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974Y1 -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 Google Patents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974Y1
KR0118974Y1 KR2019940030969U KR19940030969U KR0118974Y1 KR 0118974 Y1 KR0118974 Y1 KR 0118974Y1 KR 2019940030969 U KR2019940030969 U KR 2019940030969U KR 19940030969 U KR19940030969 U KR 19940030969U KR 0118974 Y1 KR0118974 Y1 KR 0118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heck
water
ce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443U (ko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30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974Y1/ko
Publication of KR960018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97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질측정기에 측정수를 공급하는 검수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외부검수조(21)내에 원통형 내부검수조(22)를 설치하되 내부검수조(22)의 상부일측면에 입구구멍(23)을 형성하고, 입구구멍(23)의 반대측 내부검수조(22)의 측면에 오버플로우홀(24;overflow hole)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검수조(21)의 상부측면으로 입구배관(25)을 삽설하되 입구배관(25)의 선단이 외부검수조(21)내에서 ㄱ자형으로 하향하도록하고, 상기 입구구멍(23)과 오버플로우홀(24)에서 등거리상 외부검수조(21)와 내부검수조(22)사이 공간에다 오버플로우 칸막이(26)를 설치하되 오버플로우 칸막이(26)의 높이를 입구구멍(23)의 중앙부 높이와 같도록 하며, 오버플로우홀(24)이 있는쪽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부 측면에다 외부검수조(21)를 관통시켜 셀입구배관(27)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셀입구배관(27)이 관통하는쪽 외부검수조(21)의 측면에다 셀출구배관(28)을 연결하고, 상기 셀출구배관(28)이 있는쪽 외.내부검수조(22) 사이의 외부검수조(21)하면에 측정수 출구배관(29)을 설치함과 더불어 입구배관(25)이 있는쪽 외부검수조(21)하면에 보조출구배관(3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면에다 보조입구배관(31)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구성으로 측정수의 기포와 거품 및 와류발생을 최소화하고 측정셀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측정셀로의 측정수 공급을 안정된 최적의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이다.

Description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제 1 도는 광을 이용한 수질측정기의 수질측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2 도는 종래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본 고안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2 : 필터
3 : 측정셀4,4' : 검출기
5,5' : 연산기6 : 비교기
7 : 표시기11 : 배수로 또는 방류조
12 : 입구배관13 : 내부검수조
14 : 셀입구배관15 : 셀출구배관
16 : 외부검수조17 : 출구배관
18 : 보조출구배관21 : 외부검수조
22 : 내부검수조23 : 입구구멍
24 : 오버플로우홀(overflow hole)
25 : 입구배관26 : 오버플로우 칸막이
27 : 셀입구배관28 : 셀출구 배관
29 : 측정수 출구배관30 : 보조출구배관
31 : 보조입구배관V1~V4: 밸브
M : 측정수 펌핑용 모터
본 고안은 수질측정기에 측정수를 공급하는 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포와 와류없이 항상 일정하게 측정수를 수질측정기에 공급하는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및 폐수를 배수처리하는 공정중에는 수질측정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배수로 및 방류조로 방류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질측정기로서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셀(cell)을 통과하는 측정수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수질을 알아내는 광을 이용한 수질측정기가 알려져 있다.
제 1 도는 광을 이용한 수질 측정기의 수질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광원(1)에서 발광된 빛이필터(2)를 거쳐 측정수가 흐르는 측정셀(3)을 통과시켜 검출기(4)'로 검출하여 연산기(5')로 연산하고, 이를 측정수가 측정셀(3)를 통과하지 않을때 검출기(4)로 검출하여 연산기(5)로 연산한 값과 비교기(6)에서 비교함으로써 측정수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표시기(7)로 표시하고 전류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은 수질측정기의 측정셀(3)에 측정수를 공급하는 종래의 검수조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배수로 또는 방류조(11)를 흐르는 처리수를 모터(M)를 이용하여 펌핑한 다음 입구배관(12)을 통해 내부검수조(13)로 보내지고 내부검수조(13)내의 적정한 량의 측정수는 셀입구배관(14)을 통해 3을 통과하여 셀출구배관(15)을 통해 외부검수조(16)내로 유입된 다음 출구배관(17)을 통해 배수로 또는 방류조(11)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내부검수조(13)에서 오버플로우(over flow)되는 측정수는 내부검수조(13)의 상부로 흘러넘쳐 외부검수조(16)내로 유입되어 출구배관(17)을 통해 배출되며, 입구배관(12)에 설치된 (V1)을 이용하여 내부검수조(13)로 유입되는 측정수의 양을 조절한다.
미설명 부호(18)은 보조출구배관이고, V2는 검수조의 정비 및 보수시 사용하는 밸브로서 내부검수조(13)내 측정수를 측정셀(3)로 유입시키지 않고 바로 보조출구배관(18)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V3는 펌핑된 측정수를 내부검수조(13)로 유입시키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검수조는 펌프 1 대당 통상적으로 대의 검수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검수조로 유입되는 측정수의 유입량 조절이 어렵고, 펌프의 펌핑상태에 따라 검수조 내로 공급되는 측정수의 공급량이 변화하게 되어 측정오차가 발생하며, 펌핑으로 측정수가 검수조내로 직접 유입되므로 검수조내에서 측정수의 와류,거품,기포등이 발생하게 되어 측정오차가 심하고, 데이타헌팅(data hunting)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 뿐만아니라 검수조내로 유입된 측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측정셀로 유입되어 정상적인 측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검수조가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기포와 와류 및 거품 없이 항상 일정하게 측정수를 수질측정기에 공급하는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검수조는 원통형 외부검수조(21)내에 원통형 내부검수조(22)를 설치하되 내부검수조(22)의 상부일측면에 입구구멍(23)을 형성하고, 입구구멍(23)의 반대측 내부검수조(22)의 측면에 오버플로우홀(24;overflow hole)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검수조(21)의 상부측면으로 입구배관(25)을 삽설하되 입구배관(25)의 선단이 외부검수조(21)내에서 자형으로 하향하도록 하고, 상기 입구구멍(23)과 오버플로우홀(24)에서 등거리상 외부검수조(21)와 내부검수조(22)사이 공간에다 오버플로우 칸막이(26)를 설치하되 오버플로우 칸막이(26)의 높이를 입구구멍(23)의 중앙부 높이와 같도록 하며, 오버플로우홀(24)이 있는쪽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부 측면에다 외부검수조(21)을 관통시켜 셀입구배관(27)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셀입구배관(27)이 관통하는쪽 외부검수조(21)의 측면에다 셀출구배관(28)을 연결하고, 상기 셀출구배관(28)이 있는쪽 외.내부검수조(21,22)사이의 외부검수조(21)하면에 측정수 출구배관(29)을 설치함과 더불어 입구배관(25)이 있는쪽 외부검수조(21) 하면에 보조출구배관(3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면에다 보조입구배관(31)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미설명 부호 V1은 입구배관(25)에 설치된 밸브, V2는 외부검수조(21)의 정비 및 보수시 사용하는 밸브로서 측정수를 내부검수조(22)로 유입시키지 않고 바로 보조출구배관(30)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V3은 펌핑된 측정수를 외부검수조(21)로 유입시키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 V4는 내부검수조(22)로 유입되는 측정수의 량을 조정하거나 외부검수조(21)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수를 내부검수조(22)로 직접 공급하여 수질을 측정할때 사용되는 밸브, M은 측정수 펌핑용 모터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검수조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고안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 검수조를 사용하여 측정수를 수질측정기로 공급할 때에는 먼저 밸브(V2~V3)를 닫고, 밸브(V1)을 열어준 다음 모터(M)을 작동시켜 준다.
그러면 모터(M)의 작동으로 배수로 또는 방류조(11)의 폐수가 펌핑되어 입구배관(25)을 통해 외부검수조(21)내로 유입되게되며, 외부검수조(21)내의 측정수 수위가 높아져서 내부검수조(22)의 입구구멍(23)에 도달하게 되면 측정수는 입구구멍(23)을 통해 내부검수조(22)내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그에 따라 내부검수조(22)내의 측정수 수위가 높아져서 셀입구배관(27)에 도달하게 되면, 측정수는 셀입구배관(27)을 통해 측정셀(3)을 통과하게되고, 측정셀(3)을 통과한 측정수는 셀출구배관(28)을 통해 외부검수조(21)내로 흘러들어가서 측정수 출구배관(29)을 거쳐 배수로 또는 방류조(11)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입구구멍(23)을 통과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 칸막이(26)를 넘쳐흐르는 측정수는 출구배관(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검수조(22)내 측정수중 셀입구배관(27)을 통해 측정셀(3)로 유입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홀(24)로 넘쳐 흐르는 측정수 또한 출구배관(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밸브(V2)는 정비 보수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경우 밸브(V2)를 열어 측정수를 내부검수조(22)와 측정셀(3)로 유입시키지 않고 외부검수조(21)에서 곧바로 배출시키며, 모터(M)의 측정수 펌핑상태에 따라 (V1V2)를 조절함으로써, 측정셀(3)로 유입되는 측정수의 량을 임의로 조절할수 있다.
또한 밸브(V4)를 사용하여 외부검수조(21)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내부검수조(22)로 측정수를 유입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검수조를 사용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측정기의 교정(calibration)을 위해 증류수 및 스팬(span)용액을 이용하여 원점(zero)과 스팬(span)조정시 내부검수조(22)내에 증류수, 스팬용액을 채우고, 내부의 용액이 안정될때까지 대략 2~3분 기다린 후 원점과 스팬조정을 실시하는 점에 착안하여 측정기가 가장 정확하게 측정 할수 있는 조건이 측정셀(3)내의 측정수가 정지되어 안정된 상태이며, 연속자동 측정의 경우 측정수가 자연스럽게 흘러 측정셀(3)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측정수 공급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기본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모터(M)의 측정수 펌핑상태에 관계없이 검수조로 공급되는 측정수는 외부검수조(21)를 채운후 일부만이 입구구멍(23)을 통해 내부검수조(22)로 흘러 유입되어 측정셀(3)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되므로 측정셀(3)내의 측정수는 안정된 상태로 되며, 또한 펌핑된 측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내부검수조(22)로 유입되기 이전 외부검수조(21)내에 적제되고, 부유이물질은 입구구멍(23)과 오버플로우홀(24)을 통해 측정수 출구배관(29)으로 배출되거나 오버플로우 칸막이(26)을 넘어 출구배관(29)을 거쳐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측정셀(3)로 유입되는 현상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검수조는 측정셀로 유입되는 측정수가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게 되므로 측정수의 공급상태를 안정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수 있으며, 펌핑압이 동반된 측정수가 내부검수조로 직접공급되지 않아 측정셀로 공급되는 측정수에서 기포 및 와류, 거품등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측정셀로의 이물질 유입 또한 최소화 됨으로써 측정기의 오동작에 의한 측정오차가 줄어 정확한 수질측정이 가능한 장점 뿐만아니라 1대의 펌프로 다수의 검수조로 측정수를 공급할 때 모터의 성능저하나 입구배관의 막힘 등으로 측정수의 공급이 일정하지 않게되어도 입구배관의 밸브조정을 필요로 함이 없이 측정셀로 유입되는 측정수의 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원통형 외부검수조(21)내에 원통형 내부검수조(22)를 설치하되 내부검수조(22)의 상부일측면에 입구구멍(23)을 형성하고, 입구구멍(23)의 반대측 내부검수조(22)의 측면에 오버플로우홀(24; overflow hole)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검수조(21)의 상부측면으로 입구배관(25)을 삽설하되 입구배관(25)의 선단이 외부검수조(21)내에서 ㄱ자형으로 하향하도록 하고, 상기 입구구멍(23)과 오버플로우홀(24)에서 등거리상 외부검수조(21)와 내부검수조(22)사이 공간에다 오버플로우 칸막이(26)를 설치하되 오버플로우 칸막이(26)의 높이를 입구구멍(23)의 중앙부 높이와 같도록 하며, 오버플로우홀(24)이 있는쪽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부 측면에다 외부검수조(21)를 관통시켜 셀입구배관(27)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셀입구배관(27)이 관통하는쪽 외부검수조(21)의 측면에다 셀출구배관(28)을 연결하고, 상기 셀출구배관(28)이 있는쪽 외.내부검수조(21,22)사이의 외부검수조(21)하면에 측정수 출구배관(29)을 설치함과 더불어 입구배관(25)이 있는쪽 외부검수조(21)하면에 보조출구배관(3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검수조(22)의 하면에다 보조입구배관(31)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KR2019940030969U 1994-11-22 1994-11-22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KR0118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969U KR0118974Y1 (ko) 1994-11-22 1994-11-22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969U KR0118974Y1 (ko) 1994-11-22 1994-11-22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43U KR960018443U (ko) 1996-06-19
KR0118974Y1 true KR0118974Y1 (ko) 1998-07-01

Family

ID=6084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969U KR0118974Y1 (ko) 1994-11-22 1994-11-22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9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69B1 (ko) * 2019-06-05 2020-07-15 한국수자원공사 수질계측기용 수조 자동 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69B1 (ko) * 2019-06-05 2020-07-15 한국수자원공사 수질계측기용 수조 자동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43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82766A (zh) 一种污泥沉降比原位自动检测装置及方法
KR0118974Y1 (ko) 수질측정기 측정수 공급용 검수조
CN107121177B (zh) 明渠与管道污水流量一体化标准装置
WO2006061186A3 (de) Füllstands-messvorrichtung
US4888978A (en) Instrument to measure leakage of steam from a steam trap
KR20070081409A (ko)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약지반 침하 계측장치
CN201000350Y (zh) 双翻斗单井计量仪
CN208606866U (zh) 一种多用型液位计检测装置
KR101962402B1 (ko) 수질측정기기 배관구조 및 설치방법
CN206919988U (zh) 明渠与管道污水流量一体化标准装置
CN215386606U (zh) 一种液路系统
KR200364452Y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US5649560A (en) Combined measuring and injecting flow cell
CN218002590U (zh) 一种实时流动浓度采样流通池
CN219657223U (zh) 脱硫浆液ph计采样装置及脱硫系统
CN208519517U (zh) 节流装置用满流稳流辅助装置
US6244115B1 (en) Flow meter for monitoring liquid flow at low or intermittent rates
JPS5826370Y2 (ja) 脱泡分流器
CN214793938U (zh) 一种脱硫浆液参数同时测量的浆液取样装置
CN211504282U (zh) 一种巴歇尔槽稳流结构
CN220730201U (zh) 一种消泡浊度测量装置
JP3249304B2 (ja) 流量測定装置
CN209992038U (zh) 湿法脱硫吸收塔的液位比对装置
CN201672947U (zh) 一种进油排气装置及使用该装置的质量流量式油耗仪
KR100993586B1 (ko) 개수로에서의 수질 대표값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