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951Y1 - 할로겐 램프용 소켓 - Google Patents

할로겐 램프용 소켓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951Y1
KR0118951Y1 KR2019940018092U KR19940018092U KR0118951Y1 KR 0118951 Y1 KR0118951 Y1 KR 0118951Y1 KR 2019940018092 U KR2019940018092 U KR 2019940018092U KR 19940018092 U KR19940018092 U KR 19940018092U KR 0118951 Y1 KR0118951 Y1 KR 0118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alogen lamp
piece
assemb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653U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조인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행 filed Critical 조인행
Priority to KR2019940018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951Y1/ko
Publication of KR960005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21V19/006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spring-mounted contact plate in a bayone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소켓의 구조와 조립공정을 간편히 하고 램프단자 접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소켓의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연결부의 접촉율이 저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 바, 소켓에 결합되는 접지편에 램프단자가 접속되는 압착방법으로 도선이 연결되는 압착부 및 소켓에 결합시 걸림기능을 제공하는 걸림편을 일체로 구비되도록 성형함에 따라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절감하고 간편한 조립으로 접촉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할로겐 램프용 소켓
제1도 (a)(b)는 종래의 소켓의 일예와 다른 일예를 각각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 (a)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소켓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b)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접지편 11:접점부
12:압착부 13:걸림편
20:도선 30:소켓 본체
31:접속구멍 32:걸림턱
33:이탈방지턱 41:단자
본 고안은 할로겐(halogen) 램프용 소켓, 보다 상세 하게는 소켓의 조립공정을 간편화 하고 램프 단자의 접촉율을 항상시킬 수 있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광도와 빛의 집중도를 갖는 특성으로 인해 할로겐 램프의 사용범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하여, 상기 램프를 착탈하는 소켓의 조립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대량생산에 많은 차질로 초래 하였다.
즉, 종래이 소켓은 도선의 선단부에 판형으로 된 접지편을 스포트 용접하여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멍에 끼운 후, 탄성을 가진 스프링으로 접지편을 밀착·고정한조립구조로 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소켓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바(bar) 형태의 접지구를 본체에 삽착하고 이 본체와 접지구의 중공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세트스크류를 체결하여 중공부의 일단에는 도선을, 타단에는 램프의 단자를 끼운 후 세트스크류로 고정한 구조이다.
그러나 전자의 기술은 도선과 접지편을 스포트용접하고 이 접지편을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 부품인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므로, 공정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감소하고 램프단자와 접지편의 접촉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자의 기술은 램프단자와 접지구의 접촉율을 양호한 편이나, 조립방법이 번거로움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이 소켓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절감하고 접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지편의 구조적인 변화에 의해 간편히 조립할 수 있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접지편을 압착방법으로 도선과 연결되고, 램프의 단자가 접촉되는 접점부는 ㄷ형으로 절곡되며, 이 접점부의 적당위치에 본체에 결합되는 접지편을 고정하는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소켓의 조립공정과 부품수를 대폭 감소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할로겐 램프용 소켓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a)는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램프단자(6)가 접촉되는 판형의 접지편(1)에 도선(2)의 단부를 스포트용접(W)하고 소켓본체(4)에 형성된 접속구멍(5)에 탄발스프링(3)과 상기 접지편(1)을 삽착한 구조이다.
제1도 (b)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일측으로 도선(2)이 타측으로램프 단자(6)가 삽입·결합되는 중공부(8)가 형성된 접지구(7)를 소켓본체(4)에 착설하여 세트스크류(9)로 교정한 것으로서, 상기한 양 기술은 조립공정과 구조적인 복잡함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있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제2도 (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소켓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체의 금속판을 절곡성형만 접지편(10)의 일단부에 도선(20)을 감싸지게 압착한 압착부(12)가 형성되고, 이 압착부와 일체로 할로겐램프(40)의 단자(41)가 끼워지는 접점부(11)와, 자체탄성에 의해 조립시 체결력을 제공하는 걸림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상의 세라믹재로된 소켓 본체(30)에는 상기 접지편(10)이 삽착되는 접속구멍(31)이 형성되고, 이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접지편(10)의 결합시 그 걸림편(13)이 걸려지는 걸림턱(32)과 이탈방지턱(3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제2도(b)참조).
상기 접점부(11)는 ㄷ형의 금속판의 양단면을 만곡시켜 이 만곡부가 외접된 부분으로 램프 단자(41)를 끼움으로 인해 접촉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의 실시예는 소켓 본체(30)가 원형상의 세라믹재로 된것을 설명 하였으나, 할로겐램프(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타원형, 다각형으로 성형도 가능하며, 그재질을 합성수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적당길이로 절단된 도선(20)이 일단부를 접지편(10)의 압착부(12)에 감싸서 압착·고정한 후, 상기 도선(20)의 타단부를 본체(30)의 접속구멍(31)을 통과시켜 이에 접지편(10)을 조립한다.
조립순서는, 도선(20)이 먼저 통과되고, 이어서 접지편(10)의 압착부(12)가 통과하며, 다음에 접점부(11)와 걸림편(13)이 접속구멍(31)에 진입됨과 동시에 접접부의 후단부, 즉 압착부(12)에 이어진 부분은 이탈방지턱(33)에 차단되고 걸림편(13)은 걸림턱(32)에 걸린다.
상기 작용에 의해 본체(30)의 접속구멍(31)에 들어온 접지편(10)은 견고하게 조립되며, 이 상태에서 할로겐램프(4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20)를 각 접속 구멍(31)에 결합된 접지편(10)에 끼워줌으로써 접촉율을 항상 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접지편(10)의 구조적인 작용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을 하게된 것인 바,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본 고안으로 부터 용이하게 인용하는 기술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한편, 램프가 접촉되는 소켓 본체(30)의 표면에 절연제를 개입하고, 소켓의 외측에 절연 커버를 결합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 성형하여 도선의 접합 및 조립을 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램프단자와의 접촉율을 향상시켜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할로겐램프(40)의 단자(41)가 끼워지는 접점부(11)와 도선(20)이 압착·고정되는 압착부(12) 및 자체단성에 의해 걸림기능을 제공하는 걸림편(13)이 일체로 형성된 접지편(10)과, 이 접지편이 삽착되는 접속구멍(31)이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걸림편(13)이 걸려지는 걸림턱(32) 및 이탈방지턱(33)이 일체로 구비된 소켓 본체(30)를 포함하여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11)가 ㄷ형의 금속판의 양단면을 만곡시켜 외접되고 이 외접부 사이로 단자(4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30)가 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30)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30)가 세라믹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 램프용 소켓.
KR2019940018092U 1994-07-21 1994-07-21 할로겐 램프용 소켓 KR0118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092U KR0118951Y1 (ko) 1994-07-21 1994-07-21 할로겐 램프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092U KR0118951Y1 (ko) 1994-07-21 1994-07-21 할로겐 램프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53U KR960005653U (ko) 1996-02-17
KR0118951Y1 true KR0118951Y1 (ko) 1998-08-17

Family

ID=1938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092U KR0118951Y1 (ko) 1994-07-21 1994-07-21 할로겐 램프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9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78B1 (ko) * 2006-09-05 2007-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099B2 (ja) * 1997-02-27 2001-11-12 日本精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78B1 (ko) * 2006-09-05 2007-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53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0162B1 (en)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for large conductors
US5314360A (en) Terminal block
KR910003860Y1 (ko) 핀플러그
KR0118951Y1 (ko) 할로겐 램프용 소켓
KR100521236B1 (ko) 소형저압방전램프
US4491680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condition sensing pro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0243473A (ja) ピラー端子
US20070032133A1 (en) Cable connector with ant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P0601507A2 (de) Elektrischer Zustandsfühler
US7165996B1 (en) Cable connector with ant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pability
US5037317A (en) Grounding element for fastening an aluminum component
FI71630B (fi) Haollare foer en elektrisk spole samt anvaendning av haollaren
JP2001052591A (ja) 電線付きヒューズ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US5597327A (en) Spr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king a spring terminal
JPH0138970Y2 (ko)
US4387948A (en) Spark plug wire terminal and method for attaching terminal
KR0134431Y1 (ko) 형광등 및 이를 위한 소켓
JPH0247557Y2 (ko)
US4471157A (en) PAR Lamp terminals
JPH0247556Y2 (ko)
RU1815709C (ru) Однополюсный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ъем
JPH0555058A (ja) 端子装置
US20040137782A1 (en) Jack plug
CA1039376A (en) Contact terminal for wedge base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