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87A -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87A
KR20130120287A KR1020120043426A KR20120043426A KR20130120287A KR 20130120287 A KR20130120287 A KR 20130120287A KR 1020120043426 A KR1020120043426 A KR 1020120043426A KR 20120043426 A KR20120043426 A KR 20120043426A KR 20130120287 A KR20130120287 A KR 2013012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terminal device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to KR102012004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87A/ko
Priority to US14/389,742 priority patent/US20150049607A1/en
Priority to PCT/KR2013/003301 priority patent/WO2013162210A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on of Policy for the Network Traffic Reduction of Wireless Terminal Device Exceeded Data Traffic Usage}
본 발명은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망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도면 1의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후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며,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2020년에 1GB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에서 수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 한도 초과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접속 트래픽을 유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도면 2와 같은 상황은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접속 트래픽을 끊임없이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통신 네트워크 망의 과부하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혼잡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막대한 비용소모와 무선단말정치 사용자들의 서비스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이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제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정체 해소를 통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환경 개선과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확인부가 더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함에 따라, 무선단말장치 단에서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통신지연 등에 따른 무선단말장치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무선단말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정책서버(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이 통신서버(200) 및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실시방법 및 통신망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서버(2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의 핵심 구성인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3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무선단말장치(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 데이터 통신 중계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 초과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과 확인결과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경우,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서버(200)는 지능망을 통해 데이터 한도초과를 확인한 후, 가입자 정보 서버(무선단말장치(300)의 IMEI정보, 가입자 단말정보, 요금제 가입/해지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200)는 상기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여부를 가입자 정보 서버 등을 통해 확인한 후, 확인결과,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경우,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는 통신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며, 정책 에이젼트를 구비하여, 정책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와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통해 무선단말장치(300)내 구비된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또는 백그라운드 호 접속 등)을 자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미리 저장하고, 데이터 한도 초과에 따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실행할 때,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상의 정책서버(1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와, 저장매체(130)와, 통신부(140)와, 확인부(150)와, 처리부(160)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책서버(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2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20)는,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 외,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매체(130) 내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는, 무선단말장치(300) 고유번호와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는 각각의 에이전트 고유 아이디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매체(13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30)는 정책서버(100)가 아닌 제3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서버(2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부(14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송수신 역할을 더 수행한다.
예를들면,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150)는, 상기 통신부(140)가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160)는,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160)는,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과,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 및 차단해제 정책정보(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백그라운드 호접속 차단 정책정보 등)를 실행함에 따라 정책 적용 전과 후의 무선단말장치(300)에서의 트래픽 감소효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를 통해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한다(S61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정책 에이전트가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저장하도록 한다(S620).
상기 (S610)과정과 (S620)과정은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단말장치(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400) 간 데이터 통신 중계 처리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초과 여부를 판별한다(S630).
(S630)과정에서 상기 통신서버(200)는, 지능망을 통해 데이터 한도초과를 확인한 후, 가입자 정보 서버(무선단말장치(300)의 IMEI정보, 가입자 단말정보, 요금제 가입/해지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S630)과정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경우(S640),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650).
(S630)과정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초과되지 않은 경우(S660), 통신서버(200)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67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68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69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여부를 확인한다(S710).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은 데이터 한도 복원 기간을 확인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가 데이터 요금을 추가로 납부하여 데이터 복원을 요청한 정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710)과정에서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경우(S720),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730).
상기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74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75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760).
100 : 정책서버 200 : 통신서버
300 : 무선단말장치 4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저장매체 140 : 통신부
150 : 확인부 160 : 처리부

Claims (7)

  1.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확인부가 더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5.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7. 제 5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43426A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20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26A KR20130120287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14/389,742 US20150049607A1 (en) 2012-04-25 2013-04-18 Method of managing policy for reducing network load of wireless terminal exceeding data limi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CT/KR2013/003301 WO2013162210A1 (ko) 2012-04-25 2013-04-18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26A KR20130120287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87A true KR20130120287A (ko) 2013-11-04

Family

ID=494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426A KR20130120287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49607A1 (ko)
KR (1) KR20130120287A (ko)
WO (1) WO2013162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368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적 네트워크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94B1 (ko) * 2003-12-18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100882354B1 (ko) * 2006-12-01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랫폼 무결성 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증 장치 및 방법
EP2274942B1 (en) * 2008-05-07 2014-10-01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enabling bandwidth management for mobile content delivery
US9578182B2 (en) * 2009-01-28 2017-02-21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KR101107094B1 (ko) * 2010-05-18 2012-01-30 웨이브솔루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798580B2 (en) * 2010-09-21 2014-08-05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services on a wireless terminal
US8839350B1 (en) * 2012-01-25 2014-09-16 Symantec Corporation Sending out-of-band notif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9607A1 (en) 2015-02-19
WO2013162210A1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7343B (zh) 一种寻呼管理方法、网络数据分析功能及网络侧设备
KR20120025337A (ko) 데이터 이용 서비스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CN108370497B (zh) 无线回传的实现方法、装置及基站
JP6082592B2 (ja) C−ranシステム、rrh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066333A1 (e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983281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iming control apparatus,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tim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2819451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ntrol apparatus, network optimization methods,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KR20130120287A (ko)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70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20291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094367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KR20130120292A (ko)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40267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N105323848B (zh) 数据通道控制方法、装置及服务器
KR20130140273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7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40269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094369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5004363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40271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101809235B1 (ko) 무선 중계 장치의 혼잡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0277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40274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6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75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