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096A -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 Google Patents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096A
KR20210064096A KR1020200160009A KR20200160009A KR20210064096A KR 20210064096 A KR20210064096 A KR 20210064096A KR 1020200160009 A KR1020200160009 A KR 1020200160009A KR 20200160009 A KR20200160009 A KR 20200160009A KR 20210064096 A KR20210064096 A KR 20210064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ser terminal
signal
providing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4397B1 (en
Inventor
이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니터링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니터링식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니터링식스
Publication of KR2021006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data collection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firefighting receiver installed in each household and collects firefighting data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a server providing a fire signal generat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covery button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The server may provide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a user's recovery signal, determine a fire according to whether the firefighting receiver has recovered, and provide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Server and fi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sam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실시예는 화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서버,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server for monitoring a fire situation in real time, and a fire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발생세대에 거주자가 세대 내에 유재(留在) 중인 경우에는 거주자가 소화기를 이용한 진화하는 한편 119에 화재신고를 하고 위험한 상황이 되면 탈출하는 식으로 대처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in each household in an apartment building, if a resident of the household in which the fire occurs is still present in the household, the resident uses a fire extinguisher to extinguish the fire, and reports the fire to 119 and escapes in a dangerous situation. will be dealt with in this way.

반면, 세대 거주자가 부재(不在) 중인 경우에는 상술한 대처과정을 거칠 수 없기 때문에 화재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화재감지센서에 의하여 화염, 열기, 연기가 감지되면 이에 연동하여 화재경보장치가 화재발생을 경보음으로 알리게 되고 주위의 타세대 거주자 또는 관리사무소 또는 경비원 등에 의하여 119에 화재신고를 하면 소방차와 소방대원들이 출동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대처과정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household resident is not present, the above-mentioned countermeasures cannot be taken, so if the fire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and flame, heat, and smoke are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the fire alarm system interlocks i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a fire is reported to 119 by residents of other households, management offices, or security guards, fire engines and fire fighters are dispatched to extinguish the fire.

이 경우 초기 발화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진화를 시작하게 되므로 화재가 크게 번지게 되고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re spreads greatly and damage due to the fire is increased because the fire is started only afte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ignition poin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진화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embodiment provides a server and a fi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computer program for minimizing damage due to fire by quickly extinguishing the fir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for that purpose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화재신호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구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긴급상황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firefighting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from a firefighting receiver, generates a fire signal using the firefighting data, and provides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A signal generator, a recovery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to determine whether the fire is It may include an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로서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화재발생위치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to the user terminal as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상기 화재발생위치 제공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may provide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on a map or a navigation system.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화재신호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fire signal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화재신호 제공부는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로부터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 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방서 및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may provide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occupant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that the emergency has occurred.

상기 서버는,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 소방훈련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virtual fire dril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소방 수신기의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n earth indicator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turned on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서버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각 세대에 장착된 소방 수신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 수신기의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기와, 상기 데이터 수집기기로부터 수집된 상기 소방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화재 신호에 따른 복구 버튼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구 버튼으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상기 복구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소방 수신기의 상기 복구 여부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fire fighting receiver mounted in each household, and includes a data collecting device that collects fire fighting data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ng device. A server for providing a fire signal generated based on firefighting data to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covery button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wherein the server includes a recovery button received from the recovery button. The recovery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a signal, and a fir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efighting receiver has recovered, and the fire statu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는, 상기 소방 수신기가 복구되지 않으면 상기 화재라고 판단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determine that it is the fire if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not recovered and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on a map or navigation.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소방서 및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occupant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erver when the fire occurs.

상기 서버는,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데이터 수집기기는, 무선통신 또는 전기 선을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an electric wire.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는 상기 소방 수신기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use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amera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arth indicator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turned 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은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fi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llecting firefighting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from a firefighting receiver,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the fire exists. may include.

상기 화재 감시 방법은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로서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as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on a map or a navigation system.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 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방서 및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occupants.

상기 화재 감시 방법은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소방 수신기의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llecting of the firefighting data may include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arth indicator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turned on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collecting the firefighting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실시예는 화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securing reliability for fire occurrence by monitoring the fire state in real time.

또한, 실시예는 비화재보에 따른 피난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민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civil complaints that may occur during evacuation according to non-fire reports.

또한, 실시예는 복구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결정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malfunction by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fire using the recovery signal.

또한, 실시예는 가상의 소방훈련 연습을 통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through a virtual fire drill exercise.

또한, 실시예는 소방 관리 업체의 점검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inspection work of the firefighting management company.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6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6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the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3 to 16 are view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장치(1000)는 각 세대에 장착된 소방 수신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 수신기(10)의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기(100)와, 상기 데이터 수집기기(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하는 서버(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상기 화재 신호에 따른 복구 버튼을 제공하는 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0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PC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PC 프로그램이 설치된 메모리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PC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 a fire monito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fire fighting receiver 10 mounted in each household, and a data collection device 100 for collecting fire fighting data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 and a server 200 that provides a fire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20, and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A display unit 300 providing a recovery button may be included. Here, the display unit 300 may be an application or a PC program or a memory in which an application or PC program is installed, or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or PC program is instal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소방 수신기(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수신기(10)는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감지기, 발신기 등의 소방 설비가 작동하면 건물 소방 시설을 총괄하는 소방 수신기(10)에 표시되며, 소방 수신기(10)는 경보 발령과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연동되는 소방 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Here,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may be installed in each household of the apartment house to monitor the fire situation. When the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the detector and the transmitter is activated, it is displayed on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that oversees the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y, and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can operate the firefighting equipment that is interlocked according to an alarm issued and an input signal.

데이터 수집기기(F-DAS, 100)는 소방 수신기(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기(F-DAS, 100)는 소방 수신기(1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소방 수신기(10)를 통해 화자 발생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F-DAS 100 may collect data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 The data collection device F-DAS 10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for example, it may collect speak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소방 수신기(10)의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소방 수신기(10)의 복구 스위치를 누르는 것과 같이 접점을 붙이거나 떼어주는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최대 6채널로 이루어져 아날로그 접점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디지털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디지털 통신은 시리얼 통신,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소방 수신기(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has no effect on th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function for attaching or detaching a contact, such as pressing a recovery switch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can read analog contact data by having a maximum of 6 channels. Alternatively,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may collect data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The digital communica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or the like.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LAN, WIFI, LTE, loT 등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hrough LAN, WIFI, LTE, IoT, and the like.

서버(200)는 데이터 수집기기(100)로부터 수집된 소방 데이트를 기초로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어 신호 예컨대, 복구 신호를 전달받아 데이터 수집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20)에게 SMS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화재시 소방서와 같은 소방 시설에 자동으로 화재 신고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provide a fire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fir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20 . The server 2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recover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 and transmit it to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 The server 200 may transmit a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using SMS. The server 200 may automatically report a fire to a fire fighting facility such as a fire station in case of a fir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데이터 수집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210)는 데이터 수집기기(100)로부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서버 장치 또는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2 ,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210 . The data collection unit 210 may collect firefighting data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 Here, the server 200 may be a server device or a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서버(200)는 화재신호 생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신호 생성부(220)는 소방 수신기(10)의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신호 생성부(220)는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fire signal generator 220 . The fire signal generating unit 220 may generate a fire signal when a signal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The fire signal generator 220 may provide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

서버(200)는 복구신호 송수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구신호 송수신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복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구신호 송수신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복구신호를 데이터 수집기기(10)를 통해 소방 수신기(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recovery signal transceiver 230 . The recovery signal transceiver 230 may receive a recover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 . The recovery signal transceiver 230 may transmit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through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

서버(200)는 긴급상황 판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상황 판단부(240)는 소방 수신기(10)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 수신기(10)로부터 복구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 수신기(10)는 감지기 환경 불량에 의해 초기 신호가 발생된 경우이므로 자동 복구되어 복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n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40 .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4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 For example, when a recove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not occurred. For example, since the initial signal is generated due to a sensor environment defect,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may be automatically restored to generate a recovery signal.

반면, 긴급상황 판단부(240)는 소방 수신기(10)로부터 복구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소방 수신기(10)로부터 복구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 시설의 고장 등의 긴급 상황일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상황, 소방 시설의 고장 등이 발생된 경우 모두 긴급 상황이므로, 사용자 단말기(20)에 화재 신호 또는 소방 시설의 고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40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if no recovery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Alternatively, if a recovery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it may be an emergency such as a failure of a firefighting facility. Since a fire or a failure of a firefighting facility is an emergency situation, a fire signal or a firefighting facility failure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 .

서버(200)는 화재발생위치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발생위치 제공부(250)는 화재발생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화재발생위치 제공부(250)는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250 . The fire location providing unit 250 may provide the location of the fire to the user terminal 20 . Alternatively,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250 may provide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20 using a map or navigation.

서버(200)는 화재신호 제공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신호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SMS을 통해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SMS 이외에도 인스타그램, 페이스 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화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재신호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 외에 소방서에도 화재 발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재신호 제공부(260)는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 및 가족들에게 화재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fire signal providing unit 260 .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 , 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260 may provide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SMS. In addition to SMS, fire signals can be provided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260 may provide a fire occurrence signal to a fire station in addition to the user terminal 20 . 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260 may provide a fire signal to a plurality of residents and their familie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erver 200 .

화재신호 제공부(260)는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와 관련있는 복수의 카메라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260 may provide a plurality of camera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the user's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서버(200)는 가상 소방훈련 제공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소방훈련 제공부(270)는 소방 훈련을 위한 연습, 소방 법규, 소방 가이드 등을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소방 훈련은 작동된 소방 설비 별로 조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소방훈련 제공부(270)는 소방 수신기(10)에 대한 설명과 소방 수신기(10)에 대한 조작에 대한 연습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virtual fire drill providing unit 270 . The virtual fire drill providing unit 270 may provide exercises for fire drills, fire regulations, fire guides, and the like to the user terminal 20 . Virtual fire drills may provide action methods for each activated fire fighting equipment. In addition, the virtual fire drill providing unit 270 may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and practice for the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도 1로 돌아가서, 데이터 수집기기(100)는 소방 수신기(10)가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소방 수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1000)은 소방 수신기(10)를 촬영하는 카메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00)에서 수집된 정보는 이미지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읽어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를 읽어들인 데이터일 수 있다.Returning to FIG. 1 , when the firefighting receiver 10 does not support communication,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cannot collect the firefighting reception data. Accordingly, the fire monito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400 for photographing the fire fighting receiver 10 .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amera 400 may be image information or data obtained by read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reading the location where the earth indicator is turned on.

카메라(400)에서 수집된 정보는 서버(200)로 직접 전송되거나 데이터 수집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amera 4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or transmitted to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

서버(200)의 데이터 수집부(210)는 데이터 수집기기(100) 또는 카메라(400)로부터 이미지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210 of the server 200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0 or the camera 400 o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earth indicator light using the image information.

도 2로 돌아가서, 서버(200)는 이미지 제공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부(280)는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하여 화재발생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roviding unit 280 . The image providing unit 280 may provide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210 to the user terminal 20 to provide fire location information.

도 1로 돌아가서, 표시부(300)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300)는 서버(200)로부터 화재 신호가 발생되면 복구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구 신호는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정보일 수 있다. 표시부(3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신호를 입력받아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30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1 , the display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 The display unit 300 may be an application or a memory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recovery signal to the user when a fir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rver 200 . The recovery signal may b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300 . The display unit 300 intuitively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may receive a signal touched by the user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20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may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200 on the scree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서버(200)로부터 최초의 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피난 경보와 이에 따른 소방 설비가 작동되기 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알람 경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00)는 동작된 소방시설에 따라 경종 또는 부저가 울려 소방 설비 작동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display unit 300 may generate an alarm light in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before the evacuation alarm and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are operated when the first fir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 button can be provided.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by sounding an alarm or a buzzer according to the operated firefighting facilit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림 발생을 알리는 화면을 터치하게 되면 표시부(300)는 주경종, 발신기, 부저, 복구 스위치로 구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경종, 발신기, 부저, 복구 스위치는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when the user terminal touches a scree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notification,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screen divided into a main alarm bell, a transmitter, a buzzer, and a recovery switch. Here, the main alarm bell, the transmitter, the buzzer, and the recovery switch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colors to the us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복구 스위치를 눌러 화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 수신기의 복구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기 환경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미복구 신호가 수신되거나 복구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화재 또는 소방 시설의 불량이 원인이므로 피난 경보를 발령하거나 소방서로 신고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구 스위치는 안전을 위해 한번 사용하게 되면 적어도 일정 시간 예컨대 3분 동안은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fire exists by pressing the recovery switch. For example, if the recovery signal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receiv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nsor environment is bad, and if the unrecovered signal is received or the recovery signal is not received, the cause is a fire or defective firefighting facilities. screen can be provided. Here, once the recovery switch is used for safety, it may be set so that it cannot be used for at least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3 minutes.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화재 또는 소방 시설의 고장 등의 긴급 상황인 경우, 소방서의 신고가 가능하도록 전화 버튼에 대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screen for a phone button so that a fire department report is possibl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failure of a firefighting facilit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 위치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300)는 T맵 등 지도 및 네비게이션으로 연결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fire location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location of the fire by connecting it to a map and navigation such as a T map.

한편, 표시부(300)는 가상의 소방훈련 연습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00)는 가상의 소방 훈련 연습 외에 사용설명서, 소방 가이드, 소방 법류 등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virtual fire drill practice screen to the user terminal.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a user manual, a fire guide, firefighting laws, etc. in addition to virtual fire drill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설명서에는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 가이드는 소방 수신기와 소방 설비 작동과 현상에 따라 30여 가지의 조치 방법이 설명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 법규는 소방에 관련된 법규 가운데 소방 안전 관리에 해당하는 것을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 훈련연습은 작동된 소방 설비별로 조치 방법이 설명되어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instruction manu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ethod of using the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the fire guide may be provided with a description of about 30 a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fire fighting equipment. As illustrated in FIG. 10 , firefighting regulations may provide a summary of firefighting safety management among firefighting related regulations. As shown in FIG. 11 , the fire drill training may be provided by explaining the action method for each operated fire fighting equipment.

소방 훈련 연습은 소방 수신기 설명과 조작연습으로 구성될 수 있다.Fire drill exercises may consist of fire-fighting receiver explanations and operation exercise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실제 수신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화면을 통해 소방 시설 작동에 따른 수신기 조치 방법을 연습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0)에는 소방 수신기 제조일자에 따른 '주경종' 정지방법에 따라 구분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방설비 별 소방 수신기 조작 방법을 확인할 때 경보를 정지하고 연습하고자 할 소방설비를 터치한 다음 건물 산단 조치 방법을 확인하여 사전에 내용을 습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receiver 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to be practiced through the screen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actual receiver. The display unit 300 may be display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opping the 'main alarm bell' according to the date of manufacture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In addition, when check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for each firefighting equipment, stop the alarm, touch the firefighting equipment you want to practice, and then check the building industrial complex action method to learn the contents in advanc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수신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00)에는 수신기를 구성하는 명칭과 기능의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위치를 터치하게 되면 자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receiver.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names and functions constituting the receiver. By touching the location, detail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알람 설정에 대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 수신' 스위치의 적색 표시를 통해 현재 알람 수신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소방공사, 실내 건축 등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의 경보가 잦아 불편할 경우 알람 수신을 끌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14 , the display unit 300 may provide a screen for setting an alarm. You can check the current alarm reception status through the red indicator of the 'Alarm Receive' switch. In addition, if the user terminal is inconvenient due to frequent alarms due to firefighting work in a building, indoor construction, etc., a screen for turning off alarm reception may be provid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알람 수신을 끄기 위해 스위치를 터치하게 되면 시간 설정창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15 , when a user touches a switch to turn off alarm reception, a time setting window may appear on the scree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알람 수신 상태로 변경되며 스위치 터치를 통해 다시 수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수신을 거도 모니터링 등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기능을 그대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when the selected time elapses, the alarm reception state is automatically changed, and the alarm reception state can be changed again by touching the switch. Here, other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such as alarm reception and monitoring, may be used as it is.

또한, 표시부(300)는 알람 발생 시, 설비가 복구되거나 사용자 터치를 통해 표시부에 접속하기 전까지 알람 경부 또는 진동이 반복 재생될 수 있다. 스위치를 터치하여 반복 재생을 끄면 알람 정보 또는 진동이 한번만 발생할 수 있다.Also, when an alarm occurs, the display unit 300 may repeatedly reproduce the alarm light or vibration until the equipment is restored or the display unit is accessed through a user's touch. If you turn off repeat playback by touching the switch, alarm information or vibration may occur only once.

이하에서는 화재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fire det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은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와,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2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230)와,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4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fi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fire fighting data from a fire fighting receiver (S210),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 fighting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providing (S220),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230),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A step (S240) of providing a fire or not to the user terminal may be performed. Here, the fi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는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소방 데이터는 소방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는 소방 수신기의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Collecting firefighting data (S210) may be perform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The firefighting data may collect data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In addition, the collecting of the firefighting data ( S210 )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arth indicator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turned on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20)는 화재신호 생성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20)는 소방 수신기의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재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 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 S220 ) may be performed by the fire signal generating unit. In the step of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 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S220), when the signal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 fir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r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It can be provided by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2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2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신호를 데이터 수집기기를 통해 소방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230) may receive a plurality of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In step 230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through a data collection device.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40)는 긴급상황 판단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S240) of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S240) may be performed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240)는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 수신기로부터 복구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 수신기는 감지기 환경 불량에 의해 초기 신호가 발생된 경우이므로 자동 복구 될 수 있다. 반면, 소방 수신기로부터 복구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소방 수신기로부터 복구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 시설의 고장 등의 긴급 상황일 수 있다.In the step ( S240 ) of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 S24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exists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For example, when a recove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not occurred. For example, since the initial signal is generated due to a bad environment of the detector, the fire-fighting receiver may be automatically restored. On the other hand, if a recovery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lternatively, if a recovery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it may be an emergency such as a failure of a firefighting facility.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Here, the step of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map or navigation.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can do.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 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방서 및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occupa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have.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fter collecting firefighting data, providing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메모리(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어부가 직접, 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software (eg,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a) (eg, a memory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a computer). : Program). The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alling a stored command from a storage medium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When the command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directly or by using other compon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contain a signal and is tangible, bu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semi-permanent or temporary storage of data in the storage medium.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과,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collecting firefighting data from a firefighting receiver,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and recover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processor performs a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signal;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the fire exists. It may contain instructions f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과,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collecting firefighting data from a firefighting receiver,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and recover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processor performs a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signal;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the fire exists. It may contain instructions for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0: 소방 수신기
20: 사용자 단말기
100: 데이터 수집기기
200: 서버
210: 데이터 수집부
300: 표시부
10: fire receiver
20: user terminal
100: data collection device
200: server
210: data collection unit
300: display

Claims (29)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화재신호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구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긴급상황 판단부;
를 포함하는 서버.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fire fighting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 fir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 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a recovery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an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server contain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로서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또는 화재 신호를 감지한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화재발생위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a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the loc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or that detects the fire signal as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위치 제공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A server that provides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on a map or navig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위치 제공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카메라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providing unit,
A server that provides camera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화재신호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a fire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신호 제공부는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로부터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 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방서 및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fire signal providing unit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has occurred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e server provides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occup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 소방훈련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a virtual fire dril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소방 수신기의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district indicator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lit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각 세대에 장착된 소방 수신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 수신기의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기;
상기 데이터 수집기기로부터 수집된 상기 소방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화재 신호에 따른 복구 버튼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구 버튼으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상기 복구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소방 수신기의 상기 복구 여부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a data collect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a fire fighting receiver mounted in each household to collect fire fighting data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 server that provides a fire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firefighting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and
and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covery button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The server provides the recovery signal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recovery button, determines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and provides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fire monitoring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방 수신기가 복구되지 않으면 상기 화재라고 판단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화재 발생 위치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fire is the fire if the fire-fighting receiver is not recovered, and provides a location of the fir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rver is a fire monitoring system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on a map or a naviga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er,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fire monitoring system for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소방서 및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rver is a fire monitoring system for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occupant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erver when the fire occu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er is a fire monitoring system that provides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기는, 무선통신 또는 전기 선을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와 연결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data collection device is a fire monitoring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firefighting receiv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an electric wi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는 상기 소방 수신기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e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rver, a fire monitoring system for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rver, using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amera, a fire monitoring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earth indicator in the fire fighting receiver turned 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소방 수신기로부터 소방 데이터 및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방 수신기에 복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방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복구 신호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collecting firefighting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from the firefighting receiver;
generating a fire signal using the fire fighting data, and providing the generated fire signal to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covery signal to the fire fighting receiver based on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a fire according to the recover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fighting receiver and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A fire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방법은,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로서 상기 소방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re monitoring method comprises:
After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the fire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fighting receiver as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step of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on a map or a navigation system.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SMS를 통해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In the step of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ists to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fir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MS.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 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방서 및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입주자에게 상기 화재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fire signal to a fire station and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occupa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the fire exist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방법은,
가상의 소방훈련, 소방 가이드 및 소방 법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re monitoring method comprises:
Fire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virtual fire drills, fire guides and fire regulations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소방 수신기의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 수신기 내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llecting of the fire-fighting data is a fire monitoring method of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receiver or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n earth indicator is turned on in the fire-fighting receiver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After collecting the fire fighting data, the fire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7.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7.
KR1020200160009A 2019-11-25 2020-11-25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KR1025643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2372 2019-11-25
KR1020190152372 201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96A true KR20210064096A (en) 2021-06-02
KR102564397B1 KR102564397B1 (en) 2023-08-08

Family

ID=7637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009A KR102564397B1 (en) 2019-11-25 2020-11-25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9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919B1 (en) * 2022-11-08 2023-02-09 (주)세이프 Dangero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ression/evacuation of accidents at dangerous facilities
KR102643500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communication signal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643507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744B2 (en) * 1982-06-11 1987-08-29 Nippon Electric Co
KR101774897B1 (en) * 2016-11-29 2017-09-05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Reset system for fire receiver and mobile informing fire signal
KR101994064B1 (en) * 2019-01-11 2019-06-27 김종배 Fire fighting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0744B1 (en) * 2016-12-26 2017-11-29 能美防災株式会社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744B2 (en) * 1982-06-11 1987-08-29 Nippon Electric Co
KR101774897B1 (en) * 2016-11-29 2017-09-05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Reset system for fire receiver and mobile informing fire signal
KR101994064B1 (en) * 2019-01-11 2019-06-27 김종배 Fire fighting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00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communication signal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643507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497919B1 (en) * 2022-11-08 2023-02-09 (주)세이프 Dangero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ression/evacuation of accidents at dangerous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97B1 (en)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397B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2023851B1 (en) IoT Smart Fire Detection Guide System Using Existing Fire Detector
KR101017273B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management
KR101219176B1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KR101583184B1 (en) Disaster detection system
CN105698797A (en) Safety emergency navigation device
KR102176533B1 (en) Fire alarm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0750513B1 (en)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KR100660155B1 (en) Fire-alarm system having self-test function
KR20190094672A (en) Wireless fire alarm system and method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3157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type fire control panel
JP6310243B2 (en) Automatic fire alarm equipment
JP2024045412A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2042585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disaster prevention
JP2015111327A5 (en)
KR20120026887A (en) System for managing fire with wire or wireless
JP2017068294A (en) Support system, support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2005115797A (en) Fire alarm equipment
JP7417385B2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JP2020052910A (en) Fire alarm system
JP2016139219A (en) Disaster prevention display system
JP6415895B2 (en) Disaster prevention receiver
JP2019023904A (en) Disaster prevent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