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123B1 -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123B1
KR101874123B1 KR1020120071414A KR20120071414A KR101874123B1 KR 101874123 B1 KR101874123 B1 KR 101874123B1 KR 1020120071414 A KR1020120071414 A KR 1020120071414A KR 20120071414 A KR20120071414 A KR 20120071414A KR 101874123 B1 KR101874123 B1 KR 10187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delete delete
unit
d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3277A (en
Inventor
이상훈
차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123B1/en
Publication of KR2014000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차량 및 이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위험 감지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상기 위험 감지부 또는 속도 감지부에서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이 감지되면, 임계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vehicle and a portable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ang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anger warning condition; A speed sensing unit for sensing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a mobile terminal existing within a critical range when a danger warning condition is detected by the danger detection unit or the speed detection unit.

Description

차량 및 이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0001]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pedestrian.

보행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끼고 있거나 기타 시끄러운 주변 환경으로 인해 차량의 경적 소리를 구별할 수 없는 경우,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여 차량과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이러한 충돌 사고를 우려하여 원활히 주행을 하지 못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If a pedestrian is wearing an earphone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r can not distinguish the horn sound of the vehicle due to other noisy surrounding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vehicle may occur due to the inability to recognize the danger in advance. In addition, the driver feels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travel smoothly because of such a collision.

또한,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는 굴곡져 있는 골목길에서 보행자가 보행 중이거나 혹은 건물을 끼고 있는 골목길 교차로에서 좌/우회전시 보이지 않는 쪽 도로에 보행자가 횡단 중일 때는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는 사전에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여 충돌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edestrian is walking on a curved alleyway where the visibility is not ensured, or when a pedestrian is crossing on a road that is not visible when the pedestrian is walking on an intersection at an alleyway crossing the building, the driver or the pedestrian Failure to do so may lead to a crash.

차량의 안전성 확보와 교통상태 모니터링 및 조절을 위한 텔레매틱스 분야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이미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일부 제공되고 있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기지국 등 인프라를 이용한 단순한 것으로 주로 교통 정보 수집 등으로 제한적인 것이어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사고 방지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The field of telematics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traffic condition has been actively studied mainly in the USA and Europe. However, some telematics services currently provided are simple ones using infrastructure such as base stations, and are limited to collection of traffic information, so that the prevention of collision between a pedestrian and a vehicle is not attain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끄러운 환경이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려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pedestrian by informing a pedestrian of a danger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noisy environment or visibility is not ensu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위험 감지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상기 위험 감지부 또는 속도 감지부에서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이 감지되면, 임계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ng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anger warning condition; A speed sensing unit for sensing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a mobile terminal existing within a critical range when a danger warning condition is detected by the danger detection unit or the speed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 alert signal received from a vehicl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a warning signal when the warning signal is received.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중인 차량에서 경적이 울릴 때 동시에 무선으로 경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보행자는 소지중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주행 사실을 인지하도록 하여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rning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wirelessly when a horn sounds in a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o that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vehicle is running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being held,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구간에서 사고 예방 차원에서 사전에 경적 대신 무선으로 경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보행자에게 미리 경고를 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rning signals are sent in advance in advance of radio signals instead of horn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in a dangerous period, so that pedestrians can be warned in advance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경적을 사용할 경우 소음이 유발되지만,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경고가 제공된다면 소음이 억제되는 효과도 발생한다.When a horn is used, noise is generated. However, when a warning is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noise is also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venting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되며, 경적 확인부(110), 위치 확인부(120), 속도 확인부(130), 위험 감지부(140), 무선 통신 모듈(150)을 포함한다.1, a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includes a horn confirmation unit 110,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0, a speed check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경적 확인부(110)는 차량의 경적이 울리는지를 확인한다.The horn confirmation unit 110 confirms whether the horn of the vehicle sounds.

위치 확인부(120)는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 확인부(120)는 글로벌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position check unit 120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속도 확인부(130)는 차량의 속도를 확인한다. 속도 확인부(130)는 글로벌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차량의 속도를 확인할 수도 있고, 차량의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speed check unit 130 confirms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peed check unit 130 may check the speed of the vehicl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speed measuring device of the vehicle.

위험 감지부(14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을 감지한다.The danger detection unit 140 detects a situation requiring a danger warning.

무선 통신 모듈(15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액세스 규격(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 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for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U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Access for Vehicle Environment Vehicular Environment (WAVE), etc. may be used.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에서 무선 통신 모듈(150)는 차량의 주위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In a situation where a danger warning is requir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round the vehicle.

특히, 응답 속도가 느린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실시간 위험 정보 전송이 필요한 상황에 대처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연결 또한 보장되기 힘들다. 따라서, 차량과 보행자 단말간 직접 통신을 통해 100msec 이내의 응답 속도를 가지는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될 필요성도 생긴다. 이를 만족시키는 통신 기술로 WAVE (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 기술이 미국 주도로 차량간 통신의 표준 규격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WAVE 통신을 차량 대 보행자간 안전 서비스 기술로 응용하여 보행자 충돌 사고를 방지한다.In particular,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a slow response speed is use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situations in which real-time risk information transmission is required, and reliable network connection is also difficult to be guarante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pply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ing a response speed within 100 msec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terminal. WAVE (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 technology is being standardized by the United States as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satisfies this standar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WAVE communication is applied as a vehicle-to-pedestrian safety service technology to prevent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출력부(210), 무선 통신 모듈(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2,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and a control unit 250.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셀룰러 휴대폰(Cellular Mobile Phone) 또는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Portable Media Player) 등 일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may be a cellular mobile phone or a portable media player

출력부(21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11), 음향 출력 모듈(212), 햅틱 모듈(haptic module)(2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1, an acoustic output module 212, and a haptic module 213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디스플레이부(211)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처리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1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2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1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3D display.

음향 출력 모듈(21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 모듈(24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12)은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수행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12 can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or stored in the memory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21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햅틱 모듈(21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1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213)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21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21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13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13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21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 vibrations.

무선 통신 모듈(24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240)은 충돌 사고 방지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150)과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을 따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follow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100.

제어부(25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00.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 사고 방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경적 확인부(110)는 차량의 경적이 울리는지를 확인한다(S101).First, the horn confirmation unit 110 confirms whether the horn of the vehicle sounds (S101).

위치 확인부(120)는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다(S103). 위치 확인부(120)는 글로벌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firming unit 120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103).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속도 확인부(130)는 차량의 속도를 확인한다(S105). 속도 확인부(130)는 글로벌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차량의 속도를 확인할 수도 있고, 차량의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speed check unit 130 confirms the speed of the vehicle (S105). The speed check unit 130 may check the speed of the vehicl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speed measuring device of the vehicle.

위험 감지부(14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을 감지한다(S107). The danger detection unit 140 detects a situation requiring a danger warning (S107).

일 실시예에서, 경적 확인부(110)가 차량의 경적의 울림을 확인하면, 위험 감지부(14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horn confirmation unit 110 confirms the sound of the horn of the vehicle, the danger detection unit 140 may recognize that a danger warning is necessary.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속도 확인부(130)에 의해 확인된 차량의 위치가 인사 사고 위험 지역으로 등록된 지역이면, 위험 감지부(14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dentified by the speed check unit 130 is the area registered as a personnel accident hazard area, the danger detection unit 140 may recognize that a danger warning is necessary.

무선 통신 모듈(15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위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S109). 경고 신호는 휴대용 단말 장치가 경고를 출력하게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0)는 위험 경고가 필요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위의 일정 커버리지 내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 경고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round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a danger warning is required (S109). The warning signal may be a signal that causes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o output a warn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can broadcast a warning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in a certain coverage around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a danger warning is required.

일 실시예에서, 이 커버리지의 크기는 차량의 속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컨데, 차량의 속도가 클수록 커버리지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클수록 무선 통신 모듈(150)는 경고 신호의 출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커버리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리지의 크기는 차량의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경고 신호의 출력의 크기는 차량의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is coverage may be related to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larger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coverage.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warning signal and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coverage. The size of the coverage can be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warning signal may be proportional to the vehicle speed.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 모듈(240)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충돌 사고 방지 장치(100)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한다(S201).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warning signal from the collision avoiding apparatus 100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S201).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출력부(21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S203).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음향 출력 모듈(212)을 통해 경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213)을 통해 경고 진동과 같은 경고 촉각을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warning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250 outputs a warning through the output unit 210 (S203).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50 may output a warning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11. [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50 may output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212. [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250 may output a warning tactile, such as an alert vibration, via a haptic module 213. [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18)

차량의 경적 발생을 감지하는 경적 확인부;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확인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확인부;
상기 경적 확인부 또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되는 상기 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위험 감지부;
상기 위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임계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위험 경고 발생 조건은
상기 차량의 경적이 울리는 경우 또는 상기 감지된 차량의 위치가 사고 위험 지역으로 등록된 지역인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속도 확인부에서 확인된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의 출력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클수록 상기 위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임계 범위가 증가하는 차량.
A horn confirmation unit for detecting occurrence of a horn of the vehicle;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vehicle;
A speed check unit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dang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anger warn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identified by the horn confirmation unit or the position confirm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risk sensing unit to a mobile terminal existing within a critical range,
The danger warn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 case where the horn of the vehicle sounds or a case wher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vehicle is an area registered as an accident dangerous area,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etermines an output size of the warn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dentified by the speed check unit and increases the critical rang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anger sensing unit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확인부는
차량 내 속도 측정 장치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감지된 정보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A vehicle that confirms the speed of the vehicle with information detected from an in-vehicle speed measuring device o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확인부가 상기 GPS로부터 감지된 정보로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위험 감지부는 상기 속도 확인부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speed check unit confirms the speed of the vehicle with the information sensed from the GPS, the risk sensing unit sens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the speed check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1414A 2012-06-29 2012-06-29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KR101874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414A KR101874123B1 (en) 2012-06-29 2012-06-29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414A KR101874123B1 (en) 2012-06-29 2012-06-29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77A KR20140003277A (en) 2014-01-09
KR101874123B1 true KR101874123B1 (en) 2018-07-03

Family

ID=5013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414A KR101874123B1 (en) 2012-06-29 2012-06-29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1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145A (en) 2016-12-12 2018-06-20 양예슬 System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KR102458584B1 (en) 2020-10-16 2022-11-09 이응창 Safety lift for high work
KR20220058001A (en) * 2020-10-30 2022-05-09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Method for supporting safety of pedestrian using cameras of vehicle and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of pedestrian using cameras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829A (en) * 2003-03-11 2004-09-30 Denso Corp Pedestrian collision risk determining device for vehicle
JP2007320472A (en) * 2006-06-02 2007-12-13 Yamaha Corp Automobile warning sound producing device
JP2011253403A (en) * 2010-06-03 2011-12-15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pedestrian and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829A (en) * 2003-03-11 2004-09-30 Denso Corp Pedestrian collision risk determining device for vehicle
JP2007320472A (en) * 2006-06-02 2007-12-13 Yamaha Corp Automobile warning sound producing device
JP2011253403A (en) * 2010-06-03 2011-12-15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pedestrian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77A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6746B2 (en) Driver notification system,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46455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in-vehicle electronic devices
KR102027921B1 (en)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in the same
JP2012048537A (en) Vehicle approach notification system
JPWO2014054151A1 (en) I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JP200806680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JP2015177370A (en)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JP645129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3033324A (en) Surrounding vehicle information notifying device
KR20180059663A (en) Traffic signal system for notifying approaching of emergency vehicle
US11412080B2 (en) GNSS phone-based automated emergency assistance calling for vehicular applications
KR101855301B1 (en) Vehicle entry alarm system in traffic-walking dangerous zon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719976B1 (en) Situational adaptive highway alarm system
JP2006323666A (en) Pedestrian running-out alarm system
KR101874123B1 (en)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US20060176190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JP2015053084A (en) Surrounding vehicle information notifying device
JP2008257582A (en) Driving support device
JP2018055286A (en) Road-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180372864A1 (en) Method for Broadcasting a User's Location to Vehicle Operator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JP2007257302A (en) Pedestria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2012178127A (en) Attention calling system and attention calling device
JP7313806B2 (en) Pedestrian device, vehicle-mounted device, inter-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and safety confirmation support method
JP2009015587A (en) Risk determination system and risk determination method
KR1013497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car accident cri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