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394Y1 - 윈도우 스위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94Y1
KR0117394Y1 KR2019930010310U KR930010310U KR0117394Y1 KR 0117394 Y1 KR0117394 Y1 KR 0117394Y1 KR 2019930010310 U KR2019930010310 U KR 2019930010310U KR 930010310 U KR930010310 U KR 930010310U KR 0117394 Y1 KR0117394 Y1 KR 0117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t
terminal
waist
window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150U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이동신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신,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동신
Priority to KR201993001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94Y1/ko
Publication of KR950002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의 접속단자 기능을 하는 콘택트 콤플리트(CONTACT COMPLETE) (이하 CPT라 함)의 허리부분의 강도를 보강하여 스위치의 반복사용에 따른 CPT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것으로 윈도우 스위치의 콘택트 콤플리트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콤플리트의 허리부에 살붙임을 하여 허리부 강도를 보강하는 것임.

Description

윈도우 스위치
제1도는 윈도우 스위치의 평면도.
제2도는 A - A선의 단면도.
제3도는 CPT와 고정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CPT와 고정브라켓의 조립 사시도
제5도는 CPT의 작동상태도
제6도는 종래 CPT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CPT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 고정브라켓3,4. 콘택트 콤플리트
9. 슬라이더12. 노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의 접속단자 기능을 하는 콘택트 콤플리트(CONTACT COMPLETE) (이하 CPT라 함)의 허리부분의 강도를 보강하여 스위치의 반복사용에 따른 CPT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는 노브(KNOB)의 시소(SEE SAW)운동에 의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형태의 시소스위치(SEE SAW SWITCH)로서, 자동차의 창문을 상.하로 작동하기 위하여는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모터에 직류전원의 +,-극을 바꾸어 주면 모터가 정.역 회전을 하면서 창문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는 모터에 +극과 -극의 전류를 교대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 BODY)에 4개의 고정브라켓(2)을 리벳(R)으로 리벳팅 고정하며, 리벳팅고정시에 -단자(6)을 함께 고정하며 -단자(6)에는 전선(7)을 연결하여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과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의 끼움판(2a,2b)에 CPT(3)를 탄력적으로 장착하고 CPT(3)의 상단부에 슬라이더(9)를 접촉하도록 설치하므로서 슬라이더(9)를 상하 작동시킴에 따라 CPT(3)도 함께 탄력적으로 상하 운동하도록 한다.
슬라이더(9)는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 홈(11)에 끼워져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슬라이더(9)의 한쪽 끝단은 CPT(3)의 허리부(3e)와 맞닿게 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케이스(10) 위로 돌출되어 노브(12)에 근접하게 위치시켜 노브(12)의 하강 운동에 따라 슬라이더(9)가 하강운동하도록 된다.
상기의 노브(12)는 상부 케이스(10)에 고정된 지지판(13)의 홀(HOLE)에 힌지핀(12a)과 함께 끼워져 노브(12)는 이 힌지핀(12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제3도에는 고정브라켓(2)과 CPT(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브라켓(2)에는 날개형으로 하여 좌·우에 2개의 끼움판(2a,2b)이 있는 것으로, 끼움판(2a,2b)에는 CPT(3)를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홈(2c,2d)이 가공되어 있다.
CPT(3)는 탄력성을 가지며 도전성이 양호한 재질(예를 들면 동판)로 되는 얇은 판재로 고정부(3a), 가동부(3b), 연결부(3C), 탄력편(3d)이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펀칭 가공하며 가동부(3b)에는 단자부구멍(3g)을 가공하여 이 단자구멍(3g)에 리벳(3f)을 끼워 넣어 리벳팅하므로서 단자(3h)를 형성하고 연결부(3c)의 대략 중앙위치를 허리부(3e)로 하여 이 허리부(3e)를 슬라이더(9)가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CPT(3)를 고정브라켓(2)에 끼워 장착할때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T(3)의 탄력편(3d)의 끝단을 고정브라켓(2)의 장착홈(2d)에 끼우고 난 다음 CPT(3)의 고정부(3a)를 잡아 당기면서 고정브라켓(2)의 끼움판(2a)의 상단부를 거쳐 장착홈(2c)에 장착하면 CPT(3)의 탄력편(3d)은 약간 볼록 튀어나온 상태로 장착되며 이 탄력편(3d)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부(3b)를 상부로 향하도록 하는 탄발력이 작용하여 CPT(3)의 가동부(3b)는 항상 바로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터미널(5)의 개로 단자(5a)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CPT(3)의 허리부(3e) 바로 위에는 슬라이더(9)가 가볍게 닿아 있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CPT(3)의 상부에는 상시 폐로단자(5a)를 구비하고 있는 터미널(5)을 바디(1)의 브라켓(B)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시 개로단자인 +단자(8)가 바디(1)에 고정되며, +단자(8)에는 전선(7)을 연결하여 회로기판과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스위치의 작동과정을 제5도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자동차의 창문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노브(12)의 앞·뒤를 번갈아가면서 누름 조작하게 되는 것으로 왼쪽창문을 열고 닫고자 할때에는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 노브(12A)를 누름조작하며 오른쪽 창문을 여닫을때에는 오른쪽 노브(12B)를 조작하게 된다.
만일 왼쪽 창문을 열고자 할때에는 왼쪽 노브(12A)의 앞쪽(열림쪽)을 누르면 노브(12A) 바로 아래에 위치된 앞쪽 슬라이더(9)가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9)는 CPT(3)의 허리부(3e)를 누르게 된다.
이때 CPT(3)의 허리부(3e)를 누르는 힘이 탄력편(3d)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지금까지 터미널(5)의 상시폐로단자(5a)에 접촉되어 있던 CPT(3)의 단자(3h)는 상시 폐로단자(5a)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하여 CPT(3d) 하부에 위치한 +단자(8)에 접촉하게 되고, (제5도의 나)접촉하는 순간 회로기판에 회로를 연결하여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하면서 창문을 하방향으로 열게 된다.
창문을 희망하는 량만큼 열고 난 다음 노브(12A)에서 손을 떼어 노브(12A)를 누르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력편(3d)의 복원력에 의해 CPT(3)의 허리부(3e)는 슬라이더(9)를 밀어 올리게 되고 슬라이더(9)는 노브(12A)를 밀어 올려서 노브(12A)는 원위치로 돌아옴과 동시에 CPT(3)의 단자(3h)도 탄력편(3d)의 복원력에 의해 +단자(8)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하여 상부에 위치한 터미널(5)의 상시 폐로단자(5a)에 접촉하게 되고, 이탈하는 순간 모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창문을 더이상 열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열린 왼쪽 창문을 다시 닫고자 할때에는 왼쪽 노브(12A)의 뒤쪽(닫힘쪽)을 누르면 이번에는 뒤쪽 슬라이더(9)가 눌려지면서 뒤쪽에 위치한 CPT(3)의 허리부(3e) 눌려주면 뒤쪽 CPT(3)의 단자(3h)가 회로기판에 회로를 구성하여 모터를 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창문이 상승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제6도에는 종래의 CPT(3)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는 바, 허리부(3e)가 연결부(3C)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CPT를 사용하여 만든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를 반복 사용하게 되면 CPT(3)의 허리부(3e)는 반복되는 스위칭 작동시 반복하중에 의해서 집중적으로 피로를 받게 되어 쉽게 절단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CPT 허리부(3e)의 절단은 곧바로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의 수명으로 직결되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CPT(3) 허리부(3e)의 강도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CPT 허리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CPT 허리부가 쉽게 절단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CPT 허리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CPT 허리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첨부도면과 함께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CPT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반복되는 스위칭 작동시 슬라이더(9)에 접촉되어져 반복하중을 받고 이에 따라 피로가 집중되어 쉽게 절단되는 CPT 허리부(4e)에 살붙임하여 허리부(4e)의 폭을 넓게 한 보강 리브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는 종래의 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왼쪽 창문을 열고자 할때에는 왼쪽 노브(12A)의 앞쪽(열림쪽)을 누르면 앞쪽 슬라이더(9)이 눌리어지고, 앞쪽 슬라이더(8)에 의해 CPT의 허리부(4e)가 눌려지면서 CPT(4)의 단자(4h)가 +단자(8)에 접촉하는 순간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회로를 연결하여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하면서 창문을 하방향으로 열게 되고, 희망하는 양만큼 열고 난후, 노브(12A)에서 손을 떼면 +단자(8)에 접촉되어 있던 CPT(4)의 단자(4d)가 터미널(5)의 개로단자(5a)에 접촉하게 되면서 모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창문은 더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CPT(4)의 허리부(4e)에 살붙임하여 주므로서 CPT(4)의 작동 내구성을 높여 주므로서 CPT(4)의 사용수명이 연장되었고 궁극적으로는 자동차용 윈도우 스위치의 사용수명이 연장되어질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윈도우 스위치의 콘택트 콤플리트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콤플리트의 허리부에 살붙임을 하여 허리부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스위치.
KR2019930010310U 1993-06-12 1993-06-12 윈도우 스위치 KR0117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310U KR0117394Y1 (ko) 1993-06-12 1993-06-12 윈도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310U KR0117394Y1 (ko) 1993-06-12 1993-06-12 윈도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150U KR950002150U (ko) 1995-01-04
KR0117394Y1 true KR0117394Y1 (ko) 1998-06-01

Family

ID=1935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310U KR0117394Y1 (ko) 1993-06-12 1993-06-12 윈도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150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372A (en) Keyboard having connecting parts with downward open recesses
US4002874A (en) Double-throw rocker switch with selective lockout means
US20070144875A1 (en) Push button switch
US5746308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scissors-type arm members
EP2106885A1 (en) Electric power tool
US3467801A (en) Reversing switch
KR0117394Y1 (ko) 윈도우 스위치
CN208368398U (zh) 自复位墙壁开关
JPH0845371A (ja) 電気スイッチ及び電気装置
CN210245377U (zh) 一种具有强脱结构的开关
US4091247A (en) Double pole-double throw switch
JPH0541476Y2 (ko)
JPH0528667Y2 (ko)
US4603242A (en) Electrical snap switch
EP3312863B1 (en) Switch device in particular for a use in a push pull window lifter mechanism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JPS6110623Y2 (ko)
GB1604432A (en) Electrical switch combination
JPS607650Y2 (ja) 電気かみそり
CN107910233B (zh) 一种电操用机械联锁装置
JP2697053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JP4807742B2 (ja) せん断刃ユニット
JP3593687B2 (ja) スイッチ装置
JPH0541922Y2 (ko)
JP4382276B2 (ja) 電気機器の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