상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착된 부착물들은 장시간 운전함에 따라 계속 쌓이며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의 저하 및 응축기에 의한 압력손실 증가를 초래하게 되고, 이때문에 종래에는 코크스로 가스를 차단한 상태에서 응축기 전면판을 개봉하여 스팀이나 물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세척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으로 각각의 코크스로 가스 도입관(12)과 코크스로 가스 배출관(13)을 설치하였고 저부에는 냉매도입관(15) 및 냉매배출관(16)을 형성시켰으며 내부에는 양측으로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를 내장시켜서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본체(11)의 중앙 즉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의 사이에는 세척액 분사구(20)를 설치하되, 상기 세척액 분사구(20)의 형성은 밸브(21)가 설치된 세척액 도입관(22)의 끝단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분리 형성된 세척액공급지관(23)을 형성시켰으며 상기 세척액공급지관(23)에는 무수히 많은 세척액분사공(24)을 형성시켰고 응축수 배출관(17)상에는 밸브(25a)가 설치된 세척액배출관(25)을 일측에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면 제2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응축기본체(11) 내부에 내장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4)가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세척액분사공(24)이 형성된 다수의 세척액공급지관(23)과 밸브(21)를 갖는 세척액도입관(22)이 형성되어 있는 세척액분사구(20)를 각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코크스로 가스 배출온도를 측정하여 내부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의 이물질 부착정도를 파악한 후 세척이 필요하면 밸브(21)를 열어 세척액 즉 보통은 스팀을 불어넣는다.
스팀은 세척액공급지관(23)을 통해 분배된 후 세척액분사공(24)을 통해 좌우로 분사되어 부착물을 용해시킨다.
부착물이 용해된 세척액은 응축되어 응축수배출관(17) 또는 세척액 배출관(25)으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액 배출관(25)은 다량의 부착물 세척시 부착물에 의한 응축수배출관(17)의 폐쇄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코크스로 가스가 흐르는 상태에서 스팀 또는 기타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을 행할 경우 대부분의 세척액은 응축되어 응축수배출관(17)으로 배출되지만 약간의 응축액은 미스트 상태로 코크스로 가스에 동반되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기 출원된 코크스로 가스 정제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7974호)에 상술된 바와 같이 응축기본체(11) 후단에는 미스트 분리기가 2차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반 미스트는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세척용 노즐이 내장된 응축기를 사용시 본 고안의 세관장치를 이용하여 1주일에 한번 부착물을 세척함으로써 코크스로 가스의 배출온도는 2-3℃로 낮아졌으며 압력손실 상승도 90%이상 감소하였고, 이와 함께 열 교환기 및 응축기 내부의 배관부식도 방지되었다.
또한, 세관용 노즐이 내장된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응축기를 사용하면 코크스로 가스가 차단없이 열 교환기의 세관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효과를 높이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으로 각각의 코크스로 가스 도입관(12)과 코크스로 가스 배출관(13)을 설치하였고 저부에는 냉매도입관(15)및 냉매배출관(16)을 형성시켰으며 내부에는 양측으로 핀 튜브형 열교환기 (14)를 내장시켜서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본체(11)의 중앙 즉, 핀 튜브형 열 교환기(14)의 사이에는 세척액분사구(20)를 설치하되, 상기 세척액분사구(20)의 형성은 밸브(21)가 설치된 세척액 도입관(22)의 끝단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분리 형성된 세척액공급지관(23)을 형성시켰으며, 상기 세척액공급지관(23)에는 무수히 많은 세척액분사공(24)을 형성시켰고, 응축수배출관(17)상에는 밸브(25a)가 설치된 세척액배출관(25)을 일측에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응축장치.
KR2019950032311U 1995-11-04 1995-11-04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KR0120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311U KR0120725Y1 (ko) 1995-11-04 1995-11-04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311U KR0120725Y1 (ko) 1995-11-04 1995-11-04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512U KR970023512U (ko) 1997-06-18
KR0120725Y1 true KR0120725Y1 (ko) 1998-07-01

Family

ID=6090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311U KR0120725Y1 (ko) 1995-11-04 1995-11-04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7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10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포스코 부생가스 타르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960B1 (ko) * 2006-09-01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 분사에 의한 코크스 오븐 가스 냉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10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포스코 부생가스 타르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512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774A (en) Heat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ouling therein
JP7183639B2 (ja) ボイラの化学洗浄方法
CN202614007U (zh) 卧式冷凝装置
KR0120725Y1 (ko) 코크스로 가스의 냉각 응축장치
CN208475747U (zh) 一种纯风预冷喷雾蒸发式冷凝器
CN208562829U (zh) 一种预缩机蒸汽机冷却水回收装置
US5253523A (en) Absorption type chiller
CN210845799U (zh) 用于净化装置中的阻垢格栅
CN220169711U (zh) 一种蒸发式冷凝器的喷淋装置
KR0118406Y1 (ko) 연속분사식 응축수배출기
CN205741082U (zh) 一种高炉冲渣水余热利用系统
Schwartz Four types of heat exchanger failures
JP4218157B2 (ja) 排ガス用熱交換器のスートブロー方法
CN207299618U (zh) 污水源自清洁干式蒸发器
CN214701843U (zh) 一种闭式冷却塔换热盘组结构
CN205886275U (zh) 一种用于吡唑醚菌酯生产用酯化釜冷凝器
JP4364414B2 (ja) 熱交換器
JP4570187B2 (ja) 排ガス用熱交換器
CN107436107B (zh) 换热管、换热系统及其控制方法
CN215675439U (zh) 一种矩形全焊接管壳式热网加热器
CN204255134U (zh) 全蒸发空冷凝汽器
CN209230335U (zh) 集合管式可喷淋空气冷却器
CN211470838U (zh) 内置喷淋的循环换热系统
CN213956061U (zh) 一种防止水汽泄露的蒸发式冷凝器
CN212252573U (zh) 热动力式节能抗冲蚀疏水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