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92A -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92A
KR20130120292A KR1020120043436A KR20120043436A KR20130120292A KR 20130120292 A KR20130120292 A KR 20130120292A KR 1020120043436 A KR1020120043436 A KR 1020120043436A KR 20120043436 A KR20120043436 A KR 20120043436A KR 20130120292 A KR20130120292 A KR 2013012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to KR102012004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92A/ko
Priority to PCT/KR2013/003302 priority patent/WO2013162211A1/ko
Priority to US14/389,750 priority patent/US20150067165A1/en
Publication of KR2013012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L12/1407Policy-and-charging control [PCC]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04L12/1414Indication of costs in real-time
    • H04L12/1417Advice of charge with threshold, e.g. user indicating maximum co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6Policy and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2Low balance or limit rea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3Calculate maximum communication time or volu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Method Operation of Policy for the Network Traffic Reduction of Exceeded Data Traffic Usage}
본 발명은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망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도면 1의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후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며,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2020년에 1GB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에서 수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 한도 초과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접속 트래픽을 유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도면 2와 같은 상황은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접속 트래픽을 끊임없이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통신 네트워크 망의 과부하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혼잡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막대한 비용소모와 무선단말정치 사용자들의 서비스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이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면,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고,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면,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제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정체 해소를 통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환경 개선과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면,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고, 정책 에이전트에서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한도 초과 이후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를 확인한 후, 확인결과, 현재 일시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제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정체 해소를 통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환경 개선과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한도 초과 이후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결과, 현재 일시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정책서버에서 정책 에이전트로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한도가 이미 초과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함에 따라, 무선단말장치 단에서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통신지연 등에 따른 무선단말장치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무선단말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정책서버(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이 통신서버(200) 및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실시방법 및 통신망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서버(2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의 핵심 구성인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3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무선단말장치(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 데이터 통신 중계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 초과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과 확인결과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경우,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서버(200)는 지능망을 통해 데이터 한도초과를 확인한 후, 가입자 정보 서버(무선단말장치(300)의 IMEI정보, 가입자 단말정보, 요금제 가입/해지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200)는 상기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여부를 가입자 정보 서버 등을 통해 확인한 후, 확인결과,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경우,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는 통신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와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통해 무선단말장치(300)내 구비된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또는 백그라운드 호 접속 등)을 자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330)에 미리 저장하고, 데이터 한도 초과에 따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실행할 때,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3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3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킨 이후,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한도 초과 이후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현재 일시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대응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함으로서, 서버와의 교신 없이도 자동으로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상의 정책서버(1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와, 저장매체(130)와, 통신부(140)와, 확인부(150)와, 처리부(160)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책서버(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2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20)는,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 외,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매체(130) 내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는, 무선단말장치(300) 고유번호와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는 각각의 에이전트 고유 아이디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매체(13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30)는 정책서버(100)가 아닌 제3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서버(2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부(14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송수신 역할을 더 수행한다.
예를들면,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150)는, 상기 통신부(140)가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160)는,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160)는,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과,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는, 정책 수신부(340)와, 정책 저장부(320)와, 저장영역(330)과, 처리부(350)와, 확인부(360)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각 구성부 전체 또는 일부는 정책 에이전트와 같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5를 참조하면, 상기 정책 수신부(340)는,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역할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와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 등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정책 저장부(320)는, 상기 정책 수신부(3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33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 저장부(320)는, 상기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외,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 내지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 등을 저장영역(33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영역(330)은,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저장영역(330)은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외,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 내지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350)는, 상기 정책 수신부(340)가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3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350)는, 상기 정책 수신부(340)에서 통신망 상의 정책서버(100)로부터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를 더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확인부(360)는,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한도 초과 이후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매월 1일자로 데이터 한도가 재 부여되는 경우, 상기 확인부(360)는 현재 일시가 매월1일0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복원 일시가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350)는, 상기 확인부(360)의 확인결과에 따라, 현재 일시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대응하는 경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 및 차단해제 정책정보(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백그라운드 호접속 차단 정책정보 등)를 실행함에 따라 정책 적용 전과 후의 무선단말장치(300)에서의 트래픽 감소효과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를 통해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한다(S71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정책 에이전트가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저장하도록 한다(S720).
상기 (S710)과정과 (S720)과정은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단말장치(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400) 간 데이터 통신 중계 처리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초과 여부를 판별한다(S730).
(S730)과정에서 상기 통신서버(200)는, 지능망을 통해 데이터 한도초과를 확인한 후, 가입자 정보 서버(무선단말장치(300)의 IMEI정보, 가입자 단말정보, 요금제 가입/해지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 한도 초과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S730)과정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경우(S740),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750).
(S730)과정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데이터 한도가 초과되지 않은 경우(S760), 통신서버(200)는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77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78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79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상기 정책서버(100)가 전송한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영역(330)에 저장한다(S810).
이후,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후(S820),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3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S830).
이후,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3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킨다(S840).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여부를 확인한다(S910).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은 데이터 한도 복원 기간을 확인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가 데이터 요금을 추가로 납부하여 데이터 복원을 요청한 정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910)과정에서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경우(S920), 통신서버(200)는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930).
상기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94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95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96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정책서버(100)는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직접 확인한다(S1010).
여기서, 상기 (S1010)과정에서, 통신서버(200) 또는 정책서버(100)에서 데이터 한도 초과된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한도 복원 기간을 확인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가 데이터 요금을 추가로 납부하여 데이터 복원을 요청한 정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정책서버(100)는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 또는 확인한 데이터 한도가 복원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1020).
이후, 정책서버(100)는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1030).
이후,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에 의해 네트워크 이용 차단을 해제하는 경우(S1040), 상기 정책서버(100)에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수신한 후(S1050),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한다(S1060).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아닌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를 결정하는 경우(S1070)에 대한 프로세스는 도면 11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 에이전트를 통한 데이터 한도 복원 무선단말장치(300)의 네트워크 접속 차단해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아닌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를 결정하는 경우,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무선단말장치(300) 내 타이머 등을 통해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한다(S1110).
(S1110)과정에서 현재 일시정보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인 경우(S1120),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데이터 한도 초과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했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한다(S1130).
만약, (S1110)과정에서 현재 일시정보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S1140), 무선단말장치(300)의 정책 에이전트는 상기 (S1110)과정을 반복한다.
100 : 정책서버 200 : 통신서버
300 : 무선단말장치 4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3)

  1.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의 데이터 한도가 복원되는 경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2.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 상에 저장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 한도가 초과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현재 일시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한도 초과 이후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현재 일시가 데이터 한도 복원 일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정책서버에서 정책 에이전트로 데이터 한도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정책 에이전트에서 데이터 한도 초과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1020120043436A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2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36A KR20130120292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PCT/KR2013/003302 WO2013162211A1 (ko) 2012-04-25 2013-04-18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US14/389,750 US20150067165A1 (en) 2012-04-25 2013-04-18 Method of managing policy for reducing network load due to data lim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36A KR20130120292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92A true KR20130120292A (ko) 2013-11-04

Family

ID=4948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436A KR20130120292A (ko) 2012-04-25 2012-04-25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7165A1 (ko)
KR (1) KR20130120292A (ko)
WO (1) WO2013162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4960B (zh) * 2013-12-06 2020-12-18 移动熨斗公司 移动设备业务管理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200A (ko) * 1997-12-19 1999-07-05 전주범 인터넷 텔레비전 수상기의 통신비 책정에 따른 통신접속제한장치
KR100447336B1 (ko) * 2002-07-22 2004-09-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의 한도관리방법
KR20050052964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사용제한 방법
KR100706989B1 (ko) * 2005-10-20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가입자의 선불 요금 한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57639B1 (ko) * 2008-02-18 2010-05-1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03629B2 (en) * 2009-05-04 2015-12-01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user-centric mobile device-based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WO2012061194A2 (en) * 2010-11-01 2012-05-10 Google Inc. Mobile device-based bandwidth thrott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211A1 (ko) 2013-10-31
US20150067165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2004B2 (en) QOS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0140380A (zh) 紧急呼叫的开放接入点
CN103340006A (zh) 多用户身份模块调制解调器管理
CN111385754B (zh) 计费的方法、装置及系统
RU2013136566A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итик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ходом состояний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итики
US8423067B2 (en) Method of connecting prioritized incoming calls in overload situations in a mobile radio network
US20160066333A1 (e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06357455B (zh) 一种控制应用访问网络的方法和系统
KR20130120292A (ko)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CN114286303B (zh) 卫星陆地空间漫游计费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4786170B (zh) 上链数据安全处理实体切换方法、终端、usim及系统
KR20130140270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20291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CN104955174A (zh) 一种智能路由器及其登录方法
KR20130120287A (ko)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WO2018084844A1 (e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JP2018174404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23848B (zh) 数据通道控制方法、装置及服务器
CN104519470B (zh) 短消息处理方法及装置、预付费鉴权方法及装置
KR20130140276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CN113348715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终端
JP44583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140273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7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40136603A (ko)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