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490A -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 Google Patents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490A
KR20170098490A KR1020160020461A KR20160020461A KR20170098490A KR 20170098490 A KR20170098490 A KR 20170098490A KR 1020160020461 A KR1020160020461 A KR 1020160020461A KR 20160020461 A KR20160020461 A KR 20160020461A KR 20170098490 A KR20170098490 A KR 2017009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mode
terminal
operation mode
beac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4826B1 (en
Inventor
강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젠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젠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젠컴즈
Priority to KR102016002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9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device, which comprises: an operation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device; an operation of receiving a beacon signal of the transmitter;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the transmitter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beacon signal; an operation of notifying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an output part by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a first mode;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a driv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output part by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a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tification service suitable for each area of a school commut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본 명세서는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beacon signal based on / off notice.

차량을 이용하여 등교하는 어린이들에 대한 안내 서비스가 존재한다. 공개특허 제10-2015-0062600호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아이들을 식별하는 등하원 관리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15616호 및 공개특허 제10-2009-0066575호는 RFID를 이용한 등하교 확인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There is a guidance service for children who are going to school by using the vehic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62600 discloses a method for managing an equal source for identifying children using NFC tags. In addition, Japanese Patent No. 10-101561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066575 disclose a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RFID is used.

다만, RFID나 태그를 이용하여 승하차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미숙하고 보호 대상인 어린이의 필수적인 동작을 요구하므로 기술 외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카드 리더를 요구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arrival and departure information by using the RFID or the tag is inexperienced and requires an essential operation of a child to be protected, so that an error may occur outside the technology, and a separate card reader is required.

본 명세서는 착용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인 어린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통학 환경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승하차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configured to grasp the position of a child to be protected using a wearable device, to divide the school environment into areas, and to provide guidance for getting on and off with the help of a person who acts as a guardian in each area .

한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발신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는 동작; 및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method of a terminal apparatus is disclosed. The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a beacon signal of an originat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proximat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the terminal notifies the transmitter of the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unit; And if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the terminal device may indicate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output section.

상기 일 실시 형태 또는 그 밖의 실시 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or other embodiments may include any one of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도움 요청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도움 요청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기와 상기 단말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n assistance menu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help request menu is selected,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server indicating that the transmitter and the terminal are separated.

또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발신기의 탑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 장치가 상기 탑승 위치 주변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terminal device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boa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it may indicate whether the driver terminal device is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boarding position.

한편,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발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는 출력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고; 그리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from a transmitter; An output unit for notifying the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configured to operate,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an operation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proximat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Notify the disconnec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if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If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the transmitter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device.

한편, 또 다른 실시 형태로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발신기; 상기 발신기의 식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된 소지자 정보,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여부 판단 결과 및 동작 모드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1 단말 장치; 그리고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in still another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erver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he hold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A first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beacon signal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and notifying the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result of the proximity determination and the operation mode;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to the server.

상기 일 실시 형태 또는 그 밖의 실시 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or other embodiments may include any one of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발신기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발신기가 상기 제1 단말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 정보와 함께 통지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device may notify the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se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not in proximity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The first terminal device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at the server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in proximity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econd mode, And notifi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terminal inform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통학 환경을 영역 별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맞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tif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each area by classifying the school environment into area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어린이의 통학 환경에서 학부모가 중심이 되는 영역, 운전자가 중심이 되는 영역, 교사가 중심이 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어린이가 각 영역 간을 이동하는 경우라도 보호의 흐름이 끊이지 않도록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a parent-centered area, a driver-centered area, and a teacher-centered area in a child's school environment, The notif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so that the flow does not ceas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보호 대상이 되는 어린이가 착용하는 장치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의 염려가 적다.Further, according to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 apparatus to be worn by a child to be protected is a wearable apparatus using a low-power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easy to carry and less likely to be lost.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학부모 단말기가 발신기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학부모 단말기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학부모 단말기의 모드 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발신기 소지자가 보호자와 멀어진 경우 도움을 요청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탑승 위치 등록 및 도착 알림을 설정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제1 모드로 설정된 학부모 단말기와 다른 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모드로 설정된 학부모 단말기와 다른 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학부모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system disclosed herein.
2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parent terminal registers sender informa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parent terminal sets the operation mode.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mode of the parent terminal.
Figure 5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requesting assistance when the originator's holder is away from the caregiver.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setting a boarding location registration and arrival notifica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parent terminal and other devices set in the first mod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parent terminal and other devices set in the second mode.
Figure 9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parent terminal.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apply to communication systems. Howev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can be appli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belo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broader sense, or interpreted in an oversimplified sen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erroneous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represen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may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ls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meanin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It is to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by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보호 대상이 되는 사람 예를 들어, 차량을 통해 학교, 유치원, 학원 등에 다니는 어린이의 안전 상태를 학부모가 알 수 있도록 또는 보호자(예를 들어, 선생님 등)를 통해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학 버스 안내 시스템일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system disclosed herein.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used to protect the safety status of a child who goes to a school, a kindergarten, a school or the like through a vehicle, for example, by a person to be protected, or to protect them together through a parent (for example, a teacher)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통학 환경은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학부모가 중심이 되는 영역, 차량을 통해 운행이 이루어지는 운전자가 중심이 되는 영역, 놀이 및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사가 중심이 되는 영역을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차량을 통한 통학을 위하여 어린이가 각 영역 간을 이동할 때, 어린이에 대한 보호의 흐름이 끊이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주거 영역(110), 운행 영역(120) 및 보호 영역(13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 child's school environment can be distinguished from a parent-centered area, a driver-centered area through a vehicle, and a teacher-centered area where play and learning are conducted.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structured so that the flow of protection to a child is not cut off when a child moves between respective areas for commuting through a vehic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residential area 110, the travel area 120, and the protection area 130. [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학부모 단말기(111), 발신기(113), 운전자 단말기(121), 보호자 단말기(131) 및 서버(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 및 상기 서버(14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parent terminal 111, an originator 113, a driver terminal 121, a guardian terminal 131, and a server 140. The parent terminal 111, the driver terminal 121, the parent terminal 131, and the server 140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는 근거리 통신 또는 이동 통신 기능을 포함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 또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예를 들어, 저 전력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중 하나인 블루투스 저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들은 상기 발신기(113)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른 비콘(Beacon)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의 일 예로서 블루투스 저전력(BLE) 통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발신기(113)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111, the driver terminal 121 and the parent terminal 131 may b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or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or the like. The parent terminal 111, the driver terminal 121 or the parent terminal 131 may perform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which is one of low power short distanc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ay be a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s can transmit / receive a beacon signal accor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transmitter 113. [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Bluetooth low-power (BLE) communication as an example of the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113 Metho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발신기(113)는 사용자에게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발신기(113)는 상기 발신기(113)는 코인 배터리(Coin battery)로 작동되는 저전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발신기(113)는 착용의 편의를 위하여 클립 등이 부착될 수 있으며, 소지자가 이를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캐릭터 도안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발신기(113) 소지자가 이동할 때 상기 발신기(113)는 상기 주거 영역(110), 상기 운행 영역(120) 또는 상기 보호 영역(130)에 진입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발신기(113)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에 대하여 상기 주거 영역(110) 내에서 동작하는 방식이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운행 영역(120)에서의 다른 발신기들(123 및 125) 또는 상기 보호 영역(130)에서의 다른 발신기들(133, 135 및 137)도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ransmitter 1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that may be attached to a user or carried by a user. The transmitter 113 may be a low power device operated by a coin battery. A clip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transmitter 113 for convenience of the wearer, and a character figure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holder can easily accept it. The transmitter 113 may enter the residential area 110, the travel area 120 or the protection area 130 when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113 moves.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mitter 113 in the residential area 110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specific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er 113.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other transmitter 123 or 125 in the travel area 120 or the protection area 130 Other transmitters 133,135, and 137 in the same manner operate similarly.

상기 발신기(113)는 정보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패킷은 예를 들어,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의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 또는 비콘(beacon)일 수 있다.The sender 113 may be configured to broadcast an information packet. The information packet may be, for example, an advertising packet or a beacon of a Bluetooth low energy (BLE), a low-power local area communication scheme.

상기 발신기(113)가 송신하는 상기 정보 패킷은 상기 발신기(113)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패킷은 메이저(Major value) 값 또는 마이너 값(Minor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기(113)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메이저 값 또는 상기 마이너 값에 적어도 일부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신기(113)의 상기 메이저 값 또는 상기 마이너 값은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가 수정할 수 없도록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packet transmitted by the originator 113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or 113. The information packet may include a major value or a minor valu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ransmitter 113 may b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major value or the minor value. The major value or the minor value of the transmitter 113 may be stored so that the owner of the transmitter 113 can not modify it.

상기 주거 영역(100)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111)는 상기 발신기(113)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111)를 통해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안내 서비스에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residential area 100, the guardian terminal 111 may perform a management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originator 113. For example, the guardian terminal 111 may register the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originator 113 in the guide service.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가 상기 주거 영역(100)으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운행 영역(120)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행 영역(120) 내의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가 상기 발신기(113)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는 상기 운행 영역(120) 내에 있는 다른 발신기들(123 및 125)의 정보 패킷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운행 영역(120) 내의 발신기들은 3개이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하나 이상의 발신기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운행 영역(120)은 상기 발신기(113)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을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가 수신할 수 있는 영역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 주위일 수 있다.When the owner of the transmitter 113 moves from the residential area 100 and enters the travel area 120, the driver terminal 121 in the travel area 120 transmits Information packets can be received. The driver terminal 121 may receive the information packets of the other transmitters 123 and 125 in the travel area 120 together. In FIG. 1, there are three transmitters within the coverage area 120,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one or more transmitters may be located. The travel area 120 may be an area where the driver terminal 121 can receive the information packet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113, for example, around the vehicle the driver is driving.

상기 발신기(113)가 상기 주거 영역(110)을 벗어나 상기 운행 영역(120)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는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111 may opera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when the transmitter 113 enters the travel area 120 out of the residential area 110. [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가 상기 발신기(113)의 다양한 정보를 상기 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는 상기 서버(140)로부터 상기 발신기(113) 또는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driver terminal 121 can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113 to the server 140. [ The parent terminal 111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holder of the originator 113 or the originator 113 from the server 140. [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가 상기 운행 영역(120)으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보호 영역(130)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보호 영역(130) 내의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가 상기 발신기(113)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영역(130)은 상기 발신기(113)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을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가 수신할 수 있는 영역 예를 들어, 상기 보호자가 있는 학교 또는 학원 등일 수 있다.When the owner of the originator 113 moves out of the travel area 120 and enters the protection area 130, the guardian terminal 131 in the protection area 130 transmits Information packets can be received. The protection area 130 may be an area where the guardian terminal 131 can receive an information packet transmitted by the originator 113, for example, a school or a school having the guardian.

상기 발신기(113)가 상기 운행 영역(120)을 벗어나 상기 보호 영역(130)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는 상기 발신기(113)의 정보를 상기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111)는 상기 서버(140)로부터 상기 발신기(113) 또는 상기 발신기(113)의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131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tor 113 to the server 140 when the originator 113 moves out of the travel area 120 and enters the protection area 130. [ The guardian terminal 111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holder of the originator 113 or the originator 113 from the server 140. [

도 2는 학부모 단말기가 발신기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2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parent terminal registers sender information.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220)와 연관된 사용자 즉, 상기 발신기(220)의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발신기(220) 소지자는 예를 들어, 학교, 유치원, 학원 등에 다니는 어린이일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가 획득하는 상기 발신기(220) 소지자에 대한 정보는 사진(211), 성별, 이름, 생년월일 또는 특징(2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210 obtains information on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originator 220, that is, the holder of the originator 220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parent terminal 210.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220 may be, for example, a child at a school, a kindergarten, a school, or the like. The information on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220 that the parent terminal 210 acquires may include a picture 211, a gender, a name, a date of birth or a feature 215.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는 상기 발신기(22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발신기(220)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을 수신한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는 상기 정보 패킷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213)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2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220. The parent terminal 210 receives an information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ender 220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The parent terminal 210 may displa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13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acket on the screen.

상기 학부모 단말기(210)는 상기 발신기(22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발신기(220)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등록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발신기(220)의 식별 정보를 상기 발신기(220) 소지자에 대한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한다. 이는 상기 발신기(220)를 상기 소지자에 대하여 개인화(personalization)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발신기(220)가 개인화된 이 후, 상기 학부모 단말기(111), 상기 운전자 단말기(121) 또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131)는 상기 발신기(22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 번호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210 transmits a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220 and information about the holder of the sender 220 to the server. The server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220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220. This may be an operation to personalize the sender 220 to the bearer. After the transmitter 220 is personalized, the parent terminal 111, the driver terminal 121 or the parent terminal 131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broadcasted by the transmitter 220 Information about the holder can be referred to by inquiry.

도 3은 학부모 단말기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설명이 개시된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parent terminal sets the operation mode. A description of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parent terminal 310 in the communication system disclosed herein with reference to FIG. 3 is disclosed.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는 동작 모드 메뉴(311) 및 상기 발신기 소지자의 정보(313)를 표시한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는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동작 모드 메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The parent terminal 310 displays an operation mode menu 311 and information 313 of the sender's owner. The parent terminal 31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one of the operation mode menus through an input unit and sets an operation mode of the parent terminal 310 according to the received selection input.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가 복수의 어린이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는 각 어린이들에 따라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If the parent terminal 310 supports the guidance service for a plurality of children, the operation mode may be separately set for each child.

상기 동작 모드 중 제1 모드는 지킴이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어린이가 학부모로부터 멀리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학부모에게 이를 알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발신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비콘 신호의 세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가 멀어졌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신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비콘 신호로부터 일정 시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비콘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등에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발사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mode of the operation modes may be a guard mode. In the first mode, the paren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hild is far away from the paren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 is far from the parent, the parent terminal operates in a manner of notifying the parent. The paren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r is moving away based on at least a part of whether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is received or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For example, when the beacon signal of the originator is not received, when the beacon signal can not be obtained from the beacon signal,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judged that it is not in proximity.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는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의 사용자에게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통지 방식으로서 위급한 상황을 알리는 통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위급한 상황을 알리는 통지 방식은 예를 들어, 상기 학부모 단말기가 진동기능을 추가하며 관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식일 수 있다.In the first mode, the parent terminal 310 can notify the user of the parent terminal 310 that the transmitter is disconnected from the parent terminal 310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in proximity. The parent terminal can select a notification method that notifies an emergency situation as a notification method in the first mode. The notification method of notifying the urgent situation may be, for example, a way in which the parent terminal adds a vibration function and displays a related message on the display.

상기 동작 모드 중 제2 모드는 통학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어린이가 학부모로부터 이탈했더라도 통학 중에 차량을 탑승하고 있거나 또는 수업을 듣는 등의 상황에 있는 경우라면 긴급한 통지는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second mode of the operation mode may be a commute mode. In the second mode, the parent terminal does not need to be urgently notified if the child has left the parent, but is in a situation such as boarding a vehicle or attending a class while attending school.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는 상기 발신기의 소지자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소지자의 정보를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310)가 출력하는 상기 발신기의 소지자의 정보는 상기 발신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not in the second mode, the parent terminal 310 may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from the server and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holder through the output device. In the second mode, the information of the holder of the transmitter output by the parent terminal 310 may includ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도 4는 학부모 단말기의 모드 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mode of the parent terminal.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410).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발신기와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긴급 통지를 수행하는 지킴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 등을 통지하는 통학 모드 등이 있다. 상기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410)은 환경설정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The parent terminal can set an operation mode (410).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first mode capable of supporting a guard function for perform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when the transmitter is separated from the transmitter or a mode for notifying the transmitt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when the transmitter is separated from the parent terminal Mode. The operation 410 of setting the op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value through environment setting or the like.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발신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420),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여부를 판단한다(430).The parent terminal receives the beacon signal of the originator (4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originator is close to the beacon signal based at least in part (4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와 근접해 있지 않은 경우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440), 상기 동작 모드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통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ransmitter is not in proximity to the parent terminal, it can check the set operation mode (440) and perform the notification functi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operation mod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가 제1 모드 즉, 지킴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 통지를 수행한다(4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disconnected, the parent terminal performs emergency notification to the terminal user if the parent terminal operates in the first mode, i.e., the guard mod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가 제2 모드 즉, 통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발신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한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46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disconnected, the parent terminal reques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o the server, if the parent terminal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hat is, the home mode. After receiv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parent terminal can display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through the output unit (460).

도 5는 발신기 소지자가 보호자와 멀어진 경우 도움을 요청하는 동작을 도시한다.Figure 5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requesting assistance when the originator's holder is away from the caregiver.

학부모 단말기(510)가 제1 모드 예를 들어, 지킴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로부터 멀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로부터 멀어졌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parent terminal 510 operates in the first mode, for example, in the guard mode, it perform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der has moved away from the parent terminal 510. In this case, the parent terminal 510 may display on the display that the transmitter is away from the parent terminal 510.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알림 메뉴(511)를 통해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이탈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의 이탈을 긴급 알림으로 판단하여 진동 알림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parent terminal 510 may indicate that the transmitter is out of order through the notification menu 511. At this time, the parent terminal 510 may determine that the dispatcher is out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and may further apply the vibration notification.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입력부를 통해 상기 알림 메뉴(511)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추가적인 알림 사항(51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알림 사항(513)은 상기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510 may display an additional notification item 513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notification menu 511 through the input unit. The additional notification item 513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nsmitter holder.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추가 알림 사항(513)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5(b)를 참조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구체적 알림 화면(515)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 알림 화면(515)에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소지자의 사진(51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arent terminal 51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additional notification item 513 through the input unit, the parent terminal 510 displays a specific notification screen 515 for the transmitter owner as shown in FIG. 5 (b) can do. The specific notification screen 515 may further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sender's owner, for example, a photograph 517 of the owner.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이탈되었음을 통지 하면서 위급 전화 연결을 위한 메뉴(518)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도움 요청 메뉴(519)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는 상기 도움 요청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기와 상기 단말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510 may display a menu 518 for emergency telephone connection by notifying that the caller is out of the office. In addition, the parent terminal 510 may display a help request menu 519. FIG.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help request menu, the parent terminal 510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server informing that the transmitter and the terminal are separated.

상기 서버는 상기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발신기의 최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되는 위치 근처에 있는 다른 단말기(530)에 도움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말기(530)는 예를 들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기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도움 요청 정보는 상기 발신기 정보 또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rent terminal 510 has been disconnected, the server transmits help request information to another terminal 530 located near the location to be grasp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ent terminal 510 or the rec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or . The other terminal 530 may be, for example, the parent terminal or other electronic device. The help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ender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der's holder.

도 5(c)를 참조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단말기(530)는 상기 도움 요청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말기(530)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사진(5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기(530)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를 발견한 경우 위치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전송 메뉴(533)를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c), the other terminal 530 may display the help request information on the display. The other terminal 53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ender's owner, for example, a photograph 531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ther terminal 530 may display a location transmission menu 533 that allows the location of the transmitter to be easily transmitted.

상기 다른 단말기(530)는 상기 위치 전송 메뉴(533)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다른 단말기(5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단말기(5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기(51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other terminal 530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position transmission menu 533, the other terminal 53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530 to the server. The server can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530 to the parent terminal 510.

도 6은 탑승 위치 등록 및 도착 알림을 설정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setting a boarding location registration and arrival notification.

학부모 단말기는 발신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사용할 차량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차량 등록 과정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소지자가 운전자 단말기와 연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차량에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승하차할 탑승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fter the parent terminal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sender's owner, the parent terminal can register the vehicle to be used by the sender's owner. The parent terminal can set the caller or the caller to be associated with the driver terminal during the vehicle registration process. The parent terminal can set a boarding position on which the owner of the transmitter can get on and off the vehicle.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학부모 단말기(610)는 지도 상의 위치(611) 또는 주소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기 소지자의 탑승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610)는 상기 탑승 위치 등록 또는 수정을 위한 메뉴(613)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탑승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탑승 위치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for example, the parent terminal 610 can set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sender using the location 611 or address on the map. The parent terminal 610 can transmit the board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by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the menu 613 for registering or modifying the boarding position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board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terminal Lt; / RTI >

상기 학부모 단말기(610)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탑승한 차량이 상기 탑승위치에 도달하기까지 얼마가 소요되는지에 대한 정보(615), 상기 탑승 차량의 위치 정보(617) 또는 상기 탑승 위치 정보(611)를 표시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610 receives information 615 indicating how long it takes for the vehicle occupied by the transmitter to reach the boarding pos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617 of the boarding vehicle or the boarding position information 611, Can be displayed.

도 7은 제1 모드로 설정된 학부모 단말기와 다른 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 설명이 생략된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parent terminal and other devices set in the first mod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ortions as those described above is omitted.

학부모 단말기(710)는 동작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한다(711). 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가 주거 영역(701a) 내에 발신기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제1 모드 즉, 지킴이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로부터 멀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와 보호자 단말기(730)가 보호 영역(701a, 701b)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로부터 멀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영역(701a, 701b)은, 예를 들어, 야외 학습, 실외 공간 등일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710 sets the operation mode to the first mode (711). In one embodiment, if the parent terminal 710 is located in the residence area 701a proximate to the originator, the parent terminal 710 operates in the first mode, i.e., guard mode, So as to guide the mobile terminal 710 away from the mobile terminal 710.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parent terminal 710 and the parent terminal 730 are located within the protected areas 701a, 701b and the originator is located in proximity to the parent terminal 710, 710 may operate in the first mode to guide the originator away from the parent terminal 710 to guide them away. The protection areas 701a and 701b can be, for example, outdoor learning, outdoor space, and the like.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발신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712). 상기 학부모 단말기는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발신기가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여 분리 통지를 수행하지 아니한다.The parent terminal 710 operating in the first mode receive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der (712). The paren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r is in proximity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7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parent terminal 710, the parent terminal 710 determines that the transmitter is not disconnected and does not perform the separation notification.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기가 분리되었음을 통지한다(714).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리 통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통지(notification)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에 탑재된 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리 통지는 상기 진동부를 통한 진동 신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out of the proximity distance, the parent terminal 710 operating in the first mode notifies the transmitter of the disconnection through the output unit 714.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the output may be a display of the parent terminal 710, in which case the separation notic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notification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vibration unit mounted on the parent terminal 710, in which case the separation not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signal through the vibration unit.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720)에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15). 상기 서버(720)는 상기 도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721), 보호자 단말기(730)로 상기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22). 상기 보호자 단말기(730)는 상기 도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움 요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731).The parent terminal 710 operating in the first mode may transmit a help request message to the server 720 if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in proximity (715). The server 720 receives the help request message (721) and may transmit the help request message to the parent terminal (730) (722). After receiving the help request message, the guardian terminal 730 may display the help request inform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C (731).

상기 보호자 단말기(730)의 사용자는 상기 발신기 소지자를 발견한 경우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7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720)로 전송할 수 있다(732).The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73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730 to the server 72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c) .

상기 서버(720)는 상기 도움 요청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보호자 단말기(730)가 전송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723),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에게 전송할 수 있다(724). 상기 학부모 단말기(7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716).The server 72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arent terminal 730 in response to the help request transmission 723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arent terminal 710 in operation 724, . The parent terminal 710 can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716).

도 8은 제2 모드로 설정된 학부모 단말기와 다른 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 설명이 생략된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parent terminal and other devices set in the second mod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ortions as those described above is omitted.

학부모 단말기(810)는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설정한다(811). 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주거 영역(801) 내에 발신기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주거 영역(801)으로부터 운전자 단말기(820) 근처의 운행 영역(803)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810 sets the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mode (811). In one embodiment, the parent terminal 810 is disposed adjacent to a transmitter in the residential area 801, and may move from the residential area 801 to the travel area 803 near the driver terminal 820.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발신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812).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8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발신기가 상기 주거 영역(801) 내에 여전히 배치되어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과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여 서버(830)로 상기 발신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지 아니한다.The parent terminal 810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receive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812. The parent terminal 810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r is at a close distanc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8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parent terminal 810, the parent terminal 810 determines that the transmitter is still located in the residential area 801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parent terminal 810, The mobile station does not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tter.

한편, 상기 발신기 소지자가 상기 주거 영역(801)으로부터 상기 운행 영역(80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발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가 약하거나,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820)는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발신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21). 이는 상기 발신기가 상기 운행 영역(803)에 진입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820)는 상기 발신기의 비콘 신호에 포함된 상기 발신기의 식별 정보 등을 서버(830)로 전송하고(822), 상기 서버(830)는 상기 발신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콘 신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831).Meanwhile, the sender can move from the residential area 801 to the driving area 803. In this case, the parent terminal 810 may not receive the beacon signal or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riginator is weak. The driver terminal 82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when the transmitter moves to a close distance (821). This may mean that the transmitter has entered the travel region 803. The driver terminal 820 transmits 822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of the transmitter to the server 830 and the server 830 obtain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from the beacon signal (831).

한편,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기가 근접 거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830)로 상기 발신기의 정보를 요청한다(814). 상기 서버(830)는 상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832), 상기 운전자 단말기(8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발신기 정보 또는 그와 연관된 상기 발신기 소유자의 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로 전송한다(833). 상기 학부모 단말기(810)는 상기 발신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 소유자가 상기 주거 영역(801)로부터 상기 운행 영역(803)에 안전하게 진입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815).Meanwhile, when the parent terminal 810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determines that the transmitter is out of proxim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arent terminal 810 requests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from the server 830 (814). The server 830 receives the information request (832), and transmits the transmit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820 or information of the sender owner associated with the transmitter to the parent terminal 810 (833) . The parent terminal 810 may indicate 815 that the owner of the originator has safely entered the driving area 803 from the residential area 801 based on the transmitter information.

도 9는 학부모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학부모 단말기(900)는 근거리 통신부(910), 출력부(920) 및 제어부(9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910)는 발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20)는 상기 발신기가 상기 학부모 단말기(900)와 분리되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20)는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진동 기능을 이용하여 알리는 진동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20)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gure 9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parent terminal. The parent terminal 900 may include a local communication unit 910, an output unit 920, and a control unit 930.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91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from a transmitter. The output unit 920 may notify that the sender is disconnected from the parent terminal 900. The output unit 92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utputting or a vibration unit for notifying by using a vibra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920 sets an operation m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beac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clos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may notify the disconnec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indicate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Claims (10)

단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발신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는 동작; 및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a beacon signal of an originat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proximat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the terminal notifies the transmitter of the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unit; And
And display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도움 요청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an assistance request menu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 요청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기와 상기 단말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ransmitting, to the server,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transmitter and the terminal are disconnected when the help request menu is selec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terminal device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발신기의 탑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the boa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 장치가 상기 탑승 위치 주변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whether the driver terminal device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boarding position.
발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는 출력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고; 그리고
상기 발신기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가 운전자 단말 장치와 근접한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 장치.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from a transmitter;
An output unit for notifying the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And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control unit
Setting an operation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proximat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Notify the disconnec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if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And
And to display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driv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proximat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발신기;
상기 발신기의 식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된 소지자 정보,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비콘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발신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여부 판단 결과 및 동작 모드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1 단말 장치; 그리고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erver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he hold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A first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r is close to the beacon signal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beacon signal and notifying the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result of the proximity determination and the operation mode; And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to the serv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제1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발신기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분리를 통지하는 통신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terminal device notifies the disconnection of the transmitter through the output se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not in proximity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발신기가 상기 제1 단말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 정보와 함께 통지하는 통신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terminal device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o the server when the transmitter is determined not to be close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econd mode, And no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ogether with the second terminal information.
KR1020160020461A 2016-02-22 2016-02-22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KR101834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461A KR101834826B1 (en) 2016-02-22 2016-02-22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461A KR101834826B1 (en) 2016-02-22 2016-02-22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490A true KR20170098490A (en) 2017-08-30
KR101834826B1 KR101834826B1 (en) 2018-03-06

Family

ID=5976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461A KR101834826B1 (en) 2016-02-22 2016-02-22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8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0B1 (en) 2019-04-30 2020-06-08 최원재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KR20220003398A (en) 2020-07-01 2022-01-10 이상복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eal time vehicle tracking, passengers and freight that get in and of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62B1 (en) 2014-11-17 2015-10-22 (주)알엠테크 Wearable terminal and beacon receiver for protecting and managing children,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managing children using th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0B1 (en) 2019-04-30 2020-06-08 최원재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KR20220003398A (en) 2020-07-01 2022-01-10 이상복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eal time vehicle tracking, passengers and freight that get in and 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826B1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49B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associated with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1746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getting-off to passengers using the real time bus information
US8483651B1 (en) Notifying mobile-device users of emergency vehicles
CN113660611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717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safety
KR20130031526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117491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2X service using same
JP7031142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program
CN111063138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34826B1 (en)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KR101427717B1 (en) Taxi call service system using display communicating with smart mobile device and method using these
KR10261177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group message
KR1013346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cue service
KR100910313B1 (en) Children safeguard system for children transport vehicle using image information
KR2013008279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home-coming service
US106455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indoor/outdoor specification
KR20180091429A (en)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KR101038177B1 (en) Method for confirming situation using zigbee communication
KR101874123B1 (en)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TWI628632B (en) Station prompt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16973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afety service
KR20010097444A (en) Calling method for neighboring vehicles using mobile telephone, telephone or internet
EP34445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6227949A (e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10231274A (en) Sign display method, onboard system, rfid tag, sign transmitter, and sig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