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07639Y1 -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7639Y1
KR0107639Y1 KR2019920013123U KR920013123U KR0107639Y1 KR 0107639 Y1 KR0107639 Y1 KR 0107639Y1 KR 2019920013123 U KR2019920013123 U KR 2019920013123U KR 920013123 U KR920013123 U KR 920013123U KR 0107639 Y1 KR0107639 Y1 KR 0107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switch
vehicle
push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3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46U (ko
Inventor
박말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20013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7639Y1/ko
Publication of KR940003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7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7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혹한 지역에서나 동절기에 캡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 스위치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브라켓트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의 상측 내면에 각각의 단자가 제공되고, 상기한 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연성이 양호한 볼이 안착되는 홀에 탄성부재로 탄지됨과 아울러 일측이 하우징과 탄성부재로 탄발 설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의 타측은 절곡 형성된 푸시로드가 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제1도는 이 고안의 도어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이 고안의 도어 스위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의 도어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브라켓트 22; 하우징
23,24 : 단자 25 : 볼
26 : 홀 27,28 : 탄성부재
29 : 슬라이더 30 : 푸시로드
C : 차체
이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혹한지역에서 눈, 빗물 등에 의해 캡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치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개폐 여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계기판에 전기적인 시그널이 나타나게 되어 있으며, 이 전기적인 시그널을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가 차체에 제공되어 있다.
제4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5도는 종래 기술의 도어 스위치의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차체(2)에 제공된 도어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도어 스위치(1)는 도어(3)의 개폐 여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계기판(도시생략)에 전기적인 시그널로 나타나게 되어 있으며, 차체(2)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4)에 수납됨과 아울러 탄성부재(5)로 탄발설치된 승강부재(6)가 각각의 단자(7)(8)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승강부재(6)는 도어(3)와 접촉 가능한 푸시로드(9)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4)의 홀(10)에 안내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어(3)의 개폐에 따라 승강부재(6)가 각각의 단자(7)(8)에 접촉 또는 단락되게 됨으로써 도어(3) 개폐여부가 전기적인 시그널로 계기판에 표시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스위치(1)는 수밀이 보전되도록 고무재질의 캡(11)이 푸시로드(9)가 위치하는 하우징(4)에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는, 도어(2)를 개방하면 도어(3)에 접촉되어 있는 푸시로드(9)가 해방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승강부재(6)는 탄성부재(5)의 탄성력에 의해 밀리게 되어 제5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7)(8)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단자(7)(8)의 연결에 따라 전기적인 시그널이 계기판에 나타나게 되어 운전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3)를 닫으면 도어(3)와 접촉 가능한 푸시로드(9)가 승강부재(6)를 밀게 됨으로써 각각의 단자(7)(8)를 연결하고 있는 승강부재(6)는 제5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7)(8)로 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시그널이 차단되어 계기판의 나타난 시그널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도어(3)의 개방에 따라 도어 스위치(1)가 작동되어 그 개폐여부를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지만, 도어 스위치(1)의 수밀을 보전하기 위해 제공된 고무재질의 캡(11)이 물이나 눈이 접촉됨에 따라 혹한 지역에서나 동절기에 결빙되기 때문에 도어(3)를 닫은 다음 개방시 푸시로드(9)가 리턴되지 않게 됨으로써 도어 스위치(1)의 오동작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혹한 지역에서나 동절기에 캡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 스위치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고안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브라켓트가 일체로 형성로 형성된 하우징의 상측 내면에 각각의 단자가 제공되고, 상기한 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연성이 양호한 볼이 안착되는 홀에 탄성부재로 탄지됨과 아울러 일측이 하우징과 탄성부재로 탄발설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의 타측은 절곡 형성된 푸시로드가 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푸시로드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캡이 씌워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도어 스위치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측단면도로서, 부호(20)은 차체(C)에 폭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도어(도시생략)의 개폐에 따른 여부가 전기적인 시그널에 의해 계기판에 나타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도어 스위치(20)는 차체(C)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21)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22)의 상측 내면에 각각의 단자(23)(2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단자(23)(2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연성이 양호한 볼(25)이 안착되는 홀(26)에 탄성부재(27)로 탄지됨과 아울러 일측이 하우징(22)과 탄성부재(28)로 탄발 설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29)의 타측은 절곡 형성된 푸시로드(30)가 하우징(22)의 홀(31)에 안내죄도록 연장 형성되어 도어와 접촉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푸시로드(30)의 끝단부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캡(32)이 씌워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고안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는, 도어를 닫으면 도어와 접촉 가능한 도어 스위치(20)의 푸시로드(30)가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29)가 연통되어 홀(26)에 안착된 볼(25)이 탄성부재(27)의 탄성력을 이기고 홀(26)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단자(23)(24)가 연결된 상태에서 해방되기 대문에 전기적인 시그널이 차단되게 되어 운전자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와 접촉된 도어 스위치(20)의 푸시로드(30)가 해방됨으로써 이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29)는 탄성부재(28)의 복원력에 의해 제3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됨에 따라 홀(26)에 안착된 볼(25)이 탄성부재(27)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어 각각의 단자(23)(24)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시그널이 계기판에 나타나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는, 도어 스위치를 차체의 폭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도어 개폐에 따라 푸시로드와 함께 연동되는 슬라이더의 홀에 절연성이 양호한 볼을 탄지시켜 각각의 단자를 연결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실현함은 물론 혹한 지역에서나 동절기에 결빙되는 종래의 캡을 제외시킴으로써 도어 스위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주행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도어의 개폐에 따라 그 전기적인 시그널이 계기판에 나타나도록 도어의 접촉 범위내에 도어 스위치가 제공될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차체(C)의 폭 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브라켓트(21)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22)의 상측 내면에 각각의 단자(23)(24)가 제공되고, 상기한 단자(23)(2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연성이 양호한 볼(25)이 안착되는 홀(26)에 탄성부재(27)로 탄지됨과 아울러 일측이 하우징(22)과 탄성부재(28)로 탄발설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29)의 타측은 절곡 형성된 푸시로드(30)가 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푸시로드(30)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캡(32)이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KR2019920013123U 1992-07-15 1992-07-15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KR0107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3123U KR0107639Y1 (ko) 1992-07-15 1992-07-15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3123U KR0107639Y1 (ko) 1992-07-15 1992-07-15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46U KR940003646U (ko) 1994-02-21
KR0107639Y1 true KR0107639Y1 (ko) 1999-03-20

Family

ID=193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3123U KR0107639Y1 (ko) 1992-07-15 1992-07-15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7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46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CN100495611C (zh) 开关装置
US6590489B1 (en) Circuit breaker for protecting electric circuits in road vehicles
US3138780A (en) Ignition key warning device
ATE214342T1 (de) Anhängekupplung für kraftfahrzeuge
KR0107639Y1 (ko) 자동차의 도어 스위치
US5101598A (en) Structure of weatherstrip applicable to vehicles of sash-less door type
KR101776461B1 (ko) 연료도어 오프너
US5436417A (en) Gravity actuated electrical switch and lamp assembly
US6218634B1 (en) Switch with integrated flasher relay
US4150267A (en) Master electric switch
KR0129625B1 (ko)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잠금장치
KR19990006460U (ko) 차량용 도어 스위치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US3643050A (en) Resilient electrical contacts
JPH04502835A (ja) 電気押ボタン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危険監視信号スイッチ
KR0125687Y1 (ko) 차량의 빗물차단용 백미러
KR200151361Y1 (ko) 자동차 룸램프 가압커버의 접지구조
KR100345575B1 (ko) 도어록 액추에이터의 위치 감지기
KR100203190B1 (ko) 승합차의 도브테일
KR018333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스위치장치
KR101417095B1 (ko) 차량용 캡의 틸트 락 센서
KR20000020200U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0215006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안전장치
KR100223685B1 (ko) 자동차 도어개폐용 압축스프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