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794B1 -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794B1
KR100545794B1 KR1020030093481A KR20030093481A KR100545794B1 KR 100545794 B1 KR100545794 B1 KR 100545794B1 KR 1020030093481 A KR1020030093481 A KR 1020030093481A KR 20030093481 A KR20030093481 A KR 20030093481A KR 100545794 B1 KR100545794 B1 KR 10054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network
applicatio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902A (ko
Inventor
정일모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7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시 및 분석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로, 상기 단말시스템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감시 및 분석에 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감시 설정부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정보를 감시하는 애플리케이션 감시부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및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를 감시하는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감시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 저장부 및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실시간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감시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시스템의 사용자 스스로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자원 사용량,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등에 대한 분석 내용을 손쉽게 보고 받을 수 있고, 각 애플리케이션간의 성능 비교를 통해 보다 성능이 우수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단말시스템, 네트워크,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감시

Description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NETWORK MONITORING AND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THE END US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와 단말시스템과의 연결관계 및 동작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11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 : 감시 설정부 13 :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14 :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 15 : 감시정보 저장부
16 : 감시정보 분석부 17 : 보고서 생성부
본 발명은 단말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면, 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시스템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을 감시 기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한 반응속도, 다운속도 등의 각종 정보를 감시 기록하며, 상기 감시 기록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단말시스템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PC까지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전체 네트워크의 단말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보급되고, 심지어는 사용자가 자신의 시스템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중복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단말시스템의 개별 사용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사용 패턴을 파악하고, 자신의 네트워크 사용 패턴에 가장 적합하며 자신의 단말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CPU, 메모리(RAM) 등의 시스템 자원과, 네트워크 사용량 등의 네트워크 자원 등을 분석하는 시스템이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분석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선택사항이 존재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분석 시스템은 주로, 망 사업자들이 자신의 사업망에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경험하는 망 품질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개인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을 분석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의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여 단말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들의 시스템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을 감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시 및 분석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로,
상기 단말시스템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감시 및 분석에 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감시 설정부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정보를 감시하는 애플리케이션 감시부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및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를 감시하는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감시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 저장부 및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실시간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감시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시설정부는, 네트워크 감시 주기 설정, 감시 대상 웹사이트 설정,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설정, 감시정보 분석 방법 설정을 포함하는 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한 명칭, 주소 및 경로를 기록하며,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실시간 감시정보 및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정보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접속사이트 별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에서 실시간 감시되는 상기 시스템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이 소정값 이상 급증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시 및 분석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네트워크 감시 주기, 감시 대상 웹사이트,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감시정보 분석 방법을 포함하는 선택 사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사용자의 감시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 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감시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상기 단말시스템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감시 및 분석에 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감시 설정부(12)와,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정보를 감 시하는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와,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및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를 감시하는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의 감시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 저장부(15)와,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15)에 저장된 감시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의 실시간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감시정보 분석부(16) 및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보고서 생성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는 사용자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장치(1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시스템이 다중 사용자를 위한 시스템인 경우에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네트워크 감시에 필요한 각종 선택사항들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 분석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감시장치(10) 내에서 분석된 감시 분석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감시 설정부(12)는 네트워크 감시 주기 설정, 감시 대상 웹사이트 설정,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설정, 감시정보 분석 방법 설정 등을 포함하는 선택사항을 설정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감시 설정부(12) 내의 선택사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시설정부(12)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계속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감시 주기를 설정하거나, 소정 시간동안에만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 감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사이트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 경우 감시를 중단할 수 있도록 감시 대상 웹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별로 감시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과 그렇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하여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시가 이루어진 기록의 분석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계학에서 알려진 여러 가지 분석 방법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는,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정보를 감시한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는,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네트워크 감시 주기, 감시 대상 웹사이트,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감시할 수 있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웹브라우저가 있다. 웹브라우저의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애 플리케이션 감시부(13)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웹사이트의 명칭, 주소 및 경로를 기록하며, 접속한 사이트의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 등을 사용 시간대별로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에 의해 감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감시정보 저장부(15)에 기록 저장되며, 실시간 감시정보를 감시정보 분석부(1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는 상기 감시 설정부(12)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및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를 감시한다.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단말시스템 내의 CPU 및 메모리(RAM) 등의 시스템 자원의 사용량을 시간대 별로 감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을 시간대 별로 감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는, 실시간 감시되는 상기 시스템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이 소정값 이상 급증할 경우 이를 감시정보 분석부(16)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단말시스템에 악성 바이러스가 침투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악성 바이러스가 단말시스템에 침투하면, 다량의 사용자 파일을 변형시키거나, 다량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시키는 패턴을 갖는다. 이와 같은 악성 바이러스의 패턴은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사용량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을 단시간에 급증시키게 되는데,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 부(14)는 이를 감시하여 감시정보 분석부(16)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감시정보 분석부(16)는 바이러스 침투 경보를 단말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의 감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감시정보 분석부(16)에 전달됨과 동시에 감시정보 저장부(15)에 기록 저장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는 단말시스템 내의 시스템 이벤트 로그(event log)를 감시한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사용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 및 에러 등에 대한 로그를 자체적으로 보관하기도 하지만, 단말시스템 전체의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감시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저장하는 이벤트 로그 및 에러메세지 등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1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에 의해 각각 수행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감시정보 및 시스템/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에 대한 감시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15)는 감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저장 물리 매체일 수 있다.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는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분석방법에 대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15)에 저장된 감시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13)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의 실시간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는,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별, 사용 시간대별, 사용 시간별, 접속사이트별로 통계학에서 알려진 여러 가지 분석 방법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별 분석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하는 애플리케이션간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성능이 우수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는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14)에 의해 실시간 감시되는 상기 시스템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이 소정값 이상 급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즉시 단말시스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이 소정값 이상 급증하는 경우는, 단말시스템에 악성 바이러스가 침투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는 바이러스 침투 경보를 즉시 단말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악성 바이러스로 인한 단말시스템의 치명적인 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악성 바이러스의 확산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고서 생성부(17)는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소정 양식은 사용자가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16)의 분석 결과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그래프 또는 표 형식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와 단말시스템과의 연결관계 및 동작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시스템(20) 내의 애플리케이션(21)이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22), 장비 드라이버(23)를 거쳐 네트워크 장비(26)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하여 동작하면(A1),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네트워크 장비(26)의 작동을 감시하여 애플리케이션(21)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감지한다(A2).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 역시 API(22) 및 드라이버(23)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26)를 감시한다. 이어,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감지된 애플리케이션(21)을 식별한다(A3).
이어,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21)에 대한 각종 감시를 시작한다.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API(22) 및 드라이버(23) 통해 CPU(24) 및 메모리(25) 등의 시스템 자원의 사용량을 감시 기록하며(A4, A5), API(22) 및 드라이버(23) 통해 네트워크 장비(26)에서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을 감시 기록한다(A2).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으로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을 감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API(22), 드라이버(23)를 거쳐 네트워크 장비(26)를 통해 네트워크(30)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한 사이트의 명칭, 주소 및 경로, 접속한 사이트의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 파일 다 운 시간 등을 감시한다(A7).
또한, 상기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는, API(22)를 통해 시스템 이벤트 로그(27)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이벤트 로그(event log)에 기록된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로그 및 에러메세지 등을 감시를 감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에 따른 시스템/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접속하는 사이트에 따른 다양한 정보 등을 감시 기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간의 비교를 통해, 보다 우수한 성능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악성 바이러스 등의 침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의 일실시형태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이 시작되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감시를 중단하는 명령을 받았는지 확인한다(S31). 사용자가 네트워크 감시를 중단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종료되며(S39),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 설정된 감시주기에 따라, 또는 감시에 따른 부하를 줄이기 위해 일정시간 대기할 수 있다(S32).
이어, 대기하는 중에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 한다(S33). 확인 결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시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감시를 중단하는 명령을 받았는지 확인하여(S31), 네트워크 감시를 종료하거나(S39) 계속 대기하며(S32)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3).
이어, 네트워크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S34).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은,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가 네트워크 장비(26)의 작동을 감시하여 애플리케이션(21)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A2)에 해당하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것은, 도 2에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10)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감지된 애플리케이션(21)을 식별하는 것(A3)에 해당한다.
이어,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를 감시 기록하며(S35)(도 2의 A7),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을 감시 기록하며(S36)(도 2의 A4, A5 및 A2),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감시 기록한다(S37)(도 2의 A6). 이와 같은 감시는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됨이 확인될 때까지 계속된다(S38).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정보를 감시 기록하는 단계(S35)는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한 명칭, 주소 및 경로,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감시 기록하는 단계이다.
이어,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됨이 확인되면(S38), 다시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사용 감시를 중단하는 명령을 받았는지 확인하여(S31), 위 과정들을 반복하거나 네트워크 사용 감시를 종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네트워크 감시 주기, 감시 대상 웹사이트,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감시정보 분석 방법을 포함하는 선택 사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사항을 설정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일정한 처리를 수행하는 중에도 별도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를 감시 기록하고(S35),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을 감시 기록하고(S36),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감시 기록한 이후(S37), 그 감시 기록에 대한 사용자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접속사이트 별로 분석하는 단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은, 상기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을 감시 기록하는 단계(S36)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이 소정값이상 급증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감시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말시스템의 사용자 스스로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자원 사용량,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등에 대한 분석 내용을 손쉽게 보고 받을 수 있고, 각 애플리케이션간의 성능 비교를 통해 보다 성능이 우수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에 대한 여러 설정 변경 등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사용 분석함으로써, 단말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악성 바이러스 등의 침투를 초기에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단말시스템의 보호 및 악성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시 및 분석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로,
    상기 단말시스템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감시 및 분석에 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감시 설정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정보를 감시하는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단말시스템의 시스템 자원, 네트워크 자원 및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를 감시하는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감시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 저장부; 및
    상기 감시 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택사항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실시간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감시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설정부는,
    네트워크 감시 주기 설정, 감시 대상 웹사이트 설정,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설정, 감시정보 분석 방법 설정을 포함하는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한 명칭, 주소 및 경로를 기록하며,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감시부 및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의 실시간 감시정보 및 상기 감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정보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접속사이트 별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 분석부는,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감시부에서 실시간 감시되는 상기 시스템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이 소정값 이상 급증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7.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시 및 분석하는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감시 주기, 감시 대상 웹사이트, 감시 대상 애플리케이션, 감시정 보 분석 방법을 포함하는 선택 사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시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접속사이트 별로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이 소정값이상 급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한 명칭, 주소 및 경로, 대표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 유형,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크기, 반응시간, 방문페이지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사용 감시 방법.
  13.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시스템 자원 사용량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해 네트워크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
    사용자의 감시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시스템 내 네트워크 자원 사용량 및 시스템자원 사용량, 상기 단말시스템 내의 이벤트 로그에 대한 감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감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소정 양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93481A 2003-12-18 2003-12-18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10054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81A KR100545794B1 (ko) 2003-12-18 2003-12-18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81A KR100545794B1 (ko) 2003-12-18 2003-12-18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02A KR20050061902A (ko) 2005-06-23
KR100545794B1 true KR100545794B1 (ko) 2006-01-24

Family

ID=3725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81A KR100545794B1 (ko) 2003-12-18 2003-12-18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61B1 (ko) * 2013-08-05 2014-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31B1 (ko) * 2007-11-02 2009-07-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로그 필터링을 통한 장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장치를 이용한 장애 감지 시스템
US9344335B2 (en) 2011-09-09 2016-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communication and cost awareness
KR20130094369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094367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KR20130094368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적 네트워크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094370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무선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00390A (ko) * 2012-03-01 2013-09-11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무선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07852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폴링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07857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폴링 제어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폴링 제어 방법과 기록매체
KR20130107867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폴링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20287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20291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40021772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이벤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패킷 패턴 검출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40021771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애플리케이션 검출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40021773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패킷 차단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패킷 패턴 검출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US9998536B2 (en) 2013-05-29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ered network synchron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61B1 (ko) * 2013-08-05 2014-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0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794B1 (ko)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US79340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formance of distributed applications
US8510430B2 (en) Intelligent performance monitoring based on resource threshold
US8166123B2 (en) Computer system tools and method for development and testing
US10904112B2 (en) Automatic capture of detailed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remote server analysis
US20080133749A1 (en) Server resource management, analysis, and intrusion negation
US20050246434A1 (en) Services for capturing and modeling computer usage
US20170147466A1 (en) Monitoring activity on a computer
JP4908131B2 (ja) 非即時処理存在可能性の表示処理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方法
US20160226728A1 (en) Automatic capture of detailed analysis information for web application outliers with very low overhead
CN111539775B (zh) 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设备
US20080282115A1 (en) Client-server text messaging monitoring for remote computer management
WO2021129335A1 (zh) 操作监控方法及装置、操作分析方法及装置
WO2017074471A1 (en) Tracking contention in a distributed business transaction
KR20170056876A (ko) 로그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보안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477490B2 (en) Milestone based dynamic multiple watchdog timeouts and early failure detection
CN113626882A (zh) 一种生成设备标识符的方法、装置、介质
CN111294257B (zh) 应用服务器自动压力测试的方法、装置和系统
JP4443200B2 (ja) 情報システム
CN104219219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服务器及系统
US6856943B2 (en) User perception tool
US20170223136A1 (en) Any Web Page Reporting and Capture
JPH11272613A (ja) 利用者認証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並びに上記方法を用いる利用者認証システム
CN115051867A (zh) 一种非法外联行为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598622A (zh) 数据监控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