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553Y1 - 철도 차량용 받침목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받침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553Y1
KR0117553Y1 KR2019940000480U KR19940000480U KR0117553Y1 KR 0117553 Y1 KR0117553 Y1 KR 0117553Y1 KR 2019940000480 U KR2019940000480 U KR 2019940000480U KR 19940000480 U KR19940000480 U KR 19940000480U KR 0117553 Y1 KR0117553 Y1 KR 0117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in
concrete
outer memb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396U (ko
Inventor
최충열
Original Assignee
최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열 filed Critical 최충열
Priority to KR2019940000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553Y1/ko
Publication of KR950023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6Composite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레일을 받치는 받침목에 관한 것으로서, 폐자원을 이용한 합성수지 또는 에프알피(F.R.P)와 철근콘크리트로서 받침목을 구성하여, 충격흡수가 좋은 목재받침목과 부식이 거의 없고 강도가 매우 높은 콘크리트 받침목의 장점만을 갖는 받침목인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받침목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외부부재2:바닥부재
3:결속핀4: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
5,6:철근7:레일핀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레일을 받치는 받침목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철도차량용 받침목은 목재받침목과 콘크리트받침목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목재받침목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쉽게 부식이 되고, 또 나무에 기생하는 유충에 의해 손상을 입는등 수명이 짧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해서는 받침목의 표면에 부식과 해충방지용 오일을 수시로 칠해주어야 되는 관계로 관리비가 투입됨은 물론, 받침목으로서의 기능상 시간이 흘러도 뒤틀리지 않도록 특수처리를 하여야하고 받침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령을 갖는 원목을 사용하여야 됨으로서, 원목을 체취하는 산림은 황폐되고 원목의 고갈로 인한 외국산 원목 또는 완제품을 수입하여야 되는등 많은 비용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던 이유는 취급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이 손쉽고 사용시 철도차량의 진동을 흡수하는 장점으로 상당한 기간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목재받침목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시간과 연구비를 투자하여 개발한 것이 현재사용중인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재의 받침목인데 이 받침목은 내부에 철근을 넣어 제작된 받침목으로서 재질이 단단하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부식되지 않음은 물론 해충이나 기타의 손상에 의한 관리비가 소요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콘크리트내부에 물기가 쉽게 침투되어 겨울철에는 동파의 우려가 있고 여름철에는 누전의 위험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재 받침목은 제작상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의 배열 구조가 단순치 않고 특수한 공법에 의해 제작됨으로인한 원가의 상승이 있을 뿐아니라 받침목을 사용하는 철도의 주변은 철도받침목이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여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생활에 많은 곤란을 겪고 특히, 교량이나 고가철도인 경우에는 그 소음이 매우 심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단점을 해소코저 안출한 것으로서, 그 특징을 간단히 설며아면 콘크리트의 단단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목재의 충격흡수와 같은 장점을 모두 갖춘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상하좌우로 일정하게 이어진 철근(5),(6)이 삽입된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4)의 외곽에 이를 감싸듯이, 에프알피(F.R.P)재질의 외부부재(1)를 씌우고, 하측에는 외부부재(1)와 같은 재질의 바닥부재(2)를 접합시킨후 외부부재(1)와 바닥부재(2)를 핀헐(1')을 통하여 결속핀(3)으로 고정하였으며, 외부부재(1)의 상측으로 레일핀(7)을 설치하되 레일핀(7)의 하측단이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4)에 매설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0)은 철도레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금형틀에 의해 에프알피(FRP)로 제작되는 외부부재(1)에는 일정위치에 레일핀(7)을 위치시켜서 성형하고 측면에 핀홀(1')이 천공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부재(1)의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재(2)도 에프알피로 제작된 것으로서, 완성된 외부부재(1)을 뒤집어 놓고 내부에 철근(5),(6)을 넣은후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4)를 구성한 다음 바닥부재(2)를 덮고 양생시킨후 양옆의 핀홀(1')을 통하여 결속핀(3)으로 조여서 완성하게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부식되지 않아 오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비가 들지 않을뿐 아니라 외부부재 및 바닥부재에 색상을 내는 안료를 첨가하여 외관상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충격을 흡수하여 줌으로서 소음을 줄이고 철도차량의 승차감을 좋게 함은 물론 차량의 마모도 막을 수 있는 것과, 종래의 나무 또는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제와 같이 빗물등의 수분이 흡수되지 않으므로서 전동차레일의 받침목으로 사용될 경우 절연성을 향상하여줌과 외부부재 및 바닥부재의 제작시 폐자원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연 환경보전에 큰 도움이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철근(5),(6)을 사용한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4)의 좌우 및 상측에는 에프알피(F.R.P)재질의 외부부재(1)를 씌우고 하측에는 외부부재(1)와 같은 재질의 바닥부재(2)를 접합시킨후 외부재와 내부재를 핀홀(1')을 통하여 결속핀(3)으로 고정하였으며 레일핀(7)의 하측단을 콘크리트재질의 내부부재(4) 중심까지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받침목.
KR2019940000480U 1994-01-13 1994-01-13 철도 차량용 받침목 KR0117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480U KR0117553Y1 (ko) 1994-01-13 1994-01-13 철도 차량용 받침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480U KR0117553Y1 (ko) 1994-01-13 1994-01-13 철도 차량용 받침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396U KR950023396U (ko) 1995-08-21
KR0117553Y1 true KR0117553Y1 (ko) 1998-07-15

Family

ID=1937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480U KR0117553Y1 (ko) 1994-01-13 1994-01-13 철도 차량용 받침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54B1 (ko) * 2010-12-24 2013-0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충전 에프알피 튜브 침목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충전 에프알피 튜브 침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54B1 (ko) * 2010-12-24 2013-0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충전 에프알피 튜브 침목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충전 에프알피 튜브 침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396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015B2 (en) Railroad tie and method for building or adapting a railroad
KR0117553Y1 (ko) 철도 차량용 받침목
US5924630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ailway crossing slab
US3289940A (en) Synthetic railway tie
KR0117554Y1 (ko) 철도 차량용 받침목
CN204919227U (zh) 一种新型铁路桥梁用复合轨枕
KR0119142Y1 (ko) 합성수지 침목
JPS6123042Y2 (ko)
DE19628529A1 (de) Erschütterungsarmes Gleis
KR101719807B1 (ko) 철도용 침목
KR100430933B1 (ko) 고무를 이용한 철도 침목
KR0121490Y1 (ko) 철로용 합성수지침목
US1645514A (en) Railroad tie
CN216891774U (zh) 一种轨道交通整体道床用轻型钢枕
JP3962210B2 (ja) 弾性体被覆コンクリート製まくらぎ
US2551500A (en) Concrete railway tie
US756815A (en) Railway construction.
US2631784A (en) Cinder and cement railroad tie with cushioning means
CA1194010A (en) Rail seal
US1499199A (en) Railroad tie
CN211872411U (zh) 用于桥梁的轨道单元及轨道结构
CN219010825U (zh) 一种下沉式双向连接整体钢板结构剪力铰
KR20230004499A (ko) 철도 선로 레일용 지지체
ES2261021B1 (es) Traviesa.
US791772A (en) Rail-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