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367A -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367A
KR20130094367A KR1020120014422A KR20120014422A KR20130094367A KR 20130094367 A KR20130094367 A KR 20130094367A KR 1020120014422 A KR1020120014422 A KR 1020120014422A KR 20120014422 A KR20120014422 A KR 20120014422A KR 20130094367 A KR20130094367 A KR 2013009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olicy information
network
policy
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to KR102012001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367A/ko
Priority to PCT/KR2013/001055 priority patent/WO2013122359A1/ko
Priority to US14/347,563 priority patent/US20140226489A1/en
Publication of KR2013009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6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 H04L47/76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rigger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책 저장부와,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1차 확인하고,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2차 확인하고, 2차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3차 확인하는 정책 확인부와, 상기 정책 확인부를 통한 3차 확인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Network Traffic Reduction Function Embedded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the Network Traffic Reduc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도면 1의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후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며,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2020년에 1GB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으로는 크게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이용에 따른 혼잡과, 경기장, 지하철 등 한정된 지역에 수 많은 무선단말장치가 몰리는 경우에 따른 혼잡과,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혼잡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혼잡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막대한 비용소모와 무선단말정치 사용자들의 서비스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이용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이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 상의 정책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책정보를 통해 무선단말장치 단에서 직접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제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정체 해소를 통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환경 개선과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와 이동통신 사업자 간 합리적인 협의 채널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책 저장부와,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1차 확인하고,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2차 확인하고, 2차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3차 확인하는 정책 확인부와, 상기 정책 확인부를 통한 3차 확인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는, 상기 저장영역 상에 저장된 정책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갱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책 확인부는,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정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한 후, 크기 또는 용량 제한이 초과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이용 환경은, 네트워크 접속 횟수와, 네트워크 접속 시간과, 데이터 전송 횟수와, 데이터 수신 횟수와, 전송 데이터 용량과, 수신 데이터 용량과, 데이터 전송 시간과, 데이터 수신 시간과, 접속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접속 차단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데이터 통신 한도와, 네트워크 부하량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와, 정책 확인부와, 처리부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셋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장치는, 스마트폰과, 휴대폰과, 태블릿PC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영역 상에 저장된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요청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푸쉬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결과, 데이터의 크기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와 현재까지 이용한 데이터 통신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가 초과된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로 인한 통신 지연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와,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의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별로 네트워크 부하를 가져오는 불필요한 실행을 정책적으로 차단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무선단말장치 단에서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통신지연 등에 따른 무선단말장치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무선단말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패턴정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이동통신 사업자간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협의가 용이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모바일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정책정보 적용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에서의 정책정보 적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100)가 정책서버(2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정책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100)와 정책서버(200) 및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서버들 간 구성은 통신망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100)는 상기 정책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140)에 저장한 후,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된 정책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140)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은 네트워크 접속 횟수와, 네트워크 접속 시간과, 데이터 전송 횟수와, 데이터 수신 횟수와, 전송 데이터 용량과, 수신 데이터 용량과, 데이터 전송 시간과, 데이터 수신 시간과, 접속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접속 차단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데이터 통신 한도와, 네트워크 부하량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장치(100)는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정보를 상기 정책서버(200)나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텔레메틱스 등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책서버(200)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이용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생성한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와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구성 상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1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100)는, 정책 수신부(120)와, 정책 저장부(130)와, 저장영역(140)과, 정책 확인부(150)와, 처리부(160)와, 갱신부(170)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책 수신부(120)는, 상기 정책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정책 저장부(130)는, 상기 수신부(120)가 수신한 정책정보를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책 수신부(120)와 정책 저장부(130)는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된 정책정보의 변경 내지 신규 정책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된 정책정보를 갱신 또는 업그레이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영역(140)은, 상기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되는 정책정보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로 분류 및 상호 연결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장치(100) 내 메모리나 네트우워크 저감용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영역 또는 IC칩 또는 USIM칩 등이 저장영역(14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정책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영역(140) 상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1차 확인하고,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2차 확인하고, 2차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3차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 확인부(150)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별 고유 코드나 명칭 등을 매칭하여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책 확인부(150)는,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정책 정보를 요청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160)는, 상기 정책 확인부(150)를 통한 3차 확인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140)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한 후, 크기 또는 용량 제한이 초과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160)는 정책정보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며, 상기 처리부(160)를 통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의 적용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예를들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xml version “1.0” encoding=“UTF-8”?>
<policy>
<description> Rules for block app </description>
<rule>
<rule_id> T_2012_B_02_103030_P2 </rule_id>
<rule_act> B_03_P_01 </rule_act>
<app_id> T_2012_A_08_2089_K2_09_3092 </app_id>
<target_ip> 192.168.0.255 </target_ip>
<port> 80 </port>
<refresh> 30 sec </refresh>
</rule>
<sign>e5c6e5ccec361baebcf79859e49c5526</sign>
</policy>
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책정보 중, “<rule_id> T_2012_B_02_103030_P2 </rule_id>”는 정책 값을 정의하는 것으로, 2012년도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차단 정책(B02)이며, 정책 관리자의 권한은 103030, 정책 적용 Priority는 P2 레벨임을 명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rule_id> T_2012_B_02_103030_P2 </rule_id>”는 2012년도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폴링 정책(P02)으로 이용되는 “<rule_id> T_2012_P_02_103030_P2 </rule_id>”으로 대체되거나, 2012년도 애플리케이션네트워크 루프백 정책(L05)으로 이용되며, 정책 관리자의 권한은 103030, 정책 적용 Priority는 P3 레벨임을 명시되는 “<rule_id> T_2012_L_05_103030_P3 </rule_id>”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rule_act> B_03_P_01 </rule_act>”는 정책 적용 수행 방식이 즉시 적용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으며, “<app_id> T_2012_A_08_2089_K2_09_3092 </app_id>”는 정책 적용 애플리케이션 아이디(ID)가 “A_08_2089_K2” 에서 “09_3092”까지를 의미하고, 정책 적용 애플리케이션 마스크 값이 K2임을 의미한다.
또한, “ <sign>e5c6e5ccec361baebcf79859e49c5526</sign>”는 정책 문서가 네트워크를 타고 오면서 위변조 되지 않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정책정보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값이며, “<target_ip> 192.168.0.255 </target_ip>”과, “<port> 80 </port>”는 차단(루프백 등의 기능)하고자 하는 IP는 192.168.0.255이며 포트는 80임을 의미한다.
또한, “ <refresh> 30 sec </refresh>”는 refresh timeout을 30sec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해당 패킷에 대한 proxy/cache 서버를 활용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100)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요청 패킷을 프록시/캐시 서버로 30sec마다 전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100)에서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forwarding 하는 방법과, DNS 서버에 해당 우회 정보를 등록하거나, 또는 특정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동적/정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100)를 활용한 무조건적인 포워딩(우회) 방법은 고질적인 악성 서비스/패킷에 대한 blacklisting 정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정책정보가 상기와 같은 정의를 지닌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처리부(160)는, “<rule_id> T_2012_B_02_103030_P2 </rule_id>”를 근거로, 2012년도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차단 정책임을 인지하고, “<rule_act> B_03_P_01 </rule_act>”에 따라 정책 적용 수행 방식이 즉시 적용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app_id> T_2012_A_08_2089_K2_09_3092 </app_id>”를 근거로 정책 적용 애플리케이션 아이디(ID)가 “A_08_2089_K2” 에서 “09_3092”인 것을 인지하고, 정책 적용 애플리케이션 마스크 값이 K2임을 인지하고, “<sign>e5c6e5ccec361baebcf79859e49c5526</sign>”를 근거로 정책 문서가 네트워크를 타고 오면서 위변조 되지 않았는지를 체크하고, “<target_ip> 192.168.0.255 </target_ip>”과, “<port> 80 </port>”를 근거로 차단(루프백 등의 기능)하고자 하는 IP는 192.168.0.255이며 포트는 80임을 인지하고, “<refresh> 30 sec </refresh>”을 통해 refresh timeout을 30sec로 설정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된 처리부(160)를 통한 처리 사례는 단순히 일실시예일 뿐, 정책의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갱신부(170)는,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140) 상에 기 저장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의 업그레이드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200)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정책정보 적용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Keep-Alive상태를 유지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자체를 제어하는 정책으로 설정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하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잦은 폴링(Polling)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폴링횟수나 폴링 주기를 제어하는 정책으로 설정되어 애플리케이션의 폴링 횟수나 주기를 제어하도록 하며,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한도가 만료된 경우, 트래픽 시도 자체가 무의미한 것으로 인지하여,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백그라운드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는 정책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차단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10분 주기로 백그라운드 호접속 차단 정책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에 대응하여 정책 적용에 따른 네트워크 이용 환경 제어 전과 후의 무선단말장치(100)에서의 트래픽 감소효과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100)에서의 정책정보 적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무선단말장치(100)는 정책 수신부(12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정책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한 후, 정책 저장부(13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수신한 정책정보를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한다(S710).
이후, 무선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S715).
상기 (S715)과정은 생략 가능하며, 상기 (S710)과정과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이후, 무선단말장치(100)는 정책 확인부(15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를 확인한다(S720).
만약, (S720)과정에서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S725), 무선단말장치(100)는 상기 정책 서버로 정책정보를 요청하고, 정책 수신부(12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정책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한 후, 정책 저장부(13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수신한 정책정보를 저장영역(140) 상에 저장하는 과정을 처리한다(S730).
상기 (S720)과정에서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가 확인되면(S735), 무선단말장치(100)는 정책 확인부(15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S740).
(S740)과정을 통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S745), 무선단말장치(100)는 처리부(16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저장영역(140) 상에 기 저장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확인한다(S750).
만약, (S740)과정을 통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지 않으면, 무선단말장치(100)는 (S740)과정을 반복한다(S755).
이후, 무선단말장치(100)는 처리부(160)(또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용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S750)과정에서 확인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을 통해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한다(S760).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요청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푸쉬를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데이터의 크기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와 현재까지 이용한 데이터 통신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100)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가 초과된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60)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로 인한 통신 지연 시간을 카운팅 하는 과정과,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무선단말장치 200 : 정책서버
110 : 제어부 120 : 정책 수신부
130 : 정책 저장부 140 : 저장영역
150 : 정책 확인부 160 : 처리부
170 : 갱신부

Claims (19)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책 저장부;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1차 확인하고,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2차 확인하고, 2차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3차 확인하는 정책 확인부;
    상기 정책 확인부를 통한 3차 확인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저장된 정책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갱신부를 더 구비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확인부는,
    1차 확인 결과, 정책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정책 정보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한 후, 크기 또는 용량 제한이 초과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환경은,
    네트워크 접속 횟수와, 네트워크 접속 시간과, 데이터 전송 횟수와, 데이터 수신 횟수와, 전송 데이터 용량과, 수신 데이터 용량과, 데이터 전송 시간과, 데이터 수신 시간과, 접속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접속 차단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데이터 통신 한도와, 네트워크 부하량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정책 확인부와, 처리부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셋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장치는,
    스마트폰과, 휴대폰과, 태블릿PC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9.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 정보-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영역 상에 저장된 정책 정보에 포함된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시간당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요청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쉬(Push)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당 횟수에 부합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푸쉬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또는 아이디(ID)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조정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데이터의 크기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로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하는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이 사용자 승인 대상 데이터의 요청 또는 수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특정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와 현재까지 이용한 데이터 통신량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가 초과된 경우,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 초과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통신 한도 초과 관련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상에 기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이용 제어 정책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가 설정된 경우,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정책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과부하로 인한 통신 지연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
    카운팅 수치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카운팅 수치가 정책정보 상에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정책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환경은,
    네트워크 접속 횟수와, 네트워크 접속 시간과, 데이터 전송 횟수와, 데이터 수신 횟수와, 전송 데이터 용량과, 수신 데이터 용량과, 데이터 전송 시간과, 데이터 수신 시간과, 접속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접속 차단 대상 네트워크 아이피(IP) 또는 포트(Port) 또는 유알엘(URL)과, 데이터 통신 한도와, 네트워크 부하량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
  19. 제 9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14422A 2012-02-13 2012-02-13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KR20130094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22A KR20130094367A (ko) 2012-02-13 2012-02-13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PCT/KR2013/001055 WO2013122359A1 (ko) 2012-02-13 2013-02-12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US14/347,563 US20140226489A1 (en) 2012-02-13 2013-02-12 Wireless terminal device having network load reducing function, method for reducing network loa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22A KR20130094367A (ko) 2012-02-13 2012-02-13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67A true KR20130094367A (ko) 2013-08-26

Family

ID=4898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422A KR20130094367A (ko) 2012-02-13 2012-02-13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26489A1 (ko)
KR (1) KR20130094367A (ko)
WO (1) WO20131223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48A (ko) * 2016-07-07 2018-01-18 주식회사 아리엘네트웍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1566A1 (en) * 2014-10-17 2016-04-21 Seven Networks, Llc Collaborative policy management strategies at a mobile device
US11071042B2 (en) * 2019-11-14 2021-07-20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wireless network conges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94B1 (ko) * 2003-12-18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감시 장치 및 그방법
US8015249B2 (en) * 2006-10-10 2011-09-06 Microsoft Corporation Mitigating data usage in messaging applications
KR100882354B1 (ko) * 2006-12-01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랫폼 무결성 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증 장치 및 방법
US7719997B2 (en) * 2006-12-28 2010-05-18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traffic optimization in a network
US8984628B2 (en) * 2008-10-21 2015-03-17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se mobile application identification
US8514749B2 (en) * 2010-03-10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requests for duplex applications
KR101107094B1 (ko) * 2010-05-18 2012-01-30 웨이브솔루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629012B2 (en) * 2010-09-20 2017-04-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ynamic mobile application quality-of-service monitor
US8509071B1 (en) * 2010-10-06 2013-08-13 Juniper Networks, Inc. Multi-dimensional traffic management
US9565117B2 (en) * 2010-12-22 2017-02-07 Cisco Technology, Inc. Adaptive intelligent rou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83951A1 (en) * 2012-01-12 2013-07-18 Shih-Wei Chien Dynamic mobile application class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48A (ko) * 2016-07-07 2018-01-18 주식회사 아리엘네트웍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359A1 (ko) 2013-08-22
US20140226489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7511B2 (ja) 基地局、アクセス要求の応答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554507B1 (en) Multi-level control for enhanced resource and object evaluation management of malware detection system
KR101068427B1 (ko) 서비스 품질 인식의 상이한 등급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걸친 핸드오프 동안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547745B (zh) 资源配置方法及相关产品
US20160212754A1 (en) Data bandwid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044729B2 (en) Function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30094368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적 네트워크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N104333567A (zh) 采用安全即服务的web缓存
US20120254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QoS During Home Network Remote Access
KR20130100390A (ko) 무선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10602413B2 (en) Policy state propagation system
KR20130094370A (ko) 무선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11632738B2 (en) System and method of access point name (APN) dynamic mapping
CN1662897A (zh) 用于移动终端和软件应用节点之间的移动网络接口的虚拟终端
KR20130094367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CN102340493A (zh) 访问控制方法及网关
US9585020B2 (en)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ignalling traffic on mobile devices
CN111357259A (zh) 服务层操作的自适应控制机制
CN103619051A (zh) 一种动态控制网关设备路由规则的系统和方法
KR20130094369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을 위한 정책정보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20019613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어를 위한 가입자 구분 시스템 및 방법
EP2947904A1 (en) Subscription management
JP201420429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ならびにポリシー制御装置
KR20130107857A (ko) 데이터 폴링 제어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폴링 제어 방법과 기록매체
KR20130120287A (ko)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