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154Y1 -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154Y1
KR0113154Y1 KR92028381U KR920028381U KR0113154Y1 KR 0113154 Y1 KR0113154 Y1 KR 0113154Y1 KR 92028381 U KR92028381 U KR 92028381U KR 920028381 U KR920028381 U KR 920028381U KR 0113154 Y1 KR0113154 Y1 KR 0113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maintenance
data
signal repeater
snm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8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190U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정장호
Lg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Lg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92028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154Y1/ko
Publication of KR940018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로장애가 발생하여 이중화 절체하는 경우 이동 경로를 단축시켜 신속한 이중화 절체를 함과 동시에 데이타 전달시 하이웨이의 장애에 기인한 데이타 유실을 방지하도록한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제1도는 종래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WP : 주하이웨이 HWS : 부하이웨이
10, 20 : HIFU 11a, 11b : SNMU
12a, 12b : GTMU 13a, 13b : SCCU
B5, B6 : 버스
본 고안은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장애가 발생하여 이중화 절체하는 경우에 데이타 이동 경로를 단축시켜 신속한 이중화 절체를 함과 동시에 데이타 전달시 하이웨이의 장애에 기인한 데이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a,7b)로 연결 구성된다. 망관리, 유지보수(7a)은 HIFU(1a,2a: Highway Interface Unit), SNMU(3a: Signaling Network Management Unit), GTMU(4a: Global Test and Maintenance Unit), SCCU(5a :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Unit) 및 버스(B1,B2)로 연결구성되며,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b)은 HIFU(1b,2b), SNMU(3b), GTMU(4b) SCCU(5b) 및 버스(B3,B4)로 연결 구성된다.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a)의 HIFU(1a,2a), SNMU(3a), GTMU(4a) 및 SCCU(5a)는 버스(B1,B2)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b)의 HIFU(1b,2b), SNMU(3b), GTMU(4b) 및 SCCU(5b)는 버스(B3,B4)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1도에서 .표시한 부분은 버스점유했음을 나타내며 O표시한 부분은 이중화 절체시 버스점유 가능함을 나타낸다.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a,7b)중의 하나가 망관리 및 유지보수 관련 데이타를 처리하는 도중에 자체내에서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다른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로 이중화 절체되며, 이중화 절체된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은 장애 발생된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이 처리하던 망관리, 유지보스 관련 데이타를 계속 처리한다. 이중화 절체는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a,7b)의 각각에 구비된 HIFU(1a,1b,2a,2b), SNMU(3a,3b), GTMU(4a,4b) 및 SCCU(5a,5b)중의 하나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와, 기타 유지보수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a)이 망관리 및 유지보수 관련 데이타를 처리하는 도중에 SNMU(3a)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GTMU(4a)가 SNMU(3a)의 장애상태를 감지하고 HIFU(1a) 또는 HIFU(2a)를 통해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b)측으로 이중화 절체를 요구한다.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b)의 SNMU(3b)는 HIFU(1a,2a)중의 하나부터 주하이웨이(HWP) 또는 부하이웨이(HWS)를 거쳐 HIFU(1b,2b)중의 하나를 거쳐 이중화 절체요구 데이타가 수신되면, 신호중계기의 전체 시스템 측으로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7b)이 동작됨을 통보한다. 그후, SNMU(3b)는 망관리,유지보수 모듈(7a)이 처리하던 데이타를 가져오게 되는데, SNMU(3a)의 망관리 데이타와 GTMU(4a)의 시스템 상태 데이타는 HIFU(1a,2a)중의 하나를 통해 주하이웨이(HWP) 또는 부하이웨이(HWS)측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타는 HIFU(1b,2b)중의 하나가 수신한다. 데이타를 수신한 HIFU(1b,2b)중의 하나는 망관리데이타를 SNMU(3b)측으로 공급하고 시스템 상태 데이타를 GTMU(4b)측으로 공급한다. 데이타를 공급받은 SNMU(3b)와 GTMU(4b)는 이중화 절체전의 상태에서 동작을 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 장치는 장애발생에 의해 이중화 절체하는 경우 장애 발생된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이 처리하던 망관리 및 유지보수 관련 데이타를 다른 망관리, 유지보수 모듈측으로 전달하는 경로가 복잡하여 많은 전달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중화 절체를 신속하게 할 수가 없고, 데이타 전달시 하이웨이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데이타의 유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애가 발생하여 이중화 절체하는 경우 데이타 이동 경로를 단축시켜 데이타 이동을 신속히 하므로써 이중화 절체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데이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HIFU(10)와 HIFU(20) 사이에 버스(B5,B6)를 통해 상호 연결되 두개의 SNMU(11a,11b), 두 개의 GTMU(12a,12b) 및 두 개의 SCCU(13a,13 b)를 구비하고, 상기 SNMU(11a,11b), GTMU(12a,12b) 및 SCCU(13a,13b)는 상기 버스(B5,B6)를 통해 상호간에 이중화 절체시 필요한 데이타와 동작/비동작상태 데이타를 수시로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신호 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MU(11a,11b), GTMU(12a,12b), SCCU(13a,13b),HIFU(10,20) 및 버스(B5,B6)로 연결 구성된다. SNMU(11a,11b), GTMU(12a,12b), SCCU(13a,13b) 및 HIFU(10,20) 의 각각은 버스(B5,B6)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HIFU(20)는 주하이웨이(HWP)에 접속되고 HIFU(20)는 부하이웨이(HWS)에 접속된다. SNMU(11a,11b)의 각각은 버스(B5,B6) 모두를 점유할 수 있는 버스마스터(bus master)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도에서 ●표시는 버스마스터를 나타냄) SNMU(11a)와, SNMU(11b), GTMU(12a)와 GTMU(12b), SCCU(13a)와 SCCU(13b)는 상호간에 동작/비동작 상태임을 알리는 데이타를 계속 주고 받으며, HIFU(10,20)중의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버스(B5,B6)중의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각 회로부는 버스(B5,B6)에 모두 접속되어 있으므로 데이타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절체에 필요한 데이타는 수시로 버스(B5,B6)를 통해 전달된다. SNMU(11a)와, SNMU(11b), GTMU(12b), SCCU(13a)와 SCCU(13b)는 상호간에 동작/비동작 상태임을 알리는 데이타와 이중화 절체에 필요한 데이타를 계속주고 받으므로, 데이타 처리중인 회로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대기중인 다른 회로부가 장애발생 되었음을 인지하고 이중화 절체되어 데이타 처리를 대신 수행하게 된다. 이중화 절체에 필요한 데이타는 수시로 버스(B5,B6)를 통해 전달되므로, 장애 발생시 신속하게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애가 발생하여 이중화 절체하는 경우 데이타 이동경로를 단축시켜 이중화 절체에 필요한 데이타 이동을 신속히 하므로 이중화 절체를 신속히 할 수 있으며, 데이타 전달시 하이웨이의 장애발생에 기인한 데이타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에 있어서, HIFU(10)와 HIFU(20) 사이에 버스(B5,B6)를 통해 상호 연결된 두 개의 SNMU(11a,11b), 두 개의 GTMU(12a,12b) 및 두 개의 SCCU(13a,13b) 를 구비하고 상기 SNMU(11a,11b), GTMU(12a,12b) 및 SCCU(13a,13b)는 상기 버스(B5,B6)를 통해 상호간에 이중화 절체시 필요한 데이타와 동작/비동작 상태데이타를 수시로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KR92028381U 1992-12-31 1992-12-31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KR0113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381U KR0113154Y1 (ko) 1992-12-31 1992-12-31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381U KR0113154Y1 (ko) 1992-12-31 1992-12-31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190U KR940018190U (ko) 1994-07-30
KR0113154Y1 true KR0113154Y1 (ko) 1998-04-14

Family

ID=1934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8381U KR0113154Y1 (ko) 1992-12-31 1992-12-31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190U (ko) 199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7046B1 (en) Fault-tolerant communications controlller system
JP2532317B2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汎用入出力冗長方式のバックアップ方法
KR0113154Y1 (ko) 신호중계기의 망관리, 유지보수 이중화장치
KR100854869B1 (ko) 이중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JP6063339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KR100205030B1 (ko) 고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에이티엠 스위치
KR980013469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
KR960003784B1 (ko) 프로세서간 단위 통신망간의 상호 연결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970002883B1 (ko) 다중 프로세서에서의 공통 버스 점유권 요구 방법
KR200236879Y1 (ko) Ipc이중화경로구조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KR100228306B1 (ko)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KR200183008Y1 (ko) 근거리 정보 통신망 시스템의 통신망 자동복구장치
KR100202398B1 (ko) 이중화구조를 갖는 종합정보통신망 디바이스 제어계
KR920004292B1 (ko)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20010063096A (ko)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갖는 동시 쓰기 방식을 적용한결함 허용 제어 시스템
JP2007134906A (ja) 監視制御装置
JP2606144B2 (ja) 二重化装置
KR100418342B1 (ko) 교환기에서전원오프에의한이중화절체방법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KR950001517B1 (ko)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의 이중화 패킷 버스 제어회로
JP326043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960014697B1 (ko) 이중화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59294A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스위칭 시스템
KR100275445B1 (ko) 신호중계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경로 이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