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76Y1 -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 Google Patents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76Y1
KR0118676Y1 KR2019940032299U KR19940032299U KR0118676Y1 KR 0118676 Y1 KR0118676 Y1 KR 0118676Y1 KR 2019940032299 U KR2019940032299 U KR 2019940032299U KR 19940032299 U KR19940032299 U KR 19940032299U KR 0118676 Y1 KR0118676 Y1 KR 0118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glass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lcd manufactu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485U (ko
Inventor
장강순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32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676Y1/ko
Publication of KR960018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글래스기판과 접촉되는 스테이지의 접촉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글래스기판과 스테이지사이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줄어들게 되므로 접촉면적에 따른 박리대전전위를 최대로 감소시키게됨은 물론 방전에 따른 불량도 제거되게 된다.

Description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제 1 도는 종래 LCD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스테이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스테이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글래스기판 2 : 스테이지
3 : 요철부
본 고안은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셀을 제조하는 공정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상,하판 글래스상에 ITO막을 형성시키고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X-Y형태로 일정전극이 형성시키는 ITO패턴닝 공정과, 이 ITO패턴닝공정을 거쳐 형성된 이미지기판상에 액정을 배향시키고 실(SEAL)프린팅한 다음 편광판을 부착하는 셀공정과, 이 셀공정를 거쳐 제조된 LCD셀을 탭 IC에 연결시키고 모듈로 조립하는 모듈조립 공정을 거쳐 제조되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공정을 거치는 동안 글래스기판(70)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형상의 스테이지(71)에 고정되어 제조되게 되는데, 이 스테이지(71)의 상부면은 판자와 같이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글래스기판(70)은 이 스테이지(71)상부면에 모든면적이 거의 완전히 접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테이지구조는 LCD제조공정시 글래스기판(70)이 그 상부가 평평한 스테이지(71)상에 완전히 밀착된채로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박리대전위즉, 두물체가 면접촉상태에서 분리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가 발생되게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발생된 박리대전전위의 방전으로 인하여 글래스기판(70)이 스테이지(71)로부터 분리될 시 글래스기판(70)이 파손되게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음은 물론 글래스기판(70)이 주변의 대전입자들을 끌어당기므로 기판전면에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글래스기판과 접촉되는 스테이지의 접촉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글래스기판과 스테이지사이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줄어들게 되므로 접촉면적에 따른 박리대전전위를 최대로 감소기키게됨은 물론 방전에 따른 불량도 제거되게 되는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LCD제조공정중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와, 이 스테이지의 상부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박리대전전위가 그 접촉되어 있는 면적에 정비례하여 발생하므로 그 반대의 개념을 가진 구조즉, 글래스기판(1)에 접촉되는 스테이지(2)의 상부면적을 최대한 줄여주는 구조로 형성하게 되는데, 그와 일치하는 본고안의 스테이지구조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글래스기판(1)과 접촉하는 스테이지(2)의 상부면을 미세가공하여 요철부(3)를 형성시킨다. 이때, 바람직한 요철부(3)의 높이는 대략 20㎛로 형성하고 그 한 개의 나비는 개략 1㎜로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공정대로 본고안의 스테이지(2)상에 글래스기판(1)을 올려놓고 고정한다음 다수의 여러공정을 저치게 되는데, 이때 이과정에서 본고안의 스테이지(2)로부터 글래스기판(1)을 분리될 경우 글래스기판(1)은 스테이지(2)의 요철부(3)와 접촉되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박리대전전위가 적게 발생되게 되고 그에따라 그 정전기의 방전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글래스기판(1)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이상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글래스기판과 접촉되는 스테이지의 접촉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글래스기판과 접촉되는 스테이지의 접촉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글래스기판과 스테이지사이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줄어들게 되므로 접촉면적에 따른 박리대전전위를 최대로 감소시키게 됨은 물론 방전에 따른 불량도 제거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LCD제조공정중에 사용되는 스테이지(2)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2)의 상부면에 요철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3)가 그 높이를 20㎛로 형성하고 그 한 개의 나비는 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 감소 스테이지구조.
KR2019940032299U 1994-11-30 1994-11-30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KR0118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299U KR0118676Y1 (ko) 1994-11-30 1994-11-30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299U KR0118676Y1 (ko) 1994-11-30 1994-11-30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85U KR960018485U (ko) 1996-06-19
KR0118676Y1 true KR0118676Y1 (ko) 1998-07-15

Family

ID=1939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299U KR0118676Y1 (ko) 1994-11-30 1994-11-30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6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0306B (zh) * 2012-09-10 2018-12-14 Agc 株式会社 显示器用玻璃基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47312A (ko) 2017-10-27 2019-05-08 조현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스테이지의 지지핀 보상지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85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8983A (en) Flat-panel display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5760855A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guard r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WO2001046749A1 (en) Method of resizing a liquid crystal display
GB2350225A (en) Active matrix LCD electrode substrate
US567102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01005499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0118676Y1 (ko)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KR2004003794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02232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035583A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平面表示装置
KR100529563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
JP3200753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
EP0459759A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9980067764A (ko) 액정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구조
JPH027019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441846B1 (ko) 밴딩형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구조
CN101071211A (zh) 液晶显示装置
JPH0381735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パネル
KR100187424B1 (ko) 액정표시장치의 패널 절단방법
JP2004233842A (ja) 液晶表示パネル
JP2875645B2 (ja) 液晶表示素子
KR20020057030A (ko) 액정표시소자의 정전기 방지방법
JPH02310531A (ja) 液晶表示装置
JP2881742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43887A (ko) 이.에스.디. 방지를 위한 패드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