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690Y1 -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690Y1
KR0119690Y1 KR2019950018202U KR19950018202U KR0119690Y1 KR 0119690 Y1 KR0119690 Y1 KR 0119690Y1 KR 2019950018202 U KR2019950018202 U KR 2019950018202U KR 19950018202 U KR19950018202 U KR 19950018202U KR 0119690 Y1 KR0119690 Y1 KR 0119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ied
synthetic resin
waste
supply unit
waste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95U (ko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박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성 filed Critical 박종성
Priority to KR2019950018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690Y1/ko
Publication of KR970004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전선에서 심선을 제거시킨 피복물이나 폐비닐 등의 폐 합성수지로 재활용하여 각종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이송콘베어(12)로 공급호퍼(11)에 있는 폐 합성수지를 상향이송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된 폐 합성수지를 여과판(21)에서 선별하여 이물질 배출구(22)와 하부배합실(31)로 공급하는 선별공급부(20)와, 배합실(31)의 중심회전축(32)에 축설된 회전익편(33)으로 골고루 배합시키고 개폐기능을 가진 출구(34)에서 압축기(41)로 공급하는 배합공급부(30)와, 압출기(41)에서 겔(gel) 상태로 용융한 다음 성형기(43)로 공급하는 성형장치부(40)에서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전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폐합성수지 공급 및 선별, 배합부의 확대전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용융 및 성형부의 확대전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공급부의 일부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선별 및 배합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공급부 11:공급호퍼
12:이송콘베어 13:지지대
14:자석 15:안내롤러
20:선별공급부 21:여과판
22:배출구 30:배합공급부
31:배합실 32:중심회전축
33:회전익편 34:출구
35:이송콘베어 40:성형장치부
41:압출기 42:이송콘베어
43:성형기
본 고안은 폐전선에서 심선을 제거시킨 피복물이나 공장이나 농촌 가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복합 폐비닐 등의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각종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피복물은 PVC. PE. PP. 합성고무와 기타 알미늄박, 구리, 철사, 나이론, 직물, 종이, 석면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그 융해 온도와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용해하여 재활용할 수 없었고 소각처리를 하게되면 많은 유독성 매연과 가스가 배출되어 심한 공해를 유발시키므로 폐전선 피복물은 특정산업 폐기물로 분류시켜 땅에 매설시키는 폐기물 처리방식을 사용하였으므로 복합폐비닐 등과 함께 많은 폐기물 처리비용이 들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파괴를 가져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전선 피복물이나 복합 폐비닐 등에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여기에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골고루 배합시키고 이를 용융압출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각종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한 재활용 성형장치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콘베어(12)로 상향이송 공급하는 폐 합성수지 공급부(10)와, 공급된 폐 합성수지를 여과판(21)에서 선별하여 일측의 이물질 배출구(22)와 하부 배합실(31)로 보내는 선별공급부(20)와, 배합실(31)에 투입된 폐 합성수지와 화학약품을 소정비율로 배합하여 이송콘베어(35)로 용융압출기(41)로 공급하는 배합공급부(30)와, 용융압출기(41)에서 이송콘베어(42)를 거쳐 성형기(43)에서 소정의 제품의 성형하는 성형장치부(40)로 구성된다.
폐 합성수지 공급부(10)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이송콘베어(12) 하부상면에 공급호퍼(11)를 설치하여 공급호퍼(11)로 투입되는 피복물을 상향이송하여 여과판(21)으로 낙하되게 하고 이송콘베어(12)의 이송부에 지지대(13)로 고정된 자석(14)을 설치하여 금속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콘베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안내롤러(15)를 내향경사지게 설치하여 이송콘베어(12)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오목한 상태로 만들어 폐 합성수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도 및 제4도 참조)
선별공급부(20) 및 배합공급부(30)는, 제2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여과판(21)을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하고 여과판(21) 하단부에 배출구(22)를 형성하여 돌과 같은 각종이물질을 배출케 하고 여과판(21) 직하방에는 배합실(31)을 설치하여 여과판(21)을 통과한 피복물을 수장시키고 배합실(31)은 중심회전축(32)에 회전익편(33)을 설치하여 폐 합성수지와 화학약품이 골고루 배합되게 한다.
배합실(31) 하부 일측에 개폐기능을 가진 출구(34)를 형성하여 배합물을 이송콘베어(35)로 상향이송시켜 압출기(41)의 호퍼(41a)로 투입시킨다.
성형장치부(40)는, 제3도에서와 같이 압출기(41)에서 폐 합성수지를 소정온도로 용융시킨 다음 이송콘베어(42)를 거쳐 성형기(43)의 성형틀(44)로 압착성형하거나 압출 또는 사출성형을 하게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심선을 제거한 폐전선 피복물이나 복합 폐비닐 등의 폐 합성수지를 잘게 분쇄시킨 다음 공급호퍼(11)에 투입하게 되면 이송콘베어(12)를 따라 상향이송되면서 폐 합성수지에 있는 금속물은 일측의 자석(14)에 부착되는 방법으로 제거시킨 다음 여과판(21)으로 낙하시킨다.
여과판(21)에 낙하되는 폐 합성수지는 돌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판 일측의 배출구(22)로 배출시키고 여과판(21)으로 여과된 폐 합성수지는 배합실(31)에 수장된다.
이렇게 폐 합성수지가 수장된 배합실에서, 폐 합성수지 70-80중량%로 하고 여기에 화학약품인 탄산 마그네슘 10-15중량%, TCP(트리크레질 포스훼이트) 2-4중량%, DOP(프탈산디옥틸) 2-4중량%, DLP(프탈산 디라우릴) 2-4중량%, TPP(트리페닐포스페이트) 2-4중량%, 크로로파라핀(염화파라핀) 2-4중량%, 스테아린산 아연 1-2중량%를 함께 섞어 골고루 배합시킨다.
이렇게 화학약품이 배합된 폐 합성수지는 배합실(31) 하부일측의 출구(34)에서 이송콘베어(35)를 거쳐 압출기(41)에서 200-250℃의 온도로 2-3분 정도 가열하여 겔(gel) 상으로 만든다음 성형기(43)에서 소정의 제품을 압착성형하거나 압출 또는 사출 성형시킨다.
이러한 성형제품으로는 보도블록, 호안블록, 벤치, 포도나무 지주 등 여러형태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되며, 내충격성, 내수성, 탄력성 등의 제품 특성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성형장치는 폐 합성수지를 양질의 제품으로 재용할 수 있게되어 자원절약으로 경제적인 이점과 공해방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송콘베어(12)로 공급호퍼(11)에 있는 폐 합성수지를 상향 이송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된 폐 합성수지를 여과판(21)에서 선별하여 이물질 배출구(22)와 하부배합실(31)로 공급하는 선별공급부(20)와, 배합실(31)의 중심회전축(32)에 축설된 회전익편(33)으로 골고루 배합시키고 개페기능을 가진 출구(34)에서 압출기(41)로 공급하는 배합공급부(30)와, 압출기(41)에서 겔(gel) 상태로 용융한 다음 성형기(43)로 공급하는 성형장치부(40)에서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KR2019950018202U 1995-07-21 1995-07-21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KR0119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202U KR0119690Y1 (ko) 1995-07-21 1995-07-21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202U KR0119690Y1 (ko) 1995-07-21 1995-07-21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95U KR970004595U (ko) 1997-02-19
KR0119690Y1 true KR0119690Y1 (ko) 1998-07-15

Family

ID=1941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202U KR0119690Y1 (ko) 1995-07-21 1995-07-21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564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제이피글로벌 건축용 복합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97289B1 (ko) * 2020-02-28 2020-12-31 심수경 합성수지 펠릿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122A (ko) * 2002-04-25 2003-11-01 민흥규 황토와 왕겨 및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한 합판 및 그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564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제이피글로벌 건축용 복합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97289B1 (ko) * 2020-02-28 2020-12-31 심수경 합성수지 펠릿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95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2221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illed thermoplastic polymers
EP0692356A2 (en) Method for prepar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 - synthetic plastic material composite
US6306318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molded product from recycled carpet waste
CA20384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thermoplastic containers
US5082605A (en) Method for making composite material
JP4006076B2 (ja) プラスチック廃材を原料と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US41873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ynthetic plastics products,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41430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polymer waste
WO2002036318A1 (en) Plastic recycling system and process
US20200199324A1 (en) Reconstituted composite materials derived from waste made by solid state pulverization
DE10214654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atur-und/oder synthesefaserverstärkter Compounds mittels Doppelschneckenextruder
JP3613198B2 (ja) ペットボトルリサイクルにおけるフレーク異物の除去方法
MXPA03000743A (es) Mezclador termocinetico, composiciones y productos estructurales.
KR0119690Y1 (ko) 폐 합성수지의 재활용 성형장치
CN1192872C (zh) 熔体-成形聚合物组合物的方法
KR101488150B1 (ko) 폐스크랩을 이용한 재활용 수지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WO1995031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thermoplastic materials
US201602718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ruding recycled plastics
WO2001083195A2 (en) Twin screw extruders for processing wood fiber and process for same
US20030214067A1 (en) Twin screw extruders for processing wood fiber and process for same
GB2162117A (en) Recycling thermoplastics sheet waste into an extruder
EP0720898A2 (en) Improvement in the recycling method for the re-use of solid household and similar wastes
KR101439811B1 (ko) 폐합성수지 패쇄편으로부터 백색 폐합성수지의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JPH0123067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II et al. Polyethylene Compounding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