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650Y1 - 사출뱃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출뱃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650Y1
KR0116650Y1 KR2019940013307U KR19940013307U KR0116650Y1 KR 0116650 Y1 KR0116650 Y1 KR 0116650Y1 KR 2019940013307 U KR2019940013307 U KR 2019940013307U KR 19940013307 U KR19940013307 U KR 19940013307U KR 0116650 Y1 KR0116650 Y1 KR 0116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badge
insert
electronic produc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215U (ko
Inventor
손치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3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650Y1/ko
Publication of KR960000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전자제품의 생산자 표시를 위한 각종 로고가 부착되는 사출뱃지 조립체가 개시되는바, 이는 전자제품을 전혀 분해하지 않고서 사출뱃지를 외부에서만 삽입 및 분해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수의 절감은 물론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사출뱃지 조립체는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2개의 원통형 부위와 결합공이 형성된 직선형 부위를 사출뱃지의 레그부분에 형성하고, 전자제품 본체에는 원통형 부위와 직선형 부위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요홈부를 형성하되, 제 2 요홈부는 탄력적으로 동작되도록 설계되어 사출뱃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뱃지 조립체
제 1 도의 (가),(나)는 종래의 일반적인 사출뱃지들의 사시도 및 단면도,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제 4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사출뱃지 32 : 로고 표시부
34 : 직선형 부위 36 : 원통형 부위
37 : 결합공 40 : 전자제품 본체
45 : 돌기
이 고안은 텔레비젼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면 패널에 부착되어 생산자 표시를 위한 로고가 표기되는 사출뱃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텔레비젼 또는 세탁기, 냉장고와 같은 각종전자제품에는 생산자 표시를 위한 로고가 외부에 표시되는 사출뱃지가 부착되는바, 이 사출뱃지는 제품의 성능과는 상관없으나 제품의 이미지 또는 제조회사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사출뱃지의 일반적인 형태는 제 1 도의 (가), (나)에 도시되어 있는바, 제 1 도의 (가)는 결착식 사출뱃지이고, 제 1 도의 (나)는 삽입식 사출뱃지이다.
제 1 도의 (가)에 도시한 사출뱃지(10)의 기기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용 레그(12)가 형성되어 있고, 사출뱃지의 표기부(14)에는 소정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사출뱃지(10)는 기기본체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았음)에 삽입용 레그(12)를 삽입하게 되면 삽입용 레그(12)의 걸림턱(12a)에 구멍에 걸리게 됨으로써 기기본체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레그(12)는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갖게되어 구멍내에 단단히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사출뱃지는 표기부(14)에 무리한 힘을 가했을 경우, 레그가 부러지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조립한 후에는 기기본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느 전혀 재장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어느 정도 보완하기 위해 제 1 도의 (나)와 같은 사출뱃지가 사용되고 있는바, 이 사출뱃지(20)는 만곡가능한 재질의 레그(22)를 표시부(24)와 일체로 형성시켜 기기본체(26)에 삽입후 기기본체 내측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22)를 가요성 재질로 만들어 화살표(A)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레그(22)의 부러짐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제 1 도의 (나)에 도시된 사출뱃지는 한번 장착후 기기본체를 분해하지 않을 경우 레그를 다시 삽입하더라도 레그를 구부릴 수 없으므로 부착상태가 견고하지 않는 결점
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사출뱃지의 고정 및 이탈이 용이하며 부착상태가 견고하도록 한 사출뱃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 조립체의 특징은 가전제품의 생산자 표시를 위한 로고가 외부에 표기되는 로고 표시부를 구비한 사출뱃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로고표시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자제품 내부로 삽입되며 직선형과 원통형 부위 밑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된 삽입체, 상기 전자제품에 상기 직선형 부위와 원통형 부위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 요홈부 구비하되 제 1 요홈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홈부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시 상기 삽입체를 밀착결합시키기 위해 전자제품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고정제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인바, 사출뱃지(30)는 각종 로고가 표시되는 표시부(32)와 이 표시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자제품(4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34)를 포함한다. 삽입체(34)는 직선형 부위(35)과 원통형 부위(36) 및 결합공(37)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기기본체(40)는 삽입체(34)의 직선형 부위(35)와 원통형 부위(36)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요홈부(42)와 제 2 요홈부(44)를 구비한다.
제 1 요홈부(42)에는 결합공(37)에 결합되는 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2개의 제 2 요홈부(44)는 삽입체(34)의 삽입시 삽입체(3)를 밀착결합시키기 위해 전자제품(4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사출뱃지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삽입체(34)의 직선형 부위(35)와 원통형부위(36)를 기기본체(40)의 제 1 요홈부(42)와 제 2 요홈부(4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 이들부위(34,36)가 제 1 및 제 2 요홈부(42,44)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이 될 경우, 결합공(37)에는 돌기(45)가 결합되는바, 삽입시 제 2 요홈부(44)는 제 4 도에 도시한 화살표 (B)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돌기(45)가 결합공(37)에 결합되고, 2개의 제 2 요홈부(44)가 두 개의 원통형 부위(36)를 탄력적으로 밀착결합시킴으로써 삽입체는 어느 정도의 외력으로서 취출하려고 해도 기기본체(4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당한 외력을 화살표 (C) 방향으로 인가할 경우에는 돌기(45)가 결합공(37)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삽입체(34)는 본체(40)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사출뱃지 조립체에 의하면, 사출뱃지의 분해시 기기본체를 전혀 해체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기기본체의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가전제품의 생산자 표시를 위한 로고가 외부에 표기된는 로고 표시부를 구비한 사출뱃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로고표시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자제품 내부로 삽입되며 직선형과 원통형 부위 및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된 삽입체; 상기 전자제품에 상기 직선형 부위와 원통형 부위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 요홈부를 구비하되 제 1 요홈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홈부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시 상기 삽입체를 밀착결합시키기 위해 전자제품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고정제로 구성된 사출뱃지 조립체.
KR2019940013307U 1994-06-09 1994-06-09 사출뱃지 조립체 KR0116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307U KR0116650Y1 (ko) 1994-06-09 1994-06-09 사출뱃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307U KR0116650Y1 (ko) 1994-06-09 1994-06-09 사출뱃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15U KR960000215U (ko) 1996-01-17
KR0116650Y1 true KR0116650Y1 (ko) 1998-04-23

Family

ID=1938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307U KR0116650Y1 (ko) 1994-06-09 1994-06-09 사출뱃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6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30B1 (ko) * 2019-10-10 2021-02-23 김용석 다용도 뱃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15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6650Y1 (ko) 사출뱃지 조립체
KR200168703Y1 (ko) Lcd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결착구조
JPH0757608A (ja)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KR100362812B1 (ko) 스냅 결합식 탄성 체결구
KR970000685Y1 (ko) 적산전력량계의 천용방지용 봉인장치
KR0131201Y1 (ko) 푸시 버튼 고정장치
JPH10322038A (ja) 電気機器
KR0116654Y1 (ko) 텔레비젼 케이스 체결장치
KR0115423Y1 (ko) 모니터의 콘트롤박스 착탈장치
KR930006491Y1 (ko) 캐비넷의 고정장치
KR200399996Y1 (ko) 택 체결구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970003853Y1 (ko) 전자제품의 윈도우 조립체구조
KR101285664B1 (ko) 세탁 장치
KR0116655Y1 (ko) 텔레비젼 케이싱 틈새 방지장치
KR200156246Y1 (ko) 안테나잭체결구조
KR200150954Y1 (ko) 노브 결합구조물
KR20000052376A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200150496Y1 (ko) 파워코드 스토퍼의 고정체
KR200270914Y1 (ko) 종이클립
KR200222838Y1 (ko) 김치냉장고 제어부패널의 결합구조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JPS581666A (ja) 封緘具
KR930005681Y1 (ko) 캐비넷 결합구조
KR910009578Y1 (ko) 모니터의 커버(cover) 및 회로 기판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