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189Y1 -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189Y1
KR0116189Y1 KR2019940027872U KR19940027872U KR0116189Y1 KR 0116189 Y1 KR0116189 Y1 KR 0116189Y1 KR 2019940027872 U KR2019940027872 U KR 2019940027872U KR 19940027872 U KR19940027872 U KR 19940027872U KR 0116189 Y1 KR0116189 Y1 KR 0116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insulation cover
wir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002U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오복래
청원온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오복래, 청원온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19940027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189Y1/ko
Publication of KR960013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3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실의 천정부에 위치한 보온덮개를 지지하는 보온덮개 지지수단, 상기 보온덮개의 일단을 고정하며 상기 보온덮개 지지수단의 위에서 자전과 동시에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보온덮개를 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보온덮개 권취축, 상기 보온 덮개 권취축에 상기 보온덮개를 말아올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온 덮개 권취수단,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상기 보온덮개를 풀어내리는 방향의 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온덮개 전개수단 및 상기 보온덮개 권취수단과 보온덮개 전개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반으로 구성되어, 온실의 보온을 위해 덮어주는 보온덮개를 자동으로 덮어주거나, 또는 말아걷어줌으로써 단열이 우수한 두꺼운 피복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보온덮개 권취축의 위치 보정을 안내 레일이나 안내 가이드같은 주변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브라케트의 설치 각도 조정만으로 간단하게 보정할수 있다.

Description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주요부인 제 2지지부와 브라케트의 결합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설명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지지대 2 : 측벽 지지대
3: 보온덮개 4 : 보온덮개 지지와이어
5 : 제1지지부 6 : 제2지지부
10 : 보온덮개 권취축 20 : 제1감속모터
21 : 와이어 권취축 22 : 권취 와이어
23 : 제1클러치 30 : 제2감속모터
31 : 와이어 전개축 32 : 전개 와이어
33 : 제2클러치 40 : 브라케트
본 고안은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실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온용 보온덮개를 모터에 의해 덮어주거나 또는 말아 걷어주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에 여름작물을 재배하거나, 또는 추운 지방에서 더운 지방의 작물을 재배할 때, 일반적으로 온실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온실에는 보온을 위한 보온덮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보온덮개는 주, 야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주간에는 햇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보온덮개를 걷어주고, 야간에는 방열되지 않도록 덮어줌으로써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온실의 개폐를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또는 상기한 수작업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슬라이드식 개폐장치를 이용하고 있었다. 슬라이드식 개폐 장치는 햇빛 차단 기구인 블라인드와 같이, 보온 덮개가 다수의 박푼 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때는 각 보온 덮개를 적층식으로 접은 상태로 있고, 사용할때는 각각이 맞대어지도록 전개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슬라이드식 개폐장치는 각 보온 덮개를 적층시켜 접는 방식이므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피복재료의 두께가 얇아야 하고, 이로 인하여 보온 덮개의 마모 또는 파손이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자주 교체하여야 하며, 또한 두께가 얇아서 난방비가 과중하게 소요된다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보온덮개를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시킴으로써 수작업의 불편함을 개선한 온실 보온 덮개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온덮개를 권취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단열이 우수한 두꺼운 보온덮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실의 천정부에 위치한 보온덮개를 지지하는 보온덮개 지지수단과, 상기 보온덮개의 일단을 고정하며 상기 보온덮개 지지수단의 위에서 자전과 동시에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보온덮개를 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보온덮개 권취축과,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상기 보온덮개를 말아올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온덮개 권취수단과,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상기 보온덮개를 풀어 내리는 방향의 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온덮개 전개수단 및 상기 보온덮개 권취수단과 보온덮개 전개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덮개 지지수단은 상기 보온덮개의 밑단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보온덮개 지지와이어와, 온실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 지지대 상부의 양측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상기 보온덮개의 일단과 보온덮개 지지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 1 지지부와, 온실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측벽지지대의 상부 양측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 2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부를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의 기울기보다 큰 각도가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 지지대에 부착된 브라케트에 고정시켜 상기 보온 덮개를 펼칠 때,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이 상기 브라케트와 측벽 지지대가 이루는 V자 홈으로 자중에 의해 떨어짐으로써 완전히 펼쳐지지 않았던 상기 보온덮개를 잡아 당겨주게 됨으로 상기 보온덮개가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 및 측벽 지지대에 밀착되어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케트가 상기 측벽 지지대와 이루는 각도는 약 40°-50°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케트의 두께를 상기 제 2지지부의 두께보다 얇게 해줌으로써 단턱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이 상기 보온덮개 권취수단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이 상기 단에 걸려 약간의 공회전을 하는동안 평행한 위치로 보정되어 상기 보온덮개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일정하게 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덮개 권취수단은 구동원인 제 1 감속모터와, 일측은 상기 제 1 감속모터 축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중앙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권취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권취축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 위를 지나 상기 보온 덮개 권취축의 외주면을 감싸고 돌아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 밑단을 거쳐서 상기 제 1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를 걷을 때 상기 와이어 권취축에 감기면서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을 회전이동시키는 다수의 권취 와이어 및 상기 제 1 감속모터 축과 와이어 권취축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속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 1클러치로 구성된다. 상기 보온덮개 전개수단은 구동원인 제 2 감속모터와, 일측은 상기 제 2 감속모터 축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측벽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전개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를 걷을때는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장기 보온덮개와 같이 말리어지고 상기 보온덮개를 펼때는 상기와이어 전개축에 감김과 동시에 상기 보온덮개와 동시에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말리어져 있던 와이어가 풀어짐으로써 상기 보온덮개를 펼치도록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에 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전개 와이어 및 상기 제 2 감속모터와 와이어 전개축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 2 감속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 2 클러치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주요부인 제 2 지지부와 브라케트의 결합 사시도이며,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온실의 중앙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온실의 중앙단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대(1)와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측벽 지지대(2)로 구성된 온실의 천정에 보온덮개(3)를 걷어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보온덮개(3)는 온실의 내부온도 유지를 위한 단열 피복재료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단열이 우수한 두꺼운 피복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지지대(1)의 상부를 가로질러 양측이 볼트로 고정된 제 1 지지부(5)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의 축 방향으로는 상기 보온덮개(3)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측벽 지지대(2)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케트(40)에 제 2 지지대(6)가 볼트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브라케트(40)는 상기 측벽 지지대(2)와 약 40°-5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브라케트(40)의 두께를 상기 제 2 지지부(6)의 두께보다 얇게하여 단턱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제 1 지지부(5)에 형성된 후크(도시되지 않음)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지지부(6)에 형성된 후크(도시되지 않음)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3)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가 설치된다.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는 상기 제 1 지지부(5)에서 상기 제 2 지지부(6) 방향으로 약 10°-에 20°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는 상기 보온덮개(3)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것으로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온덮개(3)의 타단은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위를 회전이동하며 상기 보온덮개(3)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보온덮개 권취축(10)에 고정된다.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위를 회전이동하며 상기 보온덮개(3)를 자동으로 감아 올릴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원인 상기 제 1 감속모터 축(20a)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중앙지지대(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권취축(2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3) 위를 지나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의 외주면을 감싸고 돌아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3)를 걷을 때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에 감기면서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회전이동시키는 다수의 권취 와이어(22) 및 상기 제 1 감속모터 축(20a)과 와이어 권취축(21)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감속모터(2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 1 클러치(23)로 구성된 와이어 권취수단이 상기 제 1지지부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중앙 지지대(1)에 설치된 받침대(1a)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은 회전에 의한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1)에 베어링(1b)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 1 감속모터(20)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제 1 감속코너 축(20a), 상기 제 1 클러치(23) 및 상기 축(20a)과 와이어 권취축(21)단에 연결시키는 커플링(20b)을 거쳐서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 1 클러치(23)는 평상시에는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맞물려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 1 감속모터(20)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맞물리면서 상기 제 1 감속모터 (20)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위를 회전이동하며 상기 보온덮개(3)을 자동으로 풀어내리기 위해, 구동원인 제2 감속모터(30)와, 일측은 상기 제 2 감속모터 축(30a)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측벽에 지지대(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전개축(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상기 보온덮개(3)와 같이 말리어지고 상기 보온덮개(3)를 펼 때는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에 감김과 동시에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말리어져 있던 와이어가 풀어짐으로써 상기 보온덮개(3)를 펼치도록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전개 와이어(32) 및 상기 제 2 감속모터(30)와 와이어 전개축(31)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 2 감속모터(3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 2 클러치(33)로 구성된 보온덮개 전개수단이 상기 측벽 지지대(2)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감속모터(30)는 상기 측벽 지지대(2)에 설치된 받침대(2a)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은 회전에 의한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벽 지지대(2)에 베어링(2b)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 2 감속모터(30)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제 1 감속코터 축(30a), 상기 제 2 클러치(33) 및 상기 축(30a)과 와이어 전개축(31)을 연결시키는 커플링(30b)을 거쳐서 상기 와이어 권취축(31)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 2 클러치(33)는 평상시에는 상기 와이어 전개축(31)과 맞물려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 2 감속모터(30)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전개축(31)과 맞물리면서 상기 제 2 감속모터(30)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감속모터(20)와 제 2 감속모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반(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중앙 지지대(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반에는 상기 제 1 감속모터(20) 및 제 1 클러치(23)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스위치를 누르는 동안만 상기 제 1 감속모터(20) 및 제 2 감속모터(30)가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온덮개(3)가 펼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권취 와이어(22)와 전개와이어(32)에 의해 상기 보온덮개(3)를 감거나 펼치는 동작을 계속하다 보게되면,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와이어 전개축(31)에 평행하던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의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상기 보온덮개(3)가 완전히 펼쳐지지 못하여 보온 효과가 반감되고, 또한 상기 보온덮개(3)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일정하게 감길 수가 없게 되므로 다음의 개폐동작 수행이 어렵게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 2 지지부(6)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브라케트(40)를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의 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측벽 지지대(2)에 부착하여 줌으로써, 상기 보온덮개(3)를 펼칠 때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브라케트(40)와 측벽 지지대(2)가 이루는 V자 홈으로 자중에 의해 떨어짐으로써 완전히 펼쳐지지 않았던 상기 보온덮개(3)를 잡아 당겨주게 됨으로 상기 보온덮개(3)가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및 측벽 지지대(2)에 밀착되어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벽 지지대(2)와 브라케트(40)가 이루는 각도의 크기는 약40°-50°정도로, 그중에서도 45°인 것이 가장 바람직스럽다. 또한, 상기 브라케트(40)의 두께를 상기 제 2지지부(6)의 두께보다 얇게 해줌으로써 단턱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권취 와이어(22)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단에 걸려 약간의 공회전을 하는동안 평행한 위치로 보정되어 상기 보온덮개(3)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일정하게 감길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온실천정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의 개폐동작은 다음과 같다. 야간에 상기 보온덮개(3)를 덮어주기 위해 상기 제 2 감속모터(30)를 구동시키는 상기 조작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 2 감속모터(30)가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클러치(33)가 상기 와이어 전개축(31)과 결합되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이 상기 보온덮개(3)를 펼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전개 와이어(32)가 상기 와이어 전개축(31)에 감기게 되고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3)와 같이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말리어있던 타단이 풀어지면서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을 회전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보온덮개(3)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은 상기 제 1 클러치(23)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권취 와이어(22)를 자연스럽게 풀어주게 된다. 상기 보온덮개(3)가 완전히 펼쳐질 시점에서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보다 큰 각을 이루도록 상기 측벽 지지대(2)에 부착된 상기 브라케트(40)와 측벽 지지대(2)가 이루는 V자 홈에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자중에 의해 떨어짐으로써 상기 보온덮개(3)의 완전히 펼쳐지지 못한 부분을 잡아 당겨주게 되어 상기 보온덮개(3)가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및 측벽 지지대(2)에 밀착되어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주간에 상기 보온덮개(3)를 걷어주기 위해 상기 제 1 감속모터 (20)를 구동시키는 상기 조작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 1 감속모터(20)가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 1 클러치(23)가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이 상기 보온덮개를 걷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 와이어(22)가 상기 와이어 권취축(21)에 감기게 되면서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을 잡아 당김과 동시에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의 상단을 눌러줌으로써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을 회전이동시켜 상기 보온덮개(3)를 걷어 올리게된다. 또한, 권취 초기에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상기 V자 홈에서 빠져나올 때 상기 브라케트(40)의 두께를 상기 제 2 지지부(6)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형성된 단턱에 의해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이 걸려 약간의 공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평행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의 위치 보정이 되어 상기 보온덮개(3)가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일정하게 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온덮개를 감속모터에 및 클러치의 권취작동에 의해 권취측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림으로써 단열이 우수한 두꺼운 보온덮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권취축의 위치 보정을 안내 레일이나 안내 가이드 같은 주변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브라케트의 설치 각도 조정만으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온실의 천정부에 위치한 보온덮개(3)를 지지하는 보온덮개 지지수단; 상기 보온덮개(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보온덮개 지지수단의 위에서 자전과 동시에 왕복이동하면서 보온덮개(3)를 말아 올리거나 풀어내리는 보온덮개 권취축(10);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보온덮개(3)를 말아올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온덮개 권취수단; 상기 보온덮개 권취축(10)에 보온덮개(3)를 풀어내리는 방향의 역회전을 전달하는 보온덮개 전개수단; 및 상기 보온덮개 권취 및 전개 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반으로 구성된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 지지수단은 보온덮개(3) 밑단을 받쳐 지지하는 다구의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 온실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지지대(1) 상부의 양측단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상기 보온덮개(3)의 일단과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의 일단의 고정된 제 1 지지부(5); 및 온실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측벽 지지대(2)의 상부 양측단을 가로질려 연결하고, 상기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의 타단이 고정된 제 2 지지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6)는 브라케트(4)로 측벽 지지대(2)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6)에서 보온덮개 지지와이어(4)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도가 브라케트(40)가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케트(40)가 상기 측벽 지지대(2)와 이루는 각도는 40°내지 5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 덮개 자동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케트(40)의 두께는 상기 제 2지지부(6)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 권취수단은 구동원인 감속모터(20); 일측은 상기 감속모터(20) 축(20a)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중앙 지지대(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권취축(21)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와이어 권취축(21)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3) 위를 지나 상기 보온덮개 권취부(10)의 외주면을 감싸고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온덮개(3) 밑단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5)에 고정된 다수의 권취 와이어(22); 및 상기 감속모터(20) 축(20a)과 와이어 권취축(21)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2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 전개수단은 구동원인 감속모터(30); 일측은 상기 감속모터(30) 축(30a)과 결합되고, 타측도 상기 측벽지지대(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전개축(31)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보온덮개권취축(10)에 고정된 다수의 전개 와이어(32); 및 상기 감속모터(30)와 와이어 전개축(31)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3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보온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19940027872U 1994-10-25 1994-10-25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0116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72U KR0116189Y1 (ko) 1994-10-25 1994-10-25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72U KR0116189Y1 (ko) 1994-10-25 1994-10-25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02U KR960013002U (ko) 1996-05-17
KR0116189Y1 true KR0116189Y1 (ko) 1998-04-17

Family

ID=1939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872U KR0116189Y1 (ko) 1994-10-25 1994-10-25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1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04B1 (ko) * 2001-02-26 2003-10-17 이현주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296050B1 (ko) * 2011-12-30 2013-08-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식 루프 시스템
KR102158940B1 (ko) * 2019-11-21 2020-09-22 김종화 하우스형 식물공장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44A (ko) * 1999-05-04 1999-08-05 심정섭 자동정지 개폐기
KR100710742B1 (ko) * 2006-04-05 2007-04-23 김범식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04B1 (ko) * 2001-02-26 2003-10-17 이현주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296050B1 (ko) * 2011-12-30 2013-08-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식 루프 시스템
KR102158940B1 (ko) * 2019-11-21 2020-09-22 김종화 하우스형 식물공장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0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308B1 (en) Covering mechanism for a greenhouse
US6338377B1 (en) Skylight assembly with head rail-mounted actuator
KR0116189Y1 (ko)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1360227B1 (ko) 온실용 무그림자형 보온커튼 개폐장치
JP2001032378A (ja) プラスチック・カバー・フォイル用の駆動機構
KR20060031798A (ko)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CN220630320U (zh) 一种温室大棚的卷被装置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KR20020069398A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CN218499679U (zh) 一种温室大棚的可开合顶膜结构
KR100710742B1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EP1334655B1 (en) Device for winding a screen
CN218831445U (zh) 一种具有自动遮阳功能的农业大棚
CN2556295Y (zh) 电动篷帘
CN220255243U (zh) 日光温室遮阳比例可调的遮阳装置
KR100448850B1 (ko) 온실용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및 보온커튼의 개폐장치
KR101385092B1 (ko) 온실용 커버 개폐장치
KR200423970Y1 (ko) 비닐하우스에서의 터널 보온덮개장치
JPS598529Y2 (ja) 温室ハウスにおける断熱性シ−トの展張装置
KR20030075675A (ko) 온실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및 보온커튼 자동개폐장치 및방법
KR0119378Y1 (ko) 연립형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970002149B1 (ko) 비닐하우스의 차양막 개폐장치
KR20050074665A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271769Y1 (ko) 단동식 하우스의 보온 덮개 개폐장치
CN115735623A (zh) 一种牵引式可自动开合顶膜的温室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