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295B1 -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295B1
KR0120295B1 KR1019940036042A KR19940036042A KR0120295B1 KR 0120295 B1 KR0120295 B1 KR 0120295B1 KR 1019940036042 A KR1019940036042 A KR 1019940036042A KR 19940036042 A KR19940036042 A KR 19940036042A KR 0120295 B1 KR0120295 B1 KR 012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ase plate
electronic component
plat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768A (ko
Inventor
김정일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4003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295B1/ko
Publication of KR9600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295B1/ko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 선단부에 전자부품가이드(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양측면에 브라켓트(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트(5)와 함께 스틱(3)을 베이스프레이트(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플레이트(6)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후단부 양측면에 측면플레이트(7)가 설치되어 있고, 스틱(3)의 높이를 조정해 주기 위해 측면플레이트(7)에 다수개의 홈(8)이 형성되어 스틱홀딩바(9)가 설치될 수가 있으므로써, 전자부품(10)을 포장한 스틱(3)의 크기에 따라 제한받지 않고 전자부품(10)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스틱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의 (a)는 제2도의 평면도.
(b)는 제3도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제4도의 (a)는 종래의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장면도.
(b)는 상기 (a)의 평면도.
(c)는 상기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이브레이터 2 : 베이스플레이트
3 : 스틱 3a : 스틱절단부
4 : 전자부품가이드 5 : 브라켓트
6 : 고정플레이트 7 : 측면플레이트
8 : 홈 9 : 스틱홀딩바
10 : 전자부품 11 : 서포트바
12 : 보울트 13 : 나사홀
14 : 슬로트 15 : 장착헤드
본 발명은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부품을 포장한 스틱의 크기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전자부품을 공급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은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장착헤드로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적정위치로 옮겨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전자부품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을 포장되어진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전자부품 공급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부품을 포장하는 방법에서 전자부품을 테이프에 부착시켜 포장하는 방법과 팔레트(Pallet)에 장착시켜 포장하는 방법, 스틱(Stick)내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켜 포장하는 방법 및 기타 여러 가지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테이프 전자부품 공급장치, 스틱 전자부품 공급장치, 트레이(혹은 팔레트)전자부품 공급장치로 구분되어진다.
한편, 스틱이 사용되어지는 전자부품 공급장치는 스틱에 포장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이용한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로 부품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101) 상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베이스플레이트(102)에 형성된 홈(103)에 전자부품(104)을 포장하고 있는 스틱(105)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브레이터(101)가 진동됨에 다라 스틱(105) 내부에 있는 전자부품(104)이 전자부품가이드(106)의 일정한 위치로 이송되어 장착헤드(도시하지 않음)에 흡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는, 전자부품(104)을 포장한 스틱(105)의 크기에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2)에 홈(103)을 만들어 저장된 크기의 스틱(105)만을 장착하여 전자부품(104)을 헤드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크기의 전자부품(104)만을 공급해야 한다는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스틱(105)을 사용하여 전자부품(104)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스틱(105)의 크기에 맞은 전용 베이스플레이트(102)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어진 공간에서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를 사용해야하므로 한두개의 바이브레이터(101)로 여러개의 전용 베이스플레이트(102)를 사용해야만 되는데 그로인해 공급되는 전자부품(104)을 포장한 스틱(105)의 종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2)를 바이브레이터(101)에 장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 아니라 새로운 전자부품(104)을 포장한 스틱(105)이 사용되어질 때마다 베이스플레이트(102)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부품을 포장한 스틱의 크기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스틱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선단부에 전자부품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 브라켓트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스틱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브라켓트와 함께 스틱을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후단부 양측면에 측면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스틱의 높이를 조정해 주기 위해 측면플레이트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스틱홀딩바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을 포장하고 있는 스틱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조정하여 스틱을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스틱의 크기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에 스틱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3도의 (a)는 제2도의 평면도로서,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1)의 상부에 베이스플레이트(2)가 설치되어 스틱(3)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선단부에 전자부품가이드(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선단부 양측면에 브라켓트(5)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스틱(3)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브라켓트(5)와 함께 스틱(3)을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플레이트(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후단부 양측면에 측면플레이트(7)가 설치되어 있고, 스틱(3)의 높이를 조정해 주기 위해 측면플레이트(7)에 다수개의 홈(8)이 형성되어 스틱홀딩바(9)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스틱(3)을 장착시키는 방법은, 전자부품(10) 공급레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3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틱(3)의 한쪽끝 상면을 전자부품(10)이 크기보다 조금 크게 절단시켜 절단부(3a)를 갖는 스틱(3)을 상기 측면플레이트(7)에 설치되어 있는 서포트바(11) 하부와 베이스플레이트(2)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틱(3)의 한족 끝이 전자부품가이드(4)에 밀착되도록 장착을 하고, 스틱(3)의 다른쪽 끝부분을 스틱홀딩바(9)로 걸어서 측면 플레이트(7)의 홈(8)에 스틱홀딩바(9)를 끼운다. 또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10)을 포장한 스틱(3)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개의 스틱(3)을 한 개의 베이스플레이트(2)에 장착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밟아 전자부품(10)을 포장한 스틱(3)을 베이스플레이트(2)에 모두 장착한 후에는 상기 브라켓트(5)의 일측에 스틱(3)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플레이트(6)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2)에 장착된 스틱(3)이 움직이지 않도록 보울트(12) 등으로 베이스플레이트(2) 상면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고정플레이트(6)은 상기 브라켓트(5)에 대하여 폭 조정이 가능한데 이는 베이스플레이트(2)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나사홀(13)과 고정플레이트(6)에 형성된 슬로트(14)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이브레이터(1)가 작동되어 진동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에 장착된 스틱(3) 속의 전자부품(10)이 절단부(3a)측으로 이동되어 장착헤드(15)에 의해 흡착되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자부품(10)이 스틱(3)의 절단부(3a)측으로 원만하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스틱(3)은 측면플레이트(7)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8)중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홈(8)에 스틱홀딩바(9)를 설치하여 스틱(3)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면 전자부품(10)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틱(3)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른 스틱(3)이 베이스플레이트(2) 상면으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바(11)를 베이스플레이트(2) 선단부로부터 일정거리를 두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자부품(10)을 포장하고 있는 스틱(3)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상기 브라켓트(5)에 대한 고정플레이트(6)의 폭을 조정하여 스틱(3)을 베이스플레이트(2) 상면에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스틱(3)의 크기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전자부품(10)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틱(3)의 크기에 따라 전용 베이스플레이트(2)의 제작이 필요없게 생산비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바이브레이터(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 선단부에 전자부품가이드 (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양측면에 브라켓트(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트(5)와 함께 스틱(3)을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시켜주는 고정플레이트(6)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후단부 양측면에 측면플레이트(7)가 설치되어 있고, 스틱(3)의 높이를 조정해 주기 위해 측면플래이트(7)에 다수개의 흠(8)이 형성되어 스틱홀딩바(9)가 설치될 수 있도록 된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KR1019940036042A 1994-12-22 1994-12-22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KR012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042A KR0120295B1 (ko) 1994-12-22 1994-12-22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042A KR0120295B1 (ko) 1994-12-22 1994-12-22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68A KR960028768A (ko) 1996-07-22
KR0120295B1 true KR0120295B1 (ko) 1997-10-23

Family

ID=1940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042A KR0120295B1 (ko) 1994-12-22 1994-12-22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2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6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295B1 (ko) 전자부품 자동공급장치
SE9604345D0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montera en komponent på en bärare
KR920007755A (ko) 전자부품 실장용 로보트
US4941795A (en) Component insertion machine apparatus
JPH0799798B2 (ja) 電子部品装着機
JPH1022688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のスティックチューブ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供給装置
JPH0538641A (ja) 部品実装機の部品供給装置
KR100312531B1 (ko) 트레이 피더부가 설치된 표면실장기
JP4520316B2 (ja) 部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面実装機
JP4524161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KR100458679B1 (ko) 테이프 피더용 진동 흡수장치
KR0124848Y1 (ko)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JPH104287A (ja) 部品供給装置
KR100369950B1 (ko) 고속 이송 시스템
JPS58138091A (ja) 電子部品の自動配置装置
JP2816190B2 (ja) 電子部品の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JPH08288690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960009041Y1 (ko) 전자 부품 공급장치
JP2532448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機
JP3848872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960028780A (ko) 부품 장착장치
KR100311748B1 (ko) 표면실장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JPH01276752A (ja) 電子部品
EP035689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 on a printed circuit board
KR0124778Y1 (ko) 전자부품장착기의 전자부품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