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510Y1 -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 Google Patents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510Y1
KR0117510Y1 KR2019950022032U KR19950022032U KR0117510Y1 KR 0117510 Y1 KR0117510 Y1 KR 0117510Y1 KR 2019950022032 U KR2019950022032 U KR 2019950022032U KR 19950022032 U KR19950022032 U KR 19950022032U KR 0117510 Y1 KR0117510 Y1 KR 0117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cdg
microcomputer
signal
playbac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034U (ko
Inventor
조본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2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510Y1/ko
Publication of KR970011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10Apparatus capable of using record carriers defined in more than one of the sub-groups G11B25/02 - G11B25/08; Adapt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의 추가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기능이 날로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음에 따라 마이컴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인터럽트동작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CDG디코더로 부터 발생되는 라이트신호가 마이컴의 디스크종류의 판별을 위한 인터럽트동작을 위하 인터럽트단자로 공급되도록 할애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 CDG디코더로 부터 메로리부에 인가되는 라이트신호를 통해 마이컴을 인터럽트(Interrupt)시키지 않고서도, 그 라이트신호를 통해 CDG디코더의 동작을 검출하여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CDG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양립재생이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CDG디스크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메모리하기 위해 CDG디코더(14)로부터 발생되어 메모리부(16)에 공급되는 라이트신호(WE)를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입력받고 마이컴(20)으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신호(CLOSE)를 그 프리세트단자(PR)에 공급받아 상기 마이컴(20)에 디스크판별을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3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
제 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를 나타낸 회로 성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PEG디코더 12 --- DAC
14 --- CDG디코더 16 --- 메모리부
20 --- 마이컴 24 --- 기능설정부
30 --- 펄스발생기
본 고안은 멀티드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G(Compact Disc Graphic)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VCD; Video Cpmpact Disc)의 양립재생이 가능한 멀티드스크재생시스템에서 CDC디코더로 부터 메모리부에 공급되는 라이트신호를 통해서 CDG디코더의 동작을 검출함에 의해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드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형상으로 이루어지고서 정화상의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가 수록된 CDG디스크와, 동화상의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가 기록된 비디오디스크가 소개되고 있는 바, 그 CDG디스크에는 예컨대 영상가요연습을 위한 가사문자정보와 정화상의 배경화면에 대한 비디오정보 및 반주음에 대한 오디오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비디오컴팩트디스크에는 예컨대 영상가요연습을 위한 영상가요프로그램이라든지 영화프로그램 또는 어학의 습득을 위한 어학프로그램의 비디오정보와 반주음을 위한 오디오정보가 예컨대 주지된 MPGE방식의 데이터압축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되어 기록된다.
현재에는 CDG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양립적인 재생이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그러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 따르면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화상의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 및 그 정보에 따른 서브코드정보가 수록된 비디오디스크(D)나 정화상의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 및 그 정보에 따른 서브코드정보가 수록된 CDG디스크를 정속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2)와, 그 스핀들모터(2)에 의해 정속회전되는 비디오디스크(D)나 CDG디스크(D)의 기록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을 수취함에 의해 정보를 독취하는 광픽업(4), 상기 광픽업(4)에 의해 독취된 정보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6), 상기 독취되어 증폭된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 및 서브코드정보에 따른 정보신호를 시리얼 데이터스트림으로 디지털신호처리하는 DSP(8; Digital Signal Processer),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된 동화상의 비디오정보를 MPEG방식으로 복원처리하는 MPEG디코더(10), 상기 MPEG디코더(10)에서 복원처리된 비디오정보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를 갖는 RGB신호로 신호변환하는 DAC(12; Digital-Analog Converter),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된 정화상의 비디오 정보를 디코딩하여 복원하는 CDG디코더(14), 그 CDG디코더(14)의 서브코드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라이트신호(WE : Write Signal)를 공급받아 서브코드데이터가 메모리되는 예컨대 DRAM으로 이루어진 메로리부(16), CDG디코더(14)에서 발생되어 메모리부(16)에 공급되는 라이트신호(WE)를 그 인터럽트단자 (INT)를 통해 인가받아 디스크종류의 판별기능을 위해 인터럽트동작되는 마이컴(20) 및, DAC(12)를 통한 동화상의 비디오신호와 상기 CDG디코더(14)를 통한 정화상의 비디오신호를 상기 마이컴(20)의 디스크판별에 따른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영상재생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절환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춘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는 CDG디스크(D)나 비디오디스크(D)가 안착되어 스핀들모터(2)에 의해 정속회전되는 상태에서 광픽업(4)에 의해 수록정보가 독취되어 RF증폭부(6)를 통해 증폭되면, DSP(8)에 의해 디지털신호처리된 비디오디스크(D)로 부터의 동화상의 비디오정보가 MPEG디코더(10)에 의해 MPEG방식으로 디코딩되어 복원되고서 DAC(12)를 통해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신호변환되어 RGB신호로서 출력되고, CDG디스크(D)로 부터의 정화상의 비디오정보가 디코딩에 의해 복원되어 RGB신호로서 출력되는 한편, 그 비디오정보에 따른 서브코드데이터가 CDG디코더(14)의 라이트신호(WE)에 의해 메모리부(16)에 메모리된다. 이때, 마이컴(20)은 그 라이트신호(WE)를 인터럽트단자(INT)를 통해 입력받은 결과로 디스크종류의 판별상태를 제어하여 인터럽트동작되어 디스크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는 다양한 기능의 추가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기능이 날로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음에 따라 마이컴(20)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인터럽트동작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CDG디코더(14)로 부터 발생되는 라이트신호(WE)가 마이컴(20)의 디스크종류의 판별을 위한 인터럽트동작을 위해 인터럽트단자(INT)로 공급되도록 할애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멀티디스크 재생시스템에서 CDG디코더로 부터 메모리부에 인가되는 라이트신호를 통해 CDG디코더의 동작을 검출하여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에 의하면, CDG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양립재생이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CDG디스크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메모리하기 위해 CDG디코더로 부터 발생되어 메모리부에 공급되는 라이트신호를 그 클록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마이컴으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 신호를 그 프리세트단자에 공급받아 상기 마이컴에 디스크판별을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CDG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재생이 모두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 CDG디스크의 재생시에 마이컴으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수록정보에 대한 서브코드데이터의 메모리를 위한 CDG디코더로 부터의 라이트신호를 입력받아 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마이컴에서 그 검출신호를 공급받게 되면서 CDG디스크가 안착되었음을 판별하게 되는 한편, 그 CDG디코더로 부터의 라이트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비디오디스크가 안착되었음을 판별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따른 본 고안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14는 CDG디스크의 기록면으로 부터 독취되어 디지털신호처리된 정화상에 따른 비디오정보를 디코딩하여 복원함과 더불어, 그 비디오정보에 대한 서브코드데이터를 메모리시키기 위한 라이트신호(WE)를 발생하는 CDG디코더를 나타내고, 16은 상기 CDG디코더(14)로 부터의 라이트신호(WE)를 공급받아 CDG디스크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메모리하는 예컨대 DRAM으로 이루어진 메로리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은 CDG디스크나 비디오디스크를 안착하는 디스크트레이[도시되지 않음]를 개폐시키기 위한 키설정과 디스크의 재생기능을 키설정하는 기능설정부(24)로 부터의 키설정동작에 따라 전반적인 기능동작을 제어하고, 그 기능설정부(24)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키설정데이터를 입력받아 폐쇄제어신호(CLOSE)를 발생함과 더불어, CDG디스크의 안착상태를 검출한 검출신호를 그 검출단자(DET)를 통해 입력받아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마이컴을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30은 그 클리어단자(CL)가 전원(Vcc)측과 연결된 상태에서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상기 CDG디코더(14)에서 발생되는 라이트신호(WE)를 인가받고 그 프리세트단자(PR)를 통해 상기 마이컴(20)에서 발생되는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신호(CLOSE)를 공급받아서 그 출력단자(Q)를 통해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예컨대 D-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펄스발생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펄스발생기(30)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프리세트단자(PR)를 통해 상기 마이컴(20)으로 부터의 폐쇄제어신호(CLOSE)를 공급받게 되는 시점에서 트리거되어 그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레벨신호를 발생하다가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CDG디코더(14)로부터의 라이트신호(WE)의 하강엣지에서 로우레벨신호로 반전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펄스발생기(30)는 그 프리세트단자(PR)를 통해 상기 마이컴(20)으로 부터의 폐쇄제어신호(CLOSE)를 인가받아 프리세트되더라도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라이트신호(WE)가 인가되지 않게 되면, 그 출력단자(Q)를 통해 로우레벨로의 반전상태가 없는 즉, CDG디스크의 검출이 없는 하이레벨신호가 계속적으로 발생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제 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CDG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도시되지 않음)에 안착된 상태에서 기능설정부(24)의 키조작에 의해 그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키설정데이터가 발생되면서 마이컴(20)에서 폐쇄제어신호(CLOSE)가 발생된 다음에, 해당 디스크의 재생동작이 개시되는 경우에, 펄스발생기(30)는 그 프리세트단자(PR)를 통해 상기 마이컴(20)으로 부터 발생되는 폐쇄제어신호(CLOSE)를 인가받아 트리거되면서 그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레벨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디스크트레이에 안착된 CDG디스크의 서브코드데이터가 독취되어 디지털신호처리된 다음에, CDG디코더(14)에서 라이트신호(WE)의 발생이 개시되면서 서브코드데이터가 메모리부(16)에 기입되어 메모리되는 시점이 되면, 상기 펄스발생기(30)는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상기 라이트신호(WE)를 공급받아서 그 라이트신호(WE)의 하강엣지에서 로우레벨신호로 반전되면서 그 출력단자(Q)를 통해 소정 펄스기간(t)에 따른 검출신호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이컴(20)은 그 검출단자(DET)를 통해 상기 펄스발생기(20)로 부터의 검출신호를 인가받아 CDG디스크의 안착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 디스크트레이에 비디오디스크가 안착되어 재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CDG디코더(14)에서 서브코드데이터의 기입을 위한 라이트신호(CLOSE)가 발생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펄스발생기(30)는 상기 마이컴(20)으로 부터의 폐쇄제어신호(CLOSE)에 의해 프리세트되어 트리거되더라도 그 클리어단자(CLK)를 통해 라이트신호(WE)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면서 그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레벨신호가 계속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펄스발생기(30)로 부터의 하이레벨신호를 인가받게 되면서 비디오디스크의 안착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비디오디스크와 CDG디스크의 양립재생이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 마이컴으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있는 상태에서 CDG디코더로 부터의 서브코드데이터의 메모리를 위한 라이트신호를 인가받아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에 의해 CDG디스크나 비디오디스크의 재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스템의 기능이 복잡해지게 되어 마이컴의 인터럽트단자의 할애가 어렵게 되더라도 디스크의 판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CDG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양립재생이 가능한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CDG디스크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메모리하기 위해 CDG디코더(14)로 부터 발생되어 메모리부(16)에 공급되는 라이트신호(WE)를 그 클록단자(CLK)를 통해 입력받고 마이컴(20)으로 부터의 디스크트레이의 폐쇄를 위한 폐쇄제어신호(CLOSE)를 그 프리세트단자(PR)에 공급받아 상기 마이컴(20)에 디스크판별을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3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
KR2019950022032U 1995-08-24 1995-08-24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KR0117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032U KR0117510Y1 (ko) 1995-08-24 1995-08-24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032U KR0117510Y1 (ko) 1995-08-24 1995-08-24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34U KR970011034U (ko) 1997-03-29
KR0117510Y1 true KR0117510Y1 (ko) 1998-05-15

Family

ID=1942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032U KR0117510Y1 (ko) 1995-08-24 1995-08-24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5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34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52437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WO1988006785A1 (en) Disc recording apparatus
KR940010809B1 (ko) 데블데크 콤팩트 디스크 기록 장치 및 기록방법
JPH076568A (ja) オーディオ信号録音装置
KR0117510Y1 (ko) 멀티디스크재생시스템의 디스크판별장치(apparatus for disc distinction in multi-disc reproducing system)
JPH0439156B2 (ko)
KR100225442B1 (ko) 디스크 플레이어 및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피크검출방법
JPH06215483A (ja) 記録装置
US5142959A (en) Midi control apparatus and midi system
JP359403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21194B1 (ko) Cd/cdg 디스크의 판별방법
KR970003060A (ko) 시디롬/플로피 디스크 겸용 구동 회로
KR950010278B1 (ko)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cdg 자동판별장치 및 그 방법
JPH109205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0136006B1 (ko) 광디스크 재생시스템의 오디오상태 자동설정장치(automatic audio state sett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player)
KR100258592B1 (ko) 자기기록신호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4903B1 (ko) 디브이디 재생 장치의 오디오 재생 제어 방법
JP3166846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0162330B1 (ko) 광디스크 트릭 플레이 장치
JP310669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860093B2 (ja) 情報記憶媒体再生装置
JP263092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31538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960005547A (ko) 그래픽 디스크 및 오디오 디스크의 판별 장치 및 방법
KR19980058846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데이타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