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680B1 -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680B1
KR101223680B1 KR1020120064792A KR20120064792A KR101223680B1 KR 101223680 B1 KR101223680 B1 KR 101223680B1 KR 1020120064792 A KR1020120064792 A KR 1020120064792A KR 20120064792 A KR20120064792 A KR 20120064792A KR 101223680 B1 KR101223680 B1 KR 10122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camera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6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6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PURPOSE: A smart fire monitoring and sensing system using an IP camera is provided to monitor fire occurrence spot data and whether there is a sensor wrong operation, thereby realizing a quick management of the sensor wrong operation and fire suppressing. CONSTITUTION: A smart fire monitoring system(1) comprises: a fire sensor(100); an IP camera(200); a fire receiver(300); and a control server(400). The fire sensor transmits the sensed fire-related information to the IP camera or the fire receiver. The IP camera transmits the received fire-related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area, and transmits various kinds of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to the fire receiver. The fire receiver suppresses the fire initially by controlling the fire suppressing equipment, and controls the fire suppressing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P camera. The control server analyze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area received from the IP camera.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ol server sends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or the fire receiver to the IP camera. [Reference numerals] (AA) Network; (BB) Emergency bell; (CC) Emergency lamp; (DD) Spring cooler; (EE) Emergency shutter; (FF) Emergency ladder; (GG) Other control devices

Description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Smart Fire Monitoring System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화재 감시 및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P 카메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화재 감시 및 감지를 할 수 있는 종합 관제 시스템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capable of comprehensively monitoring and detecting a fire using an IP camera or a smartphone.

화재 감지 시스템의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개특허 특2002-00146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화재를 감지하는 시스템이 많이 구축되면서 이로 인해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화재를 방재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지 못해 대형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센서의 점검을 위해 주기적으로 직접 출동하여 센서를 점검하여야 했으므로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들의 불만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4632, a number of systems for detecting fire in advance have been established, thereby enabling the early detection of fire and the prevention of fire. However, it is still unusual to cause a large fire accident due to failure of the sensor to detect a fire. Up to now, the inspection of the sensor had to be carried out periodically to inspect the sensor, so a lot of manpower and equipment were put in place, resulting in a lot of cost, and the user's complaints have also increased.

따라서, 현장 상황의 영상 정보, 센서의 오작동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이나 센서의 오작동 발생시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재 감시 및 감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ire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 that can monitor in real time image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whether the sensor malfunctions,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 smartphone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 fire or sensor malfunction.

IP 카메라를 통해 화재 발생 현장 정보 및 센서 오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 진압 및 장비 오동작 등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으로 사용자들이 현장 상황을 확인하면서 원격에서 효과적으로 각종 진압 장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이 제공하기 위함이다.By monitoring the fire occurrence site information and sensor malfunction in real time through IP cameras,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fire suppression and equipment malfunction. It is to provide a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that can control the suppression equipment.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은열, 가스, 연기, 빛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화재 관련 정보를 IP 카메라 또는 화재수신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 및 화재 발생 지역의 현장 영상 정보를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화재수신기에 수신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P카메라,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초기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고, IP카메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는 화재수신기 및 IP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IP카메라 또는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 카메라에 전송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the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detects at least one of heat, gas, smoke, light, and fire from a fire detector, fire detecto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e-related information to the IP camera or fire receiver When the relevant information is received, transmits the received fire-related information and the sit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area to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and when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perform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P camera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receiver, when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it controls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to extinguish the fire initially,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P camera, Fire-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fire receivers and IP cameras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fire suppression equipment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field, and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P camera or the fir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include a control server to send the IP camera.

또한,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은 IP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현장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현장영상제공부,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재진압장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정보입력부,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수신기가 상기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 카메라에 전송하는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is a field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sit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P camera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a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 fire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to the IP camera by using a.

IP카메라는,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가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녹화된 화재 발생 지점의 현장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정보추출부, 추출된 현장의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수신부가 현장 영상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현장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부 및 추출되거나 촬영된 현장 영상 정보를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중에서 화재진압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화재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P camera receives a fire related information from a fire detector,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terminal or a control server, and the video information extracting field image information of a recorded fire occurrence point when receiving a fire related information. If the extractor, the extracted field image information does not exist or the receiver receives the field image capture control signal,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field image information by shooting the image of the fire scene and the extracted or captured field imag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fire suppression among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to the fire receiver.

또한, IP카메라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수신부 및 송신부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P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LAN module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to conn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초기화재 진압장비는 비상벨, 비상등,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및 비상사다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화재수신기는 화재감지기 또는 IP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인지 화재 경고인지를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를 안내하는 경고실행부, 분석부의 분석 결과 화재 발생인 경우 화재 발생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하고, IP카메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화재진압장비를 구동하는 진압장비구동부 및 분석부의 분석 결과 화재 발생인 경우 관제서버 또는 방재기관에 통보하는 화재신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mergency bell, an emergency light, a sprinkler, an emergency shutter, and an emergency ladder, and the fire receiver uses a fire detector or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P camera or a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alysis unit for analyzing whether the fire occurred or a fire alarm, the warning execution unit for guiding the fire occurrence or fire warning preset through the speaker or the scree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if the analysis result fire occurs to the fire occurrence point When fire control device is op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P camera, the fire report is notified to the control server or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in the event of a f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ppression device drive unit and the analysis unit that drive the fire suppress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wealth.

화재수신기는 현재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진단 정보를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자가 진단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자가진단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self test unit for check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utputting self diagnosis information through a speaker or a screen, and transmitting the self diagnos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또한, 관제서버는 화재수신기 또는 IP카메라와 화재 관련 정보, 현장 영상 정보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화재감지기, IP 카메라 및 화재수신기의 설치 위치, 식별 정보, 지도 정보, 비상 연락 정보,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모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신정보처리부, 메모리에 저장된 비상 연락 번호로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비상 전화 호출부 및 수신정보처리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의 초기화재 진압 명령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i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e-related information, site imag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with the fire receiver or IP camera, the fire detecto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P camera and the fire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fire-related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field image information, Fire-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storing in the memory, Emergency contact number stored in the memory to fire If the fire-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fire detection information, the fire receiver is controlled to drive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to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according to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command of the administrator. It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수신정보처리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현장 영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맵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The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or may display the field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 a map map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IP 카메라를 통한 화재 감시 및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화재 발생 현장 정보 및 센서 오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 진압 및 장비 오동작 등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으로 사용자들이 현장 상황을 확인하면서 원격에서 효과적으로 각종 진압 장비 등을 제어할 수 있다.By providing a fire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 through an IP camera, it is possible to monitor fire occurrence site information and sensor malfunctions in real time to quickly cope with fire suppression and equipment malfunctions. While checking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various suppression equipment effectivel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IP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IP camer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1)은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 관제서버(40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사용자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1 includes a fire detector 100, an IP camera 200, a fire receiver 300, a control server 400, and an additional user terminal 500. It may further include.

화재감지기(100)는 백화점, 아파트, 영화관 등의 건물 실내에 복수개 설치되며, 화재 관련 정보를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 등에 전송한다. 화재감지기(100)는 다양한 감지센서를 통해 열, 가스, 연기, 빛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는 소형으로 제작되고, 기존 설비와도 연동이 가능하다. The fire detector 10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apartments, cinemas, and transmit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to the IP camera 200, the fire receiver 300, and the like. The fire detector 100 may detect heat, gas, smoke, light, etc. through various detection sensors. The fire detector 100 is made compact and can be linked with existing equipment.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100)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差動式)감지기와 열의 축적을 이용한 열(熱)감지기가 있다. 그리고 공기 팽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한 보상식(補償式)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로 대별된다. 또한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기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기로 분류된다. 감지기의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fire detector 100 refers to a component that directly detects a fire of an automated material detecting facility 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a differential sensor using air expansion and a heat detector using heat accumulation. have.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compensation type and a smoke detector which detects smoke using air expansion and heat accumulat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method, it is classified into spot type detector which detects local parts and distributed detector which detects the whole area. Different types of detectors are available: differential spot type, differential distribution type, compensating spot type, constant temperature spot type, constant temperature sensing linear type, ionization type, photoelectric type, heat complex type, smoke composite type, and hot smoke composite type. .

IP카메라(200)는 화재감지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그 화재 관련 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위치의 현장 영상을 추출하거나 촬영하여 현장 영상 정보 또는 화재 관련 정보를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500)은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을 포함한다. The IP camera 200 is connected to the fire detector 100 by wire or wirelessly to receive fire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or 100. When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field image of the location where the fire detector 100 that transmit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extracted or photographed to transmit the site image information or fire-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Can b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500 includes a smartphone, a general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a desktop PC, and the like.

또한, IP카메라(200)는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현장 영상을 촬영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그 제어신호가 화재수신기(300)가 화재 방재 장비를 제어하는 신호인 경우 화재수신기(30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IP camera 20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photographing a field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If the fire receiver 300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transmits to the fire receiver (300).

이와 같이, IP카메라(200)를 활용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면 현장의 상황을 SMS 등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사용자 및 방재 담당자들이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현장 출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카메라(20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원격으로 신속하게 제어가 가능하다.As such, when the control system using the IP camera 200 is built, the user and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situation of the site to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such as an SMS such as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check and prevent unnecessary on-site dispatch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trol remotely by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and controlling through the IP camera 200.

화재수신기(300)는 화재감지기(100) 또는 IP카메라(2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 또는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300)는 화재감지기(100) 또는 IP카메라(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그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e receiver 300 may receive fire related information or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the fire detector 100 or the IP camera 200. The fire receiver 300 is connected to the fire detector 100 or the IP camera 200 by wired or wireless, and when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it may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analyzing the fire-related information.

화재수신기(300)는 분석 결과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건물과 관련된 관제서버(400)로 화재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수신기(300)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각종 제어기기들 중 화재 경보 장치를 동작시키며, 화재가 조기에 진압될 수 있도록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킨다. 이때, 화재 진압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 비상등, 스프링쿨러, 비상셔터, 비상용사다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fir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e receiver 300 may transmit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fire receiver 300 operates a fire alarm device among various control devices to quickly evacuate people in a building in which a fire occurs, and drives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so that the fire can be suppressed early. . At this time,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may include an emergency bell, emergency light, sprinkler, emergency shutter, emergency ladder,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또한, 화재수신기(300)는 화재 속보 기능이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재 발생 상황 정보를 직접 연계된 방재기관(소방서, 경찰서 등)의 전화로 자동 연결하여 통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receiver 300 may be integrated with the fire breaking function, in this case, the fire occurrence status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telephone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y (fire department, police station, etc.) directly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또한, 화재수신기(300)는 IP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단말(500)이나 관제서버(400)로부터 전송된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방재 담당자들은 관제서버(400)를 통해 현장 상황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적합한 진압장비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500)에 현장 영상 정보들이 수신되면 이를 확인하고 즉시 현장의 진압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receiver 30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from the IP camera 200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s. For example,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analyze the site situation through the control server 400 to drive the suppression equipment suitable for the result. In addition, general users can check the on-site image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500, such as a smart phone is received and can immediately control the suppressors of the site.

관제서버(400)는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 조치를 수행한다. The control server 400 monitors and analyzes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it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the IP camera 200, and the fire receiver 300 in real time to perform appropriate response measures.

사용자단말(500)는 IP카메라(200) 또는 화재수신기(3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 또는 현장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제어정보를 통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카메라(200)에 전송한다.The user terminal 500 receives fire related information or field image information from the IP camera 200 or the fire receiver 300,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n interface, and provid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P camera 200 and transmitted.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방재 담당자 또는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소유하는 단말로 각종 현장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그 사용자단말을 통해 화재 방재 장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담당자 또는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위치와 관계없이 실시간 화재 발생에 대응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or users can receive various site situation information by the terminal owned by them and directly control the fire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us, personnel or users can respond to real-time fire occurrence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1)의 각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감지기(100)는 감지센서(110) 및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Referring to FIG. 2, the fire detector 10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110 and a communication unit 120.

감지센서(110)는 열, 가스, 연기, 빛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110 may det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heat, gas, smoke, and light.

통신부(120)는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 관제서버(400)등과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20)는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선통신부(미도시) 및 유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미도시)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 및 관제서버(400)들과 통신할 수 있다. 유선통신부(미도시)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 등을 통해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nd receives fire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IP camera 200, the fire receiver 300, the control server 400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communicate with the at least one IP camera 200, the fire receiver 300 and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P camera 200 and the fire receiver 300 through RS485 communication or RS232C communication.

화재감지기(100)는 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 신호의 레벨에 따라 화재 수위 정도를 판단하여 IP카메라(200) 또는 화재수신기(300)로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 When a fire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110, the fire detector 1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the fire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notify the IP camera 200 or the fire receiver 300 of the fire occurrence.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110)로부터 연기 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센서(110)로부터 해당 실내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지를 측정한다. 그 결과, 실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되면, 화재감지기(100)는 IP카메라(200) 또는 화재수신기(300)로 화재 발령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when the smoke generation is detected from the sensor 110, the corresponding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nsor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As a result,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the fire detector 100 may transmit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e announcement information to the IP camera 200 or the fire receiver 300.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IP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P카메라(200)는 수신부(210), 영상정보추출부(220), 영상정보생성부(230), 송신부(245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IP camer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IP camera 200 may include a receiver 210, an image information extractor 220, an image information generator 230, and a transmitter 2450.

수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각종 장치들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210)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10)를 통해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관련 정보는 해당 화재감지기(100)의 고유 아이디와, 화재 수위별 화재 발생 정보 또는 해당 화재감지기(100)의 각 구성별 동작 상태를 체크한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21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various device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fire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or 100 and may als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through the receiver 210 checks the unique ID of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or 100,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or each fire level, or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or 100. One can include self-diagnostic information.

영상정보추출부(220)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그 화재 관련 정보가 설치된 장소의 촬영 영상이 메모리(미도시)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그 현장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When the fir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the imag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20 checks whether a captured image of a place where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installed exists in a memory (not shown), and extracts the on-site image information if present. can do.

영상정보생성부(230)는 메모리(미도시)에 현장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관제서버(400) 또는 사용자단말(500)로부터 영상 정보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현장 영상을 촬영하여 현장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captures the current scene image when the scene image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memory (not shown) or when the image information shooting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400 or the user terminal 500. Imag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송신부(240)는 추출되거나 생성된 현장 영상 정보를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240)는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화재 진압 장비 구동 관련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를 화재수신기(300)에 전송한다.The transmitter 240 may transmit the extracted or generated fiel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In addition, 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receiver 300 when a control signal related to driving a fire suppression apparatus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IP카메라(200)는 무선통신모듈(250) 및 통신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P카메라(200)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화재감지기(100), 화재수신기(200), 관제서버(400), 사용자단말(5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무선통신모듈은 무선랜(WiFi),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IP camera 20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0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260. The IP camera 20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e detector 100, the fire receiver 200, the control server 400,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LAN (WiFi), Bluetooth,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제어부(260)는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제어부(260)는 무선랜 모듈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onnection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60 may access an internet network by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AP) through a WLAN module.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재수신기(300)는 통신부(310), 분석부(320), 제어부(330), 경고실행부(340), 진압장비구동부(350), 화재신고부(360) 및 자가진단체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Referring to FIG. 4, the fire recei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n analysis unit 320, a control unit 330, an alert execution unit 340, a suppression device driving unit 350, a fire report unit 360, and a self-contained unit. The diagnostic check unit 370 may be included.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및 관제서버(400)와 통신한다. 통신부(200)는 좀 더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부(미도시), 유선통신부(미도시) 및 음성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fire detector 100, the IP camera 200 and the control server 400. 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more specificall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voic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무선통신부(미도시)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통해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관제서버(400) 및 각종 제어기기들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ommunicates various data with the fire detector 100, the IP camera 200, the control server 400, and various controllers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Can send and receive

유선통신부(미도시)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화재감지기(100) 또는 관제서버(400) 또는 각종 제어기기들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각종 제어기기들,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또는 관제서버(400)는 화재 수신기(300)와 하나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fire detector 100 or the control server 400 or various control devices through RS485 communication or RS232C communication. As an example, various controllers, the fire detector 100, the IP camera 200, or the control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300 through one communication cable.

음성통신부(미도시)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관제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화재수신기(300)는 관제서버(400)와 음성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음성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기(300)는 음성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담당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관계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communicate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with the control server 400 by using a voice signal. That is, the fire recei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400,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not shown) is a voic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In addition, when the fire receiver 300 receives a voice signal of the person in charge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relevant person through the output unit (not shown). can do.

이에 따라, 화재수신기(30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관제서버(400) 또는 사용자단말(500)의 담당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은 화재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e receiver 300 by outputting the voi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trol server 400 or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speaker (not shown), the general users can share the fire-related information.

한편, 화재 관련 정보는 해당 화재감지기(100)의 고유 아이디와, 화재 수위별 화재 발생 정보 또는 해당 화재감지기(100)의 각 구성별 동작 상태를 체크한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unique ID of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or 100,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or each fire level or self-diagnostic information that checks the operation state for each component of the fire detector 100.

분석부(320)는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분석부(320)는 화재 결정 DB(미도시)를 참조하여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발생 신호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화재 결정 DB(미도시)에는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를 결정하는 임계값이 기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재 경고를 알리는 온도값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을 초과하면, 분석부(320)는 화재 경고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analyzer 320 analyzes the received fire-relate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e analysis unit 320 may check whether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a fire occurrence signal with reference to a fire determination DB (not shown). In the fire determination DB (not shown), a threshold for determining a fire occurrence or a fire warning may be preset and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a temperature value for informing a fire alarm is preset, and the temperature value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value, the analyzer 320 may determine that the fire alarm is fire.

경고실행부(34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 경고를 실행하여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rning execution unit 340 executes a fire warning to the people in the build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0 to enable people to evacuate quickly.

진압장비구동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진압 장비들을 구동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진압장비구동부(350)는 통신부(310)가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부(320)가 화재 발생으로 분석하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신속하게 초기 화재 진압 장비들을 구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suppression apparatus driving unit 350 may quickly extinguish a fire by driving the suppression apparatus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The suppression apparatus driving unit 350 receive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or 100 by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analyzes the fire occurrence by the analysis unit 32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20. They can be quickly controlled early in the fire.

또한, 통신부(310)가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IP카메라(200)를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30)는 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진압장비구동부(350)로 하여금 해당하는 진압장비를 구동하도록 하고, 진압장비구동부(350)는 그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진압장비를 구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the IP camera 200, the control unit 330 causes the suppression equipment driving unit 350 to b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suppression equipment is driven, and the suppression equipment driving unit 350 drives the corresponding suppress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담당자는 자신들의 사용자단말(500) 또는 관제서버(400)를 통해 화재 관련 정보 또는 현장 영상 정보를 통해 모니터링 하고, 그 현장 상황에 가장 적합한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여 효과적인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or the person in charge monitor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or the sit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ir user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400, and provides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most suitable for the site situation. Can be generated.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fire suppression equipment can be driven to effectively extinguish the fire.

화재신고부(36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관제서버(400) 또는 화재 방재 기관(미도시)으로 화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재신고부(360)는 분석부(320)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화재 신고 DB(미도시)에 저장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관제서버(400) 및 사용자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해당 건물 관리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석부(320)의 분석이 화재 경고이면, 경고실행부(340)는 관제서버(400)와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실내에 있는 거주자들에게 화재 경고를 알릴 수 있다. The fire report unit 360 may transmit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 or the fire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The fire report unit 360 may transmit a fire occurrence guide message stored in a fire report DB (not shown) to the control server 400 and the user terminal 500 when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unit 320 causes a fire. Here, the fire occurrence guidance message preferably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phone number of the building administrator. On the other hand, if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unit 320 is a fire warning, the warning execution unit 340 may inform the fire alarm to the residents in the room through the control server 400 and the speaker and / or the screen.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330)는 자가진단체크부(370)로 하여금 자가 진단을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자가진단체크부(370)는 화재수신기(300)의 배터리 부족 여부, 동작 상태, 연결된 각종 제어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를 통해 자가 진단 체크 정보를 관제서버(400) 또는 사용자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controller 330 may cause the self-assembly group check unit 370 to check the self-diagnosis. The self test unit 37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battery of the fire receiver 300 is low, an operating state, and an operating state of various connected controllers, and outputs abnormal state inform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ddition, the self-diagnostic che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 or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제서버(400)는 통신부(410), 수신정보처리부(420), 비상전화호출부(430), 메모리(440), 제어신호생성부(450) 및 정보입력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server 4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an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430, a memory 440,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50,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460. It may include.

통신부(410)는 화재수신기(300)로부터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화재수신기(300)와 DTMF 신호로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화재수신기(300)로부터 DTMF 신호로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DTMF 신호에서 화재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10 may receive fir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self-diagnostic information from the fire receiver 300. The communication unit 410 may transmit and receive fire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DTMF signal with the fire receiver 300, and when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with the DTMF signal from the fire receiver 300,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DTMF signal. Can be.

추가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10)는 무선랜(WiFi)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IP카메라(200)로부터 현장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10 may receive field image information from the IP camera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LAN (WiFi).

메모리(440)는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재 관련 정보 또는 현장 영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100), IP카메라(200), 화재수신기(300)등의 식별정보, 설치 위치 정보, 비상 연락 번호, 지도 맵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440 may store fire related information or field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number, map map information such as the fire detector 100, IP camera 200, fire receiver 300 may be further stored.

수신정보처리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를 메모리(440)에 저장하고, 모니터링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담당자들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인지 자가 진단 정보인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현장 영상 정보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지도 맵에 표시되어 출력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stores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ite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in the memory 440, and outputs them in real time on the monitoring screen so that the personnel can monitor them. At this time, the fire-related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or self-diagnostic information, and output to the screen through the corresponding interface. In addition, the fire scene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ap map stored in the memory 440 and output.

담당자들은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지도 맵에 출력되는 현장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장에 즉시 출동할 수 있으며, 또는 현장 영상 정보 또는 화재 관련 정보를 통해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적절한 제어신호를 IP카메라(200) 또는 화재수신기(300)에 전송하여 제어함으로써 시의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Person in charge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and immediately move to the site by using the field image information printed on the map map as needed, or judge the site situation through the field image information or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IP camera 200 or the fire receiver 300 to control i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ime.

비상전화호출부(430)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담당자, 일반 사용자, 방재기관(예: 119, 경찰서 등)의 전화번호로 화재 발생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상전화호출부(430)는 현장 영상 정보를 지도맵에 표시하여 담당자들의 전화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당자들은 자신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현장 정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하거나 현장의 화재 진압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430 may transmit fire occurrence guide information to a phone number of a person in charge, a general user, and a disaster prevention institution (eg, 119, a police station) stored in the memory 440. At this time, the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430 may display the on-site video information on the map map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hone of the person in charge. You can control the suppression.

정보입력부(460)는 관제서버(400) 담당자들로부터 기준정보, 제어정보 등을 입력받아, 메모리(440)에 저장하거나 제어신호생성부(45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정보는 일 예로 화재수신기(300)가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관제서버(400) 담당자들이 모니터링을 통해 정확하게 현장 상황을 분석하고 가장 적절한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입력부(460)는 담당자들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생성부(45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460 receives reference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etc. from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trol server 400,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440 or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50. In this case,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o allow the fire receiver 300 to drive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Control server 400 personnel can input the control information to accurately analyze the site situation through monitoring and to drive the most appropriate fire suppression equipmen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nput unit 460 may receive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person in charg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50.

제어신호생성부(450)는 정보입력부(460)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통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카메라(200) 또는 화재수신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46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IP camera 200 or the fire receiver 300.

예를 들어, 화재수신기(300)가 자체적으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라고 분석하는 경우, 비상벨이나 비상등을 울려 경고를 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1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 담당자들은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스프링쿨러의 작동이 필요하거나, 비상셔터의 작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프링쿨러 작동 및 비상셔터 작동 제어정보를 입력하면, 그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수신기(300)를 통해 2차로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함으로써 시의적절하게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e receiver 300 analyze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on its own and analyzes it as a fire occurrence, an emergency bell or emergency light is sounded to alert the first person by causing an early evacuation of the fire. I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f the control server 400 personnel monitors and analyzes the site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sprinkler is required or the emergency shutter is required, the sprinkler operation and emergency shutter operation control information is inputted. By operating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secondary through the fire receiver 300 based on the timely and effectively can suppress the fire.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500)은 통신부(510), 영상제공부(520), 제어신호생성부(530), 제어정보입력부(540), 저장부(550) 및 인터페이스제공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Referring to FIG. 6, the user terminal 5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0, an image provider 520, a control signal generator 530, a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540, a storage unit 550, and an interface provider 560. It may include.

통신부(510)는 IP카메라(200) 또는 관제서버(400)로부터 각종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제어신호를 IP카메라(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직접 제어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receive various fire related information and field image information from the IP camera 200 or the control server 400. In addition, various control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IP camera 200, and users may drive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by directly inputting control information.

저장부(550)는 비상 연락 번호, 지도 맵 정보, 통신부(5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550 stores emergency contact numbers, map map information,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0.

영상제공부(52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현장 영상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550)에 저장된 지도 맵에 현장 영상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신속하게 현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er 520 may display the field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and provide the same to the user. In this case, by displaying and providing the site image information on the map map stored in the storage unit 550, users can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ite.

인터페이스제공부(560)는 사용자들의 단말 형태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500)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이라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등에서 그 앱을 실행시켜 각종 정보를 확인 및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00)이 일반 PC라면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PC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interface provider 560 may provide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 terminal type of users. 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500 i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etc.,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users may check and input various information by running the app on the smartphone. In addition, if the user terminal 500 is a general PC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page. Users can access the website from the PC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and input control information.

제어정보입력부(54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제어정보, 일 예로 화재수신기(300)가 화재진압장비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과 같이 사용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는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화재진압 장비 및 그 단축키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제공되는 현장 영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해당하는 단축키를 눌러 그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540 receiv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control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fire receiver 300 to drive fire suppression equipment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from a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interface provided to the user may display the appropriate fire suppression equipment and its shortcut keys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Users can view the on-site video information provided and press the corresponding hotkey to drive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진압장비Suppression equipment 단축키Shortcut 스프링쿨러Sprinkler 1One 비상용셔터Emergency Shutter 22 비상용사다리Emergency ladder 33 비상등Emergency light 44 비상벨Emergency bell 55

제어신호생성부(530)는 제어정보입력부(540)를 통해 제어정보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510)를 통해 IP카메라(200)에 전송할 수 있다. IP카메라(20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화재수신기(300)에 전송하여 해당하는 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contro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54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530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IP camera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0.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he IP camera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e receiver 300 to drive the corresponding fire suppression equipmen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의 위치가 어디이든 간에 스마트폰 등을 통해 현장의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속하게 대처를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user can check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ite through a smartphone, etc.,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lso through the provided interface to deal with the secondary damage that can be additionally generated I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100: 화재감지기
110: 감지센서 120: 통신부
200: IP카메라 210: 수신부
220: 영상정보추출부 230: 영상정보생성부
240: 송신부 250: 통신모듈
260: 통신제어부 300: 화재수신기
310: 통신부 320: 분석부
330: 제어부 340: 경고실행부
350: 진압장비구동부 360: 화재신고부
370: 자가진단체크부 400: 관제서버
410: 통신부 420: 수신정보처리부
430: 비상전화호출부 440: 메모리
450: 제어신호생성부 460: 정보입력부
500: 사용자단말 510: 통신부
520: 영상제공부 530: 제어신호생성부
540: 제어정보입력부 550: 저장부
560: 인터페이스제공부
1: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100: fire detector
110: sensor 120: communication unit
200: IP camera 210: receiver
220: im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30: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40: transmitter 250: communication module
260: communication control unit 300: fire receiver
310: communication unit 320: analysis unit
330: control unit 340: warning execution unit
350: extinguishing equipment driving unit 360: fire reporting unit
370: self-promoted group unit 400: control server
410: communication unit 420: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440: memory
450: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60: information input unit
500: user terminal 510: communication unit
520: image providing unit 530: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540: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550: storage unit
560: interface providing unit

Claims (8)

열, 가스, 연기, 빛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화재 관련 정보를 IP 카메라 또는 화재수신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 및 화재 발생 지역의 현장 영상 정보를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화재수신기에 수신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P카메라;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초기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고, IP카메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는 화재수신기; 및
IP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IP카메라 또는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 카메라에 전송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IP카메라는,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녹화된 화재 발생 지점의 현장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현장의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수신부가 현장 영상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현장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부; 및
상기 추출되거나 촬영된 현장 영상 정보를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중에서 화재진압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화재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A fire detecto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heat, gas, smoke, and light and transmitting fire related information to an IP camera or a fire receiver;
When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the received fir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it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area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and when various control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ignal is responded to. An IP camera which performs an operation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to a fire receiver;
A fire receiver to control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when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to extinguish the fire initially, and to control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P camera; And
A control server analyzing fire-related information and field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P camera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P camera or the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IP camera;
The IP camera,
A receiver which receives fire related information from a fire detector and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a user terminal or a control server;
An imag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field image information of a recorded fire occurrence point whe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fire related information;
An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of the scene by shooting an image of a scene of a fire when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of the scene does not exist or a receiver receives a scene image photographing control signal; 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extracted or photographed field imag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or a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fire suppression among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control server to a fire receiver; Surveillance det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현장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현장영상제공부,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재진압장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정보입력부,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수신기가 상기 화재진압장비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 카메라에 전송하는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site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sit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P camera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a control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fire suppression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e fire receiver using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the fire receiver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uppression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IP camer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카메라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수신부 및 송신부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P camer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LAN module; And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conn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receiving unit and the transmitting un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비는,
비상벨, 비상등,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및 비상사다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수신기는,
화재감지기 또는 IP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인지 화재 경고인지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를 안내하는 경고실행부;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 화재 발생인 경우 화재 발생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하고, IP카메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화재진압장비를 구동하는 진압장비구동부;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 화재 발생인 경우 관제서버 또는 방재기관에 통보하는 화재신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itial material suppressor,
One or more of an emergency bell, emergency light, sprinkler, emergency shutter, and emergency ladder,
The fire receiver,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e detector or the IP camera;
An analysis unit which analyzes whether a fire occurs or a fire warning by using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warning execution unit guiding a fire occurrence or a fire warning preset through a speaker or a screen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A fire suppression apparatus driving unit for driv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pparatus to a fire occurrence point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an IP camera, in response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driving a fire suppress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fire reporting unit to notify the control server or disaster prevention agency in the event of a f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는,
현재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진단 정보를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자가 진단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자가진단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e receiver,
Smart self-monitoring detec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self-diagnostic group for outputting the self-diagnostic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or the screen by check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and transmits the self-diagnostic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화재수신기 또는 IP카메라와 화재 관련 정보, 현장 영상 정보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화재감지기, IP 카메라 및 화재수신기의 설치 위치, 식별 정보, 지도 정보, 비상 연락 정보, 화재 관련 정보 및 현장 영상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신정보처리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상 연락 번호로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비상 전화 호출부;
상기 수신정보처리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의 초기화재 진압 명령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 장비를 구동하도록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e receiver or IP camera and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field imag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
A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stallation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fire related information, and field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or, the IP camera and the fire receiver;
A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alyzing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An emergency telephone call unit that notifies the occurrence of a fire with an emergency contact number stored in the memory;
If the fire-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rece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the control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receiver to drive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to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according to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command of the administrator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ignal generat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정보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현장 영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맵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eiv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Smart fire monitoring detection system for displaying the on-site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 the map map stored in the memory to output on the screen.
KR1020120064792A 2012-06-18 2012-06-18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1223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792A KR101223680B1 (en) 2012-06-18 2012-06-18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792A KR101223680B1 (en) 2012-06-18 2012-06-18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680B1 true KR101223680B1 (en) 2013-01-22

Family

ID=4784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792A KR101223680B1 (en) 2012-06-18 2012-06-18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680B1 (en)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28B1 (en) 2013-08-13 2014-10-10 주식회사 하이맥스 Fire alarm controlling device using CCTV and system thereof
KR20150109988A (en) * 2014-03-21 2015-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re alarm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20160019322A (en) * 2014-08-11 2016-02-1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KR101615144B1 (en) * 2015-05-08 2016-04-25 정민산전(주) Secure outdoor power distribution from the fire
KR101665407B1 (en) * 2016-02-03 2016-10-13 주식회사테크블루 AUTOMATIC FIRE DETECTING SYSTEM BASED ON IoT DEVICE VIA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KR101674575B1 (en) * 2015-05-21 2016-11-09 광명통신안전주식회사 Unattended image pole and Early fire protection system with the pole
KR101684374B1 (en) * 2016-05-18 2016-12-08 (주)한동엔지니어링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KR101697935B1 (en)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Fire
KR101725774B1 (en)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KR101728521B1 (en) *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Real-time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745887B1 (en)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Apparatus for alerting fire alarm
KR20170071755A (en) 2015-12-16 2017-06-26 전자부품연구원 Fire detec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estimating degree of fire risk
KR101792766B1 (en) * 2017-01-26 2017-11-01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811393B1 (en) * 2017-04-04 2017-12-21 주식회사 예람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Fire Alarm Equiment
KR101828994B1 (en) * 2016-09-30 2018-02-13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Intelligen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44472B1 (en) * 2017-05-10 2018-04-02 김경수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855623B1 (en) * 2017-09-08 2018-06-08 최경철 Camera Device of Snout
JP2018106693A (en) *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1868115B1 (en) * 2017-02-06 2018-07-18 경기엔지니어링(주) Disaster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101967757B1 (en) * 2018-01-23 2019-04-10 이기배 A system that shares image with location of fire place and position of fire extinguisher when a fire occurs
KR101967902B1 (en) * 2017-11-09 2019-08-19 주식회사 코리트 A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fence
KR102119894B1 (en) * 2020-03-18 2020-06-05 양한규 Wireless control system for fire using user's mobile equipment
KR102152447B1 (en) *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Self-powered constant temperature detector of transceiver system
KR20210019625A (en) * 2019-08-12 2021-02-23 (주)뉴콤시스 Emergency bell control system based in network
KR102349423B1 (en) * 2021-04-13 2022-01-12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Smart fire detector for firefighting
CN114038147A (en) * 2021-06-16 2022-02-11 武汉光阴南北网络技术咨询中心 Fire rescue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30036802A (en)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re detecting system for enhancing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96Y1 (en) * 2003-04-14 2003-09-19 (주)극동네트워크 A remote watching system for preventing a fire of a building
KR20100002104A (en)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20110086254A (en) * 2010-01-22 2011-07-28 대신티엔아이 주식회사 Transmit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a webcam, intrusion detection systems
KR20120026887A (en)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System for managing fire with wire or wirel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96Y1 (en) * 2003-04-14 2003-09-19 (주)극동네트워크 A remote watching system for preventing a fire of a building
KR20100002104A (en)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20110086254A (en) * 2010-01-22 2011-07-28 대신티엔아이 주식회사 Transmit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a webcam, intrusion detection systems
KR20120026887A (en)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System for managing fire with wire or wireless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28B1 (en) 2013-08-13 2014-10-10 주식회사 하이맥스 Fire alarm controlling device using CCTV and system thereof
KR102153134B1 (en) 2014-03-21 2020-09-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re alarm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20150109988A (en) * 2014-03-21 2015-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re alarm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20160019322A (en) * 2014-08-11 2016-02-1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KR101638972B1 (en) * 2014-08-11 2016-07-12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KR101615144B1 (en) * 2015-05-08 2016-04-25 정민산전(주) Secure outdoor power distribution from the fire
KR101674575B1 (en) * 2015-05-21 2016-11-09 광명통신안전주식회사 Unattended image pole and Early fire protection system with the pole
KR101745887B1 (en)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Apparatus for alerting fire alarm
KR20170071755A (en) 2015-12-16 2017-06-26 전자부품연구원 Fire detec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estimating degree of fire risk
KR101665407B1 (en) * 2016-02-03 2016-10-13 주식회사테크블루 AUTOMATIC FIRE DETECTING SYSTEM BASED ON IoT DEVICE VIA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KR101684374B1 (en) * 2016-05-18 2016-12-08 (주)한동엔지니어링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KR101697935B1 (en)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Fire
KR101828994B1 (en) * 2016-09-30 2018-02-13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Intelligen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725774B1 (en)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KR101728521B1 (en) *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Real-time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JP2018106693A (en) *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1792766B1 (en) * 2017-01-26 2017-11-01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868115B1 (en) * 2017-02-06 2018-07-18 경기엔지니어링(주) Disaster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101811393B1 (en) * 2017-04-04 2017-12-21 주식회사 예람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Fire Alarm Equiment
WO2018208055A1 (en) * 2017-05-10 2018-11-15 김경수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844472B1 (en) * 2017-05-10 2018-04-02 김경수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CN110651307A (en) * 2017-05-10 2020-01-03 金庚洙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855623B1 (en) * 2017-09-08 2018-06-08 최경철 Camera Device of Snout
KR101967902B1 (en) * 2017-11-09 2019-08-19 주식회사 코리트 A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fence
KR101967757B1 (en) * 2018-01-23 2019-04-10 이기배 A system that shares image with location of fire place and position of fire extinguisher when a fire occurs
KR20210019625A (en) * 2019-08-12 2021-02-23 (주)뉴콤시스 Emergency bell control system based in network
KR102282546B1 (en) * 2019-08-12 2021-07-29 (주)뉴콤시스 Emergency bell control system based in network
KR102152447B1 (en) *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Self-powered constant temperature detector of transceiver system
WO2021157808A1 (en) * 2020-02-03 2021-08-12 엠피아 주식회사 Self-powered powerless constant temperature-type detec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11854362B2 (en) 2020-02-03 2023-12-26 Mpia Co., Lt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lf-powered power-free fixed temperature type fire detection
KR102119894B1 (en) * 2020-03-18 2020-06-05 양한규 Wireless control system for fire using user's mobile equipment
KR102349423B1 (en) * 2021-04-13 2022-01-12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Smart fire detector for firefighting
CN114038147A (en) * 2021-06-16 2022-02-11 武汉光阴南北网络技术咨询中心 Fire rescue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038147B (en) * 2021-06-16 2023-11-14 武汉光阴南北网络技术咨询中心 Fire rescue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36802A (en)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re detecting system for enhancing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detection
KR102583460B1 (en) * 2021-09-08 2023-09-27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re detecting system for enhancing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de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1775463B1 (en)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JP2020113269A (en) Internet promotion fire prevention system and real time monitoring system
KR101566839B1 (en) Security CCTV System Having Self-diagnosis Function and Self-diagnosis Method of the Same
KR101297087B1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amera image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KR101444395B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intelligent control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KR102501053B1 (en) Complex fire detector and fir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152123B1 (en) Video Processing System of Intelligent Mobile Device with Monitoring Application to Detect and Control Commercial Fire
KR100833615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0518939A (en)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439267B1 (en) Unmanned fire control apparatus of realtime smart type
KR101252570B1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amera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KR101774897B1 (en) Reset system for fire receiver and mobile informing fire signal
KR100927581B1 (en) Remot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399475B1 (en) Unmanned fire control system of realtime smart type
CN112562246A (en) Fire monitoring system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1775489B1 (en) Monitoring system of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quipment
JP6310243B2 (en) Automatic fire alarm equipment
KR101154521B1 (en) System for managing fire with wire or wireless
KR20130094097A (en) Address type wire and wireless fire alarm system
JP2015111327A5 (en)
JP6641176B2 (en) Security service support system and security device
KR20100002104A (en)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101527725B1 (en) System to manage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