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81Y1 - 프레스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안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81Y1
KR0118681Y1 KR2019940011556U KR19940011556U KR0118681Y1 KR 0118681 Y1 KR0118681 Y1 KR 0118681Y1 KR 2019940011556 U KR2019940011556 U KR 2019940011556U KR 19940011556 U KR19940011556 U KR 19940011556U KR 0118681 Y1 KR0118681 Y1 KR 0118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press
crankshaft
rod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518U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2019940011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681Y1/ko
Publication of KR950032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의 크랭크축으로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크랭크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가 공회전 되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탄성부재가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공(21a),(22a)을 구비한 상하부 절곡부(21),(22)가 형성된 브라켓트(20)가 프레스(100) 일측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20)에는 나사부(31)에 스프링 받이부(32)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된 로드(30)가 통공(21a),(22a)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며, 이 로드(30)의 말단부에는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일측단과 핀 결합되고 하부 절곡부(22)와 스프링 받이부(3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체(40)가 탄설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17) 일측단에 설치된 제2링크부재(15)와 로드(30)를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의 안전장치
제1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프레스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a)의 A부 상세도.
제3도는 제1도 (b)의 B부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고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안전장치 11:페달
12:힌지부 13:제1회전 링크부재
14:제1링크부재 15:제2링크부재
16:힌지부 17:제2회전 링크부재
20:브라켓트 21:상부 절곡부
22:하부 절곡부 30:로드
31:나사부 32:스프링받이부
40:압축 스프링체
본 고안은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랭크축으로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크랭크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어가 공회전되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탄성부재가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제1도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M)의 회전력이 플라이휠(1)과, 구동기어(2)와, 동력전달기어(3)로 전달되게 되며, 동력전달기어(3)에는 크랭크축(4)이 연결되고 이 크랭크축(4)에는 램(5)이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램(5)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가공물체를 프레스 작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아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안전장치는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을 크랭크축(4)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되어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을 크랭크축(4)에 연결하면 크랭크축(4)이 회전하면서 프레스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력전달기어(3)와 크랭크축(4)과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면 동력전달기어(3)만 공회전하여 크랭크축(4)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10)는 제2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회전 링크부재(13)와, 제1회전 링크부재(13)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회전 링크부재(3)의 회동에 따라 직선이동하는 제1링크부재(14)와, 일단이 제1링크부재(14)와 연결되어 제1링크부재(14)의 직선이동에 따라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17)와,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2링크부재(15)와, 크랭크축(4)의 홈(4a)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제2링크부재(15)의 선단로드(1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키부재(18)와, 키부재(18)가 삽입 안내될 키홈(3a)이 형성되어 키부재(18)가 키홈(3a)내로 삽입됨에 따라 크랭크축(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3)와, 제2링크부재(15)를 키부재(18)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인장코일스프링(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전장치(10)는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제1링크부재(14)와 제2회전 링크부재(17) 그리고 제2링크부재(15)가 동작되면서, 제2링크부재(15) 선단로드(15a)가 키부재(18)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탄성부재(18a)의 탄력에 의해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으로 키부재(18)가 삽입되면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이 크랭크축(4)에 전달되어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고, 페달(11)의 밟음 동작을 해제시키면 인장코일스프링(19)이 제2링크부재(15)를 원위치시켜 제2링크부재(15) 선단로드(15a)가 키부재(18)를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에서 밀어 내어 동력전달기어(3)가 공회전되어 크랭크축(4)이 회전되지 않아 프레스 작업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19)이 항상 제2링크부재(15)를 밀어주어 제2링크부재의 선단부의 로드(15a)가 키부재(18)를 지지하여 키부재(18)가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동력전달기어는 공회전을 하고 있다가, 페달(11)을 밟으면 로드(15a)가 후퇴하면서 키부재(18)의 지지상태를 해제시켜 키부재(18)는 탄성부재(18a)의 탄력에 의해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으로 삽입되어 프레스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19)은 페달(11)을 밟을 때마다 늘어나면서 피로한계를 벗어나게 되면 인장코일 스프링(19)이 파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장코일 스프링(19)이 파단되게 되면 로드(15a)가 키부재(18)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상실해 키부재(18)는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으로 삽입되게 되어 계속적으로 승하강하게 되어 커다란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우 위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키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수단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끊어지지 않는 형태로 구조를 개선하여 인장코일 스프링이 끊어져서 발생하던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프레스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랭크축의 홈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키부재의 수평이동을 제어하여 동력전달기어의 동력이 크랭크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통공을 구비한 상하부 절곡부가 형성된 브라켓트가 프레스 일측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에는 나사부에 스프링 받이부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가 통공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며, 이 로드의 말단부는 페달을 밟음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의 일측단과 핀 결합되고 하부 절곡부와 스프링 받이부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체가 탄설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의 일측단에 설치된 제2링크부재의 로드를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스(100)는 모터(M)가 회전함에 따라 그 모터(M)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하여 플라이휠(1)에 전달되면 플라이휠(1)과 동일축 상에 설치된 구동기어(2)가 플라이휠(1)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기어(2)에는 구동기어보다 직경이 대폭 큰 동력전달기어(3)가 맞물랴 감속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 동력전달기어(3)에는 램(5)이 설치된 크랭크축(4)이 연결되어서 램(5)이 승하강하면서 프레스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상기 프레스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안전장치는 동력전달기어(3)와 크랭크축(4) 사이에서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을 크랭크축(4)에 선택적으로 차단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전장치는,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회전 링크부재(13)와, 제1회전 링크부재(13)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회전 링크부재(13)의 회동에 따라 직선이동하는 제1링크부재(14)와, 일측단에 제1링크부재(14)와 연결되어 제1링크부재(14)의 직선이동에 따라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17)와,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2링크부재(15)와, 크랭크축(4)의 홈(4a)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제2링크부재(15)의 선단로드(1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키부재(18)와, 키부재(18)가 삽입 안내될 키홈(3a)이 형성되어 키부재(18)가 키홈(3a)내로 삽입됨에 따라 크랭크축(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3)와, 제2링크 부재(15)를 키부재(18)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탄력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력지지수단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1a),(22a)을 구비한 상하부 절곡부(21),(22)가 형성된 브라켓트(20)가 프레스(100) 일측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20)에는 나사부(31)에 스프링 받이부(32)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30)가 통공(21a),(22a)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며, 이 로드(30)의 말단부에는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일측단과 핀 결합되고, 하부 절곡부(22)와 스프링 받이부(3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체(40)가 탄설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17) 일측단에 설치된 제2링크부재(15)와 로드(30)를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스(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모터(M)의 동력이 플라이휠(1)-구동기어(2)-동력전달기어(3)순으로 전달된다.
이때, 페달(11)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지지수단의 압축스프링체(40)에 의해 제2링크부재(15)를 상측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링크부재(15) 선단로드(15a)가 키부재(18)에 걸려있어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이 크랭크축(4)에 전달되지 않아 동력전달기어(3)는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페달(11)을 밟으면 제2링크부재(14)가 당겨지게 되면서 제2회전 링크부재(17)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회전 링크부재(17)가 회동함에 따라 제2링크부재(15)는 하강하게 되어 제2링크부재(15) 선단에 설치된 로드(15a)가 제2링크부재(15)와 동시에 하강하면서 키부재(18)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키부재(18)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설된 키부재(18)는 회전하고 있는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측으로 이동하면서 키홈(3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키부재(18)는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과 크랭크축(4)의 홈(4a)에 함께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동력전달기어(3)의 동력이 크랭크축(4)에 전달되어 프레스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뒤, 페달(11)의 밟음동작을 해제시키면 탄력지지수단의 압축스프링체(40)의 탄력에 의해 제2링크부재(15)와 그 선단부의 로드(15a)가 함께 상승하면서 로드(15a)의 선단 경사면이 키부재(18)의 경사면(18')을 밀어 올리게 되어 키부재(18)는 동력전달기어(3)의 키홈(3a)에서 이탈되어 크랭크축(4)의 홈(4a)으로 이동되며 크랭크축(4)은 회전하지 않고 동력전달기어(3)만 공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동력전달기어와 크랭크축을 이어주는 키부재를 압축스프링체의 압축력에 의해 밀어주기 때문에 압축스프링체가 절대로 끊어지는 일이 없어 페달을 밟아 인위적으로 키부재의 지지상태를 해제시킬 때만 크랭크축이 회전하도록 되어 종래와 같이 인장스프링체가 끊어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크랭크축의 홈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키부재의 수평이동을 제어하여 동력전달기어의 동력이 크랭크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프레스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통공(21a),(22a)을 구비한 상하부 절곡부(21),(22)가 형성된 브라켓트(20)가 프레스(100) 일측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20)에는 나사부(31)에 스프링 받이부(32)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30)가 통공(21a),(22a)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며, 이 로드(30)의 말단부에는 페달(11)을 밟음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제2회전 링크부재(17)의 일측단과 핀 결합되고 하부 절곡부(22)와 스프링 받이부(3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체(40)가 탄설되어 제2회전 링크부재(17) 일측단에 설치된 제2링크부재(5)와 로드(30)를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안전장치.
KR2019940011556U 1994-05-24 1994-05-24 프레스의 안전장치 KR0118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556U KR0118681Y1 (ko) 1994-05-24 1994-05-24 프레스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556U KR0118681Y1 (ko) 1994-05-24 1994-05-24 프레스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518U KR950032518U (ko) 1995-12-14
KR0118681Y1 true KR0118681Y1 (ko) 1998-08-01

Family

ID=1938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556U KR0118681Y1 (ko) 1994-05-24 1994-05-24 프레스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6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518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370A (en) Sheet material cutting apparatus
KR102321044B1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0118681Y1 (ko) 프레스의 안전장치
CA2354455C (en) Belt tensioning device
KR100416183B1 (ko) 예초기
JPS61289977A (ja) 機械的に作動される工具、特に自動溶接ガン用安全停止装置
US5860365A (en) Tensioning device for flexible drive member
JP2860786B2 (ja) 電気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JP2715276B2 (ja) 電気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910005667Y1 (ko) 동력전달용 체인의 텐션 감지장치
KR100282916B1 (ko)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JPH10506359A (ja) 自動開閉リフトやエレベーターゲートのリニアーベルト伝導機構内で作動する安全レリース装置
KR100452168B1 (ko) 볼트체완기의자동탈축심흡수기구및이에부가하는충격회피기구
CN219361263U (zh) 一种链条传动平移式刮水器
KR200204888Y1 (ko) 자동 과부하해제 및 전원 차단장치
KR0137050Y1 (ko) 천공장치
US5052983A (en) Belt guide anchor
KR900005421Y1 (ko) 전동드라이버의 토오크컨트롤(torque control)장치
JPH0645055Y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操作ケーブルの連結構造
KR940004679B1 (ko) 용지재 절단장치
KR920001327Y1 (ko) 보빈장착장치
SU14253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ма каната
KR860001683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19990003259U (ko) 엔진의 벨트장력조절장치
KR910005412Y1 (ko) 전력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