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5192A1 -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5192A1
WO2013085192A1 PCT/KR2012/010019 KR2012010019W WO2013085192A1 WO 2013085192 A1 WO2013085192 A1 WO 2013085192A1 KR 2012010019 W KR2012010019 W KR 2012010019W WO 2013085192 A1 WO2013085192 A1 WO 20130851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quest
game
basic
quest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0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US14/363,972 priority Critical patent/US9339731B2/en
Publication of WO20130851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51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interest of users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quests in an online game providing a quest.
  • Online gam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online culture industry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d computer technology. Users access a game server using a user's terminal, select a certain character, and manipulate a character online to play a game.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games, users are demanding online games of various genres, and a wide variety of online games are currently being serviced.
  • quests are used as game guides for new users to learn game characteristics such as game operation methods and world views. Therefore, users want to complete as many quests as possible in order to ascend faster in the game. In particular, new users need to perform many quests for quick game adap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various types of quests divided into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but also allows each quest to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s level, thereby facilitating user's interest in the game. Its purpose is not only to increase, but also to serve as a guide for new users.
  • the quest providing apparatus the step of detec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Receiving,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a user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 and a game condition which is at least one condition under which a game is executed by a game server; Setting a basic quest as at least one quest associated with each other such that another quest starts when one ques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etting an extended quest as a quest provided once for each user among a plurality of quest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etting a repeating quest as a quest repeatedly provided among a plurality of quest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set by the quest providing device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and the game execution server transmits the set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set in the
  • the setting of the basic quest may include: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Check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hecking a basic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basic quest to be executed in connection with the completed basic quest; And setting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when the basic quest to be executed exists.
  • the setting of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atch a condition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nd setting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i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atisfy the condition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 the setting of the extended quest may include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Check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onfirming the expansion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setting a randomly selected one of the extended quests other than the completed extended quest among the extended quests provided to the user on the match condition as the extended quest.
  • the displaying of the running ques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unning quest transmitted by the game execution server is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and displaying the quests in different areas. Controlling to configure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game execution server to display the screen by transmitting the configured screen to the user terminal.
  • the applying of the quest to a game may include: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n input for confirming a quest lis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t least one quest applicable to the game; Displaying a quest list, executing the game by applying at least one quest included in the quest list at the start of the game, and using the at least one applied game information using game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ccomplished quest among the quests, when the achieved quest exists, identifying the achieved 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ques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quest information is achieved to the us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the displaying of the quest list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quest included in the quest lis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curring quest.
  • An online game quest providing apparatus capable of confirming a relative evalu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ic quests provided step by step in order to start another quest upon comple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quests.
  • a basic quest setting unit for storing;
  • An extension quest setting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extension quests provided only once for each user among the plurality of quests;
  • a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repeating quests that can be repeatedly provided;
  •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game execution server and a game condition that is at least one condition under which the game is executed by the game execution server, wherein the basic ques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 a ques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from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and the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 the quest management unit check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s, checks the basic quests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progress according to the confirm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s among the basic quests stored in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complete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asic quest to be executed in connection with the basic quest, and to set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if the basic quest to be executed exists.
  • the quest manag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eet the conditions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eet the conditions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fter the basic quest is preferably set as the basic quest.
  • the quest management unit check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hecks the expansion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progress among the expansion quests stored in the expansion quest setting unit, and then completes the expansion quest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one of the extended quests randomly selected except for the extended quest as the extended quest.
  • the quest management unit receiv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from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and the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and receives the basic quest and the extended quest. An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later for each of the repeating quest and transmit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 the divided quests are divided into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but also the divided quests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s level, thereby faithfully serving as a guide for new users.
  • new users can easily adapt to the game, and existing users can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game.
  •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quest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quest popu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llustrates a flow of setting up a ques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a portion of an expansion ques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 portion of a daily / repeat ques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llustrates a flow of recording completion quests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llustrates a flow for displaying a quest list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llustrates a quest list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 quest achievement pop-u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a quest providing apparatus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est providing apparatus the step of detec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Receiving,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a user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 and a game condition which is at least one condition under which a game is executed by a game server; Setting a basic quest as at least one quest associated with each other such that another quest starts when one ques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etting an extended quest as a quest provided once for each user among a plurality of quest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etting a repeating quest as a quest repeatedly provided among a plurality of quest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set by the quest providing device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and the game execution server transmits the set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set in the
  • the setting of the basic quest may include: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Check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hecking a basic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basic quest to be executed in connection with the completed basic quest; And setting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when the basic quest to be executed exists.
  • the setting of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atch a condition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nd setting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i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satisfy the condition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 the setting of the extended quest may include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Check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onfirming the expansion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setting a randomly selected one of the extended quests other than the completed extended quest among the extended quests provided to the user on the match condition as the extended quest.
  • the displaying of the running ques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unning quest transmitted by the game execution server is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and displaying the quests in different areas. Controlling to configure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game execution server to display the screen by transmitting the configured screen to the user terminal.
  • the applying of the quest to a game may include: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n input for confirming a quest lis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t least one quest applicable to the game; Displaying a quest list, executing the game by applying at least one quest included in the quest list at the start of the game, and using the at least one applied game information using game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ccomplished quest among the quests, when the achieved quest exists, identifying the achieved 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ques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quest information is achieved to the us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the displaying of the quest list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quest included in the quest lis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curring quest.
  • An online game quest providing apparatus capable of confirming a relative evalu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ic quests provided step by step in order to start another quest upon comple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quests.
  • a basic quest setting unit for storing;
  • An extension quest setting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extension quests provided only once for each user among the plurality of quests;
  • a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repeating quests that can be repeatedly provided;
  •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game execution server and a game condition that is at least one condition under which the game is executed by the game execution server, wherein the basic ques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 a ques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from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and the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 the quest management unit check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s, checks the basic quests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progress according to the confirmed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s among the basic quests stored in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complete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asic quest to be executed in connection with the basic quest, and to set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s the basic quest if the basic quest to be executed exists.
  • the quest manag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eet the conditions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eet the conditions set in the basic quest to be performed, After the basic quest is preferably set as the basic quest.
  • the quest management unit check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and checks the expansion quest completed until the previous game progress among the expansion quests stored in the expansion quest setting unit, and then completes the expansion quest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one of the extended quests randomly selected except for the extended quest as the extended quest.
  • the quest management unit receiv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and the repeated quest from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and the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and receives the basic quest and the extended quest. An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later for each of the repeating quest and transmit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may be used as the same meaning.
  • the three terms refer to wired and wireless local and wide are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s between a user terminal, a terminal of other users, and a download server.
  • game server means a server computer to which users access to use game contents.
  • a plurality of game programs may be operated in one game server.
  • the game server may be connected to a server that performs middleware or payment processing for the databas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game character refers to all characters appearing in the game in which users can experience one sport of sports in the online game.
  • the game character appears on the game screen and performs certain actions in the gam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 the game character may be raised in the level while accumulating a certain experience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game, the character's ability value becomes stronger as the level increases.
  • sports means sports in a general sense, and means sports of all sports that can be executed as online games. For example, soccer, baseball, basketball, tennis, volleyball, athletics, martial arts,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quest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ame client is executed (S110).
  • An online game can be executed by accessing a web page provided by a game server and executing a game client. If a game client is not installed on the user's computer, the user can download the game client from the game server and install it on the user's computer.
  • the game server checks the user and pops up the quest that the user was performing until the previous game (S120).
  • the game server can check the user through a login process on a web page.
  • the game server extracts the quest data that has been performed up to the previous game from the stored user data and displays the pop-up window.
  • the user data is data including game execution information or winning information, winning items, levels, and the like for the users registered in the game server of the online game.
  • the user data includes each user's quest data.
  • FIG. 2 illustrates a quest popu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est pop-up screen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quests for each type of quest, and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area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ypes.
  • the quest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quests: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ques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when the game client is executed
  • the quest pop-up window is used as a form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Therefore, the quest may be display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form of a popup window if the form is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 the user may select one quest among a plurality of quest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S130).
  • the game server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quest (S140).
  •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quest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for achieving the quest as well as information progressed up to now in the game and information to be performed later to achieve the quest.
  •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quest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me.
  • the method of selecting a quest above may move the icon on one of the quest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and then click to select the quest, and select the icon on one of the quest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You can also choose to move.
  • the quest detail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a new window, and when the icon is moved and selected, the quest detail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speech bubble on one side of the icon.
  • a lobby screen is displayed (S150).
  • the lobby screen allows the user to select a character to use in the game, or to select a game mode, channel, or game room.
  • the lobby screen allows the user to specify the game conditions to be played on the lobby screen. have.
  • the lobby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est list view button and the game end button.
  • the user selects the quest list view button through the game client to view the quest list.
  • the quest list screen is displayed (S180).
  • the quest list view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creen. Since it is provided as a separate screen rather than a pop-up window, the number of quests that can be displayed at once can be increased,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quest can be provided. In some cases, the quests may be classified into separate tab screens according to the type, thereby provid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quest list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quest list screen also selects one quest among the displayed quests in the same manner as the quest popup window, so tha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quest can be viewed (S130).
  • the user sets the game conditions provided in the lobby screen to run the game (S190).
  • the game server sets a quest according to the set match condition (S200).
  • the quest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set game con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game start button after completing the game condition setting on the lobby screen.
  • the game conditions include game mode, channel, game room selection, and the like.
  • the game mode is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game, but can be divided into a single mode, in which the user faces the AI provided by the game server, and a multi-mode, in which the user faces the other users. Is provided.
  • different quests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conditions as well as modes in a game condition. For example, if the online game is an online soccer game, the user may select a league and a team in addition to the mode.
  • a league is a kind of regional competition system in a real offline soccer game, and an online soccer game similar to an offline soccer game may allow a user to select a league.
  • Different quest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eague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since the quest may vary depending on the game conditions, when the game condition is set, the quest is set by the game server.
  • the game server When the quest is set up in the game server, since the user has already selected the game start button, the game server immediately executes the game (S210). The game proceed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user's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game server through the game client, and the game server transmits the user's operation result to the game client according to the rules defined in the game.
  • Whether or not the quest is achieved is determined by whether one or more quests of the plurality of quests in progress have been achieved, and if a single quest is achieved, the game server stores the achieved quest as a completed quest (S23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ame is ended (S240). If the game is not over, the game server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quest is achieved (S220). However, when the game ends, after displaying the lobby screen again (S15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ame ends (S160).
  • the quest setting step S200 is performed before the game execution step S210.
  • the quest may be set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matched during the game.
  • Figure 3 illustrates a flow of setting up a ques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p of setting the quest in FIG. 1 may be set according to the flow shown in FIG. 3.
  • the step of setting the quest first checks the game conditions set in the previous game condition selection step (S201).
  • the quest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 game conditions. Therefore, before setting up a game quest, you must first check the game conditions.
  • the basic quest among the plurality of quest types corresponds to the set match condition, in particular, and checks the completed basic quest until the progress of the previous game (S202).
  • the quests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s are classified into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ing quests.
  • the basic quest is a quest that is presen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user's game progress.
  • the quest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user to learn the game's rules sequentially and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Therefore, the basic quest can be divided into a common basic quest for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itself and a conditional basic quest for learning the rules according to the game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set game conditions.
  • the basic quest is a quest for users to learn the rules of the game sequentially, the basic quest is not provided at the same time all basic quests are provided at once, but if the previous basic quest is achieved, subsequent basic quests associated with the basic quest achieved Provides sequentially.
  • the basic quest illustrated in FIG. 4 is an example of a quest of an online soccer game, and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quest tre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rees has a stage of being differentiated individually.
  • the quest (BQ1) and the win in multiplayer quests (BQ2) are the basic quests for the conditions, respectively.
  • the quest BQ2 is a quest set in the multi mode.
  • the remaining expansion quest registration quest (BQ3), 10 uniform card acquisition quest (BQ4), and player recruitment quest (BQ5) in the transfer market are all common basic quests can be set regardless of the game conditions.
  • the Double Quest Registering Quest (BQ3) is a quest for a user to learn how to use a different kind of quest.
  • the game server sets the linked basic ques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basic quest of the next step associated with the completed basic quest (S203).
  • the basic quest of the next step may be set so that the linked basic quest is set only whe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game condition meet the requirements set in the basic quest of the next step. For example,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difficulty between the two linked base quests, even if the previous base quest is performed and the next base quest is linked, then the level of the user who performed the previous base quest is linked and the next basic quest is performed. It may be a level difficult to do.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t only when the user's level or match condition matches the next basic quest.
  • Extended quests are quests with various difficulty levels, from quests that can be accomplished in a short time to quests that require a long time to achieve, to keep users interested in the game.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expansion quest is to keep the user interested in the game, the expansion ques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forms, and hidden or unusual quests may be provided. If you set the achievement conditions for hidden quests or unusual quests very high, and set rewards high,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ho accidentally completed the quests is spread to other users, and it is a technique that inspires users'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game. Can be utilized.
  • the extended quest is not a quest that must be provided to the user, unlike the basic quest, the extended quest may be provided in a random manner. That is, even if a user of the same level progressing the same number of games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quest randomly so that some users are provided with an extended quest, some users can raise the user's expectation for the extended quest. Therefore, the game server determines whether to further set an extension quest for each of the users currently connected. If the game server is determined to add the expansion quest, the game server determines which extension quest to add and sets the expansion quest.
  • FIG. 5 illustrates a portion of an expansion ques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ansion quest in the online soccer game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 expansion ques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game conditions and the use.
  • the expansion quest may be set regardless of the game conditions, but the expansion quest may be set according to the game conditions.
  • the extended quest is provided as a quest that is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basic quest in which a plurality of quests are linked in a tree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easily, such as the 100 players quests and 100 players quests of Figure 5, it is desirable that the unusual quest is set as the hidden quests described above.
  • the game server sets a daily / repeated quest (S206).
  • Daily / Repeat Quests are quests that you can perform repeatedly.
  • the same quest is not provided again.
  • the same quest is not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same quest is not provided under the same condition. That is, quests such as winning a league in a single mode are not provided again when a game is played in the same single mode, but the same quest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game conditions such as a multi mode.
  • the game server may determine the set number of expansion quests for each user so that the expansion quests may be provided only once for each user.
  • the daily / repeated quest is a quest that can be repeated on every connection.
  • FIG. 6 illustrates a portion of a daily / repeat ques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ame server may provide a plurality of quests designated as daily / repeating quests randomly rather than simply repeating the same quest every time.
  • daily / repeated quests may also be provided by classifying the game conditions and matching the corresponding game conditions.
  •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quests divided into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and each quest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match condition.
  • Basic quests are provided once for all users, and extended quests are provided once for each user with a random probability, and daily / repeated quests can be divided into quests that can be repeatedly provided for all users. .
  • Figure 7 illustrates a flow of recording completion quests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ame server registers the achieved quest as a completed quest (S231). This not only can be used when the user checks the quests completed in subsequent quest management, but also provides information that prevents repeated quests that can be provided only once per user, such as basic or extended quests. Do it.
  •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quest is achieved is displayed to the user (S231).
  • FIG. 8 illustrates a quest achievement pop-u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est achievement popup window may display a plurality of quests in the same manner as the quest popup window while performing FIG. 1, and may indicate completion of the completed quest.
  • one quest achieved as shown in FIG. 8 is completed. Display only the display and display the reward item for completing the quest. Therefore, it clearly informs the user what quests have been achieved,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reward items according to the achieved quests to enhance the sense of achievement of the game.
  • the game server additionally sets the linked basic quest to provide a new quest to the user (S235).
  • the added basic quest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 the added basic ques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gether when the completed basic quest is displayed in a popup window. If the icon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added basic quest is display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dded basic quest in the form of a speech bubble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 the completion quest storing step S230 is performed before the ending game step S240 so that the quest achievement popup window is displayed during the game.
  • the quest achievement popup window may not be displayed during the game.
  • the quest achievement popup window is displayed in a multiplayer mode competing with other users, it may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of the user who achieved the quest.
  • the quest achievement pop-up window is displayed during the game in the single player mode as well as in the multiplayer mode, the user may lose his focus on the game and halve the interest in the game. Accordingly, some or all of the steps S231 to S235 of the completed quest storing step S230 may be performed after the ending game step S240 according to the type of game and the mode of the game.
  • FIG. 9 illustrates a flow for displaying a quest list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ame server checks incomplete quests among the quests provided to the user (S180).
  • the identified incomplete quest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type of the quest.
  •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quests may be variously adjusted for each game.
  • FIG. 10 illustrates a quest list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shows a quest list screen divided into quests according to game conditions and uses.
  • the left end represents a quest category displaying characteristics of the quests classified according to a specified criterion
  • the right end represents a list of quests included in each quest category.
  • Each quest list is composed of a quest name (or a condition for completing the quest), and a reward item paid when the quest is completed so that the summary of the quest can be easily understood.
  • an expansion check box is provided at one end (left side in FIG. 10) of each quest list. If the expansion check box is selected, the game server displays the progress up to now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xpansion check box.
  • the extended checkbox is selecte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quest together with the progress so far.
  • the ques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quest categories are configured.
  • the quest categories may be divided into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ing quests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sts.
  • the quest list display screen also provides a View All Quests button for viewing all quests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completed quests as well as incomplete quests.
  • the game server checks (collects) all the quests provided to the user (S184). If all the quests provided to the user are confirmed, all the quest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185). In this case, a method of dividing and displaying quest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quest as shown in FIG. 10,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sts as shown in FIG. 2.
  •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a quest providing system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ystem for providing a quest for an online game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1 to 10n, the Internet 200, and a game server 300.
  •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1 to 10n is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300 through the Internet 200, and a game client for playing a game is installed.
  • the game server 300 includes a game execution server 310 and a quest providing device 320.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first provides a web page that a user can access,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chatting, clubs, shopping malls, etc. to various user terminals 101 to 10n to be connected.
  •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through the computers 101 to 10n, but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may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200 in addition to the computer to play a game.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levision with Internet connection,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may include a web database that stores items for enabling a user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n the web or a game, and stores item information owned by the users.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sells various items to the users by referring to the web database,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 the web database when the user purchases such items.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provides a lobby screen from which the user can select a game condition, and stores the game condition selected by the user as user information in a web databas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quest providing device 320.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drives a game client that is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s 101 to 10n, and the user terminal 101 by the driven game client. 10 n) are connected to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via the Internet 200.
  • the game client is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s 101 to 10n.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determines this and installs a user program for the game at a necessary time. To control.
  •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may include a game database (not shown) that stores game-specific logic for controlling a game.
  • the game logic refers to rules specified to automatically advance the game according to a rule defined in the game, and refers to a series of progression in the game.
  • the quest providing device 320 provides a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an extended quest setting unit 322, a daily /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323, and a quest management unit 324 to provide various types of quests. Equipped.
  • the basic quest setter 321, the extended quest setter 322, and the daily / repeat quest setter 323 store basic quests, extended quests, and daily / repeated quests, respectively, and store quest completion conditions and rewards for each of the stored quests.
  •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stores a plurality of basic quest data, and stores a linkage structure for the plurality of basic quests as a tree structure as shown in FIG. 4. This is because the basic quests are not independently provided as individual quests as described above, but a plurality of quests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so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does not simply store a plurality of basic quest data, but basic quests. The linkage structure between them is also stored as basic quest data.
  • the quest management unit 324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and the basic quest from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322, and the daily /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323.
  • Match data, extended quest data and daily / repeated quest data That is, basic quest data, extended quest data, and daily / repeated quest data of the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the extended quest setting unit 322, and the daily /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323 are simply data about the quest itself and all the quests.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at is, it stores quest data not only provided to the user but also quests performed by the actual user.
  • the quest manager 324 matches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with the quest data stored in the basic quest setter 321, the extended quest setter 322, and the daily / repeated quest setter 323, and is performed by the current user.
  • the user quest data may include the progress status of each quest being performed by the user.
  • the quest providing device 320 shown in FIG. 11 includes a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an extended quest setting unit 322, and a daily /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323 for storing each type of quest data. And a quest manager 324 for matching quest data stored in the basic quest setter 321, the extended quest setter 322, and the daily / repeated quest setter 323 to the user information.
  • a basic quest setting unit 321, an extended quest setting unit 322, and a daily / repeating quest setting unit 323 for storing each type of quest data.
  • a quest manager 324 for matching quest data stored in the basic quest setter 321, the extended quest setter 322, and the daily / repeated quest setter 323 to the user information.
  • the quest providing device 3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atabase linked with the game execution server 31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external device.
  •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quest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mounted in the terminal).
  •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terminal by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 the quest providing method of the online g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Can be recorded.
  • Such a program i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and executed by a computer so that the above functions can be executed.
  •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C, C ++, JAVA, or machine languag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processor (CPU). It may include a code (Code).
  • Such code may include a function code associated with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nd may include execution procedure-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a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related code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a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t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
  • the code means that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is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eg, a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code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related codes such as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should be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 a functiona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des and code segments related thereto, in view of a device environment of a computer that reads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the program, etc. It may be easily inferred or changed by.
  •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recording a program as described above include, for exampl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medi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 program as described above is distributed to computer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transmit the results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nd receive the results.
  • the computer may also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providing a quest for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It may be a storage medium (eg, a hard disk, etc.) included in an application provider server such as a server, or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itself.
  • the computer which can read th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ed the application which is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quest provision method of the online game which concerns on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only general PCs, such as a desktop or a notebook, but also a smart phone, a tablet PC, It may include mobile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well as to be interpreted as all computing devices.
  • PCs such as a desktop or a notebook, but also a smart phone, a tablet PC
  • mobile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well as to be interpreted as all computing devices.
  •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quest providing method of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quest providing method of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quest providing method of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o a general PC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ynchronization program.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양한 종류의 퀘스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퀘스트가 사용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은, 퀘스트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게임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게임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게임 조건에 따라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로서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와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별로 1회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와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퀘스트 제공 장치가 설정한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반복 퀘스트를 게임 실행 서버에 전송하고, 게임 실행 서버는 설정된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반복 퀘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반복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퀘스트를 제공하는 온라임 게임에 있어서, 다양한 형식의 퀘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온라인 문화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다.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하고, 일정한 캐릭터를 선택하여 온라인 상에서 캐릭터를 조작하여 게임을 즐기고 있다. 온라인 게임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매우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이 현재 서비스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의 종류 및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각종 온라인 게임들은 좀더 많은 사용자를 영입하기 위해 단순히 정해진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시나리오 모드 이외에 다양한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각종 온라인 게임들은 사용자들의 흥미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이러한 모드 구분과 별개로 조건부 미션인 퀘스트(quest)를 제공한다. 퀘스트는 시나리오 모드를 포함한 여러 가지 모드들에서 게임 진행 중에 크고 작은 목표를 제공하고, 해당 목표를 달성하면 게임에서 지정된 보상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는 게임 서비스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퀘스트는 현재 모드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션에 연관성이 있는 미션 내 미션 형태로 제공되고, 퀘스트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현재 모드 자체의 미션은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즉 퀘스트는 일종의 옵션 미션으로서, 퀘스트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게임을 진행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퀘스트를 완료하여 지급받는 보상을 활용하면 게임을 좀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게임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활용된다. 또한 퀘스트는 신규 사용자에게 게임의 조작 방법이나 세계관 등과 같은 게임 특성을 습득시키기 위한 게임 가이드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게임 내에서 좀더 빠른 레벨 상승을 위하여 가급적 많은 퀘스트를 완수하고자 하며, 특히 신규 사용자들은 빠른 게임 적응을 위해 많은 퀘스트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라인 게임에서 퀘스트는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자동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게임 진행 중에 특정 퀘스트를 찾거나, 특정 퀘스트를 수행할 조건이 갖추어지는 경우에만 퀘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세부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초보 사용자의 경우에는 퀘스트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퀘스트는 한번에 한가지 퀘스트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퀘스트가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복수개의 퀘스트가 함께 진행되는 경우에 신규 사용자는 퀘스트 관리의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또한 레벨이 낮은 사용자가 수행할 수 없는 수준의 높은 난이도의 퀘스트가 제공되는 경우도 빈번하여, 퀘스트가 신규 사용자에게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규 사용자들에게 해당 게임에 대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로 구분되는 다양한 종류의 퀘스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퀘스트가 사용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신규 사용자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은, 퀘스트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게임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게임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조건에 따라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로서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별로 1회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퀘스트 제공 장치가 설정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게임 실행 서버는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 조건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퀘스트 중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이전까지 수행 중인 상기 퀘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전송한 수행 중인 퀘스트가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각 퀘스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며, 상기 게임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가 표시되는 퀘스트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퀘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시작 시,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를 적용하여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수신한 게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 중 달성된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달성된 퀘스트 존재 시, 상기 달성된 퀘스트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퀘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퀘스트가 달성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한 퀘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어느 한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상기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인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대 평가를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는,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되어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를 저장하는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 별로 1회씩만 제공되는 복수개의 확장 퀘스트를 저장하는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반복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반복 퀘스트 설정부; 및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경기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각각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퀘스트 관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기본 퀘스트 중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이후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확장 퀘스트 중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진행된 정보 및 이후 진행되어야 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퀘스트를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로 구분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분된 퀘스트가 사용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신규 사용자의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 사용자가 게임에 쉽게 적응하게 하고, 기존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팝업 화면을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퀘스트를 설정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본 퀘스트를 나타낸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 퀘스트의 일부 나타낸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일/반복 퀘스트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완료 퀘스트를 기록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퀘스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달성 팝업 화면을 나타낸다.
도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은, 퀘스트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게임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게임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조건에 따라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로서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별로 1회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퀘스트 제공 장치가 설정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게임 실행 서버는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 조건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퀘스트 중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이전까지 수행 중인 상기 퀘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전송한 수행 중인 퀘스트가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각 퀘스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며, 상기 게임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가 표시되는 퀘스트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퀘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시작 시,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를 적용하여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수신한 게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 중 달성된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달성된 퀘스트 존재 시, 상기 달성된 퀘스트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퀘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퀘스트가 달성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한 퀘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어느 한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상기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인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대 평가를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는,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되어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를 저장하는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 별로 1회씩만 제공되는 복수개의 확장 퀘스트를 저장하는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반복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반복 퀘스트 설정부; 및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경기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각각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퀘스트 관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기본 퀘스트 중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이후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확장 퀘스트 중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진행된 정보 및 이후 진행되어야 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게임 캐릭터는 온라인 게임 중 스포츠의 일 종목을 유저들이 체험할 수 있는 게임 내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들을 의미한다. 게임 캐릭터는 게임 화면 상에 등장하여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게임 내에서 일정한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게임 캐릭터는 게임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일정한 경험치를 쌓으면서 레벨이 상승될 수 있으며, 레벨의 상승에 따라서 캐릭터의 능력치가 더욱 강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스포츠는, 일반적인 의미의 스포츠를 의미하며, 온라인 게임으로 실행될 수 있는 모든 종목의 스포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축구, 야구, 농구, 테니스, 배구, 육상, 격투기 종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S110). 온라인 게임은 게임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함으로서 실행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컴퓨터에 게임 클라이언트가 인스톨(install)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게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다. 게임이 실행되면, 게임 서버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이전 게임 진행까지 수행 중이던 퀘스트를 팝업 한다(S120). 여기서 게임 서버는 웹 페이지 상의 로그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확인되면, 게임 서버는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이전 게임까지 수행 중이던 퀘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팝업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 데이터는 온라인 게임의 게임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나, 승률, 보유 아이템, 레벨 등의 각종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 각각의 퀘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팝업 화면을 나타낸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퀘스트 팝업 화면은 수행 중인 퀘스트를 퀘스트 종류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2 에서는 퀘스트가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의 3가지 종류의 퀘스트로 구분되었다.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의 퀘스트 들에 대해서는 후술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시에 퀘스트가 팝업 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퀘스트 팝업 창은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서 이용된 것이다. 따라서 퀘스트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라면 팝업 창의 형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시 도1 을 참조하면, 수행 중인 퀘스트가 도2 와 같이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S130). 사용자가 게임 클라이언트를 통해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를 선택하면, 게임 서버는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40). 이때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과 더불어 해당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게임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정보 및 이후 진행되어야 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퀘스트의 상세 정보는 게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퀘스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 된 퀘스트들 중 하나의 퀘스트 상에 아이콘을 이동시킨 후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 된 퀘스트들 중 하나의 퀘스트 상에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창에 퀘스트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아이콘을 이동시켜 선택하도록 한 경우에는 해당 아이콘의 일측에 말풍선 형태로 퀘스트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퀘스트 상세 정보를 확인한 이후, 또는 사용자가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된 퀘스트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로비(lobby)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50). 로비 화면은 게임에서 사용자가 게임에서 사용할 캐릭터(character)를 선택하거나, 게임 모드(mode), 채널(channel) 또는 게임 방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으로, 사용자는 로비 화면에서 수행할 경기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비 화면은 퀘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 및 게임 종료 버튼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게임 종료 버튼을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만일 게임 종료 버튼이 선택되었다면,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서버와의 접속을 끊고 게임을 종료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게임 클라이언트를 통해 퀘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을 선택하여, 퀘스트 리스트 보기를 필요로 하는지 판단한다(S170). 사용자가 퀘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을 선택하였으면, 퀘스트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80). 퀘스트 리스트 보기는 퀘스트 팝업과 달리 퀘스트 리스트 화면이 별도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팝업 창 형태가 아니라 별도의 화면으로 제공되므로 한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퀘스트의 개수를 늘일 수 있으며, 퀘스트 각각에 대한 상세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퀘스트를 종류에 따라 별도의 탭(Tab) 화면으로 구분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퀘스트 리스트 화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퀘스트 리스트 화면 또한 퀘스트 팝업 창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를 선택하여, 선택한 퀘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S130).
한편 사용자가 퀘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을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경기를 실행하기 위하여 로비 화면에서 제공된 경기 조건을 설정한다(S190). 경기 조건이 설정되면, 게임 서버는 설정된 경기 조건에 따라 퀘스트를 설정한다(S200). 퀘스트 설정은 사용자가 로비 화면에서 경기 조건 설정을 완료한 후, 경기 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설정된 경기 조건에 따라 모드가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기 조건에는 경기 모드, 채널, 게임 방 선택 등이 포함된다. 이중 특히 경기 모드는 게임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주로 사용자가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과 대결하는 싱글 모드와 다른 사용자와 대결하는 멀티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다른 퀘스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경기 조건에서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에서도 서로 다른 퀘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이 온라인 축구 경기인 경우에 사용자는 모드 이외에도 리그(League) 및 팀(team)을 선택할 수 있다. 리그는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축구 경기에서 일종의 지역별 경쟁 체제로서, 오프라인 축구 경기와 유사한 온라인 축구 게임은 사용자가 리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리그에 따라서 서로 다른 퀘스트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퀘스트는 경기 조건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경기 조건이 설정되면, 퀘스트가 게임 서버에 의해 설정된다.
게임 서버에서 퀘스트가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이미 경기 시작 버튼을 선택한 상황이므로, 게임 서버는 곧바로 경기를 실행한다(S210). 경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진행되며, 사용자의 조작은 게임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되고, 게임 서버는 게임에서 정해진 룰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결과를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경기 실행 중 퀘스트가 달성되는지 여부가 판별된다(S220). 퀘스트 달성 여부는 진행 중인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 이상의 퀘스트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로 판별되며, 게임 서버는 하나의 퀘스트라도 달성이 되었으면, 달성된 퀘스트를 완료 퀘스트로써 저장한다(S230). 이후 경기가 종료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40). 경기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게임 서버는 다시 퀘스트가 달성 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20). 그러나 경기가 종료되면, 다시 로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후(S150), 게임 종료 여부를 판별한다(S160).
상기에서는 퀘스트 설정 단계(S200)가 경기 실행 단계(S210)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임에 따라서는 경기 진행 중 특정 조건에 매칭된 경우에 퀘스트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퀘스트를 설정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1 에서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도3 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3 을 참조하면, 퀘스트를 설정 단계는 먼저 이전 경기 조건 선택 단계에서 설정된 경기 조건을 확인한다(S201). 상기한 바와 같이 퀘스트는 설정된 경기 조건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따라서 경기 퀘스트를 설정하기 전에 먼저 설정된 경기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설정된 경기 조건이 확인되면, 복수개의 퀘스트 종류 중 기본 퀘스트, 특히 설정된 경기 조건에 대응하고 이전 게임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한다(S20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퀘스트는 그 용도에 따라 복수개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로 분류한다. 기본 퀘스트는 사용자의 게임 진행 과정에 따라 단계별로 제시되는 퀘스트로서, 사용자에게 게임의 규칙을 순차적으로 배워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게임의 특성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이다. 따라서 기본 퀘스트는 설정된 경기 조건과 무관하게 게임 자체의 특성을 익히게 하기 위한 공통 기본 퀘스트와, 경기 조건에 따른 규칙을 익히게 하기 위한 조건별 기본 퀘스트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퀘스트가 사용자에게 게임의 규칙을 순차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퀘스트이기 때문에 기본 퀘스트는 모든 기본 퀘스트가 한번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이전 기본 퀘스트가 달성되면, 달성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된 후속 기본 퀘스트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본 퀘스트를 나타낸다.
도4 에서 도시된 기본 퀘스트는 온라인 축구 경기의 퀘스트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퀘스트 트리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트리 각각은 개별적으로 분화되는 단계를 가진다. 도4 에서 리그 경기에서 승리하기 퀘스트(BQ1) 및 멀티 경기에서 승리하기 퀘스트(BQ2)는 각각 조건별 기본 퀘스트로서, 리그 경기에서 승리하기 퀘스트(BQ1)는 싱글 모드에서, 그리고 멀티 경기에서 승리하기 퀘스트(BQ2)는 멀티 모드에서 설정되는 퀘스트이다. 그리고 나머지 확장 퀘스트 등록하기 퀘스트(BQ3), 유니폼 카드 10개 획득 퀘스트(BQ4) 및 이적 시장에서의 선수 영입 퀘스트(BQ5)는 모두 공통 기본 퀘스트로서 경기 조건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이중 확장 퀘스트 등록하기 퀘스트(BQ3)는 다른 종류의 퀘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자가 학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퀘스트로서 일종의 퀘스트를 위한 퀘스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 퀘스트는 복수개의 퀘스트가 트리 구조로 연계되어 있으므로, 이전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S202). 완료된 기본 퀘스트가 확인 되면, 게임 서버는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된 다음 단계의 기본 퀘스트를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연계 기본 퀘스트를 설정한다(S203). 이때 다음 단계의 기본 퀘스트는 사용자 정보와 경기 조건이 다음 단계의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만 연계 기본 퀘스트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기본 퀘스트가 수행되고 연계된 다음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더라도, 연계된 2개의 기본 퀘스트 사이에 난이도에 차이가 크다면, 이전 기본 퀘스트를 수행한 사용자의 레벨이 연계된 다음 기본 퀘스트를 수행하기 어려운 레벨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레벨이나 경기 조건이 연계된 다음 기본 퀘스트에 부합되는 경우에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 퀘스트의 설정이 완료되면, 게임 서버는 확장 퀘스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204). 확장 퀘스트는 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는 퀘스트부터 달성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한 퀘스트까지 다양한 난이도의 퀘스트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퀘스트이다. 확장 퀘스트의 주 목적이 사용자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퀘스트이므로, 확장 퀘스트는 다양한 형태 및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숨겨진 퀘스트나 특이한 퀘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숨겨진 퀘스트나 특이한 퀘스트 대한 달성 조건을 매우 까다롭게 설정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높게 설정하면, 우연히 퀘스트를 달성한 사용자의 정보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파됨으로서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궁금증 및 흥미를 고취시키는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확장 퀘스트는 기본 퀘스트와 달리 사용자에게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퀘스트가 아니므로 랜덤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동일한 경기 수를 진행하고 있는 동일한 레벨의 사용자일지라도 어떤 사용자에게는 확장 퀘스트가 제공되는 반면 어떤 사용자에게는 확장 퀘스트가 제공되지 않도록 랜덤하게 확장 퀘스트를 제공하므로서 사용자의 확장 퀘스트에 대한 기대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서버는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확장 퀘스트를 추가로 설정할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게임 서버가 확장 퀘스트를 추가할 것으로 판별되면, 게임 서버는 어떤 확장 퀘스트를 추가할지 판단하여 확장 퀘스트를 설정한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 퀘스트의 일부 나타낸다.
도5 에서도 온라인 축구 게임에서의 확장 퀘스트를 일예로 나타내었으며, 경기 조건 및 용도에 따라 확장 퀘스트를 구분하였다. 확장 퀘스트는 경기 조건에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경기 조건에 따른 확장 퀘스트가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확장 퀘스트는 트리 구조로 복수개의 퀘스트가 연계되는 기본 퀘스트와 달리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퀘스트로 제공된다. 그리고 도5 의 선수 영입 100명 퀘스트 및 선수 방출 100명 퀘스트와 같이 쉽게 달성하기 어려우며 특이한 퀘스트가 상기한 숨겨진 퀘스트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퀘스트가 설정되면, 게임 서버는 일일/반복 퀘스트를 설정한다(S206). 일일/반복 퀘스트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이다. 일반적으로 확장 퀘스트는 한번 달성하면, 동일한 퀘스트가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여기서 동일한 퀘스트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퀘스트가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싱글 모드에서 리그 우승하기와 같은 퀘스트는 동일한 싱글 모드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에 다시 제공되지 않지만 멀티 모드와 같이 다른 경기 조건에서는 동일한 퀘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퀘스트가 사용자별로 1회만 제공될 수 있도록 게임 서버는 사용자별 확장 퀘스트들의 설정 횟수를 판별할 수 있다.
일일/반복 퀘스트의 경우에는 동일한 경기 조건일지라도 반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일/반복 퀘스트는 매 접속시 마다 반복 가능한 퀘스트이므로 사용자에게 게임 상에서 성취감을 제공하기 위한 퀘스트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일/반복 퀘스트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6 에서는 극히 일부분의 일일/반복 케스트만 도시되었으며, 각각의 게임마다 다양한 일일/반복 퀘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매번 동일한 퀘스트가 반복되면 사용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게임 서버는 일일/반복 퀘스트는 단순히 동일한 퀘스트가 매번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일일/반복 퀘스트로 지정된 복수개의 퀘스트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일/반복 퀘스트도 경기 조건 별로 구분하고, 대응하는 경기조건에 매칭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은 퀘스트를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퀘스트는 경기 조건에 매칭되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퀘스트는 모든 사용자에게 1회씩 제공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확장 퀘스트는 사용자 각각에게 랜덤한 확률로 1회씩 제공되며, 일일/반복 퀘스트는 모든 사용자에게 반복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퀘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완료 퀘스트를 기록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경기 실행 중 퀘스트가 달성되면(S220), 게임 서버는 달성한 퀘스트를 완료 퀘스트로 등록한다(S231). 이는 사용자가 이후 퀘스트 관리 시에 완료한 퀘스트를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 퀘스트나 확장 퀘스트와 같이 사용자별로 1회만 제공될 수 있는 퀘스트가 반복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완료 퀘스트가 등록되면, 사용자에게 퀘스트가 달성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31).
도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달성 팝업 화면을 나타낸다.
퀘스트 달성 팝업 창은 도1 의 수행 중 퀘스트 팝업 창과 동일하게 복수개의 퀘스트를 모두 디스플레이 하고, 달성된 퀘스트에 대해 완료 표시를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성된 하나의 퀘스트를 디스플레이만을 디스플레이하고, 퀘스트 완료에 대한 보상 아이템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어떤 퀘스트가 달성되었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줌과 동시에 달성한 퀘스트에 따른 보상 아이템의 확인을 용이하도록 하여 게임의 성취감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완료된 퀘스트가 기본 퀘스트인지를 판별한다(S233). 그리고 완료된 퀘스트가 기본 퀘스트인 경우에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퀘스트 트리에 따른 연계 퀘스트가 존재 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34).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 퀘스트는 사용자가 게임의 규칙을 순차적으로 배워나가도록 하기 위한 퀘스트이므로, 연계 퀘스트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완료된 퀘스트가 기본 퀘스트인 경우에 연계 퀘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한 후, 연계 퀘스트가 존재하면 게임 서버는 연계된 기본 퀘스트를 추가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퀘스트를 제공하도록 한다(S235). 여기서 새로운 기본 퀘스트가 추가로 설정된 경우에 추가된 기본 퀘스트가 팝업 창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된 기본 퀘스트는 완료된 기본 퀘스트가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 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추가된 기본 퀘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영역에 아이콘이 위치하면 말풍선 형태로 추가된 기본 퀘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완료 퀘스트 저장 단계(S230)가 경기 종료 단계(S240) 이전에 수행되어 경기 도중에 퀘스트 달성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게임의 종류에 따라, 또는 경기의 모드에 따라 퀘스트 달성 팝업 창은 경기 도중에 디스플레이 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들과 경쟁하는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퀘스트 달성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퀘스트를 달성한 사용자의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플레이 모드 뿐만 아니라 싱글 플레이 모드에서도 경기 도중 퀘스트 달성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되면, 게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려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흥미를 반감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완료 퀘스트 저장 단계(S230)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S231 ~ S235)는 게임의 종류 및 경기의 모드에 따라 경기 종료 단계(S240) 이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퀘스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로비 화면에서 퀘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이 선택되면(S170), 게임 서버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퀘스트들 중 미완료 퀘스트들을 확인한다(S180). 그리고 확인된 미완료 퀘스트들을 퀘스트의 용도 또는 퀘스트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퀘스트를 구분하는 기준은 게임 별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10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10 에서는 퀘스트를 경기 조건 및 용도에 따라 구분한 퀘스트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다. 퀘스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좌측단은 지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된 퀘스트들의 특징을 표시하는 퀘스트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우측단은 각각의 퀘스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퀘스트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퀘스트 리스트 각각은 퀘스트 이름(또는 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한 조건)과 함께, 퀘스트 완료시 지급되는 보상 아이템을 명시하여 퀘스트의 요약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각각의 퀘스트 리스트의 일측단(도10 에서는 좌측)에 확장 체크 박스를 구비한다. 게임 서버는 확장 체크 박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확장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현재까지의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퀘스트 리스트에서 각 퀘스트의 이름이 선택되면, 해당 퀘스트의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확장 체크박스가 선택된 경우에,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과 더불어 해당 퀘스트의 상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퀘스트가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퀘스트 카테고리가 구성되었으나, 도2 와 유사하게 퀘스트 카테고리는 퀘스트의 종류에 따라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퀘스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은 미완료된 퀘스트 뿐만 아니라 완료된 퀘스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모든 퀘스트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든 퀘스트 보기 버튼을 제공한다.
이에 모든 퀘스트 보기 버튼이 선택되는지 판별한다(S183). 모든 퀘스트 보기 버튼이 선택되면, 게임 서버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모든 퀘스트를 확인(수집)한다(S184). 사용자에게 제공된 모든 퀘스트가 확인되면, 모든 퀘스트를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85). 이때 퀘스트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은 도10 과 같이 퀘스트의 용도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고, 도2 와 같이 퀘스트의 종류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도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1 ~ 10n), 인터넷(200) 및 게임 서버(300)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1 ~ 10n) 각각은 인터넷(200)을 통해 게임 서버(300)와 접속되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게임 서버(300)는 게임 실행 서버(310) 및 퀘스트 제공 장치(320)를 구비한다.
게임 실행 서버(310)는 먼저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접속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 10n)에게 각종 인터넷 게임을 비롯하여 채팅, 동호회, 쇼핑몰 등의 여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1 에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컴퓨터(101 ~ 10n)를 통해 게임 실행 서버(310)에 접속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컴퓨터 이외에 인터넷(200)을 통해 게임 실행 서버(310)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텔레비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임 실행 서버(310)는 사용자가 웹이나 게임 상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 등을 저장하고,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 정보들을 저장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게임 실행 서버(310)는 사용자들에게 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양한 아이템을 판매하며, 사용자가 이러한 아이템을 구매한 경우 웹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게임 실행 서버(310)는 사용자가 경기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로비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기 조건을 웹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로 저장하는 한편 퀘스트 제공 장치(32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게임 실행 서버(310)를 통해 게임을 선택하면, 게임 실행 서버(310)는 사용자 단말기(101 ~ 10n)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게임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1 ~ 10n)가 인터넷(200)을 통해 게임 실행 서버(310)에 접속된다. 여기서는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단말기(101 ~ 10n)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 실행 서버(310)가 이를 판단하여 필요한 시점에 해당 게임을 위한 사용자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게임 실행 서버(310)는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게임별 로직을 저장하는 게임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로직이란 게임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임을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특정된 규칙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게임 상의 일련의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퀘스트 제공 장치(320)는 다양한 종류의 퀘스트를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 및 퀘스트 관리부(324)를 구비한다.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는 각각 기본 퀘스트, 확장 퀘스트 및 일일/반복 퀘스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퀘스트들 각각의 퀘스트 완료 조건와 보상 아이템을 비롯한 퀘스트 세부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즉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는 각각 대응하는 퀘스트들에 대한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중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는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들에 대한 연계 구조를 도4 와 같이 트리 구조로 저장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 퀘스트가 개별 퀘스트로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퀘스트가 연계되어 순차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은 단순히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 퀘스트들 사이의 연계 구조 또한 기본 퀘스트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퀘스트 관리부(324)는 게임 실행 서버(3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인가받고, 사용자 정보와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로부터 기본 퀘스트 데이터, 확장 퀘스트 데이터 및 일일/반복 퀘스트 데이터를 매칭시킨다. 즉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의 기본 퀘스트 데이터, 확장 퀘스트 데이터 및 일일/반복 퀘스트 데이터는 단순히 퀘스트 자체에 대한 데이터로서 모든 퀘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실제 사용자가 수행 중인 퀘스트 뿐만 아니라 아직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은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퀘스트 관리부(324)는 인가된 사용자 정보와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에 저장된 퀘스트 데이터를 서로 매칭시켜, 현재 사용자가 수행 중이거나 수행한 퀘스트인 사용자 퀘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퀘스트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수행 중인 퀘스트 각각의 진행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11 에 도시된 퀘스트 제공 장치(320)는 각각의 대응하는 종류의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 및 기본 퀘스트 설정부(321), 확장 퀘스트 설정부(322) 및 일일/반복 퀘스트 설정부(323)에 저장된 퀘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하는 퀘스트 관리부(324)를 구비하여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종류의 다양한 퀘스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퀘스트 진행 상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퀘스트 제공 장치(320)는 게임 실행 서버(310)과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외부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장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퀘스트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게임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게임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조건에 따라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로서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별로 1회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퀘스트 제공 장치가 설정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게임 실행 서버는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 조건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퀘스트 중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이전까지 수행 중인 상기 퀘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전송한 수행 중인 퀘스트가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각 퀘스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실행 서버가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수행중인 퀘스트 중 한 퀘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며, 상기 게임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가 표시되는 퀘스트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퀘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시작 시,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를 적용하여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수신한 게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 중 달성된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달성된 퀘스트 존재 시, 상기 달성된 퀘스트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퀘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퀘스트가 달성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한 퀘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어느 한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상기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완료한 게임 수행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완료되어야 할 게임 수행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인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10. 복수개의 퀘스트 중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되어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본 퀘스트를 저장하는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 별로 1회씩만 제공되는 복수개의 확장 퀘스트를 저장하는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반복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반복 퀘스트 설정부; 및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경기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각각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퀘스트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기본 퀘스트 중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기본 퀘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완료된 기본 퀘스트에 연계되어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가 존재하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이 상기 수행될 기본 퀘스트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이후 기본 퀘스트를 상기 기본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에 저장된 확장 퀘스트 중 이전 경기 진행 시까지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상기 완료된 확장 퀘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퀘스트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를 상기 확장 퀘스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기본 퀘스트 설정부, 상기 확장 퀘스트 설정부 및 상기 반복 퀘스트 설정부로부터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 각각에 대한 진행된 정보 및 이후 진행되어야 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장치.
  15. 퀘스트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게임 실행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게임 서버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인 게임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게임 조건에 따라 하나의 퀘스트 완료시 다른 퀘스트가 시작되도록 서로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로서 기본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사용자별로 1회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확장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경기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퀘스트 중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퀘스트로서 반복 퀘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퀘스트 제공 장치가 설정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게임 실행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게임 실행 서버는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퀘스트, 상기 확장 퀘스트 및 상기 반복 퀘스트를 경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CT/KR2012/010019 2011-12-08 2012-11-26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30851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3,972 US9339731B2 (en) 2011-12-08 2012-11-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est in online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323A KR101308654B1 (ko) 2011-12-08 2011-12-08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11-0131323 2011-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192A1 true WO2013085192A1 (ko) 2013-06-13

Family

ID=4857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019 WO2013085192A1 (ko) 2011-12-08 2012-11-26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9731B2 (ko)
KR (1) KR101308654B1 (ko)
WO (1) WO20130851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575A (ko) * 2014-03-18 2015-09-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주시 영역 기반 객체 식별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87B1 (ko) * 2015-08-27 2016-10-05 유호영 퀘스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퀘스트 수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63B1 (ko) * 2018-04-18 2019-08-14 안용재 퀘스트 기반의 게임을 이용한 국민안전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4379B1 (ko) *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리퓨티드 콘솔 게임의 업적정보 기반의 미션 진행에 대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JP7076614B1 (ja) 2021-06-23 2022-05-27 株式会社Cygames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7693385A (zh) * 2021-07-21 2024-03-12 Dba Pci博彩管理局波阿里派克里克人 用于跟踪用户活动和管理任务的计算机实施的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03A (ko) * 2007-10-23 2009-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임 콘텐츠상 내러티브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5735A (ko) * 2008-04-03 2009-10-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게임에서의 플레이어 캐릭터 간 퀘스트 매칭시스템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92A (ko) * 2005-06-13 2006-12-18 스미스앤모바일 주식회사 네트워크 게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06496A (ko) * 2008-07-09 2010-01-19 노해선 저장된 스토리텔링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게임의스토리텔링 제작 방법 및 장치
JP5822774B2 (ja) * 2012-04-20 2015-11-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制御サーバ、ビデオゲーム制御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03A (ko) * 2007-10-23 2009-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임 콘텐츠상 내러티브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5735A (ko) * 2008-04-03 2009-10-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게임에서의 플레이어 캐릭터 간 퀘스트 매칭시스템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onpa Communication of OP] Everyday Deonpa Habit", NAVER BLOG, 12 April 2010 (2010-04-12), pages 5,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opkolj2.blog.me/140104924903> *
"[Emul] Online Qwest in Single mode!", NAVER BLOG, 25 February 2008 (2008-02-25), pages 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blog.naver.com/asura32/11002820749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575A (ko) * 2014-03-18 2015-09-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주시 영역 기반 객체 식별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13865B1 (ko) 2014-03-18 2021-02-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주시 영역 기반 객체 식별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54B1 (ko) 2013-09-13
US20140323216A1 (en) 2014-10-30
KR20130064618A (ko) 2013-06-18
US9339731B2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192A1 (ko) 온라인 게임의 퀘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3100390A1 (ko) 온라인 게임의 보상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023155A1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동 게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3100277A1 (ko) 온라인 게임의 팀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3085183A1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3042848A1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추첨 방법 및 장치
WO2014025086A1 (ko) 보상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085189A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133510A1 (ko) 사용자 수에 따른 아이템 조합 방법 및 서버
WO2013085166A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3085202A1 (ko) 온라인 스포츠 게임의 경기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3100362A1 (ko)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상세 정보 비교창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WO2013085173A1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자동 플레이 방지 방법 및 서버
WO2013085195A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이벤트 참여에 따른 아이템 지급 방법 및 서버
WO2013085105A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친구간의 전적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065967A1 (ko) 베팅 정보 아이템을 이용한 포커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WO2013100282A1 (ko) 온라인 게임의 팀 운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3085191A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065973A1 (ko) 게임방 관리 방법, 게임방 관리 장치, 그를 위한 기록매체 및 게임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시스템
WO2013085164A1 (ko) 공 아이템을 적용한 게임 제공 방법, 게임 서버 및 기록매체
WO2013100248A1 (ko) 온라인 스포츠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3085190A1 (ko) 온라인 게임의 보상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014590A1 (ko) 게임 결과 정보창을 이용한 메시지 출력 방법
WO2013035934A1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3100399A1 (ko) 게임 시뮬레이션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61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6397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61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