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086Y1 - 사운드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사운드 절환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086Y1
KR0120086Y1 KR2019930017374U KR930017374U KR0120086Y1 KR 0120086 Y1 KR0120086 Y1 KR 0120086Y1 KR 2019930017374 U KR2019930017374 U KR 2019930017374U KR 930017374 U KR930017374 U KR 930017374U KR 0120086 Y1 KR0120086 Y1 KR 0120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circuit
input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577U (ko
Inventor
지성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7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086Y1/ko
Priority to JP15135394A priority patent/JPH0787419A/ja
Priority to US08/298,741 priority patent/US5497206A/en
Publication of KR950007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비데오 및 사운드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텔레비젼에서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로 인가될때 자동적으로 A/V스위치 IC의 좌·우채널 신호로 절환하여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에는 모노/스테레오 입력에 따라 수동 스위치 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외부 사운드 신호 입력이 모노인지 스테레오 인지를 판단하는 사운드 판단 회로를 구비하고 사운드 판단회로의 출력과 비데오 신호입력 유무를 판단한 신호를 논리곱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한후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에 따라 모노 사운드 입력시만 A/V스위칭 IC의 좌·우채널 신호 입력단을 연결시켜 주도록 하므로써 모노 사운드 입력시 자동적으로 사운드 절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운드 절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사운드 출력 절환회로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운드 출력 자동절환회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C 스위치 IC 200:사운드 판단회로
210,220:아나로그/디지탈변환기 230: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
300:제어회로 310:비데오 판단회로
320:앤드게이트 400:스위칭회로
Q1:트랜지스터 SW1:모노/스테레오 절환 스위치
본 고안은 외부 비데오 사운드를 받아 출력시키는 영상 재생 장치의 사운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 사운드로 입력될때 자동적으로 좌·우채널 사운드로 절환되어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텔레비젼의 영상 재생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도 하지만 외부 입력 비데오 신호를 받아 모너터로써 동작하기도 한다.
즉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 오디오 및 비데오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과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외부입력 비데오 사운드가 좌·우채널 신호중 하나만 인가되는 모노로 입력될 경우도 있고 좌·우채널 신호가 모두 인가되는 스테레오로 입력될 경우도 있다.
이때 비데오 사운드가 스테레오로 입력될 경우는 좌채널 입력신호가 좌채널 스피커로 출력되고 우채털 입력신호는 우채널 스피커로 출력되므로 사운드 처리에 문제가 없으나 모노로 입력 될 경우에는 한쪽 시피커로만 출력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좌채널 신호만 인가되는 모노일 경우는 좌채널 스피커로만 사운드가 출력되고 우채털 신호만 인가되는 모노일경우는 우채널 스피커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일 경우 텔레비젼에 부착된 모노/스테레오 절환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시켜 한쪽 채널로만 인가되는 신호는 좌·우채널로 하므로써 마치 스테레오 입력시와 같이 좌·우채널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오같이 외부 비데오 사운드의 좌·우채널 신호가 각각 단자(1)(2)에 입력되어 콘덴서(C1)(C2)를 통한후 A/V스위치 IC(100)에 인가되게 하고 상기 A/V스위치 IC(100)에서 처리된 좌·우채널 신호가 사운드 앰프로 출력되게 하며 상기 단자(1)(2)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는 모노/스테레오 절환 스위치(SW1)를 연결시켰다.
이러한 기존의 회로는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스테레오일 경우는 모노/스테레오 절환 스위치(SW1)를 오프시켜 단자(1)(2)로 입력된 좌·우채널 신호가 그대로 A/V스위치 IC(100)에 인가되게 하고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일경우는 모노/스테레오 절환 스위치(SW1)를 온시켜 단자(1)(2)중 어느 한곳으로만 인가되는 좌·우채널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A/V스위치 IC(100)의 양 입력단에 인가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일경우도 좌·우채널 중 하나의 신호가 동시에 좌·우채널 신호로 A/V스위치 IC(100)에 인가되므로써 모노로 입력되어도 좌·우채널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이 기존에는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인지 스테레오 인지를 확인하여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1)를 조작해 주어야만 정상적인 사운드를 출력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된 방식은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변경될대마다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1)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통상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1)는 텔레비젼의 뒷면에 위치하여 스위치 조작이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 입력될때 이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좌·우채널 신호로 절환되어 A/V스위치 IC에 입력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일 경우도 자동적으로 좌·우채널 신호로 출력되게 하므로써 종래와 같은 스위치 조작이 불편함을 없앤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운드 출력 자동 절환 회로도로써 외부 사운드가 모노인지 스테레오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사운드 판단회로(200)를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판단회로(200)의 출력과 비데오 판단회로(310)의 출력을 논리조합하여 사운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회로(30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300)의 제어 신호출력에 의하여 동작되고 모노 신호를 좌·우채널로 인가시키는 스위칭 회로(400)를 구비한 것이다.
사운드 판단회로(200)는 좌·우채널 사운드 신호를 각각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논리 신호로 출력시키는 아나로그/디지탈변환기(210)(220)를 구비하고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의 논리신호 출력을 익스크루시브 오아시키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230)를 구비하여 구성시킨다.
이때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는 아나로그 사운드 신호를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가 입력될때 하이레벨, 신호가 없을 때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제어회로(300)는 비데오 신호의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적분시키는 비데오 판단회로(310)를 구비하고
상기 비데오 판단회로(310)의 출력과 사운드 판단회로(200)의 출력을 논리곱시키는 앤드게이트(320)를 구비하여 구성시킨다.
여기서 비데오 판단회로(310)에서는 비데오 신호가 있을때 하이레벨, 비데오 신호가 없을때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스위칭 회로(400)는 제어회로(300)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는 구동시 좌·우채널 신호단자(1)(2)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20)는 외부 사운드 입력의 좌채널 신호가 있으며 하이레벨, 없으면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되고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는 외부 사운드 입력의 우채널 신호가 있으면 하이레벨, 없으면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스테레오로 입력되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는 모두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되고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로 입력되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중 하나만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비데오 판단회로(310)는 외부 비데오 신호입력이 있을 경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적분시키게 되므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고 외부 비데오 신호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는 모노 사운드 입력시 하나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므로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230)는 모노사운드 입력시 하이레벨이되고 스테레오 사운드 입력시나 사운드 입력이 없을 때 로우레벨이 된다.
그리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230)는 모노사운드 입력시 하이레벨이 되고 비데오 판단회로(310)는 비데오 신호가 입력될 때 하이레벨이 되므로 앤드게이트(320)는 모노 사운드가 입력되고 비데오 신호가 입력될때에만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은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10)(220)와 비데오 판단회로(310) 및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230)와 앤드게이트(320)의 출력에 대한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진리표]
상기 진리표에서 알수 있듯이 ⑤∼⑧번까지는 비데오 신호 입력이 없으므로(C가 로우레벨임) 사운드 출력에 무관하다.
그리고 진리표에서 ④번은 비데오 신호는 입력되나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이므로 이또한 사운드 출력과 무관하다.
다만 진리표에서 ①번은 비데오 신호도 입력되고 사운드 신호도 스테레오로 입력될 경우이나 이때에는 앤드게이트(320)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어 스위칭회로(400)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단자(1)(2)로 입력된 좌·우채널 신호는 그대로 뒷단의 A/V스위치 IC에 인가되므로써 스테레오 사운드로 출력되어진다.
따라서 외부 사운드가 스테레오일 경우 별다른 스위치 조작 없이 자동적으롸 좌·우채널 신호가 스테레오 신호로 출력된다.
그러나 진리표에서 ②③번은 비데오 신호와 사운드가 입력되는 사운드가 모노로 입력될 경우이다.
이때에는 앤드게이트(320)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어 스위칭 회로(400)의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단자(2)로 좌채널 신호만 입력될 경우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A/V스위치 IC에 좌·우채널 신호로 인가되게 되므로 좌채널 입력신호를 좌우채널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단자(1)로 우채널 신호만 입력될 경우도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우채널 입력신호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A/V스위치 IC에 좌·우채널 신호로 인가되게 되므로 우채널 입력 신호를 좌·우채널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로 입력될 경우도 별다른 스위치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좌·우채널 스피커로 출력되게 되어 사용상 편리함이 제공된다.

Claims (3)

  1. 외부 비데오 사운드가 모노인지 스테레오 입력인지를 판단하여 논리 신호로 출력시키는 사운드 판단회로와, 비데오 신호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 논리신호로 출력시키는 비데오 판단 회로의 논리신호 출력과 상기 사운드 판단회로의 논리신호 출력을 논리곱시켜 사운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의 사운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모노 사운드 신호를 좌·우채널로 인가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연결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운드 판단회로는 외부 사운드 입력을 디지탈 변환시켜 신호 유무를 나타내는 논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2개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상기 2개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화기 출력을 익스크루시브 오아시키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절환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는 제어회로의 사운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는 A/V 스위칭 IC의 좌·우채널 신호 입력단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절환회로.
KR2019930017374U 1993-08-31 1993-08-31 사운드 절환회로 KR0120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74U KR0120086Y1 (ko) 1993-08-31 1993-08-31 사운드 절환회로
JP15135394A JPH0787419A (ja) 1993-08-31 1994-07-01 テレビ受像器のオーディオ信号出力制御回路
US08/298,741 US5497206A (en) 1993-08-31 1994-08-31 Circuit for controlling an audio signal output of a tele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74U KR0120086Y1 (ko) 1993-08-31 1993-08-31 사운드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577U KR950007577U (ko) 1995-03-21
KR0120086Y1 true KR0120086Y1 (ko) 1998-07-15

Family

ID=1936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374U KR0120086Y1 (ko) 1993-08-31 1993-08-31 사운드 절환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97206A (ko)
JP (1) JPH0787419A (ko)
KR (1) KR01200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748B1 (ko) * 1995-07-31 1999-03-20 김광호 음성다중방송기능을 구비한 rf변조장치
US5841993A (en) * 1996-01-02 1998-11-24 Ho; Lawrence Surround sound system for personal computer for interfacing surround sound with personal computer
US7877290B1 (en) 1999-03-29 2011-01-25 The Directv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displaying advertisements
US7552458B1 (en) * 1999-03-29 2009-06-2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receipt and display of advertisements
SG92693A1 (en) * 2000-04-14 2002-11-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mono/stereo detection
US7085529B1 (en) 2001-10-24 2006-08-0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irect-to-home satellite receiver multi-switch type
US20050165502A1 (en) * 2004-01-27 2005-07-28 Hanes David H.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multi-channel audio signal from a monophonic audio signal
US8775319B2 (en) 2006-05-15 2014-07-08 The Directv Group, Inc. Secure conten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US9025789B2 (en) * 2010-04-29 2015-05-05 Bose Corporation Connection-responsive audio source management
US8687947B2 (en) 2012-02-20 2014-04-01 Rr Donnelley & Son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vide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esentation
CN104170403B (zh) * 2012-03-16 2018-06-15 伯斯有限公司 用于声学输出音频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939A (en) * 1979-03-09 1980-12-16 Rca Corporation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JPS61263327A (ja) * 1985-05-17 1986-11-21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多重受信機
KR920008357Y1 (ko) * 1990-10-11 1992-1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 고주파변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97206A (en) 1996-03-05
JPH0787419A (ja) 1995-03-31
KR95000757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086Y1 (ko) 사운드 절환회로
KR100214481B1 (ko) 음성다중 신호처리장치
KR0145580B1 (ko) 텔레비전의 영상/음성신호 입력/출력절환장치
KR100220597B1 (ko) 고품위 텔레비젼(hdtv)의 오디오 출력 자동 절환장치
KR970003438B1 (ko) 음성처리시스템의 사운드모드 절환방법
KR960002397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외부 음성 출력 스위칭 장치
KR0154249B1 (ko) 텔레비전의 비디오단자 자동절환장치
KR900004624Y1 (ko) 화면 삽입용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의 신호절환회로
KR0126783B1 (ko) 약신호시 음성다중모드 전환방법
KR0137504B1 (ko) 초고속 화면탐색 브이시알 시스템
KR100346193B1 (ko) 미주향 오디오/비디오형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전면 모노 오디오/비디오 잭을 이용한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장치 및 방법
KR0137515B1 (ko) Pip기능을갖춘텔레비전의주/부음성절환제어장치(main/sub sounds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with picture in picture punction)
KR950009454B1 (ko) 2페리 잭 시스템
KR930005227Y1 (ko) 스테레오 방송시의 모노출력 보상회로
KR980009969U (ko) 입력 자동절환 회로
KR200181382Y1 (ko) 내부 간섭방지 기능을 갖춘 스위칭회로
KR0137525B1 (ko) Pip기능 내장형 텔레비전의 음성 절환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converting action of pip function built-in type television)
JP2573658Y2 (ja) 信号回路
KR950005648Y1 (ko) 하이 파이 브이씨알(vcr) 탑재 티브이씨알(tvcr)의 원음 음성 청취 및 영상 오프 장치
KR910001586Y1 (ko) 음성 다중 방식의 무조정 스테레오 분리회로
KR100213484B1 (ko) 방송모드 자동전환방법
JPH1118016A (ja) 音声信号入力端子を有する映像装置
KR100242312B1 (ko) 텔레비젼에서 음성다중신호 수신시 돌비 프로로직처리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00501A (ko) 한 단자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두 단자로 출력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H1188785A (ja) 入力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