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429A -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 Google Patents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429A
KR20180091429A KR1020170016615A KR20170016615A KR20180091429A KR 20180091429 A KR20180091429 A KR 20180091429A KR 1020170016615 A KR1020170016615 A KR 1020170016615A KR 20170016615 A KR20170016615 A KR 20170016615A KR 20180091429 A KR20180091429 A KR 2018009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information
traff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복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 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인 filed Critical (주) 세인
Priority to KR102017001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429A/en
Publication of KR2018009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re is provided a vehic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traffic vulnerable to get on and off a bus. When a bus information system receives information on a bus stop from a traffic vulnerabl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bus stop is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device of the oncoming bus that is closest to the bus stop. Whe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approaches the ri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a driver terminal notifies the driver that the traffic vulnerable is going to get on, and when arriving at the riding stop, a voice of notifying the bus route number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vulnerable can easily input information about a bus and a bus stop to ride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bus approaches the bus stop to ride according to the inputted informatio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informs the traffic vulnerable terminal and when the bus arrives, the route number of the bus is informed by voice from the bus and thus it is easy to see the arrival of the bus and the location of the bus which the traffic vulnerable should take.

Description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supporting the use of a bus for a traffic weak person,

본 발명은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약자의 버스 탑승 및 하차를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use of a bus by a traffic wea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bus aboarding and getting off the bus.

시내 버스, 광역 버스, 마을 버스 등의 대중 교통용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는 교통 수단이다. 대중 교통용 버스 노선은 큰 길뿐만 아니라 골목 곳곳에도 다니기 때문에 교통약자들도 이용할 일이 많다. 그러나, 대중 교통용 버스에는 아직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이 잘 되어있지 않아서 교통약자가 자신이 타야 할 버스를 타기가 어렵고, 원하는 정류장에 하차하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Buses for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city buses, metropolitan buses, and village buses ar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many people use. Buses for public transportation are not only on the big roads, However, the bus for public transportation is not well equipped for transport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e weak person to get on the bus to get on and it is difficult to get off at the desired stop.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등록특허 제10-0975908호에서는 기존에 시각장애인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시각장애인용 리모콘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응답하여 당해 버스의 노선 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고 운전자에게 정류장에 시각장애인이 존재함을 알려주는 버스번호 음성 안내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다수의 버스가 정류장에 있을 때에 시각장애인이 리모콘을 누르면 여러 버스에서 버스 번호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하게 되어 혼동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버스가 올 때마다 리모콘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view of this point, in the patent No. 10-0975908, in response to a wireless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widely preval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route number of the bus is voiced to the driver, A bus number voice announcement device is provided to indicate the presence. However, in this apparatus, when a plurality of buses are at a stop, a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remote control, and the bus number is output simultaneously on various buses, thereby causing confusion.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give.

한편, 등록특허 제10-1370507호에서는 버스 정류장에 정류장 단말기를 설치해두고, 교통약자가 버스의 노선번호를 정류장 단말기에 입력하면 정류장 단말기가 탑승대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해당 노선 버스가 도착할 때 버스 내에 설치된 버스단말기가 이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버스에서 시청각적인 알림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교통약자가 버스가 올 때마다 리모콘을 눌러줄 필요는 없지만, 교통약자가 정류장 단말기에 자신이 원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특히, 교통약자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정류장 단말기 앞까지 가서 버스 노선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서 널리 적용하기가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370507, a station terminal is installed at a bus stop, and when the bus terminator inputs a route number of the bus to the stop terminal, the stop terminal transmits a standby radio signal, A bus terminal installed in the bus terminal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an audiovisual notification signal on the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for the abbreviation of transportation to press the remote controller every time the bus comes, bu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abbreviation of the transportation requires the route number of the bus desired by the abod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traffic weak is inconvenient or has poor eyesight, it is almost impossible to go to the stop terminal and enter the bus route number.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가 올 때마다 리모콘을 눌러주거나 정류장 단말기 앞까지 가서 버스 노선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교통약자에게 타야 할 버스의 도착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forming a traffic concierge of the arrival of a bus to be driven without pressing a remote controller every time a bus comes, And a vehicle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such a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약자가 버스에 탑승한 경우에 하차할 정류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easily identifying a stop to get off in the case where a traffic weak is boarding the bus, and a vehicle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such a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은 버스에 설치된 차량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버스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단계를 구비한다.A method of supporting traffic abbreviation bus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installed on a bus, and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bus stop waiting for a bus aboard from a bus inform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to be aboard when approaching the bus stop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bus route number by voice upon arrival at the bus stop.

제1 단계에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는 해당 교통약자가 하차할 버스 정류장(이하, '하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하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차량단말장치는 운전자 및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정류장 안내 음성을 평상시보다 더 큰 볼륨으로 출력하는 것과, 교통약자를 위한 고유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과, 교통약자를 위한 시각적 표시를 하는 것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in the first step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bus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p stop") for which the traffic abbreviated person is getting off. The vehicle terminal device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 stoppage to the driver and the traffic abbreviated person. Thi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utputting a stop announcement voice at a larger volume than usual, outputting a sound specific for a traffic abbreviation, and visual indication for a traffic abbreviation.

제2단계에서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 또는 하차 정류장임을 을 통지하는 것은 운전자 단말기에 시각적 표시를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aboard is a planned or an aborted stop may include visual indication on the driver'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장치는 버스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위치감지부; 버스정보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버스 외부로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노선번호 음성출력부; 도착할 정류장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버스음성안내기에 버스 운행정보와 정류장 접근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버스음성안내기 인터페이스부;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고, 위치감지부를 통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고,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노선번호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 vehic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us, including a position sensing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A route number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bus route number to the outside of the bus by voice; A bus audio guide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bu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op access information to a bus audio guide for outputting stopping information to be arrived;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waiting for the bus is waiting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is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bus stop is detected to approach the bus stop within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rough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ute number voice output unit to output the bus route number by voice upon arrival at the bus st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은, 버스정보시스템이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이하, '승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 탑승할 버스(이하, '탑승 예정 버스'라 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버스정보시스템이 승차 정류장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탑승 예정 버스의 차량단말장치로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단말장치가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는 단계와, 승차 정류장에 도착하면 차량단말장치가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버스정보시스템은 탑승 예정 버스가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교통약자 단말기로 탑승 예정 버스가 도착할 예정임을 통지한다.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는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버스정보시스템은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승차 정류장을 특정한다. The method of supporting abbreviated bus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a bus information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waiting for a ride from a traffic abbrevi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s stop" The bus information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 of the bus scheduled to be on the way closest to the bus stop, When the device approaches the ri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to be aboarded, and outputting the bus route number by voice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riding stop. The bus information system notifies the bus abbreviation terminal that the boarding bus is scheduled to arrive when the expected boarding bus approaches the boar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information on the bus stop can b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In this case, the bus information system specifies the bus stop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약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승차할 버스에 관한 정보와 승차할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버스가 승차할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에서 음성으로 버스의 노선번호를 통지하므로, 교통약자가 타야 할 버스의 도착 및 그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abbreviation can easily input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to be ridde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to be ridden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arried by him or herself, When arriving at the stop, the bus informs the route number of the bus by voice, so that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can easily know the arrival of the bus to take and its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약자가 버스에 탑승한 후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하차할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교통약자에게 하차할 정류장임을 통지하여 주므로 교통약자가 하차할 정류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breviation for transportation informs the abbonder that it is a stop to get off without arriving at a stop to get off without having to perform any other operation after boarding the bus, it is easy to grasp the stop to get of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차량단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upporting the bus abbrev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bus abbreviation using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supporting bus abbrev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upporting the bus abbrev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교통약자는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00)(이하, '교통약자 단말기'라 함)를 사용하여 전용 앱을 구동한 후에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A)(이하, '승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버스 정류장 고유번호 또는 명칭)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이하, '탑승 예정 버스'라 함)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버스 노선번호)를 입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는, 교통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전용 앱에 저장해두고 저장된 버스 정류장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전용 앱이 현재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복수개의 버스 정류장을 표시하면 교통약자가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교통약자가 별도로 승차 정류장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전용 앱이 현재 위치정보를 승차 정류장 정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도 전용 앱에 미리 저장해두고 필요시에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 이외에도 하차하고자 하는 버스 정류장(이하, '하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도 입력할 수 있다. 이 정보도 전용 앱에 미리 저장해두고 필요시에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 traffic abbreviation is a bus stop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bus stop ") which is waiting for a ride after driving a dedicated app using a terminal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For example, a bus route unique number or name) and information (for example, a bus route number) about a bus to be boar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arding expected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bus stop can be input by storing information on the bus stop mainly used by the traffic abbreviation in advance in the dedicated app and selecting it from the stored bus stops. Alternatively, if the dedicated app displays a plurality of bus stop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m. Alternatively, the dedicated app may us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s the bus stop information without the bus terminator inputting the bus stop information separately. Information about the bus to be boarded can also be stored in a dedicated app and configured to be selected when needed.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p stop") to be unloaded can also be input. This information can also be pre-stored in dedicated apps and configured to be selected on demand.

교통약자가 전용 앱을 사용하여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와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면, 전용 앱은 이를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200)으로 무선 전송한다. 버스정보시스템(200)은 운행 중인 버스들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있다. 버스정보시스템(200)은 전용 앱으로부터 수신한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노선번호)에 부합되는 버스들 중에서 승차 정류장(A)에 가장 가까이 접근 중인 버스의 차량단말장치(100)로 상기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When the transportation weak person regist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and information on the boarding bus using the exclusive app, the dedicated app wirelessly transmits it to the bus information system (BIS) 200.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buses in operation in real time.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is connected to the bus terminal apparatus 100 of the bus closest to the bus stop A among the buses conform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bus to be boarded (for example, the route number)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iding stop.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부터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장치(100)는 상기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한다. 또한, 버스가 상기 승차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의 외부를 향해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한다. 그러면, 교통약자는 자신이 타고자 하는 노선번호의 버스가 도착했음을 인지하고 해당 노선번호 음성이 출력되는 버스를 타게 된다. 또한, 해당 버스의 운전자는 교통약자가 승차할 것임을 알고 있으므로 교통약자가 승차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Whe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notifies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is scheduled to be carried when the bus terminal approaches the bus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When the bus arrives at the bus stop, the bus route number is outputted to the outside of the bus by the voi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n, the abbreviation recognizes that the bus number of the route number to which the transportation person wants to ride, and rides the bus on which the corresponding route number voice is output. 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bus knows that the abbreviated person is going to ride, so he can wait until the abbreviated person rides.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단말장치(100)의 내부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차량단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Nex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차량단말장치(100)는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버스정보시스템(200)과 정보를 주고 받는다. 버스정보시스템(200)은 차량단말장치(100)로 교통약자가 해당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버스 정류장, 교통약자가 하차할 정류장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단말장치(100)는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 버스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무선통신부(1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버스정보시스템(200)과 통신할 수도 있고, 전용 무선망을 통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단말장치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무선통신부를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정류장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100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where a traffic abbreviation awaits the bus to a vehicle terminal device 100 and a bus stop for a traffic abbreviated person and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bus information system 200 )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communicate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hrough a dedicated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top terminal installed at a bus stop.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tation us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Bluetooth, or the like.

차량단말장치는 위치감지부(130)를 이용하여 버스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감지부(130)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치감지부(1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버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버스정보시스템(200)에 전송한다. 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senses the position of the bus using the position sensing unit 130. The position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The control unit 110 grasp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us using the signal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130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

노선번호 음성출력부(140)는 바람직하게는 버스의 외부를 향해 설치된 스피커와 이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교통약자가 기다리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노선번호 음성출력부(140)를 구동하여 버스의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때에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중임을 나타내는 고유의 음향 또는 음성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route number voice output unit 140 preferably includes a speaker insta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us and a circuit for driving the speaker. The control unit 110 drives the route number voice output unit 140 to output the route number of the bus as a voice when it arrives at the bus stop waiting for the traffic wea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outputting the route number of the bus as a voice,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sound or a voice unique to the traffic weak person indicating that the bus is waiting for a ride.

버스에는 버스의 운행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기 위한 버스 음성 안내기가 설치되어 있다. 버스 음성 안내기는 예를 들면 도착할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 안전운행에 관한 정보 등을 버스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차량단말장치(100)에는 버스 음성 안내기에 연결되어 안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버스 음성 안내기 인터페이스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110)는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교통약자의 하차 정류장에 버스가 다가가면 버스 음성 안내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음향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버스 음성 안내기에서 안내 방송이 송출되도록 한다.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음향 또는 음성 신호는, 평상시보다 더 큰 볼륨의 정류장 안내 음성, 교통약자를 위한 고유의 음향일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에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교통약자를 위하여 LED, LCD 등의 표시부(170)에 교통약자를 위한 시각적 표시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차량단말장치(10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단말장치(100)의 외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bus is provided with a bus voice guide for informing the bus operation information by voice. The bus audio guide output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to be arriving, information about safe driving, etc. through a speaker installed in the bus.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bus voice guide interface unit 150 connected to a bus voice announcement unit and outputting a guidance voice. The control unit 110 outputs an acoustic or voi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bus terminating station is a bus stop to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through the bus voice announcement interface unit 150 when the bus approaches the bus stopping station of the bus abbreviation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Let the announcement be broadcast from the guide. The sound or voi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bus terminator is the bus stop can be a bus stop announcement voice of a larger volume than usual, or an inherent sound for a traffic abbreviation. In additi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ffic abbreviation station is a getting off stop may include a visual indication for the traffic abbreviation in the display unit 170 such as an LED and an LCD for a traffic abbreviated person who can not hear a sound. The display unit 17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차량단말장치(100)에는 또한 운전자 단말기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운전자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60)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자 단말기는 버스 운전자가 각종 조작을 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운전자에게 버스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부터 교통약자가 대기중임을 통지받은 승차 정류장에 버스가 접근하면, 제어부(110)는 운전자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교통약자가 기다리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 전달하여, 운전자 단말기에게 해당 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driver terminal interface unit 160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driver terminal. The driver terminal has input means for the bus drive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display means for providing the driv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 operation. When the bus approaches the bus stop which is notifi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on standby,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waiting to the driver terminal through the driver terminal interface unit 160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driver terminal.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supporting bus abbrevi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교통약자는 교통약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승차 정류장, 하차 정류장,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310). 승차 정류장, 하차 정류장,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이하, '승하차 예정 정보'라 함)는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자주 사용하는 정류장 및 버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등록해놓고, 등록된 정류장들 및 노선번호들 중에서 선택하여 승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전용 앱이 현재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복수개의 정류장을 표시하면 그 중에서 하나를 승차 정류장으로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전용 앱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버스정보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버스정보시스템(200)이 수신된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승차 정류장을 특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승차 정류장이 특정되면 해당 정류장에 하차하는 버스들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그 중에서 하나를 탑승 예정 버스로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ransportation weak person executes a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traffic weak terminal 300 to input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the getting off stop, and the bus to be board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step S310).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a getting-off bus stop, and a bus to be boar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s-in / out bus schedule information") can be input manually, but information about frequently used buses and buses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route numbers to input the boarding schedule information. Alternatively, when the dedicated app displays a plurality of stop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ne of them can be selected as the riding stop. Alternatively, when the dedicated app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us information syste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can specify the bus stop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lso, if the bus stop is specified, a list of the buses getting off at the bus stop may be displayed, and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s the bus to be boarded.

교통약자 단말기(300)로부터 승하차 예정정보를 수신한 버스정보시스템(200)은 수신한 탑승 예정 버스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버스 (예를 들면, 입력된 노선번호를 가진 버스) 중에서 승차 정류장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탑승 예정 버스를 탐색하고(단계 S320), 탐색된 버스에 설치된 차량단말장치(100)로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330).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which has received the getting-off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traffic weak terminal 300, determines which of the buses conform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boarding bus (for example, the bus having the inputted route number) (Step S320),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iding stop and the stopping stop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installed on the searched bus (step S330).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장치(100)는 이를 저장해두고 있다가, 차량단말장치(100)가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한다(단계 S340). 상기 소정 기준은 예를 들면 승차 정류장으로부터 500미터, 또는 승차 정류장에 도착하기 5분 이내, 직전 정류장을 출발한 후 1분 이후 등과 같이 다양한 거리 기준, 시간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having received the information on the riding stop and the stopping stop has stored it, and whe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approaches the ri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driver is notified that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is scheduled to be aboard (Step S340). The predetermined criteria may be, for example, 500 meters from the bus stop, or within 5 minutes to arrive at the bus stop, after 1 minute after departure from the stop, and the like.

버스정보시스템(200)도 차량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탑승 예정 버스가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가,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이러한 사실을 통지한다(단계 S350).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부터 탑승 예정 버스가 접근 중인 사실을 통지받은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음향, 음성, 시각적 표시, 진동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버스 접근 사실을 교통약자에게 알려준다(단계 S360). 그러면, 교통약자는 자신이 타고자 하는 버스가 곧 도착함을 알게 되어 버스 승차를 미리 준비할 수 있다.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also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boarding bus approaches the ri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Step S350). The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300, which is inform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of the fact that the boarding bus is approaching, notifies the traffic abbreviation to the bus abstraction by means of sound, voice, visual indication, vibration, etc. (step S360) . Then, the transportation weak will know that the bus that he wants to ride soon arrives, so he can prepare the bus ride ahead of time.

한편, 탑승 예정 버스가 승차 정류장에 도착하면 차량단말장치(100)는 노선번호 음성출력부(140)를 사용하여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버스 외부로 출력한다(단계 S370). 노선번호의 음성 출력은 여러번에 걸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때에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중임을 나타내는 고유의 음향 또는 음성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음성 또는 음향을 들은 교통약자는 자신이 타고자 하는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인지하고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 버스에 승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pected boarding bus arrives at the bus stop,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outputs the bus route number to the outside of the bus using the route number voice output unit 140 (step S370).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output of the route number is performed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outputting the route number of the bus as a voice,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sound or a voice unique to the traffic weak person indicating that the bus is waiting for a ride. A traffic weak person who listens to voice or sound recognizes that the bus he / she wants to take is at the stop and board the bus on which the voice is output.

한편, 차량단말장치(100)가 하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380). 상기 소정 기준은 예를 들면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500미터, 또는 하차 정류장에 도착하기 5분 이내, 직전 정류장을 출발한 후 1분 이후 등과 같이 다양한 거리 기준, 시간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운전자 단말기에도 교통약자가 하차할 예정임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100 approaches the getting off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signal output means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p state (Step S380).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for example, a distance standard of 500 meters from the stop station or a time standard of 5 minutes or less to arrive at the stop, or one minute after the stop of the sto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iv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at the driver of the traffic is scheduled to get off.

버스정보시스템(200)도 차량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탑승 예정 버스가 하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가,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이러한 사실을 통지한다(단계 S390). 버스정보시스템(200)으로부터 하차 정류장에 접근 중인 사실을 통지받은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음향, 음성, 시각적 표시, 진동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하차 정류장에 곧 도착할 예정임을 교통약자에게 알려준다(단계 S391). 그러면, 교통약자는 버스 하차를 미리 준비할 수 있다.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also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device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boarding bus approaches the departure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Step S390). The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300 inform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200 of the fact that it is approaching the getting-off station informs the abbot of the traffic that it is about to arrive at the getting-off station by means of sound, voice, visual indication, S391). Then, the transportation weak can prepare for getting off the bus in advanc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11)

버스에 설치된 차량단말장치에서의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으로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버스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구비하는 차량단말장치에서의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A method of supporting traffic abbreviation bus use in a vehicle terminal apparatus installed on a bus,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bus stop waiting for a traffic weak from a bus inform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to be aboard when approaching the bus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bus route number by voice when arriving at the bus stop,
Wherei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is a vehicl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는 해당 교통약자가 하차할 버스 정류장(이하, '하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하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 및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단말장치에서의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in the first step includes information on a bus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p sto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 departure stop to the driver and the traffic weak if the vehicle approaches the departure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제2항에 있어서,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정류장 안내 음성을 평상시보다 더 큰 볼륨으로 출력하는 것과, 교통약자를 위한 고유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과, 교통약자를 위한 시각적 표시를 하는 것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인, 차량단말장치에서의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bus terminator is a stop-
Wherein at least one of outputting a stop guidance voice at a larger volume than usual, outputting a sound specific to a traffic abbreviation, and visual display for a traffic abbreviated person How to use bus weaknes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 또는 하차 정류장임을 을 통지하는 것은 운전자 단말기에 시각적 표시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단말장치에서의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tep of inform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ed traffic is to be aboard or the aborting stop is visually displayed on the driver terminal in the second step.
버스에 탑재되는 차량단말장치로서,
위치감지부;
버스정보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버스 외부로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노선번호 음성출력부;
도착할 정류장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버스음성안내기에 버스 운행정보와 정류장 접근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버스음성안내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교통약자가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고,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노선번호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차량단말장치.
1. A vehicle terminal device mounted on a bus,
A position sensing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A route number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bus route number to the outside of the bus by voice;
A bus audio guide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bu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op access information to a bus audio guide for outputting stopping information to be arrived;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waiting for the bus is waiting to be taken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is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when it is detected through the position sensor that the approach to the bus stop is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o control the route number audio output unit to output the bus route number by voice upon arrival at the bus stop,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
제5항에 있어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는 해당 교통약자가 하차할 버스 정류장(이하, '하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상기 하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운전자 및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단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bus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p stop"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r and the weak driver to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stopping sto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교통약자에게 하차 정류장임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는, 평상시보다 더 큰 볼륨의 정류장 안내 음성, 교통약자를 위한 고유의 음향, 교통약자를 위한 시각적 표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량단말장치.7. 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ffic abbreviation is a departure stop is at least one of a stop announcement voice of a larger volume than usual, a sound unique to a traffic abbreviation,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장치에는 운전자 단말기가 연결되며,
상기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 또는 하차 정류장임을 통지하는 것은 운전자 단말기에 시각적 표시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단말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 driv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apparatus,
Wherein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abbreviation of the traffic is to be boarded or a getting off stop includes a visual indication on the driver terminal.
버스정보시스템이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승차 대기 중인 버스 정류장(이하, '승차 정류장'이라 함)에 관한 정보, 탑승할 버스(이하, '탑승 예정 버스'라 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버스정보시스템이 상기 승차 정류장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탑승 예정 버스의 차량단말장치로 상기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단말장치가 상기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교통약자가 탑승할 예정임을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승차 정류장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단말장치가 버스 노선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The bus information system receiving information on a bus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s stop") waiting for a ride from a traffic abbreviated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 bus to be boar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arding scheduled bus"),
The bus information system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bus stop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 of the boarding bus that is closest to the bus stop,
When the vehicle terminal device approaches the ri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notifying the driver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scheduled to board the vehicle;
The vehicle terminal device outputs a bus route number by voice when arriving at the bus stop
And a method of supporting bus abbreviation u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이며, 상기 버스정보시스템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승차 정류장을 특정하는 것인,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abbreviation terminal and the bus information system specifies a bus stop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abbreviation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정보시스템은 상기 탑승 예정 버스가 상기 승차 정류장에 소정 기준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탑승 예정 버스가 도착할 예정임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약자 버스 이용 지원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us infor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step of informing the bus terminating terminal that a boarding bus is scheduled to arrive when the boarding bus approaches the boarding stop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KR1020170016615A 2017-02-07 2017-02-07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KR201800914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15A KR20180091429A (en) 2017-02-07 2017-02-07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15A KR20180091429A (en) 2017-02-07 2017-02-07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29A true KR20180091429A (en) 2018-08-16

Family

ID=6344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15A KR20180091429A (en) 2017-02-07 2017-02-07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42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46A (en) * 2019-12-11 2021-06-21 박완규 System for monitoring Car Movement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724397A (en) * 2020-12-22 2022-07-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method
KR20220123825A (en) * 2021-03-02 2022-09-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Bus notification system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46A (en) * 2019-12-11 2021-06-21 박완규 System for monitoring Car Movement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724397A (en) * 2020-12-22 2022-07-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method
CN114724397B (en) * 2020-12-22 2024-04-0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method
KR20220123825A (en) * 2021-03-02 2022-09-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Bus notification system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9310A (en) Order receiving system and order receiving method
KR20110021665A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JP2016161479A (en)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KR20180091429A (en)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JP2010133899A (en) Navigation system
KR101592861B1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getting on and off bus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KR100811078B1 (en)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US106455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indoor/outdoor specification
KR102282909B1 (en) Bus buzzer remote system
KR101243679B1 (en) Bus informaion system for blind person and method thereof
KR20170097806A (en) Context-Aware Personalized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Beacon
KR200449990Y1 (en) Information signs with bus route guidance system terminals
KR101994171B1 (en) Alarming system for bus arrival
JP2018195094A (en) Boarding notif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terminal device, and boarding notification method
KR101834826B1 (en)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KR102646374B1 (en) Disaster information notif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08931A (en) system of voice guidance
KR102026432B1 (en) System for Providing Bus Arrival Information for The Blind
KR100587166B1 (en) Routing guide system and routing guide method for public traffic
WO2016153348A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2010003325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rival time notification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11230775A (en) System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KR20160104817A (en) System for tracking bus position in real time
KR20090002126A (en) Traffic guide system for blind person and service method used it
KR20070035890A (en) Traffic information re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