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513B1 -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 Google Patents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513B1
KR100750513B1 KR1020060051454A KR20060051454A KR100750513B1 KR 100750513 B1 KR100750513 B1 KR 100750513B1 KR 1020060051454 A KR1020060051454 A KR 1020060051454A KR 20060051454 A KR20060051454 A KR 20060051454A KR 100750513 B1 KR100750513 B1 KR 10075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ceiver
unit
type
syste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일영
이용철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5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4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 G08B1/06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hydraulic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A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inspect the state of a line connected with various fire detectors and to execute a self-diagnosis function at the set time. Plural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s for fire management to generate an alarm signal in detecting a fire are installed in the same build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ach receiv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180)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by using a commercial power line. The receiver comprises a fire sensing unit(120)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spot of the building to detect an indication of a fire; a fire sensing unit of the receiver detecting an indication of a fire around the receiver; a fire informing unit(140) informing the state of the fire by sound or voice; a screen display unit(130) displaying the state of the fire on a screen; a system control unit(100) receiving signals of the fire sensing unit and the fire sensing unit of the receiver and outputting the state of the fire through the fire informing unit and the screen display unit;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160)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fire to a fire station or a manager under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Description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구체적인 구성도.Figure 2 i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e fighting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개략적인 외관 정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종 스위치들의 회로 구성도.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witches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hown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서 자동으로 동작시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test process automatically in fire fighting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서 자동으로 도통시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duction test process automatically in fire fighting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부의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in the main parts of drawings

10, 20, 30.. 수신기 100.. 시스템 제어부10, 20, 30 .. Receiver 100 .. System control

102.. 전환스위치 104.. 선택스위치102 .. selector switch 104 .. selector switch

106.. 라인 체크회로 110.. 전원공급부106. Line check circuit 110. Power supply

120.. 화재 감지부 130.. 화면 표시부120 .. Fire detector 130 .. Screen display

140.. 화재 알림부 150.. 스위치 입력부140 .. fire alarm 150 .. switch input

160.. 데이터 통신부 170.. 데이터 저장부160 .. Data communication unit 170 .. Data storage unit

180.. 전력 통신모듈부 180 .. Power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선로 점검이 가능하고, 자기 진단 점검이 가능하며, 화재 발생시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를 알 수 있고, 화재 발생시 외부 소방기관에 자동으로 안내하여 주고, 수신기간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 발신기가 눌렸을 경우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수신기 자체에서도 온도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utomatic line, self-diagnostic check, it is possible to know the first occurrence time and place of fire when the fire occurs, the external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s for fire management, which can automatically guide the fire engines, communicate with receivers, notify the user by voice when an external transmitter is pressed, and detect the temperature or flames in the receiver itself. will be.

많은 대형 건물에는 화재시 이를 알리기 위한 자동 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재탐지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Many large buildings are equipped with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to alert them in case of fire. This fire detection system is a facility that automatically detects fire by using heat, smoke or flame generated by a fire, and alerts the relevant persons or residents in the building by sound devices such as bells or sirens. It consists of transmitter, sound device and so on.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 또는 소방서측으로 경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M형 수 신기, GP형 수신기, GR 수신기 등이 있다.The receiver used for firefighting management receives a signal from a detector or a transmitter directly or through a repeater as a common signal and alerts the person concerned or the fire department of the fire object to be fired. M-type receivers, GP-type receivers and GR receivers are available.

한편, P형복합식 수신기라 함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를 제외한다)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외 소화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물분무 소화설비, 포 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물 소화설비, 분말 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R형복합식 수신기, GP형복합식 수신기, GR형복합식 수신기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P-type composite receivers receive signals from detectors or transmitters (except M-type transmitters) as a common signal either directly or through a repeater to alert the person concerned to the fire and alert the person concerned. Or it means to control the pressurized water supply system or starting device such as indoor and outdo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prinkler equipment, water spray extinguishing equipment,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equipment, halide extinguishing equipment, powder extinguishing equipment, and flue gas equipment. In addition, there are R type complex receiver, GP type receiver and GR type receiver.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전원입력측의 양선 및 외부 부하에 직접 전원을 송출하도록 구성된 회로에는 퓨즈 또는 브레이커 등을 설치하여야 하고, 내부에는 예비전원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전면에는 이 예비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장치가 있어야 한다.In the general receiver, a fuse or a breaker is to be installed in a circuit configured to send power directly to both wires and an external load on the power input side, and a spare power source must be installed inside, and the status of the spare power source can be monitored on the front side. There must be a monitoring device in place.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취급 및 점검이 쉬워야 하고, 보수 및 부속품의 교체가 쉬워야 하며, 전기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단자, 나사 및 와셔 등은 동합금이나 이와 동등이상의 내식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general receiver should be easy to handle and check, easy to repair and replace accessories, and terminals, screws and washers, etc., affecting electrical functions, should be made of copper alloy or equivalent corrosion-resistant material.

한편,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소방건물내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이들 수신기간의 상호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없고, 각 요소에 배치된 발신기의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각 회로의 동작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터리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점검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receiver, when a plurality of receivers are installed in a firefighting building,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se receivers is impossible, and thus, a rapid fire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to a building user, and the number of transmitters arranged in each element increases each circuit. In ord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user has to operate the rotary switch manu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ircuit inspection is not easy.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언제 각 화재장비의 점검이 있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장비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장비를 점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화재 발생시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를 알려주지 못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방건물의 이력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general receiver can not know when there was a check of each fire equipment, so that the user has to check the equipment from time to time to recognize the equipment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inform the initial occurrence time and place of fire As a result, the user could not easily check and manage the history of the firefighting building.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수신기 주위에서 발생된 화재에 대해서는 온도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없었으므로 수신기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이용자에게 경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general receiver cannot detect a temperature or a flame with respect to a fire generated around the recei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or user cannot be alerted when a fire occurs around the receiver.

또한, 기존의 시스템 제어부에서는 주경종을 울리기 위한 스위치나 도통시험을 스위치 또는 동작이나 회로시험을 위한 스위치 등 다수의 스위치와 연결된 다수의 포트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렇게 됨에 따라 가격이 상승되고,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system control unit requires a plurality of por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witches, such as a switch for ringing the main bell or a conduction test, or a switch for operation or circuit test, as the price is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of becoming complica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건물내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이들 수신기간의 상호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P-type and P-type for firefighting management to enable the rapid communication of fire information to building users by enabling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se receivers when a large number of receivers are installed in a firefighting build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bined receiver.

또한, 본 발명은 발신기 등 여러가지 화재감지장비와의 선로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정해진 시간에 자기 진단 점검이 가능한 소방관리용 P형 및 P 형복합식 수신기를 제공함에 다름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fighting management capable of automatically checking a track state with various fire detection equipments such as a transmitter and allowing self-diagnostic check at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발명은 발신기가 눌렸을 경우 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화재 발생시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를 알려주며, 화재 발생시 외부 소방기관에 자동으로 안내하여 줄 수 있도록 된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user by voice when the transmitter is pressed, and informs the initial occurrence time and place when the fire occurs, P-type and P-type complex for fire management to be able to automatically guide to the external fire engine when a fire occur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receiver.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 자체에서도 온도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or flame even in the receiver itself.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는 화재를 감지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있어서, 동일한 소방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신기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e fighting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e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detecting a fire, which is installed in the same fire building A plurality of receiver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상기 각 수신기는, 상용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모듈부를 구비하고, 이 전력선 통신모듈부를 통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receivers includ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a commercial power line, and performs mutual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상기 각 수신기는, 소방건물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수신기 주위의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 화재 상황을 음향 또는 음성으로 알려주는 화재 알림부; 화재 상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알림부 및 화면 표시부를 통해 화재 상황을 출력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하에 소방기관에 화재 상황을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receivers, Fi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fire sign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fire building; A receiver side fire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sign around the receiver; A fire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fire situation by sound or voice; A screen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e situation on a screen; A system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and outputs a fire situation through the fire notification unit and the screen display unit;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e situation to a fire engine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해당 화재 감지부 정보와 시간을 순차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unit information and time sequentially.

상기 각 수신기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하에 화재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voice output unit for guiding a fire situation by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상기 각 수신기는, 다수의 기능 버튼이 구비된 스위치입력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선로 점검 명령에 따라 수신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화재 감지부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receivers further comprises a switch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wherein the system control unit monitors the line states of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connected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a line check command input through the switch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hecking.

상기 스위치 입력부의 각 버튼은 서로 병렬 연결된 채로 하나의 입력단을 통해 시스템 제어부에 결합되게 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치를 근거로 어느 버튼이 눌려진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button of the switch input unit is coupled to the system controller through one input terminal while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ystem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ich button is pressed based on a voltage level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do.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line state of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에 대한 선로 상태를 점검한 후 이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is characterized by storing the inspection data in the data storage unit after checking the line state for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상기 화재 감지부와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는 주변의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ambient temperature and flame.

상기 화재 알림부는, 화재 상황을 경종으로 알려주는 경종부; 화재 상황을 LED로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e alarm unit, the alarm bell to inform the alarm situation of the fire situation; L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e situation by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의 개략적인 외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종 스위치들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서 자동으로 동작시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서 자동으로 도통시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e management P-type and P-type hybrid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e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shown in FIG.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type and P-type hybrid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various switches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P-type for fi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test process in the P-type composite receiver, 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explaining the conduction test process in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는, 화재를 감지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소방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신기(10, 20, 3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Fire fighting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the fire managemen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detecting a fire, installed in the same fire building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receivers 10, 20, and 30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한 각 수신기(10, 20, 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모듈부(180)를 구비하고, 이 전력선 통신모듈부(180)를 통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용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별도의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신기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each of the receivers 10, 20, and 30 h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180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a commercial power line, as shown in Figure 2, this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180 )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When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commercial power line, communication between receivers is possible without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cable.

여기서, 상기한 각 수신기(10, 20, 30)는 자신의 고유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제1 수신기(10)에서 출력되는 화재 감지 신호는 제2 수신기(20)와 제3 수신기(30)로 동시에 수신되게 되고, 이 제2 수신기(20)와 제3 수신기(30)는 제1 수신기(10)로부터 입력되는 화재 감지신호를 근거로 경종부나 LED 표시부 또는 음성출력부 등을 제어하여 관리자와 건물 이용자 모두에게 화재 상황을 알려주게 된다. Here, each of the receivers (10, 20, 30)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he fir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receiver 10 to the second receiver 20 and the third receiver (3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er 20 and the third receiver 30 control the alarm bell, the LED display unit, the audio output unit, etc. based on the fir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st receiver 10 and the manager and the building. All users will be notified of the fire situation.

상기한 각 수신기(10, 20, 30)는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수신기(10)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Since each of the receivers 10, 20, and 30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type and P-type receivers for fi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cus on the first receiver 10. FIG.

상기한 수신기(10)는 소방건물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20)와 수신기(10) 주위의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미도시), 화재 상황을 음향 또는 음성으로 알려주는 화재 알림부(140), 화재 상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30), 상기 화재 감지부(120)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알림부(140) 및 화면 표시부(130)를 통해 화재 상황을 출력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00)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소방 관리처 또는 화재 관리자에게 화재 상황을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부(160)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The receiver 10 is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fire building, the fire detector 120 for detecting a fire sign and the receiver side fire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a fire sign around the receiver 10, fire Fire notification unit 140 for notifying the situation by sound or voice, the screen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fire situation on the screen,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notification unit System control unit 100 for output control of the fire situation through the 140 and the screen display unit 130 and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60 for transmitting the fire situation to the fire control station or the fir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t is provided with.

여기서, 상기 화재 알림부(140)는 화재 상황을 경종으로 알려주는 경종부와 화재 상황을 LED로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를 구비하여 화재 상황을 알리게 되고, 상기 화면 표시부(130)는 화재 상황을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출력수단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Here, the fire alarm unit 140 is provided with an alarm bell to inform the fire situation and the L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ire situation to the LED to inform the fire situation, the screen display unit 130 is a liquid crystal of the fire situation The display is performed through an image output means such as a display device.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20)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 감지신호가 입력된 해당 화재 감지부 정보와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화재 발생 장소를 순차적으로 저장 관리하게 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 진행 방향을 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the system control unit 1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uni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o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the data storage unit 170. Will be stored in. By sequentially storing and managing the fire occurrence place,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analyze the direction of the fire.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는 임의의 화재 감지부(120)로부터 소정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 감지신호의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레벨을 만족하게 되었을 때만 화재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100)는 사전에 설정된 레벨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면 단순 노이즈로 판단하여 화재 경보 발령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수신기(10)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ssues a fire alarm only when a predetermined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 arbitrary fire detection unit 120 when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satisfies a preset level. That is, when the system controller 100 does not satisfy the preset level, the system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noise is simple and does not execute the fire alarm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receiver 10.

상기한 수신기(10)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화재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음성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음성 정보는 사전에 설정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 음성 정보는 예컨대, “00 지역에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이 이루어져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인출되어 음성으로 변환된 후 스피 커 등으로 출력되게 된다.The receiver 1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for guiding a fire situation by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100.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by the voice output unit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voi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70 by, for example, “a fire occurred in region 00” and then the system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100, it is extracted and converted into voice and then output to a speaker or the like.

그리고, 상기한 수신기(10)는 화재 발생시 수신기(10)에 사전 입력된 소방서 등의 소방 관리처 또는 방화(화재)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전화 연결하여 음성 녹음칩에 저장된 내용을 송출하여 화재 상황을 통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화재발생 지역에 목격자가 없더라도 전화통신망을 통해 소방 관리처로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게 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nd, when the fire occurs, the receiver 10 automatically connects to a fire department or a fire department (fire) manager such as a fire station pre-input to the receiver 10 to send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voice recording chip to notify the fire situation. do. In this way, even if there are no witnesses in the area, the fire can be notified to the fire department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so that the manager can respond quickly to the fire.

한편, 상기한 수신기(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함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외함에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감지기(120)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과 해당 감지기(1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2)로 구성되는 LED 표시부(50)가 구비되고, 화재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화재표시부(54)와 발신기가 눌려졌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발신기 표시부와 상용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예비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전원표시부를 구비하는 확인 램프부(56)가 구비되게 된다.Meanwhile, the receiver 10 has an enclosure structure as shown in FIG. 3, in which the name for identifying each detector 120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tector 120 are shown. It is provided with an LED display unit 50 consisting of a display unit 52 for displaying a, using a fire display unit 54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fire situation and the transmitter display unit and commercial power to indicate whether the transmitter is pressed and The confirmation lamp unit 56 is provided with a power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spare power is used.

또한, 상기한 수신기(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경종 버튼(S1), 지구경종 버튼(S7), 축적/비축적 버튼(S2), 회로지연 버튼(S6), 도통시험 버튼(S3), 동작시험 버튼(S4), 회로선택 버튼(S5), 복구 버튼 등을 구비하는 버튼부(58)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주경종 버튼(S1)은 주경종을 울리기 위한 버튼이고, 지구경종 버튼(S7)은 지구경종을 울리기 위한 버튼이며, 축적/비축적 버튼(S2)은 축적 또는 비축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고, 회로지연 버튼(S6)은 회로지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고, 도통시험 버튼(S3)은 도통시험을 명령하기 위한 버튼이고, 동 작시험 버튼(S4)은 동작시험을 명령하기 위한 버튼이고, 회로선택 버튼(S5)은 다수의 회로 중 임의의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명령하기 위한 버튼이고, 복구버튼을 시스템을 초기화 명령하기 위한 버튼이다.In addition, the receiver 10, as shown in Figure 4, the main bell button (S1), the terrestrial bell button (S7), the accumulation / storage button (S2), the circuit delay button (S6), the conduction test button ( S3), an operation test button S4, a circuit selection button S5, a recovery button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recovery button 58 is provided. Here, the main seedling button S1 is a button for ringing the main seedling ring, the earth seedling button S7 is a button for ringing the earth seedling, and the accumulation / accumulation button S2 is for using the accumulation or stockpiling function. Button, the circuit delay button S6 is a button for using the circuit delay function, the conduction test button S3 is a button for commanding a conduction test, and the operation test button S4 is for commanding an operation test. It is a button, and the circuit selection button S5 is a button for commanding a function for selecting an arbitrary circuit among a plurality of circuits, and a button for initializing a system for a recovery button.

또한, 상기한 수신기(10)는 비정상 동작하는 감지기(120) 또는 LED(52)를 표시하거나 예비전원의 입력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64), 회로도통시험 중 선로의 정상 또는 단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선로 상태 표시부와 축적/비축적 기능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표시하기 위한 축적/비축적 표시부를 구비하는 표시부(66), 전화라인을 접속할 수 있는 전화접속부(68), 화재 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7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ceiver 10 may display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detector 120 or the LED 52 or the screen display unit 64 for displaying the input state of the preliminary power source. A display unit 66 having a line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an accumulation / accumulating display for displaying whether the accumulation / accumulation function is in use, a telephone connection portion 68 for connecting a telephone line, and a fire situation by vo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oice output unit 70 and the like output.

또한, 상기한 수신기(10)는 전면 패널에 설치된 LED(52)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동작시험 시에 각 LED(52)의 점등시간을 지연(일정시간 동안 점등시켜 동시에 다수개의 LED에서 점등될 수 있다)시키기 위한 회로지연키(60)와 동작시험 시에 사용자가 동작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LED(52)를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LED(52) 번호를 업 또는 다운 시키기 위한 업다운키(62)를 더 구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iver 10 delays the lighting time of each LED 52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e turned on in a plurality of LEDs at the same time during an operation test for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Ds 52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 circuit delay key 60 for the operation and an up-down key 62 for raising or lowering the LED number 52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LED 52 whose operation state is to be checked during the operation test. It will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한 수신기(10)는 다수의 기능 버튼이 구비된 스위치 입력부(150)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 입력부(150)에는 주경종 버튼, 축적/비축적 버튼, 도통시험 버튼, 동작시험 버튼, 회로선택 버튼, 회로지연 버튼, 지구경종 버튼 등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는 스위치 입력부(150)에서 입력되는 각 버튼신호를 구별하여 해당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ceiver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input unit 15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The switch input unit 150 is provided with a main diameter button, accumulation / non-accumulation button, conduction test button, operation test button, circuit selection button, circuit delay button, earth alarm button, etc.,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s a switch Each button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50 is distinguish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이때 상기 스위치 입력부(150)의 각 버튼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시 스템 제어부(100)에 결합되게 되는 바, 시스템 제어부(100)는 다수의 버튼 중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내부에 구성되는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어느 버튼이 눌려진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는 임의의 버튼이 눌려졌을 때 각 버튼에 연결된 저항(R2 내지 R8)에 의하여 입력되는 전압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ach button of the switch input unit 15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4 is coupl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100,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s the input terminal when any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ressed Afte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digital data using the A / D converter configured therein to determine which button is press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That is, the system controller 100 can determine which button is pressed because any voltage value input by the resistors R2 to R8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uttons is changed when any button is pressed.

한편,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에 설치되는 LED(52)가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를 시험하는 동작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한 동작시험은 관리자가 동작시험 스위치를 눌렀을 때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설치된 모든 LED(52)에 대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test for testing whether the LED 52 provided on the front panel is normally lit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test is performed for all the LEDs 52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100 when the administrator presses the operation test switch.

즉,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동작시험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면 칩 셀렉트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스위치(102)를 선택함과 더불어 이 전환스위치(102)로 각각의 LED(52)를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어서 전환스위치(102)는 입력되는 각 제어신호를 후단의 선택스위치(104)로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선택스위치(104)는 전면 패널에 설치되는 해당 LED(52)로 전원을 공급하여 LED(52)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현재 동작시험이 이루어지는 LED(52)의 식별 번호는 화면 표시부(64)에 예컨대, “동작시험 중 ‘화재 5’”등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00)는 LED(52)가 동작상태가 정상적으로 점등되지 않으면 부저부(108)를 통해 경고메세지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알리게 된다.That is, the system control unit 100 outputs a chip select signal when the operation test switch is pressed, selects the changeover switch 102, and turns on the respective LEDs 52 by the changeover switch 102.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then the changeover switch 102 outputs each input control signal to the selection switch 104 at the rear stage. Subsequently, the selector switch 104 turns on the LED 52 by supply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LED 52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LED 52 to which the current operation test is perform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64, for example, “fire 5” during the operation test. At this time, the system controller 100 outputs a warning message through the buzzer 108 to notify the manager when the LED 52 is not normally turned on.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험은 동작시험 스위치가 눌려졌을 때 사전에 설정된 순서 대로 각 LED(52)에 대한 동작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동작시험중에 관리자가 업다운키(62)를 이용하여 LED 번호를 업 또는 다운 시키게 되면 시스템 제어부(100)는 업다운키(62)가 눌려질 때마다 LED 번호를 업 또는 다운시켜 가면서 LED(52)에 대한 점등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점검된 각 LED(52)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는 시스템 제어부(100)로 피드백되게 되고, 이 피드백되는 동작상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되게 된다.The operation test as described above is to automatically check the operation status for each LED 52 in the order set in advance when the operation test switch is pressed, but the administrator uses the up-down key 62 during the operation test. When the number is up or down, the system control unit 100 executes the lighting control for the LED 52 while up or down the LED number whenever the up-down key 62 is pressed. The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each of the LEDs 52 checked in this way is fed back to the system control unit 100,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be fed back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70.

한편,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50)를 통해 도통시험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수신기(10)에 연결되는 다수의 감지기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120)의 선로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화재 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라인을 출력라인으로 사용함으로써 각 선로에 대한 점검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control unit 100 when the conduction test button is pressed through the switch input unit 150 to track the state of the line of the fire detector 120 compri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connected to the receiver 10 In this cas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by using an input line input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s an output line.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순차적으로 선로 점검을 수행하면서 현재 점검중인 선로에 대한 식별번호를 화면 표시부(64)에 예컨대, “도통시험 중 ‘화재 5’” 와 같이 표시함과 더불어 해당 선로가 정상이면 표시부(66)의 정상램프를 점등시키게 되고, 선로가 단선일 경우에는 표시부(66)의 단선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선로가 단선이면 부저부(108)를 통해 소정의 경고메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는 선로가 단선인 때 해당 선로의 단선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 unit 100 sequentially display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rrently inspected track on the screen display unit 64, for example, such as “fire 5 during the conduction test” while performing the track inspection. If normal, the normal lamp of the display unit 66 is turned on. If the line is disconnected, the disconnection lamp of the display unit 66 is turned on. At this time, if the line is disconnected, the buzzer 108 is configured to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message to inform the user.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d guide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line when the line is dis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은 도통시험 과정을 도 6에 도시한 블록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통시험은 각 요소에 설치된 감지기(120)까지의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동작시험 스위치를 눌렀을 때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각 감지기(120)에 대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The conduction test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6. The conduction test checks whether the line to the detector 120 installed in each element is normally connected. When the administrator presses the operation test switch, the conduction test is performed for each detecto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100. .

즉,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스위치 입력부(150)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위치 중에서 도통시험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면 칩 셀렉트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스위치(102)를 선택함과 더불어 이 전환스위치(102)로 각 요소에 설치되는 감지기(120)까지의 라인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어서 전환스위치(102)는 입력되는 각 제어신호를 후단의 선택스위치(104)로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선택스위치(104)는 각 요소에 설치되는 감지기(120)까지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각 감지기(120)에는 종단저항(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종단저항에 의하여 폐루프가 형성되어 각 감지기(120)에 대한 도통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ystem control unit 100 outputs a chip select signal when the conduction test switch is pressed among a plurality of switches installed in the switch input unit 150 to select the changeover switch 102 and the changeover switch 102. )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hecking the line state to the detector 120 installed at each element, and then the changeover switch 102 outputs each input control signal to the selection switch 104 at the rear stage. . The selector switch 104 then supplies power to the detector 120 installed on each element. Here, a terminating resis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etectors 120, and a closed loop is formed by the terminating resistors to check the conduction state of each of the detectors 120.

상기한 바와 같은 도통시험은 도통시험 스위치가 눌려졌을 때 사전에 설정된 순서대로 각 감지기(120)에 대한 도통시험이 수행되게 된다. 이렇게 점검된 각 감지기(120)의 도통상태에 관한 정보는 시스템 제어부(100)로 피드백되게 되는데, 이 피드백신호는 선택스위치(104)에서 라인 체크회로(106)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부(100)로 입력되게 된다. In the conduction te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duction test switch is pressed, the conduction test for each sensor 120 is performed in a preset order.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duction state of each of the detectors 120 checked in this way is fed back to the system controller 100, and this feedback signal is input to the system controller 100 through the line check circuit 106 from the selection switch 104. Will be.

그리고,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는 선로의 최종 점검 상태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저장부(170)에 선로의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게 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마지막에 점검한 내용을 알 수 있으므로 소방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부(120) 및 이 화재 감지부(120)까지의 선로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system controller 100 stores and manages the final inspection state of the track in the data storage unit 170. As the inspection data of the track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7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know the contents of the last inspection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installed in the fire building. The user can easily manage the line status up to.

여기서,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와 화재 감지부(120)는 회로적으로 분리된 상태이면서 회로 보호용 소자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노이즈에 의하여 오동작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Here, since the system control unit 100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re circuit-separated and provided with circuit protection devices, malfunctions due to external noise are prevented.

한편, 상기한 시스템 제어부(100)에 연결 가능한 화재 감지부(120)의 수량은 1 내지 N개 까지 가능한데, 이렇게 라인 입력수와 시스템 제어부(100)의 입력포트의 수는 비례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예컨대 100개의 회선을 한 개의 데이터 라인을 이용해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 개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회선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것은 회선을 실시간 스캐닝 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제어부(100)의 내부 타이머를 이용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차후 회선이 계속 증가되더라도 프로그램 설정만으로 화재 감지부(120)와 연동이 가능하며 비상시 신속하게 화재 신호를 사용자게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fire detection unit 12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100 can be up to 1 to N, so the number of line inputs and the number of input ports of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s configured to increase proportionally. For example, 100 lines can be configured to be checked using one data lin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each line through one data line by using an internal timer of the system controller 100 in a method of real-time scanning of the line. In this way, even if the line continues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program can be linked with the fire detection unit 120 only by setting the program and can quickly notify the user of the fire signal in an emergency.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100)에 의한 각 회선 상태의 점검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화재 감지부(120)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20)에 대한 선로 상태를 점검한 후 이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of each line state by the system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line state of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t a preset time. Thereafter, the system control unit 100 checks the track state of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nd stores the check data in the data storage unit 170.

한편, 상기한 수신기(10)는 수신기 주변의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렇게 구비된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P형복합식 수신기는 원격지에 있는 감지기(120)측에 감지되는 화재 징후는 물론 수신기(10) 주변의 화재 징후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er-side fire detect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flame around the receiver. The P-type hybrid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receiver-side fire detector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quickly cope with the fire signs around the receiver 10 as well as the fire signs detected on the detector 120 at a remote locatio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소방건물내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이들 수신기간의 상호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예측할 수 없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receivers are installed in the firefighting building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se receivers to enable the rapid delivery of fire information to the building user to prevent unforeseen accidents in advanc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각 요소에 배치된 감지기의 수가 많아지게 되더라도 각 회로의 동작상태를 신속하게 자동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점검된 선로의 점검 상태를 기록하여 둠으로써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마지막에 점검한 내용을 알 수 있으므로 건물내에 설치된 감지기 및 선로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quickly and automatical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ircuit even if the number of detectors arranged in each element increases, and by recording the check state of the checked line like this, even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t is effective to make it easy for the user to manage the detectors and tracks installed in the building because they can check the checked contents.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자기 진단을 실행함은 물론 이 자기 진단에 따라 점검된 입출력부 데이터 라인 및 통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장비 이력을 점검하면서 시스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xecutes the self-diagnosis at a predetermined time, but also informs the user of the input / output data line and the communication state checked according to the self-diagnosi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age the system while checking the equipment history.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발신기가 눌렸을 경우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화재발생 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고, 화재 발생시 외부 소방기관에 자동으로 안내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voice when the transmitter is pressed to guide the user to recognize the fire immedi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utomatically guided to the external fire engine when the fire occurs.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를 기록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소방건물의 이력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check and manage the history of the firefighting building by recording the first occurrence time and the place where the fire occurred.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 자체에서도 온도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기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신속하게 화재 경보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detect the temperature or flame even in the receiver itself has an effect that can quickly notify the fire alarm even when a fire occurs around the receiver.

Claims (10)

화재를 감지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에 있어서,In the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which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detecting a fire, 동일한 소방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신기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receivers installed in the same fire building is configured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수신기는, 상용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모듈부를 구비하고, 이 전력선 통신모듈부를 통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And each of the receivers includ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a commercial power line,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각 수신기는,Each receiver, 소방건물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A fire detecto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int of the fire station to detect fire signs; 수신기 주위의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A receiver side fire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sign around the receiver; 화재 상황을 음향 또는 음성으로 알려주는 화재 알림부;A fire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fire situation by sound or voice; 화재 상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A screen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e situation on a screen;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알림부 및 화면 표시부를 통해 화재 상황을 출력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A system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and outputs a fire situation through the fire notification unit and the screen display unit; And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하에 소방기관 또는 화재관리자에 화재 상황을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e situation to a fire engine or a fir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해당 화재 감지부 정보와 시간을 순차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Fire protection management P-type and P-type hybri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sequentially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and time of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uni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 수신기는,Each receiver,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하에 화재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And a voice output unit for guiding a fire situation by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 수신기는,Each receiver, 다수의 기능 버튼이 구비된 스위치입력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선로 점검 명령에 따라 수신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화재 감지부의 선로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The system control unit P-type and P-type combined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checking the line state of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line check command input through the switch input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위치 입력부의 각 버튼은 서로 병렬 연결된 채로 하나의 입력단을 통해 시스템 제어부에 결합되게 되고,Each button of the switch input unit is coupl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through one input terminal while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치를 근거로 어느 버튼이 눌려진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The system control unit P-type and P-type hybrid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which button is pressed based on the voltage level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의 선로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o automatically check the line statu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 수신기의 시스템 제어부는,The system control unit of each receiver, 상기 화재 감지부 및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에 대한 선로 상태를 점검한 후 이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P-type and P-type hybrid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line for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and storing the check data in the data storag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화재 감지부와 수신기측 화재 감지부는 주변의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side fire detection unit P-type and P-type composite receiver for fir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ambient temperature and flame.
KR1020060051454A 2006-06-08 2006-06-08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KR100750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54A KR100750513B1 (en) 2006-06-08 2006-06-08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54A KR100750513B1 (en) 2006-06-08 2006-06-08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89U Division KR200429451Y1 (en) 2006-06-08 2006-06-08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513B1 true KR100750513B1 (en) 2007-08-20

Family

ID=3861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54A KR100750513B1 (en) 2006-06-08 2006-06-08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513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07B1 (en) 2009-12-24 2010-07-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KR100969206B1 (en) 2009-12-24 2010-07-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KR101104508B1 (en) 2010-10-25 2012-01-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p-type fire control panel for testing failure in fire alarm wiring
WO2012133959A1 (en) * 2011-03-25 2012-10-04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self-diagnosis for a p-type receiver
KR101212797B1 (en) 2010-09-02 2013-01-09 주식회사 영승이엔지 fire-fighting system for training
KR200464821Y1 (en) * 2010-11-02 2013-01-21 이현노 Smart mono type detecting device
JP2017058990A (en) * 2015-09-17 2017-03-23 ニッタン株式会社 Test system
KR102298848B1 (en) 2021-02-03 2021-09-06 육심복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receiver interlocking with digital substation system
KR102391498B1 (en) 2021-07-28 2022-04-27 (주)신덕엔지니어링 Fire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579A (en) * 1993-11-25 1995-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utomatic fire alarming system
JPH09270082A (en) * 1996-03-29 1997-10-14 Nohmi Bosai Ltd Repeaterof fire alarm
JPH10326395A (en) 1997-05-26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aster preventive centralized monitor and control system
KR20010068013A (en) * 2001-04-14 2001-07-13 오현숙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type receiver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KR20040048533A (en) * 2002-12-03 2004-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Fire alarm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050006726A (en) * 2003-07-10 2005-01-17 주식회사 탑시스템 Digital Fire Detecting Device, Integrated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JP2005258484A (en) * 2004-03-09 2005-09-22 Nohmi Bosai Ltd Fire receiver in p type fire alarm equip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579A (en) * 1993-11-25 1995-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utomatic fire alarming system
JPH09270082A (en) * 1996-03-29 1997-10-14 Nohmi Bosai Ltd Repeaterof fire alarm
JPH10326395A (en) 1997-05-26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aster preventive centralized monitor and control system
KR20010068013A (en) * 2001-04-14 2001-07-13 오현숙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type receiver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KR20040048533A (en) * 2002-12-03 2004-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Fire alarm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050006726A (en) * 2003-07-10 2005-01-17 주식회사 탑시스템 Digital Fire Detecting Device, Integrated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JP2005258484A (en) * 2004-03-09 2005-09-22 Nohmi Bosai Ltd Fire receiver in p type fire alarm equip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07B1 (en) 2009-12-24 2010-07-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KR100969206B1 (en) 2009-12-24 2010-07-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KR101212797B1 (en) 2010-09-02 2013-01-09 주식회사 영승이엔지 fire-fighting system for training
KR101104508B1 (en) 2010-10-25 2012-01-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p-type fire control panel for testing failure in fire alarm wiring
KR200464821Y1 (en) * 2010-11-02 2013-01-21 이현노 Smart mono type detecting device
WO2012133959A1 (en) * 2011-03-25 2012-10-04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self-diagnosis for a p-type receiver
JP2017058990A (en) * 2015-09-17 2017-03-23 ニッタン株式会社 Test system
KR102298848B1 (en) 2021-02-03 2021-09-06 육심복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receiver interlocking with digital substation system
KR102391498B1 (en) 2021-07-28 2022-04-27 (주)신덕엔지니어링 Fire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513B1 (en)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KR101911371B1 (en) Function Extension Type Fire Detector
KR100892604B1 (en) Complex control module for fire protection
KR20180055468A (en) Control system for fire detection errors in p-type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1023157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type fire control panel
JP6709146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023800B1 (en)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JP2018049487A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7441919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200429451Y1 (en)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JP5280898B2 (en) Alarm
JP2018045541A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20130012456A (en) Fire receiver having fire prompt reporting function
JP6689711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20090080282A (en) Fire phase noticable extinguishing control panel
JP7379621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6548012B2 (en) Receiving machine
JP6899177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7203152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7082156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6916926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6941583B2 (en) Sound alarm display method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automatic fire alarm system
JP3062411B2 (en) Display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panel
KR10232453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type fire control panel
JP6894823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