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02B1 -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02B1
KR0120102B1 KR1019940008376A KR19940008376A KR0120102B1 KR 0120102 B1 KR0120102 B1 KR 0120102B1 KR 1019940008376 A KR1019940008376 A KR 1019940008376A KR 19940008376 A KR19940008376 A KR 19940008376A KR 0120102 B1 KR0120102 B1 KR 012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panel
foamed ceramic
mold
foamed
rectangul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874A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환 filed Critical 김주환
Priority to KR101994000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02B1/ko
Publication of KR95002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2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heating or cooling, e.g. steam jackets, by means of treating agents acting directly on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53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tiles, bri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6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3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superficial sintering or bonding of particulate mat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9Porous or hollow ceramic 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porous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용재(특히 벽돌이나 타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발포세라믹 판넬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를 토련기 및 슬라브롤러 등에 넣어 얇고도 넓은형 또는

Description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전체 예시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전체 예시도.
(b)도는 또 다른 발포세라믹 판넬의 전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세라믹 판넬의 또 다른 실시예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발포세라믹 판넬의 사시도.
본 발명의 각종 건축용재(특히 벽돌이나 타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발포세라믹 판넬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발포성 무기 화합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부단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이러한 발포성 무기 화합물을 활용하여 필요로 하는 적절한 형태와 크기로 된 건축용 재료 등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개발이 거의 없었던 것인데, 그 이유는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들기 때문에 누구든지 투자개발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이고, 또 투자한다. 하더라도 생산된 제품자체가 워낙 고가로 될수밖에 없기 때문에 문제가 따를 수밖에 없는 것도 개발유도를 막는 또 하나의 이유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포성 무기 화합물을 고온에서 소성시켜 발포시킨 발포세라믹체(또는 발포세라믹 판넬 또는 발포세라믹 벽돌이나 타일)를 제조함에 있어 발포세라믹 자체의 특성 연구에 비중을 두는 시험연구의 개념에서 벗어나 보다 실용적인 개념 즉, 발포된 세라믹체가 각종 건축용재 등에 적합한 형태와 크기로 제 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공급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특히 본원의 선특허 출원 제 94-4554호를 보다 개량하고, 보다 구체적이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본원의 선특허 출원 제94-4554호는 그 나름대로는 많은 이점과 효율성을 지니고 있지만 발포세라믹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식 용기를 제작함에 있어 조립식용기 제작에 소요되는 붕판의 수가 다수이어야 함은 물론, 이러한 붕판은 대체로 고가이어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원가 또는 자연히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각종 건축용제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있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보급의 일반화되기에는 다소간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것이었다.
또 전술한 폐단 이외에도 조립식용기를 제조하는데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세라믹체가 발포되면서 발생된 많은 기공들이 발포세라믹 판넬의 외표면부에도 그대로 현시됨으로 말미암아 강도도 다소 약할 뿐만 아니라 보기에도 단정하거나 깔끔하지 못한 면이 적지 않은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사항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를 토련기 및 슬라브롤러 등에 넣어 얇고도 넓은형형 또는형 소자로 출토시킨 다음 이를 적절한 길이로 잘라 적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로 별도 형성시킨 측판 또는 밑판을 조립형성하여 사각체함을 형성하고, 또 이 사각체함 속에 발포성 무기 화합물을 적당량 투입시킨후 소성하여, 소자로 된 사각체함과 발포성 무기 화합물이 일체화되게 하여 발포세라믹 판넬이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발포세라믹 판넬의 대량생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화 공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의 대폭 인하 등으로 인한 저가 보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써 벽돌이나 타일 청정판 등의 각종 건축용재로서 유용하고도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소지판 출토시, 소지판 자체를 판상으로 출토하여 물레처럼 회전하면서 착탈가능한 사각형 회전금형 외주연에 일정 길이로 잘라 권취시킨 후 회전축으로부터 사각회전 금형을 탈리시킨 다음 자연 건조(완전하게 건조됨을 100%로 보았을 때 40~50% 정도 건조시킴) 시킨후 금형판을 분리하여 빼내고, 이어서 또 다른 토련기로부터 생산된 사각밑판을 부착시켜 소지판을 형성한 후 내부에 발포성 무기 화합물을 적당량 투입시킨후 소성하여 발포세라믹을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4도에 있어서,
[제1공정(소지의 조성공정)]
이는 적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 등으로 소지(1)를 조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소지(1)는 통상 고운분말로 된 흙은 밀가루 반죽 형태로 형성한 것인데,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공정(소지의 출토 및 절단공정)]
제1공정에서 조성된 소지(1)를 대형토련기(2) 넣어형 소지판(4)또는형 소지판(4')으로 출토시킨다.
한편, 무모양의 소지판(4)(4')을 제조(이는 곧 본 발명의 완성품이라 할 수 있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외표면이 무모양이라는 말과 같다)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지만 이외에도 소지판(4)(4')의 표면부에 각양의 문양을 새겨 넣기 위해서는 별도의 문양이 각인된 문양 형성용 로울러를 통과시키면 이 문양형성용 로울러에 의해 소지판의 외주면에 문양이 각인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완성품인 발포세라믹 판넬(12)의 외표면부에는 미려하고 멋있는 문양이 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제3공정(측판 또는 밑판 부착공정)]
제2공정에서 제조된형 소지판(4) 또는형 소지판(4')의 앞뒤양면은 개방되어서 있는데 이러한 앞뒤면에 또다른 소형토련기(6)에서 제조되어져 나온 측판(5) 또는 밑판(5')을 부착시켜 뚜껑없는 하나의사각체함(8)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한형 소지판(4)이나형 소지판(4')은 약간 촉촉함과 아울러 점도 또한 높이 상호간의 접착정도도 높으며 두께 역시 동일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공정은 자동화 설비에 의해 측판(5) 또는 밑판(5')의 부착공정을 반자동 내지 완전자동화할 수 있음은 물론, 수작업을 통해 부착할 수도 있다.
[제4공정(건조공정)]
제3공정에서 완료된 사각체함(8)(8')을 건조로 (7)에 넣어 약150℃~300℃의 온도로 약 10-24시간 가량 건조시킨다.
[제5공정(소성공정)]
그리고 건조되어진 사각체함(8)(8')은 재차 컨베이어기(15')에 의해 이송되어지다가 일정지점에 이르러서는 컨벵어기(15') 상단에 있는 자동투입기(9)로써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을 자동투입하되, 사각체함(8)높이의 2/3정도 투입하여 고르게 쫙 깐다.
그리고는 다시 대차 등의 운반기로서 사각체함(8) 도는 (8') 수십개씩을 차곡차곡 적재시킨 다음, 소성로(11) 내에 밀어 넣어 사각체함(8) 또는(8') 전부를 동시, 소성시키거나 또는 사각체함(8)(8') 하나하나씩을 소성로(11) 내부에 연속적으로 밀어 넣되, 일정한 시간을 두고서 순차적으로 밀어넣음과 아울러 소성로(11) 내부에서 순서대로 밀려져 들어와 있던 또 다른 사각체함(8)은 이미 발포, 소성되어 배출되어지도록 한다.
또 필요에 따라 미세하게 분쇄된 카오린을 사각체함(8) 또는 (8') 내부에 도포하고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을 요적한 후 1150℃~1250℃의 온도를 유지하는 소성로(11)에 넣어 습식타일과 발포세라믹을 동시 소성하여도 된다.
한편 안료를 발포성 무기 화합물(10)과 혼합시켜 사각체함(8) 또는 (8') 속에 넣어 소성시켜도 무방한다.
그리고 소성로 (11)에 사각체함(8) 또는 (8')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불을 때면 화기가 직접 사각체함(8)또는 (8')에 전달됨과 동시에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에도 직접 열이 전달되어 서서히 가열되기 시작하며(일단 발포성 무기 화합물은 끓는 점이 곧 발포점이므로)끓는 점에서 발포가 시작되면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이 사가체함(8)과 함께 완벽한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써 하나하나의 발포세라믹 패널(12) 벽돌 또는 타일이 완성되어진다.
다만 여기서 특기할 사항은 사각체함(18) 또는 (8')는 발포된 시점에서 발포성 무기 화합물(10)과 완벽한 일체를 이루기는 하지만 사각체함(8) 또는 (8')는 스스로는 소성만 될뿐 발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완성되어진 발포세라믹 판넬(12) (12')의 상부면은 약간의 요철면을 가진, 발포된 상태 그대로이지만 나머지면은 매우 매끈하면서 강도 또한 매우 강한 상태라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되어진 발포세라믹 판넬(12) 또는 (12')는 제 3 도의 (a)(b)에서 보듯이 애초에 목적했던 예상된 두께 및 크기를 가진 사각형의 발포세라믹 판체로 형성되어지는데 이것을 벽돌이나 타일 등의 건축용 재로 직접 사용해도무방하지만 후술하는 바처럼 재가공공정을 거침으로써 더욱더 고급화시키거나 다양한 용도로 제조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6공정(재가공공정)]
제5공정을 거친 발포세라믹 판넬(12) 또는 (12')는 그 스스로도 하나의 상품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애초부터 분리·절단할 것을 고려한 상태에서 발포시킨 발포세라믹 판넬(12)의 경우에는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분리·절단한 후 그 외표면부에 유약으로서 도포처리하여 소성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 내지는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이 경우 소성로에 넣기 전에 사각체함을 유약처리하거나 또는 발포세라믹을 투입발포시킨 후 유약을 도포처리하여 재소성시켜도 된다.) 유약처리 후 소성하는 방법은 제 5 공정과정을 끝낸 상태에서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이처럼 재가공공정을 거친 발포세라믹 판넬(12)(12')의 탄생은 곧 건축용재의 획기적인 발전계기가 이룩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 말해 발포세라믹 판넬(12)(12')이 타일로 이용된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판넬(12)(12')는 물에 붕붕 뜰 정도로 가벼워 무게가 너무 무거웠던 기존의 타일과는 사뭇 다르며, 잘 깨지지 하니하고, 종래의 타일이 인체에 별반 유약을 거의 주지 못하는 반면에 상기 판넬(12)로 된 타일인 생체리듬의 활성화 외에도 발포세라믹 판넬(12)(12')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적외선 등의 방사에너지로 말미암아 숙성작용, 자정작용, 공명작용등의 효과와더불어 실내공간의 쾌적함 또한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보듯이 발포세라믹 판넬(12)(12')의 표면부에 불석을 도표한 후 소성로에 넣어 300°-600℃정도의 온도로 약 30분 정도 가열 소성한후 분쇄기에 넣어 325메쉬(Mesh) 이상이 될 정도로 잘게 분쇄한 미립자물(13)을 무기바인더(14)와 약 3:10의 비율로 섞고 이렇게 혼합된 물질을 약20-60μ정도로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타일, 벽돌, 친정판 등의 건축용재는 물론, 가구재의 내·외부 판재로도 이용가능케 함으로써 실내의 공간부나 가구재 내부에 서식하고 있는 가종 세균 등의 성장억제 및 번식 방지, 그리고 습기흡수 및 냄새제거, 화재시 화염량의 절대감소(발포세라믹 판넬은 화염의 온도가1000℃ 이상이 될 정도의 고온이 아닌 이상 녹지 않는다 할 것이다.)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공정에서 제5공정(또는 제6공정)을 거치면서 원하는 크기와 두께를 가진 발포세라믹판넬(12)(12')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대량으로 얻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심한 주의와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소지(1)만 대형토련기(2)에 넣어주면 마지막 발포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됨으로 인해 인력절감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사각체함(8)(8')에 직접 열을 가함으로써 열에너지의 효율을 높혀 에너지 사용량 또한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할 것이고 이외에도 발포세라믹 판넬(12)(12')의 외벽면은 발포된 상태가 아니라 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 그대로이므로 단단한 강도를 지니고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가볍고 단단하면서 인체에 커다란 유익함을 주는 발포세라믹 판넬(12)(12')을 제조함에 있어 효율적인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저가로서 공급가능하게 함으로써 벽돌이나 타일 등과 같이 각종의 건축용재로서 발포세라믹 판넬(12)(12')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함이 본 발명이 노리고자 하는 효과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5도~제6도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제1공정]
진술한 소지의 조성공정과 동일.
[제2공정(소지의 출토 및 절단공정)]
제1공정에서 조성된 소지(1)를 대형토련기(2)에 넣어형 소지판(4)으로 출토시킨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어서 절단된 소지판(4')을 분해조립이 가능한 사각회전금형(21)의 외주연에 권착시킨후 소자의 이음부는 손(또는 기계로 하여도 됨) 으로 맞물려 일체화되도옥 눌러준 다음, 사각회전금형(21)을 회전축(22)으로부터 분리 교체시키고, 소지판(4)이 권착된 회전금형(21)은 적당히 자연건조시키는데, 이때 완전한 자연건조를 100%로 보았를 때 약 40%~50% 정도로 건조시킨후 금형만을 분리해서 떼내면 맞통하는 구멍을 가진형 소지판(4a)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소지(1) 자체가 점성이 있는 데다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수축도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금형(21)에 소지판(4)을 그대로 권취시킨후 회전금형(21)만을 빼내려고 하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자칫하면 소지판(4a)을 자체에 균일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금형(21)에 소지판(4)을 권취시키려 할 때는 반드시 회전금형(21) 외주연에 기름을 적당량 도포한후 권착시킴으로써형 소지판(4a)을 회전금형(21)으로부터 보다 부드럽고 용이하게 탈리시킬 수 있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 회전금형(21) 자체도 두 개로 분리된 금형(21a)(21a')으로 제작하여, 이를 결합할때는 두 개의 금형(21a)(21a')이 서로 맞닿게 조립식하는 것이 아니고 간격유지 및 결합구(23)로써 연결조립시킴으로써형 소지판(4a)으로부터 금형(21)을 안출하고져 할 때, 먼저 간격유지 및 결합구(23)를 해정하면 분리된 두 개의 두 개의 금형(21a)(21a')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틈을 이용하여 좌,우 분리된 금형(21)과 (21a')를 보다 간편하게 안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사각회전금형(21)은 좌,우 2열로 설치 구성하여 소지판(4)을 번갈아가며 권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소지판(4)이 권취된 회전금형(21)을 안출하고 새로운 회전금형(21)으로 갈아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
[제3공정(밀판 부착공정) ]
제2공정에서 제조된형 소지판(4a)에 다른 토련기(6')에서 제조된형 밑판(5)을 대고 부착고정시킴으로써 사각체함(8)을 완성한다.
제4공정~제6공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타일이나 벽돌 및 박닥장식재, 조명용 장식제 및 여러 건축용 재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5공정에 이르는 과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실시예 I
벽돌 제조 공정
실시예 1 공정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자(1) 14Kg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공정
준비된 소자를형 토출구를 가진 대형토련기 (2)에 투입 공급시켜 토출시켰더니 두께 0.7Cm, 넓이 20Cm, 높이 10Cm 정도의형 소자판(14)이 형성되면서 연속 배출되었는데 이를 40Cm길이로 연속절단시켰다.
실시예 3 공정
또 다른 소형토련기(6)에서 배출시킨 축판(5) 2개를형 소지판(4)의 양측개방부에 부착하였고, 이로써 가로 40Cm,세로20Cm, 높이10Cm의 사각체함(8)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4 공정
사각함(8)을 건조로(7)에 넣어 150°-300℃의 온도로 약 12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실시예 5 공정
건조된 사각체함(8)을 컨베이어기로 이송시키는 와중속에서 자동투입기(9)로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이 서서히 부풀어 오르면서 발포되기 시작하였고, 발포가 완료될 시점에서는 (사각체함(8)과 발포물이 일체되어 하나의 발포세라믹 패널(12)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발포세라믹 패널의 상부면은 약간의 요철면을 가진 발포상태 그대로인 반면 나머지면은 매우 미끈한 표면부를 가지고 있었고, 이렇게 완성된 가로40㎝,세로20㎝, 높이 10㎝ 정도 크기의 발포세라믹 판널은 벽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II
타일제조 공정
실시예 1 공정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지(1) 14㎏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공정
준비된 소지를형 토출구를 가진 대형토련기(2)에 투입공급시켜 출토시켰더니 두께0.7㎝, 가로 및 세로 20㎝인형 소지판 (4')이 형성되었고, 이를 10Cm 간격으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3 공정
또 다른 소형토련기(6)에서 배출시킨 밑판(5)을형 소지판(4') 일측 개방부에 대고 부착시켜 사각체함(8)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4 공정
제3공정에서 얻어진 사각체함(8)을 건조로(7)에 넣어 150°~300℃의 온도로 약 12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실시예 5 공정
건조된 사가체함(8)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와중에서 자동투입기(9)로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을 사각체함(8) 속에 연속 투입하되 약 6.5㎝ 높이로 고르게 깔았다.
이어서 사각체함(8)을 소성로에 넣고 불을 때었더니 발포성 무기 화합물이 서서히 부풀어 오르면서 발포되기 시작하였고, 발포가 완료된 시점에서 사각체함과 발포물이 일체화되어 하나의 발포세라믹 타일이 완성 되었다.
실시예Ⅲ
중형 이상의 바닥재 또는 불럭을 제조하는 공정
실시예 1 공정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지(1) 14㎏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공정
준비된 소지를-형 토출구를 가진 대형토련기(2')에 투입공급시켰더니 두께 0.7㎝, 폭이 10㎝인형 소지판(4)이 형성되었고 이를 1.6m 길이로 절단시켜 외표면에 기름이 기름이 도포된 사각회전금형(21)에 권취시킨후, 일단 자연건조(완전건조를 100%로 보았을 때 40-50% 정도만 건조시킴) 시킨 다음 회전금형(21)을 분해시켰다.
실시예 3 공정
또 다른 소형토련기(6')에서 출토시킨 밑판(5)을형 소지판 (4a)의 일축 개방부에 대고 부착시켜 사각체함(8)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4 공정
제3공정을 형성된 사각체함(8')을 건조로(7')에 넣어150℃~300℃의 온도로 약 12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실시예 5 공정
건조된 사각체함(8)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자동투입기(9)로 발포성 무기 화합물(10)을 사각체함(8) 속에 연속투입하되, 약 6.5㎝ 높이로 고르게 깔았다.
이어서 사각체함(8)을 소송로에 넣고 불을 때었더니 발포성 무기 화합물이 서서히 부풀어 오르면서 발포되기 시작되었고 발포가 완료된 시점에서 사각체험(8)과 발포물이 일체화되어 하나의 발포세라믹 패널이 형성되었다.
이상과 같이 여러 공정을 거쳐 완성된 발포세라믹 판넬(벽돌 또는 타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판넬을 재차 가공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상품을 얻을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발포세라믹 벽돌이나 타일 또는 블럭이나 판넬 외표면에 유약을 도표하여 소성함으로써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도모할 수도 있거니와 또 불석등의 미립자물과 무기 바인더를 혼합시킨 물질(안료첨가 가능)을 발포세라믹 벽돌이나 타일 및 불럭이나 판넬 표면에 도표함으로써 인체의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공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판넬은 사용목적에 따라 제가공여부가 결정나겠지만 별도의 가공공정이 필요하느냐 여부를 떠나서 벽돌, 타일은 물론 지붕구성재 외벽구성재, 칸막이 유니트, 내벽구성재 , 벽판재, 천장판, 흡습판 내화용판 블럭 스레이트 불연재판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일단 건축용재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현대인들의 건강진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넬을 처음부터 두껍게 발포시킨 뒤 얇은 두께로 여러번 절단하여 불연재판 등의 각종 판재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 사자나 호랑이 등과 같은 석물형상으로 재연마하여 외벽구성재로도 이용할 수 있다. (구성물질의 대부분이 발포된 것이므로 화강압과 같은 석재와는 달리 연마가공하기가 매우 쉬울뿐 아니라 연마후 그 외표면에 재차 유약으로 도포하여 소성시킬 수도 있고 불석 등의 미립자물과 무기 바인더를 혼합시킨 물질을 도포하여 표면부의 가공상태를 혼적도 없이 미려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소지와 발포성 무기 화합물로써 발포세라믹 판넬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벽돌 등과 같은 강도를 유지케하여 각종의 건축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판넬의 사용으로 말미암아 발포세라믹 판넬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적외선 등의 방사에너지로 인하 생체리듬의 활성화 및 각종 동식물의 숙성작용과 자정작용, 온열작용 외에 현대인의 건강진에 크게 도움이 되도록 하며, 특히 무엇보다도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발포세라믹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 자체를 한 라인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대량생산은 물론 저렴한 값으로 제조하여 널리 유포할 수 있음에 상당한 효과가 예상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Claims (4)

  1. 적벽돌용 소지나 타일용 소지 등으로 조성된 소지(1)를 대형토련기(2)에 넣어 출토하되, 토련하기에형 토출구(금형)를 설치하여형 소지판(4)이 출토되게 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여기에 다른 토련기(6)로부터 출토된 측판(5)을 소지판(4)이 양측부에 부착시켜 사각체함(8)를 형성한 후 미세하게 분쇄된 카오린을 피복처리한 다음 발포성 무기화합물을 사각체함 체적의 2/3 정도 요적하여 소성로에서1150℃~1250℃로 발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체함에 유약을 도포하여 1000℃미만에서 소성하거나 또는 발포소성된 발포세라믹 판넬에 유약을 도포한후1000℃ 미만에서는 소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각체함(8)(8')(8)을 건조시키지 아니한 상태의 습식타일로 하여 내부에 발포성 무기화합물을 투입소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토련기로부터 출토된 소지판(4)(4')(4) 외표면에 여러문양 등을 형성하여 발포세라믹 판넬(12)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KR1019940008376A 1994-04-19 1994-04-19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KR012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76A KR0120102B1 (ko) 1994-04-19 1994-04-19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76A KR0120102B1 (ko) 1994-04-19 1994-04-19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74A KR950028874A (ko) 1995-11-22
KR0120102B1 true KR0120102B1 (ko) 1997-10-27

Family

ID=1938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376A KR0120102B1 (ko) 1994-04-19 1994-04-19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912A (ko) * 1999-12-28 2001-07-07 이구택 가열로장입용 슬라브의 산화방지제 도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912A (ko) * 1999-12-28 2001-07-07 이구택 가열로장입용 슬라브의 산화방지제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74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7928B (zh) 利用建筑垃圾制作表面带釉的烧结墙砖或砌块的生产工艺
EP1316538A4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NEYCOMB STRUCTURE
WO2008011786A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 carreau à pores solides utilisé comme décoration et produit résultant
CN112624692A (zh) 一种人造仿石材自然风化面板材制作方法
KR0120102B1 (ko)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CN106986538B (zh) 一种喷彩结晶釉陶瓷器的制备方法
KR20070005816A (ko)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KR970009182B1 (ko)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KR0148857B1 (ko) 발포 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KR100973250B1 (ko) 다채색 점토벽돌 제조방법과 점토벽돌
KR100336871B1 (ko) 경량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2410A (ko) 건축물 내장재
KR101245834B1 (ko) 건축물 내외장용“ㄱ”자형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970009181B1 (ko) 발포세라믹과 타일의 동시 제조방법
KR102131308B1 (ko) 친환경 황토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RU214485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отделочных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орастворных смесей
KR101145172B1 (ko) 점토벽돌과 점토바닥벽돌 및 그 제조방법
CN117776696A (zh) 一种洞石效果的无釉抛光砖及其制备方法与布料线
KR200226109Y1 (ko) 인조화강석판
WO1996033850A1 (en) The method of production of interior-lining articles from gypsum containing materials. form for production of interior-lining articles
JP3065893U (ja) 化粧不焼成タイル
JPH06296446A (ja) 養殖真珠用の真珠核製造方法
JPH0344889Y2 (ko)
CN2208073Y (zh) 彩釉墙围裙陶瓷装饰砖
JP3057885U (ja) タイル様凹凸模様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