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078B1 -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078B1
KR100811078B1 KR1020050010267A KR20050010267A KR100811078B1 KR 100811078 B1 KR100811078 B1 KR 100811078B1 KR 1020050010267 A KR1020050010267 A KR 1020050010267A KR 20050010267 A KR20050010267 A KR 20050010267A KR 100811078 B1 KR100811078 B1 KR 10081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out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uniqu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9975A (en
Inventor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영 filed Critical 정은영
Priority to KR102005001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078B1/en
Publication of KR2006008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9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3Indo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장된 탈출경로로 유저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화면 및 음성출력을 통해 유저를 일정한 탈출 경로로 유도하여 탈출시키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taches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to a subway passage wall at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Inducing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stall a path induction algorithm to guide the user to a previously saved escape route insid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uide the user to a certain escape route through the screen and audio output in case of an emerg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의 통로 벽면에 부착되어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는 단방향 발신기와; 지하철 역사내의 다수의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 데이터 및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되는 발신기의 고유코드, 각 경로별 방향표시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지하철 보행통로의 측벽에 부착된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해당 경로와 대비함으로써 탈출 경로 및 보행경로를 유도하여 유저가 소망하는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directional transmitter which is attached to the passage wall of the subway station and generates its own unique code at regular intervals; Multiple escape route and pedestrian route data in subway history, unique code of transmitter matching with corresponding route data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are pre-stored, and are unique from multipl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pedestrian passag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move to a desired path by inducing an escape path and a walking path by applying a code value and contrasting with the corresponding path.

본 발명을 적용하면, 탈출 경로 및 목적지 노선 경로, 각 건물 입주사의 인포메이션 정보 등을 각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함께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저장하고, 각 고유코드값을 발신하는 다수의 발신기를 통해 비상시 지하철 통로를 통한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며, 특정 하차역과 출발역 지정을 통해 환승 유도, 하차 알림 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scape route, a destination route route, information of each tenant's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in adva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a unique code value of each transmitter, and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ransmitting each unique code value. It is possible to escape quickly through the subway passage, and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induce transfers and get off notices by specifying a specific stop and departure station.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유도 데이터 및 방향표시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route guidance data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tables stored in a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 화면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4A, 4B, 4C, and 4D illustrate screen display stat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출구유도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6A and 6B illustrate an exit induction data table stored in a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용상태를 도시한 모식도,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operating state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9 is a screen for setting a destination induction mod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10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입주사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transmitting building occupancy information using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13A and 1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ignal flows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1∼An:이동통신단말기, P1∼Pn:단방향발신기,A1 to A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1 to Pn: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Pn':제1∼제N 발/수신기, RR/119S:경로유도/재난구조서버.P1 'to Pn': First to Nth receiver / receiver, RR / 119S: Route induction / disaster rescue ser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장된 탈출경로로 유저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화면 및 음성출력을 통해 유저를 일정한 탈출 경로로 유도하여 탈출시키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a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ar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ubway passag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and mov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nstalls a path guidance algorithm to guide a user to an escape route previously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id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duces the user to a certain escape path through the screen and voice output in case of an emergency. It relates to a destination derivation system used and a method thereof.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As is well known,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that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to various subscribers through at least one host server through a remot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ctively underway.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Based on this, in recent years, information selection technology and compression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to more easily access peripheral technologies such as cache memory expansion technology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subscribers more quickly and subscribers' tastes and preferences. It is also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its solutions.

산업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의 형태를 인간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고, 자연 자체로서의 지질 변경 등의 원인으로 인해 최근 우발적인 자연 재해의 발생 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산업 고도화에 따른 교통 수단 특히, 버스나 지하철 등의 사고 및 재난에 현대인은 여과없이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As the industrial advancement progresses, the occurrence of accidental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recently due to the change of the form of nature in the direction desired by human beings and the change of the geology as nature itself.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the accident and disasters such as subways and subways without filtration.

또한, 지하철 등과 같이 지하운송수단은 도시미관의 훼손 정도가 낮으며,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 등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보급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특히, 도시 주변의 편의성을 높히고 해당 주민들의 복지를 위해 도시의 지하철은 점차 복합화되고, 여러개의 노선을 환승하는 환승역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underground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the subway, the degree of damage of the urban aesthetics is low, the movement speed is very high, the penetration rate is gradually increasing.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round the city and the welfare of the inhabitants, urban subways are increasingly complex, and transit stations that transfer several lines are gradually expanding.

따라서, 지하 입체노선으로 건설되는 지하철은 화재시 그 지상으로의 탈출 속도가 점차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6분 이내에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유독가스로 인한 생명의 지장을 받지 않게 되지만, 지하 입체 노선으로 건설되는 최근의 지하철은 지상으로의 탈출 시간이 15분을 월등히 초과하고 있다.Therefore, the subway constructed by the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route is gradually decreasing the escape speed to the ground in case of fire. In general, if a fire breaks out in the subway, it must be designed to evacuate to the ground within 6 minutes, so that it will not be affected by toxic gases. Is far exceeding

이러한 지하 입체노선으로 인한 지상으로부터의 깊이가 점차 커진데도 원인이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이러한 지하 입체노선으로 인한 지하철 통로의 복잡화와,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해 시야 확보가 곤란하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the depth from the ground caused by the underground three-dimensional route is gradually increased, the root cause is more complicated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subway passage and the toxic gas generated by the fi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is difficult.

상기한 문제점은 비단 화재 발생시 뿐만 아니고, 대도시에 초행길인 유저나, 출퇴근 시간에 그 복잡도가 증가되는 시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각종 안내 표지판을 정확히 인지하기가 곤란한 상황에서는 유저의 이동속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게 된다. 또한, 맹인이나 외국인 등은 지하철이 복잡화되면 될수록 빈번한 환승을 해야되므로 지하철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above problem is not only at the time of fire occurrence,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at the time when the complexity of the user in a large city or the commute time is increased, and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user is rapidly increased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various guide signs. Will be degraded. In addition, the blind or foreigners have a problem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use the subway because the more frequently the subway becomes complicated, the more frequent the transfer.

더불어, 출퇴근 시간에는 출퇴근하는 유저들이 많으므로 지하철의 외부에 표시된 해당 역 표시판을 인식하기 어렵고, 유저들의 웅성거리는 소음으로 인해 해당 역 안내방송을 제대로 듣기 어려우므로 빈번하게 하차역을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되 었다. 또한, 출퇴근 시간에 잠을 청한 경우에는 목적 정차역에 도착해도 전혀 유저가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또한 빈번하게 하차역을 지나치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station display board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subway because there are many users who commute during the rush hour, and it is difficult to listen to the station announcements due to the loud noise of the users, so it often occurs when passing by the unloading station. It was. In addition, in the case of going to sleep at rush hour, there is no means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t all even when arriving at the destination stop, and also frequently passes through the disembarkation station.

또한, 일반 도로에서는 차량이 특정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GPS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으나, 지하철의 경우 위성방식으로 이루어지는 GPS나 네비게이션의 전파 음영지역이므로 그 기능을 전혀 실현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GPS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광대한 영역권 전자지도나, 도로정보가 주를 이루므로 지하철 통로나 골목길 등의 협소하고 세세한 정보는 전혀 없으며, 지하철 통로의 경우에는 어차피 음영지역이므로 통로정보 자체가 필요없다. 따라서, 지하철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탈출로 유도에는 GPS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on a general road, a vehicle may use a GPS or navigation system to find a specific destination, but in the case of the subway, since the GPS or navigation is a radio wave shadow area, the function cannot be realized at all. Of course, such a GPS or navigation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relatively large area electronic maps and road information, so there is no narrow and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subway passages or alleys. No need for itself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no GPS or navigation system can be used to induce an escape route when a disaster such as subway fire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장된 탈출경로로 유저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화면 및 음성출력을 통해 유저를 일정한 탈출 경로로 유도하여 탈출시키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are attached to a subway passage w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e-stored escapes are previously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nstalls a path induction algorithm to guide a user to a path insid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uides the user to a certain escape path through a screen and audio output in case of an emergency and its escap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설치된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하철 목적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면 출발역에서부터 환승역, 환승통로 및 목적 하차역 도착신호를 음성 및 화면출력을 통해 발생함으로써 목적 하차역으로의 유도를 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that generate a unique number on the wall of the subway passage at a certain distance interval, and get off the subway destination by using a route guidance algorithm pre-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r unique nu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a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ducing a destination station to a destination station by generating a signal from a departure station, a transfer station, a transfer passage, and a destination unloading station through voice and screen out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입주사의 정보 및 경로유도 데이터를 임의 시간간격으로 발생하는 단방향 발신기를 건물 로비벽면에 장착하고,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며, 해당 경로유도 데이터를 음성 및 화면으로 출력하여 입주사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판 없이도 유저를 해당 소망하는 입주사까지 경로 유도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he one-way transmitter to the building lobby wall surface to generate the information and route guidance data of the tenant inside the building lobby wall, and to attach a plurality of one-way transmitter to the passage wall at regular distance interva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a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outputs data as voice and a screen to guide a user to a desired tenant without a display plate indicating tenant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원격의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쌍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를 매개로 원격 서버에 구축된 지하철 경로 및 통로경로, 탈출경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탈출 경로 및 환승, 하차 목적신호 등을 송수신하도록 하여 출력시키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two-way transmitter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mote serv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on the subway passage wall, subway route and passage route constructed in the remote server via the transmit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a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nd output an escape route, a transfer, and a discharging object signal through an escape route databa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철 역사의 통로 벽면에 부착되어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는 단방향 발 신기와; 지하철 역사내의 다수의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 데이터 및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되는 발신기의 고유코드, 각 경로별 방향표시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지하철 보행통로의 측벽에 부착된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해당 경로와 대비함으로써 탈출 경로 및 보행경로를 유도하여 유저가 소망하는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directional transmitter which is attached to the passage wall of the subway station to generate its own unique code at regular intervals; Multiple escape route and pedestrian route data in subway history, unique code of transmitter matching with corresponding route data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are pre-stored, and are unique from multipl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pedestrian passage.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hich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move to a desired path by inducing an escape path and a walking path by receiving a code value and contrasting with the corresponding path.

바람직하게, 상기 단방향 발신기는 RF 주파수, IR 반송파, 블루투스 등의 반송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발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rrier data such as RF frequency, IR carrier, Bluetooth.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독취모드 등의 모드선택과, 다국어 출력설정모드, 목적지 도착알림 출력선택모드 등 다양한 메뉴버튼을 갖춘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각 모드의 화면 및 비상모드나 목적지 유도모드를 통해 추출된 방향 표시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시켜 각 모드 선택상태와 방향표시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그 내부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필터가 내장된 듀플렉서와;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기저장되며,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에 따른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처리부와; 각 지하철의 탈출경로 데이터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가 해당 지하철 역별로 부착된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경로별 방향표시 데이터가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고, 방향표시 데이터가 음성 및 화상데이터로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수신된 해당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이용하여 해당 고유코드값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느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를 검출하여, 해당 경로데이터와 함께 매칭된 고유코드값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비교하여 경로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과;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한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수신모드 등의 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듀플렉스 내부의 수신필터를 구동시켜 상기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인가되는 고유코드값은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해당 고유코드값이 포함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유도 알고리즘으로 인가시켜 해당 탈출경로 및 목적지 경로 유도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having various menu buttons such as emergency mode, destination induction mode, information read mode, multi-language output setting mode, and destination arrival notification output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 A display unit which visually displays each mode selection state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by outputting the screen of each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operation state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extracted through the emergency mode or the destination guidance mode to the screen; A duplexer for separating a transmitted / received signal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ntenna, and having a reception filter for receiving data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rein;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s processed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the user's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s signal-processed and outputted to the transmitter, and stored in the memory in advance, and the escape route And a voice processor configured to extract voice data according to a destination guidance path and output the extracted voice data through the speaker. The escape route data and the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of each subway are stored and matched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one-way transmitter attached to each subway station,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of each route is stored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A memory in which direction indication data is stored as audio and image data; By using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receiv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it detects which escape route and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included and the unique code valu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A path guidance algorithm for extracting display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and inducing a path by comparing the unique code values of 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s which are sequentially applied; Set each mode such as emergency mode, destination guidance mode, information receiving mode, etc. by key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drive the receiving filter inside the duplex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to apply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ler to execute the escape route and the destination route derivation by receiving the unique code value, and extracting the route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pre-stored in the memory and applying it to the route guidance algorithm.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다국어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른 각 방향표시 데이터를 해당 선택 국어로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electively extract each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output each direction ind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route data extracted according to the multilingual output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in a corresponding selected language.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데이터가 추출한 경로데이터는 비상탈출구(EXIT)까지의 최단경로이므로 단방향 발신기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다른 경로에 중복되게 포함될 수 없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since the path data extra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is the shortest path to the emergency exit (EXIT),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the one-way transmitter cannot be included in another path. A destination derivation system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비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하는 과정과; 해당 지하철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은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고유코드값이 추출한 탈출 경로상의 차순위 코드값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만약, 추출한 탈출 경로를 이탈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어지는 추출 경로상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정확한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방향 표시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mergency mode;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Detecting a subway station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in a path of a table stored in a memory by driving a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a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route guidance table; The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outputting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as first direction indication data;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one-way transmitter of a path following a user's movement;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code value is a next order code value on the extracted escape route; If a code value of an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 deviating from the extracted escape path is received, processing as a moving error, extracting and outputting u-turn indication data;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rrect unique code value from the one-way transmitter on the extraction path that follows, extrac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There is provided a destination deriv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direction display data through the display and the speaker.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각 지하철 역사통로의 다수 출구별 경로 데이터가 기저장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of each subway history passage is pre-stored.

바람직하게, 상기 지하철 역사의 출구별 경로데이터에는 해당 출구 인근의 상가광고데이터가 화면 출력 가능하게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of the subway station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advertisement data near the corresponding exit is further included.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출구유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상기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하는 과정과; 해당 지하철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중 상기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은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고유코드값이 추출한 경로상의 차순위 코드값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만약, 추출한 경로를 이탈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어지는 추출 경로상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정확한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방향 표시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xit induction mode;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Driving a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a subway station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of the one-way transmitter in a path of a table stored in a memory; Extracting route data for each exit from the subway station route guidance table;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from among route data for each exit; The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outputting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as first direction indication data;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one-way transmitter of a path following a user's movement;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is a next order code value on the extracted path; If a code value of an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 that deviates from the extracted path is received, processing as a moving error and extracting and outputting u-turn indication data;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rrect unique code value from the one-way transmitter on the extraction path that follows, extrac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Provided is a method of deriving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through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한편,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의 통로 벽면에 부착되어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는 단방향 발신기와; 각 지하철 역사내의 다수의 보행경로 데이터 및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되는 발신기의 고유코드, 각 경로별 방향표시데이터와 지하철 노선경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지하철 목적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면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해당 경로와 대비함으로써 출발역에서부터 환승역, 환승통로 및 목적 하차역 도착신호를 음성 및 화면출력을 통해 발생하여 유저가 이동 및 하차,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directional transmitter which is attached to the passage wall of the subway station for generating its own unique code every predetermined period; Multiple pedestrian route data in each subway station, unique code of the transmitter matching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and subway route route data are pre-stored. It is compose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get off, and transfer by generating the arrival signal from the departure station, the transit station, the transit passage and the destination disembarkation station through voice and screen output by receiving the unique code value from the station.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코드를 발생하는 단방향 발신기를 통해 해당 지하철역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through a one-way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unique code.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환승 및 하차에 대한 알림신호로 벨소리, 진동, 음성, 화면출력을 통해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ringtone, vibration, voice, screen output as a notification signal for transfer and getting off.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목적지 유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출발역, 하차역을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해당 출발 및 하차역을 포함한 노선경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발신기에서 발신하는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하는 과정과; 환승역에 부착된 발신기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환승역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해당 환승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과; 하차역에 부착된 발신기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하차역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해당 하차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estination guidance mode;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Designating a starting station and a getting off st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ing route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start and a stop station from a route of a table stored in a memory by driving a route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ng a subway station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Receiving a unique code of a transmitter attached to a transit station; Generating a transfer station notification signal;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a corresponding transit station route guidance table; Output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Receiving a unique code of a transmitter attached to a stop station; Generating a stop light notification signal;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a corresponding drop-off route guidance table; There is provided a destination deriv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route data.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하차역의 출구정보를 입력하여 환승역에서의 최적 환승위치로 경로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deriv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te induction to the optimum transfer position in the transfer station by entering the exit information of the getting off st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하차역 이전역에서 자동으로 하차준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estination deriv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t to automatically generate a get off ready signal at the station before the getting off station.

한편, 건물 내부 각 입주사의 상호 및 해당 입주사의 대표 전화번호를 테이블 메모리로 저장하여 발신하는 단방향 발신기를 로비의 벽면이나 천장부에 부착함으로써 일정주기 간격으로 해당 정보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Meanwhile, by attaching a one-way transmitter that stores and transmits the name of each tenant in the building and the representative telephone number of the tenant in a table memory to the wall or ceiling of the lobby, the information data is generated at regular intervals. Provide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it to be output to the screen.

또한, 위치데이터, 탈출경로, 목적지 경로 요구신호를 발생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음성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데이터 및 탈출경로, 목적지 경로 요구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서버로 전송하고, 그 원격서버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제 N 발/수신기와;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화재감지장치와; 화재발생 지하철역이나 해당 화재발생 위치의 일정반경에 포함되는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인식하기 위해 셀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사서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요구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의 중계로 전송받아 해당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로 전송하여 유저를 소망하는 경로로 유도하거나,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인가된 화재신호에 의해 특정 셀영역에 위치된 이동통신단말기로 화재신호 및 탈출경로신호를 전송하도록 한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enerating the position data, the escape route, the destination route request signal, and outputs the screen / audio;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receiving position data, an escape route and a destination rout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a remote server, and receiving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remot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e detection device for generating a fire signal; A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capable of cell tracking to recogniz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cluded in a fired subway station or a predetermined radius of a corresponding fire location; The request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by the relay of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and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to guide the user to a desired path. And a path guidance / disaster rescue server configured to transmit a fire signal and an escape route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cell area by a fire signal applied from the fire detection device. Induction systems are provided.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장된 탈출경로로 유저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화면 및 음성출력을 통해 유저를 일정한 탈출 경 로로 유도하여 탈출시키도록 한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to a subway passage wall at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nd move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This system is designed to guide the user to the escape route by installing the path guidance algorithm to guide the user to the escape route pre-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id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져 있으며, 각자 자체 고유코드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발신기를 구비하고, 지하철 탈출 경로가 미리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데이터화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발신기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유저의 이동 경로를 유도함으로써 비상시 신속한 탈출경로를 유저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ubway passage wall at regular intervals, each of which has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hat generate their own unique code, the subway escape path is a user in advance It is data that is internaliz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ystem by using a unique code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transmitters by inducing the user's moving path is a system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rapid escape route in an emergency.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동 도면에는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P1∼Pn)가 지하철 통로의 벽면에 각각 부착되어져 있는 바, 그 단방향 발신기(P1∼Pn)는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는 발신기로서, 예컨대, 1∼15와 같은 고유코드값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단방향 발신기(P1∼Pn)는 RFID 칩이 내부에 내장되어져 있는 발신기일 수도 있으며, 근거리 적외선 송출방식의 발신기나,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발신기일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r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ubway passage, respectively, and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generate their own unique codes at regular intervals. As a transmitter, for example, a unique code value such as 1 to 15 is generated.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may be transmitters in which RFID chips are embedded, or may be transmitters of a near-infrared transmitter or a Bluetooth chip.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 RFID 칩이 내장된 발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RFID 칩의 경우에는 전송 주파수영역대가 913∼943㎒이며, 최대 인식가능 거리가 27m로서 매우 장거리까지 커버가 가능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도 그 내부에 저장하여 발신 가능한 발신기이다.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transmitter in which an RFID chip is incorporated as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First, in the case of the RFID chip, the transmission frequency range is 913 to 943 MHz, the maximum recognizable distance is 27m, and can be covered up to a very long distance, and a transmitter capable of storing and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ata therein.

본 발명에서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모바일 기기로서,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음성통화, SMS 송수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내부에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의 특정 고유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필터(미도 시)가 장착되어져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전송되는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 An) is a mobile device, basically performing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voice calls, S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pecific natural frequency of the one-way transmitter (P1 ~ Pn) therein A receiving filter (not shown) for receiving is received to receive a unique code value transmitt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또한, 상기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그 내부에 미리 모든 지하철 역사내의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가 데이터화되어져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복층 입체 지하철 노선이 건설되는 추세이므로 각 노선이 교차되는 지하철역은 대부분 노선을 갈아타게 되는 환승역이 되게 된다. 따라서, 환승을 위해 지하철 통로는 복잡해져만 가고 실제 최저 통로에서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서는 질식사 위험시간을 훨씬 초과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have previously escaped and pedestrian paths in all subway stations, and ar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In general, recently, since a multi-story three-dimensional subway line is being built, most subway stations where each line crosses become transfer stations that change lines. Therefore, subway passages must be complicated for transfers and far exceeding the risk of asphyxiation in order to escape to the ground from the actual minimum passage.

따라서, 상기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A1∼An)에는 미리 각 지하철역의 탈출 경로 및 보행경로가 데이터화되어져 있고,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수신한 고유코드값을 이용하여 탈출이나 보행경로를 유도하게 된다.Therefore, the escape route and the walking path of each subway station are data-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of the user, and the escape or the walking path is made by using the unique code value received from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To induce.

예컨대, 어느 한 이동통신 단말기(A1)를 보유한 유저가 키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A1)를 비상모드로 전환하면, 그 이동통신 단말기(A1)는 고유코드를 발생하는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를 수신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의 내부 수신필터가 구동되어 913∼943㎒ 고유주파수 영역대의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holding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switches the emergency communication terminal A1 to the emergency mode by operating a ke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generates the unique code.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Pn). That is, the internal receiving fil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is driven to receive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913 to 943 MHz natural frequency range.

동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의 경우에 비상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인근에 부착된 제 2 단방향 발신기(P1)로부터 고유코드값(2 이라고 가정)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그 고유코드값(2)을 경로데이터중에서 추출하여 그 고유코드값(2)이 어떤 경로데이터에 포함되는 지 를 판단하고, 직진 방향표시 화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가 제 3 단방향 발신기(P3)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제 3 단방향 발신기(P3)로부터 고유코드값(3)을 수신받게 된다. Referring to the figure, w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switches to the emergency mode, it receives a unique code value (assumed to be 2) from the second one-way transmitter P1 attached nearby. T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extracts the unique code value 2 from the route data, determines which route data the unique code value 2 is included in, and goes straight to the display image / audio.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screen and speakers.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o the third one-way transmitter P3,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receives the unique code value 3 from the third one-way transmitter P3.

만약, 이때 유저의 방향이 제 1 단방향 발신기(P1)의 방향으로 서있는 경우에는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되는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에 의해 제 2 단방향 발신기(P2)측으로부터 제 1 단방향 발신기(P1)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유턴 방향표시 화상/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If the direction of the user sta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ne-way transmitter P1, the user moves from the second one-way transmitter P2 side to the first one-way transmitter P1 by the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output by the screen and voice. Sinc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determines that the path is out of the pa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extracts the U-turn indication image / audio data and outputs the same through the screen and the speaker.

유저가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단방향 발신기(P2)측으로 이동하면 처음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그 고유코드값(2)을 경로데이터중에서 추출하여 그 고유코드값(2)이 어떤 경로데이터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고, 직진 방향표시 화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가 제 3 단방향 발신기(P3)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제 3 단방향 발신기(P3)로부터 고유코드값(3)을 수신받게 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제 3 단방향 발신기(P3)에 매칭된 화면/음성 데이터를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계속 직진 방향표시 화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When the user changes direction again and moves to the second one-way transmitter P2 sid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extracts the unique code value 2 from the route data as in the beginning, and then the unique code value (2). It determines which path data is included in this path, and extracts the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image / audio data and outputs it through the screen and the speaker.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o the third one-way transmitter P3,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receives the unique code value 3 from the third one-way transmitter P3,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extracts the screen / audio data matched to the third unidirectional transmitter (P3) from the memory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and continuously extracts the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image / audio data to output through the screen and the speaker. .

다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제 4 단방향 발신기(P4)로부터 고유코드값(4)을 수신받게 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는 제 4 단방향 발신기(P4)에 매칭 된 화면/음성 데이터를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우회전 방향표시 화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A1)와 기저장 경로에 해당하는 단방향 발신기(P1∼P15)들을 통해 경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유저의 이동경로를 유도하게 되어 비상탈출구(EXIT)로의 탈출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receives the unique code value 4 from the fourth unidirectional transmitter P4,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is matched with the fourth unidirectional transmitter P4. The audio data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and the right turn direction display image / audio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screen and the speak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and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15 corresponding to the pre-stored path are continuously checked to induce the user's moving path to escape to the emergency exit EXIT. Make this possible.

일반, GPS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광대한 영역권 전자지도나, 도로정보가 주를 이루므로 지하철 통로나 골목길 등의 협소하고 세세한 정보는 전혀 없으며, 지하철 통로의 경우에는 어차피 음영지역이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에 반하여, 본 발명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화재 상황 발생시 탈출경로를 효과적으로 유저에게 인지시키게 된다.In general, GPS and navigation systems are mainly composed of relatively large area electronic maps and road information, so there is no narrow and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subway passages or alleys. On the other hand,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recognizes the escape route to the user when a fire situation occur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destination derivation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모든 지하철 역사의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지하철 보행통로의 측벽에 부착된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탈출 경로 및 보행경로를 유도하여 유저가 소망하는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그 내부에 키입력부(2), 표시부(4), 수신부(8), 송신부(10), 듀플렉서(6), 음성처리부(16), 메모리(18), 경로유도 알고리즘(20), 제어부(22)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provided in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 the escape route and the walking route data of all subway stations, and the subway A terminal that receives a unique code value from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ttached to sidewalls of a pedestrian path, induces an escape path and a pedestrian path, and moves the user to a desired path. (An) has a key input unit 2, a display unit 4, a receiver unit 8, a transmitter unit 10, a duplexer 6, a voice processor 16, a memory 18, a path guidance algorithm 20 therein. And a control unit 22.

동 도면에서, 상기 키입력부(2)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독취모드 등의 모드선택과, 다국어 출력설정모드, 목적지 도착알림 출력선택모드 등 다양한 메뉴기능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문자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의 입력 등의 기본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을 갖추고 있다.In the figure, the key input unit 2 includes various menu functions such as emergency mode, destination guidance mode, information reading mode, multilingual output setting mode, destination arrival notification output selection mode, etc.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key buttons for selecting basic menu functions such as input of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nd input of text for creating a text mes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An)의 상기 키입력부(2)는 비상 탈출경로의 출력을 위한 비상모드 및 목적지 유도나 경로유도를 위한 상시모드, 특정 건물의 인포메이션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정보독취모드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바, 비상모드나 목적지 유도를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특정 주파수대역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필터를 구동시키게 된다.The key input unit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ncludes an emergency mode for outputting an emergency escape route, a constant mode for destination guidance or route guidance, an information reading mode for read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building, and the like. When the mode of the emergency mode or the destination derivation is selected, the reception filter for receiving data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driven by itself.

또한, 상기 키입력부(2)는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방향 표시 화상/음성데이터를 다국어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을 행한다. 다국어 선택이라고 해도 결국 직진, 우회전, 좌회전, 유턴 등의 방향에 대한 음성이나 문자데이터를 일컫는 것이므로 각 국가별 방향표시 데이터가 큰 용량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저장하고, 상기 키입력부(2)를 통해 이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key input section 2 makes a selection for selecting the direction indication image / audio data output through the screen or the speaker in multiple languages. Even if the multilingual selection refers to voice or text data about the direction of straight ahead, right turn, left turn, U-turn, etc., since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of each country does not occupy a large capacity, it is easily stored and stor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2. This can be output selectively.

상기 표시부(4)는 상기 키입력부(2)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각 모드의 화면 및 비상모드나 목적지 유도모드를 통해 추출된 방향 표시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시켜 각 모드 선택상태와 방향표시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문자메시지 수신시 해당 문자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display unit 4 outputs the screen of each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operation state of the key input unit 2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extracted through the emergency mode or the destination guidance mode to the screen to display each mode selection state and the direction display data. In addition to displaying visually, a thin display means such a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upon receiving a text message.

상기 표시부(4)는 상기 키입력부(2)의 비상모드 및 목적지 유도모드에 따라 각각 예컨대 "직진하십시오. 우회전하십시오. 좌회전하십시오. 되돌아 가십시오." 등의 캐릭터데이터와, 해당 캐릭터데이터에 해당하는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게 된다. 목적지 유도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4)에 예컨대, "역을 출발하였습니다.", "환승역에 도착하였습니다. 하차하십시오.", "목적 하차역 한 정거장전입니다. 준비하십시오.", "목적 하차역에 도착하였습니다. 하차하십시오." 등의 캐릭터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킨다.The display section 4 is, for example, "go straight. Turn right. Turn left. Go back."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mode and destination guidance mode of the key input section 2, respectively. Character data such as and the like,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In the destination induction mode, the display unit 4 shows, for example, "Departure from the station", "Arrive at the transfer station. Get off.", "Destination stop station. One stop. Please prepare.", "Destination stop station" Arrive. Please get off. " Display character data such as on screen.

동 도면에서, 상기 듀플렉서(6)는 상기 안테나(5)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그 내부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필터(미도시)가 내장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913∼943㎒ 대역의 주파수인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의 발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각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신하는 고유코드값은 미리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에 기저장되어져 있으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수신하여도 등록되어져 있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어부(22)가 자동 삭제토록 한다.In the figure, the duplexer 6 performs radio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5 to separate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and for receiving data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rein. Since a reception filter (not shown) is incorpo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utgoing data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in the frequency range of 913 to 943 MHz. In particular, since the unique code values transmitted b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n advance, the data is not registered even when receiv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22 to be described later automatically deletes the file.

상기 수신부(8)는 상기 안테나(5)와 듀플렉서(6)를 통해서 상대측 모바일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미도시)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고, 동시에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신하는 고유코드값을 인가받게 된다. 또한, 상기 송신부(10)는 상기 마이크로폰(14)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등록정보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 링 및 증폭 처리하게 된다.The receiver 8 receives voice signals or tex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wired telephone terminal or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r (not shown) through the antenna 5 and the duplexer 6, and at the same time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 The unique code value transmitted from P1 to Pn) is received. In addition, the transmitter 10 filters and amplifie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4 and the code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setting mode.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16)는 상기 수신부(8)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14)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10)에 출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메모리(18)에 기저장되며,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the voice processor 16 process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8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nd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14. The signal is processed and output to the transmitter 10, and is pre-stored in the memory 18 to be described later. The voice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ccording to the escape route and the destination guide route. .

상기 메모리(18)는 각 지하철의 탈출경로 데이터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가 해당 지하철 역별로 부착된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과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경로별 방향표시 데이터가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고, 방향표시 데이터가 음성 및 화상데이터로 저장되어져 있다.The memory 18 stores the escape route data and the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of each subway in correspondence with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ttached to the respective subway stations,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is stored in the transmitter.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 RTI ID = 0.0 >, < / RTI >

상기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은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수신된 해당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이용하여 해당 고유코드값이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된 어느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를 검출하여, 해당 경로데이터와 함께 매칭된 고유코드값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4) 및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하고,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과 비교하여 경로를 유도하는 알고리즘이다. 상세한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의 구현 예는 도 3a, 3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route guidance algorithm 20 includes the unique code value in any escape route and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by using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received from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Extracts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unique code valu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4 and the speaker 12, and inherently applies 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that are sequentially applied. This algorithm derives a path by comparing it with a code value.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detailed path guidance algorithm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키입력부(2)의 키조작에 의한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수신모드 등의 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2)로부터의 모드선 택신호에 따라 상기 듀플렉스(6) 내부의 수신필터를 구동시켜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인가되는 고유코드값은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18)에 기저장된 해당 고유코드값이 포함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유도 알고리즘(20)으로 인가시켜 해당 탈출경로 및 목적지 경로 유도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수신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가 단방향 발신기(P1∼Pn)의 코드값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인가된 데이터를 자동 삭제토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2 sets each mode such as an emergency mode, a destination induction mode, an information receiving mode, etc., by the key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2, an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2; The unique code value appli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by driving the reception filter inside the duplex 6 is received, and the path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pre-stored in the memory 18 is extracted to perform the It is applied to the route guidance algorithm 20 to control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escape route and destination route derivation.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applied through the reception filter is a code value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nd if the code is not the corresponding code, the authorized data is automatically deleted.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키입력부(2)를 통한 다국어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른 각 방향표시 데이터를 해당 선택 국어로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 selectively selects each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so that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route data extracted according to the multilingual output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2 is output in the corresponding selected language. To extract.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유도 데이터 및 방향표시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route guidance data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tables stored in a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도 3a는 상기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 기저장된 탈출 경로데이터 테이블(24)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단방향 발신지(P1∼Pn)의 고유코드값은 고유한 것이므로 전국의 지하철 통로중 어느 한 위치에서만 각 단방향 발신기(P1∼Pn)별로 고유코드값이 발신되게 된다.Referring to this, FIG. 3A shows an escape route data table 24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8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one-way source P1 to Pn is shown in FIG. Since it is unique, a unique code value is transmitted for each one-way transmitter (P1 to Pn) only at one of the subway passages in the country.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는 전국 지하철 통로의 탈출 경로 예컨대, 비상탈출구(EXIT)로의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 데이터 즉, 탈출 경로에 해당하는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이 모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ncludes path data corresponding to an escape route of a national subway passage, for example, a route to an emergency exit EXIT, that is, a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 to Pn corresponding to an escape route. ), All unique code values are stored sequentially.

따라서, 상기 탈출 경로데이터 테이블(24)에는 각 지하철 역에 해당하는 비상탈출 경로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 저장되어져 있는 바, 예컨대, 해당 탈출경로가 을지로역의 탈출경로(26)라 한다면, "①→②→③→⑥→⑦→⑫(26a)", "⑬→⑩→⑨→⑧→⑫(26b)", "⑭→⑨→⑧→⑫(26c)", "⑤→⑥→⑦→⑫(26d)"....등이며, 여기서 숫자로 표시되는 ①∼⑮는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을 간략하게 단순화하여 표시한 것이다.Accordingly, the escape route data table 24 stores an emergency escape route corresponding to each subway station in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f it is an escape route 26, "① → ② → ③ → ⑥ → ⑦ → ⑫ (26a)", "⑬ → ⑩ → ⑨ → ⑧ → ⑫ (26b)", "⑭ → ⑨ → ⑧ → ⑫ (26c) ) "," ⑤ → ⑥ → ⑦ → ⑫ (26d) ", ... etc., where numbers 1 to 9 are displayed to simplify and display unique code values generated by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It is.

또한, 도 3b에는 상기 탈출경로 데이터(예컨대, 26a)에 매칭되는 각각의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에 따른 각 방향 표시데이터(28)를 도시한 것으로, 각 경로별로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이 매칭되어져 있으며, 그 경로 및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 별로 방향 표시데이터(28)가 각각 함께 저장되어져 있다.In addition, FIG. 3B shows each direction indication data 28 according to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respectiv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matching the escape route data (for example, 26a). The unique code values of P1 to Pn are matched,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28 is stored together for each of the path and unique code values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따라서, 도 1, 도 3a, 3b를 참조하여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 및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통한 경로유도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국의 각 지하철역사 내의 탈출경로나 보행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화하여 메모리(18)에 미리 저장한다. 즉, 도 1을 참조할 때 각 통로에서 비상탈출구(EXIT)까지의 경로를 도시하면, 도 3a의 테이블(24)과 같이 경로데이터가 구축되는 바, 해당 경로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내장된 상태에서 어느 한 단방향 발신기(예컨대, P13)으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이 13이라 가정함)을 인가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을 구동시켜 메모리(18)에 저장된 테이블(26)의 경로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예컨대, 13)을 포함한 지 하철역을 검출한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S. 1, 3A, and 3B, a route induction process through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will first be described. The data for is tabled as shown in FIG. 3A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8. That is, referring to FIG. 1, when the path from each passage to the emergency exit EXIT is shown, route data is constructed as shown in the table 24 of FIG. 3A, and the route data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 If the unique code value (assuming code value is 13) is received from any one-way transmitter (e.g., P13) in the state of being embedded in An),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s By driving, the subway st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eg, 13) is detected in the path of the table 26 stored in the memory 18.

어느 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은 전국 지하철 역에서 고유한 코드값이므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지하철역이 을지로역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을지로역 경로유도 테이블(24)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예컨대, 13)을 포함한 경로데이터(26)를 추출한다.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one of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does not overlap because it is a unique code value in the national subway stations. According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ubway station is Euljiro station, and the route data 26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eg, 13) is extracted from the Euljiro station route induction table 24.

추출한 경로데이터(26)는 "⑬→⑩→⑨→⑧→⑫(26b)"일 것이며, 이때의 경로데이터는 비상탈출구(EXIT)까지의 최단경로이므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다른 경로에 중복되게 포함될 수 없다.The extracted route data 26 will be “⑬ → ⑩ → ⑨ → ⑧ → ⑫ (26b)”, and the route data at this time is the shortest route to the emergency exit EXIT, so that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re generated. Code values cannot be duplicated in other paths.

이때, 유저가 서있는 방향을 알 수 없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은 해당 유저가 이어지는 발신기 코드값인 10의 방향으로 서있다는 가정하에,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28)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tands is unknown,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first assumes that the user stands in the direction of 10, which is the sender code value. Output direction indication data with ().

만약, 유저가 표시부(4)나 스피커(12)를 통해 해당 방향표시 데이터(28)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P10)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10)을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때, 해당 고유코드값(코드값10)이 수신되지 않고 제 2, 3 단방향 발신기(P2, P3)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킨다.If the user moves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28 through the display unit 4 or the speaker 1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ransmit a unique code value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0 of the following path. Code value 10) should be received. However, if the unique code value (code value 10) is not received and the code values of the second and third one-way transmitters P2 and P3 are received, it is treated as a movement error and the U-turn direction indication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Let's do it.

만약,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P10)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10)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좌회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고 표시부(4) 및 스피커(12)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유저가 좌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 유도가 반복됨에 따라 유저는 비상탈출구(EXIT)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the unique code value (code value 10)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0 in the path that follows, the left turn direction display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code value is extracted and the display unit is extracted. (4) and th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llows the user to turn left. As the path guidance is repeated, the user can move to the emergency exit (EXIT).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 화면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A, 4B, 4C, and 4D illustrate screen display stat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도 4a, 4b, 4c, 4d는 상기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화면 표시되는 화상 및 캐릭터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 경로 유도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저장되는 화상 및 캐릭터 데이터는 직진, 좌회전, 우회전, 유턴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와, 해당 캐릭터데이터만으로 가능하게 된다. 물론, 해당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음성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8)에 매칭되게 저장되어 유저의 설정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국가별 선택에 따라 해당 국어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A, 4B, 4C, and 4D show image and character data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of the user. The image and character data stored in A1 to An) can be made only with image data corresponding to straight ahead, left turn, right turn, and U-turn, and only the character data. Of course, the voice data matched with the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 to be output as a voice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nd may be output in a correspond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each country.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유저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이 구축되어져 있으며, 메모리(18)에 각 지하철 역의 보행경로데이터 및 그 보행경로 벽면에 부착된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이 각 보행경로 데이터와 연계되어 저장되어져 있으며, 해당 보행경로 데이터별로 해당 방향표시 데이터가 연계되어 저 장되어져 있다.First, in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is constru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of the user, and each subway in the memory 18 is constructed. Pedestrian route data of station and unique code value of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 ~ Pn) attached to the wall of pedestrian path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pedestrian path data, and corresponding directional data is stored for each pedestrian path data. It is done.

그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를 키조작하여 비상모드로 전환시키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수신필터를 활성화시켜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의 주파수를 수신받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key-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o switch to the emergency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ctivate the reception filter to activate the frequencies of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To receive.

해당 단방향 발신기(P1∼Pn)의 주파수인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을 구동시켜 메모리(18)에 저장된 테이블(26)의 경로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한다. When the unique cod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is applied,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s driven to perform the path of the table 26 stored in the memory 18. Detects the subway station containing the code.

어느 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은 전국 지하철 역에서 고유한 코드값이므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지하철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지하철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한다.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one of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does not overlap because it is a unique code value in the national subway stations. Therefore,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can be determined, and route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is extracted from the route guide table of the subway station.

추출한 경로데이터는 비상탈출구(EXIT)까지의 최단경로이므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다른 경로에 중복되게 포함될 수 없다.Since the extracted route data is the shortest route to the emergency exit EXIT,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cannot be duplicated in another route.

이때, 유저가 서있는 방향을 알 수 없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은 해당 유저가 이어지는 발신기 코드값의 방향으로 서있다는 가정하에,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28)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tands is unknown,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turns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data 28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is standing in the direction of a subsequent transmitter code value. Output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그리고,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여 정확한 고유코드값이 인가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고유코드값(코드값10)이 수신되지 않고 경로를 이탈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P1∼Pn)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 시킨다.Then, the unique code value is received from the one-way transmitter of the path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ct unique code value is applied. If the code value of other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that departs from the path without receiving the unique code value (code value 10) is received, it is treated as a movement error, and the U-turn direction indication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만약,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이어지는 경로상의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고 표시부(4) 및 스피커(12)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유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 유도가 반복됨에 따라 유저는 비상탈출구(EXIT)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모드종료에 해당하는 키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모드종료시에는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키고, 모드종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시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된다.If a unique code value is receiv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on the path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e connecte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is extracted, and the display unit 4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llows the user to move. As the path guidance is repeated, the user can move to the emergency exit (EX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determine whether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e termination is applied, and switch to the standby state when the mode is terminated. If the mode is not terminated, the neighboring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re again used. Will receive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Hereinafter, a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출구유도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6A and 6B illustrate an exit induction data table stored in a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a destination deriv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장된 각 출구별 경로로 유저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 상시 상황에서 화면 및 음성출력을 통해 유저를 일 정한 출구 경로로 유도하여 해당 출구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plurality of one-way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to a subway passage wall at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n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in advance. A path induction algorithm that guides the user to the paths for each exit pre-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uide the user to a certain exit path through the screen and voice output at all times and enter the corresponding exit. It's a system to do that.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복합 입체노선의 지하철의 경우에 소망하는 출구를 찾아나가기 어려우므로 유저가 상시모드 즉, 출구별 경로유도 모드에서 벽면에 부착된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P1∼Pn)와 이동통신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출구로 신속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원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구비된 메모리(18)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 1 실시예의 데이터와 상이하다. That is,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find the desired exit in the case of the subway of the complex three-dimensional line, so that the user is in the constant mode, that is, the route guidance mode by exit in the wall surface It is a system that allows the rapid exit to a desired exit by using a plurality of attached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basic princi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e different from the data of the first embodiment.

다시말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구비된 메모리(18)에 저장된 데이터는 현재 위치에서 최단거리 탈출 경로로 빠져나가기 위한 경로데이터인 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구비된 메모리(18)에 저장된 데이터는 정확한 출구로의 유도경로 데이터이므로 최단 경로의 탈출 경로데이터와 일치될 수도 있으며,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route data for escaping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shortest distance escape route, whereas the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may be matched with the escape route data of the shortest route, or may not coincide with the route data of the correct exit.

도 6a는 상기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 기저장된 각 출구별 경로데이터 테이블(3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단방향 발신지(P1∼Pn)의 고유코드값은 고유한 것이므로 전국의 지하철 통로중 어느 한 위치에서만 각 단방향 발신기(P1∼Pn)별로 고유코드값이 발신되게 된다.Fig. 6A shows a route data table 30 for each exit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8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one-way source P1 to Pn are unique. Therefore, the unique code value is transmitted for each one-way transmitter (P1 to Pn) only at one of the subway passages in the country.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는 전국 지하철 통로의 각 출구별 경로 예컨대, 지하철 보행경로상의 모든 위치에서 각 출구까지의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경로 데이터와 연계된 단방향 발신 기(P1∼Pn)의 고유코드값이 모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stores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route of each exit of the national subway passage, for example, the route from all positions on the subway pedestrian route to each exit. All unique code values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ssociated with the route data are sequentially stored.

따라서, 상기 출구별 경로데이터 테이블(30)에는 각 지하철역에 해당하는 출구별 경로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 저장되어져 있는 바, 예컨대, 해당 출구별 경로가 을지로역의 1번 출구 경로(34a)라 한다면, "①→②→③→⑥→⑦→⑫", "⑬→⑩→⑨→⑧→⑫", "⑭→⑨→⑧→⑫", "⑤→⑥→⑦→⑫"....등이며, 여기서 숫자로 표시되는 ①∼⑮는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을 간략하게 단순화하여 표시한 것이다.Therefore, the exit-specific route data table 30 stores the exit-specific routes corresponding to each subway station in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f the exit 1 of the route (34a) is "① → ② → ③ → ⑥ → ⑦ → ⑫", "⑬ → ⑩ → ⑨ → ⑧ → ⑫", "⑭ → ⑨ → ⑧ → ⑫", "⑤ → ⑥ → ⑦ → ⑫ ".... etc., where 1) to 9) are indicated by numbers in a simplified and simplified manner, the unique code values generated b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또한, 도 6b에는 상기 출구별 경로 데이터(예컨대, 36)에 매칭되는 각각의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에 따른 각 방향 표시데이터(38)를 도시한 것으로, 각 경로별로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이 매칭되어져 있으며, 그 경로 및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 별로 방향 표시데이터(38)가 각각 함께 저장되어져 있다.In addition, Fig. 6B shows each direction indication data 38 according to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respectiv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matching the route data (e.g. 36) for each exit, and the one-way transmitter for each route. The unique code values of P1 to Pn are matched,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38 are stored together for each of the path and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한편, 상기 출구별 경로데이터(38)중 출구 근처의 고유코드값(예컨대, 코드 7과 코드 12)에는 각각 해당 출구 인근의 상가광고 데이터(40)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됨으로써 유저가 해당 출구로 나가기전에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화면에는 해당 광고데이터(40)가 출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exit data path 38, the unique code value (e.g., code 7 and code 12) near the ex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tore advertisement data 40 near the corresponding exit, respectively, the user exits to the exit Previously, the advertisement data 40 is output on the scree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따라서, 도 1, 도 6a, 6b를 참조하여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 및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통한 경로유도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국의 각 지하철역사 내의 출구별 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화하여 메모리(18)에 미리 저장한다. 즉, 도 1을 참조할 때 각 통로에서 유저가 상기 이동통신단 말기(A1∼An)를 통해 선택한 출구별 경로데이터를 도시하면, 도 3a의 테이블(30)과 같이 경로데이터가 구축되는 바, 해당 경로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내장된 상태에서 어느 한 단방향 발신기(예컨대, P13)으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이 13이라 가정함)을 인가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을 구동시켜 메모리(18)에 저장된 테이블(26)의 경로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예컨대, 13)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한다.Therefore, referring to FIGS. 1, 6A, and 6B, a route induction process through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data is tabulated as shown in FIG. 6A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8. That is, referring to FIG. 1, when the user displays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n each passage, the route data is constructed as shown in the table 30 of FIG. 3A. If a unique code value (assuming code value is 13) is received from any one-way transmitter (for example, P13) while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i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The route induction algorithm 20 is executed to detect a subway st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e.g., 13) in the path of the table 26 stored in the memory 18.

어느 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은 전국 지하철 역에서 고유한 코드값이므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지하철역이 을지로역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을지로역 경로유도 테이블(24)중에서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예컨대, 13)을 포함한 출구별 경로데이터(예컨대, 34a)를 추출한다.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one of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does not overlap because it is a unique code value in the national subway sta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subway station is Euljiro station, extract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from the Euljiro station route induction table 24, the exit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eg, 13) from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The separate route data (eg 34a) is extracted.

해당 고유코드값(예컨대, 13)을 포함한 출구별 경로데이터(예컨대, 34a)는 "⑬→⑩→⑨→⑧→⑫"일 것이며, 이때의 출구별 경로데이터는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다른 경로에 중복되게 포함될 수 없다.The route data (eg 34a) for each exit including the unique code value (eg, 13) will be "⑬ → ⑬ → ⑨ → ⑧ → ⑫", and the route data for each exit will be determined by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The generated unique code value cannot be duplicated in other path.

이때, 유저가 서있는 방향을 알 수 없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유도 알고리즘(20)은 해당 유저가 이어지는 발신기 코드값인 10의 방향으로 서있다는 가정하에,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28)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tands is unknown,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first assumes that the user stands in the direction of 10, which is the sender code value. Output direction indication data with ().

만약, 유저가 표시부(4)나 스피커(12)를 통해 해당 방향표시 데이터(38) 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 (P10)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10)을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때, 해당 고유코드값(코드값10)이 수신되지 않고 제 2, 3 단방향 발신기(P2, P3)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킨다.If the user moves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38 through the display unit 4 or the speaker 1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ransmit the unique code value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0 of the following path. Code value 10) should be received. However, if the unique code value (code value 10) is not received and the code values of the second and third one-way transmitters P2 and P3 are received, it is treated as a movement error and the U-turn direction indication data is extracted and output. Let's do it.

만약,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P10)로부터 고유코드값(코드값10)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좌회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고 표시부(4) 및 스피커(12)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유저가 좌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 유도가 반복됨에 따라 유저는 소망하는 출구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the unique code value (code value 10)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P10 in the path that follows, the left turn direction display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code value is extracted and the display unit is extracted. (4) and th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llows the user to turn left. As this route derivation is repeated, the user can advance to the desired exit.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Hereinafter,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용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operation of a destination deriv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estination deriv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for setting a destination induction mod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system, and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고유번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 고유번호에 따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설치된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하철 목적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면 출발역에서부터 환승역, 환승통로 및 목적 하차역 도착신호를 음성 및 화면출력 을 통해 발생함으로써 목적 하차역으로의 유도를 행하는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plurality of one-way transmitters generating a unique number to a subway passage wall at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n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transmitter unique number in advance. If you input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stop station of the subway by using the route guidance algorithm already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generates the arrival signal from the departure station, the transfer station, the transfer passage and the destination stop station through voice and screen output to induce the destination stop station. to be.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서 각 지하철 역사에 부착된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는 다른 지하철 역사에 부착된 다른 단방향 발신기(P1∼Pn)와는 상이한 고유코드값을 가지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어느 지하철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ttached to each subway station are different from other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ttached to other subway stations.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unique code values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can determine which subway station.

따라서, 상기한 원리를 이용하여 목적 하차역을 미리 설정하고, 환승역 도착 알림과, 환승역 통로유도를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유저의 보행경로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지하철에서는 출퇴근으로 심신이 지친 유저가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차역을 지나치거나 환승역에서 환승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 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walking path of the user by presetting the destination disembarkation station, and outputting the transfer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nd the transit station passage induction on the screen and by voice. In particular, since the subway is often tired of the user to take a sleep in the subway to go to get off the station or pass at the transfer station very ofte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problem.

특히, 맹인이나 외국인 등은 최근의 지하철 역사가 노선 복합화로 인해 입체화되고 복층화되므로써 환승역에서 환승하거나, 소망하는 하차역에서 정확하게 하차하기가 어려운 만큼,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lind or foreigners can solve such problems wit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difficult to transfer at a transfer station or to get off at a desired stop station precisely because the recent subway history becomes three-dimensional and multi-layered due to the complex rout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발신기(P1∼Pn)는 각기 고유한 코드값을 가지고, 이러한 경로코드값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기저장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환승역에서의 환승 및 목적 하차역에서의 하차를 유저에게 알려 경로를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강남역에서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1∼20"이라고 가정하고, 교대역에서의 단방향 발신기(P1∼Pn)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21∼40"이라고 가정하면, 어느 한 발신기가 '23'의 고유코드값을 발생시 키면 해당 지하철역이 교대역임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have unique code values, and the path code values are stored in advance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You can induce the route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getting off at the getting off sta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in Gangnam station is "1 to 20",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in the crossband is "21 to 40". Suppose, when one transmitter generates a unique code value of '2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is a cross band.

만약, 유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화면에 목적지 유도모드 화면(50)을 출력시키고, 하차역 설정(52) 및 출발역 설정(54)과, 알림모드 설정(56: 벨소리, 진동, 음성출력 등)을 행하고, 그 출발역으로 강남역(42)을 설정하고, 하차역으로 충무로역(46)을 설정한다면, 해당 노선 경로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If the user outputs the destination induction mode screen 50 on the scree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getting off station setting 52 and the starting station setting 54, and the notification mode setting 56 are ringtones and vibrations. Audio output, etc.), the Gangnam station 42 is set as the starting station, and the Chungmuro station 46 is set as the getting off station, and the corresponding route route data is stored from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Can be extracted.

즉, 지하철 역의 모든 노선 경로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메모리(18)에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노선 경로상의 환승 데이터도 저장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강남역(42)에서 출발하여 충무로역(46)까지의 이동 도중 교대역(44)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여야 된다는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한다.That is, all the route data of the subway st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nd the transfer data on the route route is also stored.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store data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should transfer to Line 3 from the bridge 44 during the movement from Gangnam Station 42 to Chungmuro Station 46, and extract the corresponding data. To be.

따라서, 유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설정한 바와 같이, 강남역(42)을 출발하여 교대역(44)에 도착할 무렵 그 교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값(예컨대, 21)을 수신함으로 인해 환승역임을 유저에게 음성이나 벨소리, 진동 등을 통해 알린다.Therefore, as set by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unique code values of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generated from the alternating bands when leaving the Gangnam station 42 to the alternating bands 44 ( For example, the reception of 21) informs the user of the transit station through voice, ringtone, vibration, and the like.

유저가 해당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알림신호에 의해 환승역인 교대역(44)에 하차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와 단방향 발신기(P1∼Pn)는 유저를 경로유도 알고리즘(20)에 의해 환승 위치까지 경로유도를 하게 되는 바, 이때 환승 위치까지의 경로유도는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의 경로데이터(48)와 단방향 발신기(P1∼Pn)의 고유코드 비교에 따라 이루어지 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탑승전에 다음 하차역의 출구정보도 함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입력하도록 하여 환승시 보다 단거리 경로의 탑승위치에서 탑승 또는 환승하도록 경로유도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gets off at the sub-band 44 which is a transit station by the notification signa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nd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direct the user to a path guidance algorithm. The route induction to the transfer position is performed by (20), wherein the route induction to the transfer posi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route data 48 and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e the same. Since it is ma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unique codes of (P1 to Pn), it is omitted. Before boarding, the exit information of the next disembarkation station may also b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so that the route may be induced to board or transfer at a boarding position of a shorter route than when transferring.

즉, 환승시 지하철 플랫폼의 전단보다는 후단위치에서 탑승하여야만 목적 하차역에서 하차한 후 소망하는 출구로 이동하는 경로가 짧아지게 되는 최적의 환승위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와 단방향 발신기(P1∼Pn)를 이용하여 경로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ransfer terminal (A1 to An) and the one-way transmitter (O1) to an optimum transfer position where the route to the desired exit is shortened after getting off at the destination disembarkation station only after boarding at the rear end position rather than at the front end of the subway platform. Routes can be derived using P1 to Pn).

환승을 통해 재차 유저의 탑승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지속적으로 각 지하철역을 경유하면서 해당 지하철역에 각각 부착된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는 바, 예컨대 소망하는 목적 하차역(46)에 해당하는 고유코드값(예컨대, 코드값 201∼220)이 상기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수신되면 하차역임을 유저에게 벨소리, 진동, 음성출력 등을 통해 알린다.When the user is again boarded through the transf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continuously receive unique code values from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attached to the respective subway stations while continuously passing through each subway station. For example, when a unique code value (for example, code values 201 to 220)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destination stop station 46 is receiv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P1 to Pn, the ringer, vibration, voice output, etc. are transmitted to the user. Inform via

한편, 유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해당 소망하는 목적 하차역(46)의 이전 지하철역인 동대입구역에 도착시, 미리 하차를 준비하도록 유저에게 벨소리, 진동, 음성출력을 통해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저가 하차역 이전역 알림을 설정해두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단방향 발신기(P1∼Pn)로부터 고유코드값으로 "181∼200코드"를 수신할 때 유저에게 하차역 이전 지하철역임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rive at Dongdaegu Station, the former subway station of the desired stop station 46, a ringtone, vibration, and voice output are provided to the user to prepare for getting off in advance. You can let them know. 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station prior to the station of unload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181 to 200 codes" as unique code values from the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the subway station before the station to get off You can let them know that.

버스 등의 대중교통 시스템에도 이러한 실시예의 하차역 알림모드를 실행시 킬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이러한 단방향 발신기(P1∼Pn)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정류장 도착시간을 출력하는 시스템이 존재하기는 하나, 지하철과 마찬가지로 유저가 버스를 탑승한 후 수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특정 코드값을 발생시키는 정류장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하차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버스의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하차여부를 미리 알려야되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하차 정류장을 설정할 경우 자동으로 한 정거장전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embarkation station notification mode of this embodiment can also be executed in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such as a bus. That is, in recent years there is a system for outputting the approximate stop arrival time using such one-way transmitters (P1 to Pn), but like the subway, the user often sleeps after boarding the bus. At the stop generating a specific code value, the stop signal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bus, it is desirable to set the stop automatically at the stop when the stop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since the driver needs to be informed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Hereinafter,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입주사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uilding occupancy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내부에 입주사의 정보 및 경로유도 데이터를 임의 시간간격으로 발생하는 단방향 발신기를 건물 로비벽면에 장착하고, 다수의 단방향 발신기를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며, 해당 경로유도 데이터를 음성 및 화면으로 출력하여 입주사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판 없이도 유저를 해당 소망하는 입주사까지 경로 유도하도록 한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one-way transmitter to generate information and route guidance data of tenants at any time interval on the building lobby wall, It is a system that attaches a unidirectional transmitter to the wall of the passage at a certain distance, and outputs the route guidance data as voice and screen to guide the user to the desired tenant without a display board indicating tenant information.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건물(60)의 내부에는 통상 로비(6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로비(64)에는 벽면에 각 입주사들의 상호 및 로고를 표시하는 인포메이션 표시판이 설치되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포메이션 표시판은 전 체 건물의 미관을 해칠뿐더러, 방문한 방문객들이 로비(64)에서 인포메이션 표지판을 보기위해 다수인이 서있게 되므로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해당 인포메이션 표지판에는 전화번호가 표시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로비(64)에 도착했음을 해당 입주사의 특정 직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명함이나 연락처를 찾아서 전화해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a lobby 64 is usually provided in a specific building 60, and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the names and logos of the tenants on the wall is provided in the lobby 64. . However, this information display board not only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entire building, but also impedes the passage of visitors because many visitors stand to see the information signs in the lobby 64.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signs do not have a telephone number,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business card or contact number must be found in order to convey to the specific employee of the tenant that arrived in the lobby (64).

하지만,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입주사의 상호 및 해당 입주사의 대표 전화번호를 테이블 메모리(66)로 저장하여 발신하는 단방향 발신기(P)를 로비(64)의 벽면이나 천장부에 부착함으로써 일정주기 간격으로 해당 정보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A1∼An)가 이를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시키도록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one-way transmitter P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each tenant's name and a representative telephone number of the tenant to the table memory 66 is provided on the wall or ceiling of the lobby 64. By attaching, the information data is generat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it and output it to the screen.

또한, 식당에서는 각종 메뉴를 상기 단방향 발신기(P)에 저장하여 고객이 해당 매장을 방문하면 메뉴데이터가 이동통신단말기(A1∼An)로 인가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aurant may store various menus in the one-way transmitter P so that when the customer visits the store, the menu data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Hereinafter, a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원격의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쌍방향 발신기를 지하철 통로 벽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부착하고, 해당 발신기를 매개로 원격 서버에 구축된 지하철 경로 및 통로경로, 탈출경로 데이터베이스를 통 해 탈출 경로 및 환승, 하차 목적신호 등을 송수신하도록 하여 출력시키도록 한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two-way transmitter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mote serv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ubway passage wall, It is a system that transmits and outputs the escape route, transfer and disembarkation purpose signal through the subway route, passage route, and escape route database built on the remote server through the transmitter.

즉, 최근에는 제 1∼제 N 발/수신기(P1'∼Pn')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중계할 수 있으므로 각 지하철역의 탈출 경로데이터 및 보행 유도데이터, 목적 하차역 유도데이터를 제 1, 2, 3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저장할 필요없이 원격의 서버인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에 저장하고, 이에 대한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실시간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recent years, since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can transmit or relay a large amount of data, the escape route data, pedestrian guidance data, and destination train guide data of each subway station are first,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e stored in the path induction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which is a remote server, and the request for this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n)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에는 위치데이터, 탈출경로, 목적지 경로 요구신호를 발생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음성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로부터 위치데이터 및 탈출경로, 목적지 경로 요구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서버로 전송하고, 그 원격서버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로 전송하는 제 1∼제 N 발/수신기(P1'∼Pn')가 구비되어져 있다.To this end, a destin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ocation data, an escape route, a destination route request signal, and outputs the received data on a screen / voice. And a location data, an escape route, and a destination route request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o the remote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remote server.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for transmitting to ~ An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3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기(A1∼An)에 기저장된 각 지하철역의 경로데이터, 목적지 경로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요구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의 중계로 전송받아 해당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로 전송하여 유저를 소망하는 경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가 제공된다. 또한, 해당 탈출경로 데이터, 위치데이터, 목적 지 유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가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route data and the destination route data of each subway st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in advance, and ar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he reques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lays of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and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A route guidance / disaster rescue server (RR / 119S) is provided to guide the user to the desired route. In addition, a database DB1 for storing the escape route data, the position data, and the destination guidance data is provided.

또한,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는 공지의 화재감지장치(FSA)와 연계되어 화재신호 발생시 일방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측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해당 화재발생 지하철역이나 해당 화재발생 위치의 일정반경에 포함되는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A1∼An)를 인식하기 위해 셀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사서버(MCS)가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와 데이터통신망을 매개로 접속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ath guidance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is associated with a known fire detection device (FSA) can transmit a fire occurren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 An) unilaterally when a fire signal occurs. For this purpose, a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MCS) capable of cell tracking to recogniz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1 to An) of a user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adius of a fire station or a corresponding fire occurrence station is the path guidance / disaster rescue server. (RR / 119S)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re connected via media.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13A and 1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ignal flows of a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3a는 상기 화재감지장치(FSA)를 통한 화재신호 발생시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는 상기 이동통신사서버(MCS)로 해당 화재발생 위치의 셀영역에 포함되는 이동통신단말기(A1∼An) 번호를 요구한다.First, FIG. 13A illustrates that when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apparatus FSA, the path guidance / disaster rescue server RR / 119S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ed in the cell area of the corresponding fire occurrence lo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MCS. The terminal A1 to An numbers are requested.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사서버(MCS)는 지역중계기(미도시)를 통해 해당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로 해당 번호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는 해당 화재발생역의 탈출경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화재 발생 지하철역에 부착된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로 전송한다.The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MCS) extracts the number through a local repeater (not shown) and transmits the number data to the route guidance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Then, the route guidance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extracts the escape route data of the corresponding fire generating station to the first to N-th receiver / receiver (P1 '~ Pn')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fire generating subway station. send.

그러면,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는 전송받은 탈출경로 데이터 를 발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근의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해당 탈출경로 데이터를 인가받고,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경로유도되어 탈출한다. 경로유도 과정은 제 1, 2,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n,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transmit the escape route data. Accordingly, the neighbo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the escape route data and escape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The route induction process is the same a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에서 발생하는 탈출경로 데이터에는 해당 셀영역에 포함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데이터가 함께 첨부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화재 셀 영역에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와 무관한 경우 자동으로 해당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escape route data generated by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is attach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data included in the cell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are included. If the received data is irrelevant to the mobile terminal number included in the fire cell area, the data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도 13b는 쌍방향인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와 원격의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를 통해 목적 하차역 노선경로 유도를 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는 키조작을 통해 목적 하차역 및 출발 하차역 정보를 전송한다. FIG. 13B illustrates a process of deriving a destination disembarkation route through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which are bidirectional and a remote route guidance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Firs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getting-off and the starting stop-loading station through key operation.

그러면,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는 해당 데이터를 원격의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경로유도/재난구조 서버(RR/119S)는 해당 경유 노선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지하철역의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의 중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로 전송한다. 이때도 역시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는 무작위로 그 대상없이 데이터를 발신하므로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를 통해서 발신하는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가 포함되어져 있다.Then, the first to Nth receivers / receivers P1 'to Pn' transmit the data to the remote route guidance / disaster rescue server RR / 119S. Then, the route guidance / disaster relief server (RR / 119S) extracts the route data of the corresponding route, and relays the first through Nth call / receivers P1 'through Pn' of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Transfer to (A1 to An).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to Nth receiver / receivers P1 'to Pn' randomly transmit data without the target, the first to Nth receiver / receivers P1 'to Pn' transmit data. Contai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A1∼An)가 수신받은 데이터중에 그 이동통신단 말기 번호가 포함되어져 있지 않는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토록 하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포함된 데이터는 경로유도 알고리즘(20)과 상기 제 1∼제 N 발/수신기(P1'∼Pn')를 통한 제 1, 2, 3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로 유도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1 to An receive data that does not inclu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mong the received data, and the data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path guidance algorithm 20. And through the first to Nth receiver / receivers P1 'to P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possibl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탈출 경로 및 목적지 노선 경로, 각 건물 입주사의 인포메이션 정보 등을 각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함께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저장하고, 각 고유코드값을 발신하는 다수의 발신기를 통해 비상시 지하철 통로를 통한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며, 특정 하차역과 출발역 지정을 통해 환승 유도, 하차 알림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escape route and the destination route route, information information of each occupant of the building in advance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each transmit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escape through the subway passage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hat transmit each unique code value, and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can carry out transfer guidance and getting off notification by specifying a specific stop and departure station. .

Claims (17)

지하철 역사의 통로 벽면에 부착되어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기 위해 RF 주파수, IR 반송파, 블루투스 등의 반송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단방향 발신기와;A unidirectional transmitter attached to a wall of the passageway of the subway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rrier data such as RF frequency, IR carrier, Bluetooth, etc. to generate its own unique code every predetermined period; 지하철 역사내의 다수의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 데이터 및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되는 발신기의 고유코드, 각 경로별 방향표시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그 지하철 보행통로의 측벽에 부착된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미리 저장된 탈출경로 및 보행경로 데이터와 대비하고, 현위치로부터 지하철 역사의 외부 출구까지의 탈출 경로 및 보행경로 정보를 안내하여 유저가 소망하는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Multiple escape route and pedestrian route data in subway history, unique code of transmitter matching with corresponding route data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are pre-stored, and are unique from multiple unidirectional transmitter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pedestrian passag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a code value, contrasts with the pre-stored escape route and pedestrian route data, and guides the escape route and pedestrian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outside exit of the subway station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route. Destination ind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독취모드 등의 모드선택과, 다국어 출력설정모드, 목적지 도착알림 출력선택모드 등 다양한 메뉴버튼을 갖춘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각 모드의 화면 및 비상모드나 목적지 유도모드를 통해 추출된 방향 표시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시켜 각 모드 선택상태와 방향표시 데이터 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그 내부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필터가 내장된 듀플렉서와;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기저장되며,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처리부와; 각 지하철의 탈출경로 데이터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가 해당 지하철 역별로 부착된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경로별 방향표시 데이터가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어져 있고, 방향표시 데이터가 음성 및 화상데이터로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수신된 해당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이용하여 해당 고유코드값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느 탈출경로 및 목적지 유도경로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를 검출하여, 해당 경로데이터와 함께 매칭된 고유코드값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과 비교하여 경로를 유도하는 경로유도 알고리즘과;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한 비상모드, 목적지 유도모드, 정보수신모드 등의 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듀플렉스 내부의 수신필터를 구동시켜 상기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인가되는 고유코드값은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해당 고유코드값이 포함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유도 알고리즘으로 인가 시켜 해당 탈출경로 및 목적지 경로 유도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menu buttons such as emergency mode, destination induction mode, information reading mode, multi-language output setting mode, and destination arrival notification output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which visually displays each mode selection state and direction indication data by outputting the screen of each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operation state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extracted through the emergency mode or the destination guidance mode to the screen; A duplexer for separating a transmitted / received signal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ntenna, and having a reception filter for receiving data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rein;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s processed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the user's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s signal-processed and outputted to the transmitter, and stored in the memory in advance, and the escape route And a voice processor configured to extract voice data according to a destination guidance path and output the extracted voice data through the speaker. The escape route data and the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of each subway are stored and matched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one-way transmitter attached to each subway station,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data of each route is stored with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A memory in which direction indication data is stored as audio and image data; By using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receiv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it detects which escape route and destination guidance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included and the unique code valu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A path guidance algorithm for extracting display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and inducing a path by comparing the unique code values of 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s which are sequentially applied; Set each mode such as emergency mode, destination guidance mode, information receiving mode, etc. by key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drive the receiving filter inside the duplex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to apply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tter.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ler to execute the escape route and the destination route by applying the unique code value to be received,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pre-stored in the memory, and applying it to the route guidance algorithm.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다국어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른 각 방향표시 데이터를 해당 선택 국어로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xtract each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output respective direction ind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route data extracted according to the multilingual output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in a corresponding selected languag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추출한 경로데이터는 비상탈출구(EXIT)까지의 최단경로이므로 단방향 발신기가 발생하는 고유코드값이 다른 경로에 중복되게 포함될 수 없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route data extra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hortest route to the emergency exit (EXIT), so that the unique code value generated by the one-way transmitter cannot be duplicated in another route.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를 비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 emergency mode;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a subway station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in a path of a table stored in a memory by driving a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해당 지하철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a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route guidance tabl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은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과;The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outputting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as first direction indication data;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one-way transmitter of a path following a user's movement; 해당 고유코드값이 추출한 탈출 경로상의 차순위 코드값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code value is a next order code value on the extracted escape route; 만약, 추출한 탈출 경로를 이탈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If a code value of an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 deviating from the extracted escape path is received, processing as a moving error, extracting and outputting u-turn indication data;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어지는 추출 경로상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정확한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rrect unique code value from the one-way transmitter on the extraction path that follows, extrac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방향 표시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A method of deriving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direction display data through the display and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각 지하철 역사통로의 다수 출구별 경로데이터가 기저장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pre-stored route data for each exit of each subway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역사의 출구별 경로데이터에는 해당 출구 인근의 상가광고데이터가 화면 출력 가능하게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oute data of each exit of the subway station further includes display advertisement data near the exit. 이동통신단말기를 출구유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 exit induction mode;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상기 단방향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지하철역을 검출하는 과정과;Driving a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a subway station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of the one-way transmitter in a path of a table stored in a memory; 해당 지하철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route data for each exit from the subway station route guidance table; 해당 출구별 경로데이터중 상기 발신기의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a unique code value of the transmitter from among route data for each exit;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은 최초의 방향표시 데이터로 직진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과;The path guidance algorith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outputting straight direction indication data as first direction indication data;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이어지는 경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nique code value from a one-way transmitter of a path following a user's movement; 해당 고유코드값이 추출한 경로상의 차순위 코드값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is a next order code value on the extracted path; 만약, 추출한 경로를 이탈하는 다른 단방향 발신기의 코드값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동오류로 처리하고, 유턴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If a code value of another unidirectional transmitter that deviates from the extracted path is received, processing as a moving error and extracting and outputting u-turn indication data;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어지는 추출 경로상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정확한 고유코드값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고유코드값과 함께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rrect unique code value from the one-way transmitter on the extraction path that follows, extrac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방향 표시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A method of deriving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direction display data through the display and the speaker. 지하철 역사의 통로 벽면에 부착되어 자체 고유코드를 일정주기마다 발생시키는 단방향 발신기와;A one-way transmitter which is attached to a wall of the passageway of the subway station and generates its own unique code every predetermined period; 각 지하철 역사내의 다수의 보행경로 데이터 및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되는 발신기의 고유코드, 각 경로별 방향표시데이터와 지하철 노선경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져 있으며, 지하철 목적역, 하차역 정보를 수신하고 다수개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해당 경로와 대비함으로써 출발역에서부터 환승역, 환승통로 안내정보 및 목적 하차역 도착신호를 음성 및 화면출력을 통해 발생하여 유저가 이동 및 하차,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A number of pedestrian route data in each subway station, unique code of the transmitter that matches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direction indication data for each route, and subway line route data are pre-stored. Mobile communic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get off, and transfer by generating a unique code value from the one-way transmitter and comparing it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by generating voice and screen outputs from the departure station to the transfer station, the transfer route guid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disembarkation station. Dest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코드를 발생하는 단방향 발신기를 통해 해당 지하철역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a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through a one-way transmitter that generates a unique co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환승 및 하차에 대한 알림신호로 벨소리, 진동, 음성, 화면출력을 통해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a ringtone, vibration, voice, and screen output as a notification signal for transfer and getting off.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 유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destination induction mod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목적지 유도모드로 전환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근의 단방향 발신기로부터 고유코드값을 인가받아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과;When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destination induction mode, receiving a unique code value from a nearby one-way transmitter to determine a current position; 현재 위치가 파악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출발역, 하차역을 입력하는 과정과;Inputting a starting station and a getting off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출발역, 하차역을 입력받으면, 내부의 경로유도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경로중에서 해당 출발 및 하차역을 포함한 노선경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starting station and the getting off station, extracting route route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departure and departure stations from a table stored in a memory by driving an internal route guidance algorithm; 그 상태에서, 지하철이 이동하는 노선의 각 정차역별에 구비된 발신기가 발신하는 고유코드값을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받아, 해당 지하철역을 판단하는 과정과;In this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unique code value sent by the transmitter provided for each station of the line on which the subway moves, and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상기 노선경로로 열차 이동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환승역에 부착된 발신기의 고유코드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ther a unique code of a transmitter attached to a transit station is applied while the train is moving along the route; 전송된 고유코드가 기저장된 환승역 고유코드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환승역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When the transmitted unique code is a previously stored transit station unique code, generating a transit station notification signal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환승을 위해 하차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환승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After getting off for the transfer,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route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the transfer station route induction table; 상기 경로데이터와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키면서, 환승열차에 탑승하도록 유도하는 과정과;Inducing a passenger to board a transfer train while output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route data; 환승열차에 탑승후, 상기 노선경로로 열차 이동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차역에 부착된 발신기의 고유코드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After boarding a transit train, determining whether a unique code of a transmitter attached to a discharging station is appli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train is moving along the route path; 전송된 고유코드가 기저장된 하차역 고유코드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차역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If the transmitted unique code is a previously stored drop-off station unique code, generating a drop-off station notification signal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차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하차역 경로유도 테이블중에서 해당 고유코드값을 포함한 경로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After getting off, extracting, by the mobile terminal, route data including a corresponding unique code value from a corresponding station departure guide table; 해당 경로데이터와 매칭된 방향표시 데이터를 출력시켜 하차역 출구로 유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A method of deriving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direction indication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data to guide the exit of the getting off st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하차역의 출구정보를 입력하여 환승역에서의 최적 환승위치로 경로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s exit information of the getting off station to induce a route to an optimal transfer position at the transfer st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하차역 이전역에서 자동으로 하차준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t to automatically generate a ready signal for getting off at a station before the getting off st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발신기는 그 내부에 건물 내부 각 입주사의 상호 및 해당 입주사의 대표 전화번호를 포함한 입주사 정보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one-way transmitter stores the tenant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each tenant in the building and a representative telephone number of the tenant in the building. 삭제delete
KR1020050010267A 2005-02-03 2005-02-03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811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67A KR100811078B1 (en) 2005-02-03 2005-02-03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67A KR100811078B1 (en) 2005-02-03 2005-02-03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75A KR20060089975A (en) 2006-08-10
KR100811078B1 true KR100811078B1 (en) 2008-03-06

Family

ID=3757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267A KR100811078B1 (en) 2005-02-03 2005-02-03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0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7B1 (en) * 2013-11-08 2015-06-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in the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0529A1 (en) * 2007-12-27 2009-07-02 Motorola, Inc. Emergency exit routing using wireless device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US8300560B2 (en) 2007-12-28 2012-10-30 Motorola Mobility Llc Using auxiliary information to direct users of wireless devices to safety in response to emergency alert system alerts
US8422987B2 (en) 2007-12-28 2013-04-16 Motorola Solutions, Inc. Prompting and directing users to safety during emergency situations
KR101017022B1 (en) * 2008-07-18 2011-02-23 한국교통연구원 The Intelligence Guidance Media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324120B2 (en) 2013-06-07 2016-04-26 Emergency Univers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response notification
KR20160089677A (en) 2015-01-20 2016-07-28 렉스젠(주)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802A (en) * 2003-06-11 200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802A (en) * 2003-06-11 200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7B1 (en) * 2013-11-08 2015-06-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in th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75A (en)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70B1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0811078B1 (en)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EP1302745B1 (en) Mobile terminal device using position information
JP2007037143A (en) Method of guiding user in environment, particularly in building
HK1055878A1 (en) Mobile communicating instrument for initiating service.
JP2005017027A (en) Escape guiding system and escape guiding method
KR100849944B1 (en) Subway message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which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2066357A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method and system employing three-dimensional location data
KR20060092020A (en)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80091429A (en)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JP7216138B2 (en) Electronics,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2001091293A (en) Guiding device
JP2001241964A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ication of destination position, portable radio terminal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erminal
KR101834826B1 (en)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JP2003244739A (en) Destination arrival guidance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KR100755500B1 (en) Method for notifying reserved of posi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loaded gps
JP4285857B2 (en) Information terminal
JP4191738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20010097444A (en) Calling method for neighboring vehicles using mobile telephone, telephone or internet
KR2010003325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rival time notification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587166B1 (en) Routing guide system and routing guide method for public traffic
KR100454970B1 (en) Method for searching facilities in a navigation system
KR20070001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by using gps in mobile phone
KR20090048097A (e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KR20120067411A (en) Automatic silent-mode turn-on device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