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931Y1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931Y1
KR0114931Y1 KR2019940016155U KR19940016155U KR0114931Y1 KR 0114931 Y1 KR0114931 Y1 KR 0114931Y1 KR 2019940016155 U KR2019940016155 U KR 2019940016155U KR 19940016155 U KR19940016155 U KR 19940016155U KR 0114931 Y1 KR0114931 Y1 KR 0114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operating
operator
car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976U (ko
Inventor
이수천
Original Assignee
박유재
주식회사 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재, 주식회사 에넥스 filed Critical 박유재
Priority to KR2019940016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931Y1/ko
Publication of KR960002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버부재(51)의 평면에 다수의 조작부재(53a,53b)가 설치된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를 보지 않고도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를 식별하도록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가 설치된 카버부재(51)의 각 평면높이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조작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장치
제1도는 종래 조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싱예에 의한 조작장치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카버부재 53a,53b : 조작부재
본 고안은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장치는 제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위치본체(10)와, 상기 각 스위치본체(10)가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카버부재(21)와, 상기 다수개의 스위치본체(10)를 작동시키는 각각의 조작부재(23a,23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버부재(21)에는 상기 조작부재(23a,23b)를 수용하도록 다수의 요입부(211,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요입부(211,213)의 저면에는 상기 스위치본체(10)가 각각 착탈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211,213)을 제외한 상기 바커부재(21)의 외면은 동일한 높이로 평탄하게 되어있다.
상기 스위치본체(10)는 상기 요입부(211,213)의 저면에 착탈가능케 배설되는 몸체(11a,11b)와, 상기 조작부재(23a,23b)를 누름에 따라 접점이 개폐되도록 상기 몸체(11a,11b)의 내부공간에 배설된 스위치(13a,13b)와, 상기 조작부재(23a, 23b)의 누름력을 상기 스위치(13a,13b)에 전달하도록몸체(11a,11b)의 일측에 배설된 전달부재(15a,15b)와, 상기 몸체(11a,11b)를 카버부재(21)에 고정시키는 너트(17a,17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1a,11b)의 저면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요입부(211,213)의 저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너트(17a,17b)에 의해 상기 요입부(211,213)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상에서 상기 스위치(13a,13b)의 좌측에는 스위치(13a,13b)의 내부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로드(131a,131b)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13a,13b)의 우측에는 전선(133a,133b)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전선(133a,133b)의 일단은 스위치(13a,13b)의 내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전선(133a,133b)의 타단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3a,13b)는 로드(131a,131b)를 한 번 누르면 온되고 다시한번 누르면 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로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13a,13b)의 로드(13a,13b)는 상기 몸체(11a,11b)의 좌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 전달부재(15a,15b)를 몸체(11a,11b)의 좌측부의 일면에 밀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23a,23b)는 상기 요입부(211,213)쪽으로 돌출된 전달부재(15a,15b)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카버부재(21)의 요입부(211,213)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각 조작부재(23a,23b)의 평면이나 외측에는 상승 하강 등의 조작명령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작장치에서 조작부재(23a)에는 상승명령이 표시되어 있고, 조작부재(23b)에는 하강명령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 명령에 맞춰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전선(133a,133b)이 접속됨과 동시에 카버부재(21)가 도시하지 않은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부재(23a)를 누르면, 상기 조작부재(23a)에 끼워진 전달부재(15a)가 스위치(13a)의 로드(131a)를 밀게 되고, 상기 로드(131a)에 의해 스위치(13a)내의 회로가 닫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체가 상승된다.
이때, 조작부재(23a)를 놓으면 상기 로드(131a)는 스위치(13a)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다시 돌출되지만 스위치(13a) 내부의 회로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이동체가 상승하는 층에 조작부재(23a)를 다시 누르면, 상기 조작부재(23a)에 끼워진 전달부재(15a)가 스위치(13a)의 로드(131a)를 다시 밀게 되고, 상기 로드(131a)에 의해 스위치(13a)내의 회로가 열려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체는 정지된다.
또는 이동체가 일정량 상승되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수단에 의해 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도시하지 않은 이동체는 정지된다.
상기 조작부재(23b)를 누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작장치의 작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가 구동되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체가 하강되거난 정지된다.
또는 이동체가 일정량 하강되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수단에 의해 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도시하지 않은 이동체는 정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작장치에서는 상승용 조작부재(23a) 및 하강용 조작부재(23b)가 동일한 높이의 카버부재(21) 평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누르고자 하는 조작부재가 아닌 다른 조작부재를 누르므로써,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체를 잘못 이동시키는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부재(23a,23b)를 정확히 보고 원하는 조작부재를 눌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불을 밝히고 원하는 조작부재를 눌러야 하며, 서서 어떤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자기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배설된 상기 조작장치를 정확히 조작하려면 작업자는 허리를 구부리고 조작장치의 조작부재(23a,23b)를 보면서 상기 조작부재를 눌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 문제점들은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조작부재가 배설되는 카버부재의 평면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하므로써, 조작자가 상기 조작부재를 보이 않고도 원하는 조작부재를 정확히 조작할수 있는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조작장치는 카버부재의 평면에 다수개의 조작부재가 배설된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재를 보지 않고도 각 조작부재를 식별하도록 상기 각 조작부재가 배설된 카버부재의 각 평면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카버부재(51)의 상부면(511)의 일정한 곳에 형성되 요입부(513)에는상승용 조작부재(53a)가 수용되어 상기 상부면(51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카버부재(51)의 하부면(515)의 일정한 곳에 형성된 요입부(517)에는 하강용 조작부재(53a)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면(515)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시 상승용 조작부재(53a)가 배설된 상부면(511)은 촉각에 의해 상기 하강용 조작부재(53b)가 배설된 하부면(515)에 대해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면(511)은 상기 하부면(515)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상기 조작부재(53a,53b)를 용이하게 더듬을 수 있도록 제 3도상에서 볼 때 상기 카버부재(51)의 좌우 윤곽선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카버부재(51)의 좌우 윤곽선은 사람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네손가락의 단부가 합쳐져서 이루는 개략적인 윤곽의 곡률과 유사한 곡선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관이 미려하도록 제 3도상에서 볼 때 상기 카버부재(51)의 상하 윤곽선은 라운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조작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조작자가 조작장치의 전선(133a,13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상승시키고자 하면, 상승용 조작부재(53a)가 배설된 상부면(511)이 하강용 조작부재(53b)가 배설된 하부면(515)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상기 조작부재(53a,53b)를 보지 않고도 카버부재(51)를 더듬으면 상기 상부면(511)을 상기 하부면(515)에 대해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면(511)에 배설된 조작부재는 상승용 조작부재(53a)란 것을 조작자가 알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상기 승승용 조작부재(53a)를 눌러서 상기 이동체를 정확히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조작자가 조작장치의 전선(133a,13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도 조작자는 위에서 설명한 이유에 의해 조작부재(53a,53b)를 보지 않고도 상기 이동체를 정확히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상에서 볼 때 상기 카버부재(51)의 좌우 윤곽선은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손가락의 단부가 합쳐져서 이루는 개략적인 윤곽의 곡률과 유사한 곡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상기 조작부재(53a,53b)를 용이하게 더듬을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작장치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하로 이동되는 싱크대(30)의 전면에 조작장치를 부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주방인은 자기의 신장에 맞도록 싱크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장치의 조작부재(53a,53b)를 누르게 되는데, 자기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배설된 조작장치를 보지 않고도 카버부재(51)를 더듬어 조작장치를 정확히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허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조작부가 버턴식으로 되어 있는 조작장치에 대해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조작부가 토글식으로 되어 있는 조작장치도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5도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에 조작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에 조작장치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작장치는 조작자가 다수의 조작부재를 보지 않고도 원하는 조작부재를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조작부재가 배설된 카버부재의 각 평면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조작장치를 조작하기 편리하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카버부재(51)의 평면에 다수의 조작부재(53a,53b)가 설치된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를 보지 않고도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를 식별하도록 상기 각 조작부재(53a,53b)가 배설된 카버부재(51)의 각 평면높이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버부재(51)의 윤곽선은 조작자가 상기 조작부재 (53a, 53b) 를 용이하게 더듬을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KR2019940016155U 1994-06-30 1994-06-30 조작장치 KR0114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55U KR0114931Y1 (ko) 1994-06-30 1994-06-30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55U KR0114931Y1 (ko) 1994-06-30 1994-06-30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76U KR960002976U (ko) 1996-01-22
KR0114931Y1 true KR0114931Y1 (ko) 1998-04-22

Family

ID=1938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155U KR0114931Y1 (ko) 1994-06-30 1994-06-30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131B1 (ko) * 2019-04-26 2021-04-05 천봉우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76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231A (en) Wallbox-mountable switch and dimmer
US4654647A (en) Finger actuate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JPH0275115A (ja) 複合スイッチ
GB2287129A (en) Switch controller
KR0114931Y1 (ko) 조작장치
KR20040075770A (ko) 지능형 라인 스위치
CN101666019B (zh) 倒缝控制装置
KR20180088177A (ko) 원격제어에 의한 스위치 구동장치
US4362912A (en) Slider type push button switch with safety lockout feature
EP0615884A1 (en) Improved safety switch for motor vehicle power windows
KR100476991B1 (ko) 가스조리기의 택트 스위치(Tact switch)제어용조작구
KR940000215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내부용기 안착유무감지장치
KR840002277Y1 (ko) 산부인과용 수술대의 원격 자동조종장치
JP2996820B2 (ja) 衣類乾燥機用スタンド装置
KR100213926B1 (ko) 리모콘의 모드확인장치
CN217723291U (zh) 一种耦合器及其煎烤器
KR200236456Y1 (ko) 누름버튼식 스위치의 제어장치
KR100420341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구조
KR900010016Y1 (ko) 리모콘식 조절구를 구비한 선풍기
KR950002828Y1 (ko) 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910001086Y1 (ko)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JPS608352Y2 (ja) 多連スイッチ
KR820001463Y1 (ko) 고주파 가열장치의 안전개폐장치
KR960004835B1 (ko) 전자레인지 회전접시 이송장치
KR940007388Y1 (ko) 핸들 개폐겸용 전원공급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