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157A -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157A
KR20090058157A KR1020070124816A KR20070124816A KR20090058157A KR 20090058157 A KR20090058157 A KR 20090058157A KR 1020070124816 A KR1020070124816 A KR 1020070124816A KR 20070124816 A KR20070124816 A KR 20070124816A KR 20090058157 A KR20090058157 A KR 2009005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p
received
cal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800B1 (ko
Inventor
라마나 벤카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8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중 전화 수신시 자동응답 및 음성 사서함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자동 응답 멘트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상기 입력받은 자동응답 멘트를 저장하고, 수신된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수신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상기 자동 응답용 멘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자동응답 멘트 송출 후, 수신된 전화의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전화번호 그룹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Method for Voice Mail Service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음성 사서함(Voice mail)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을 이용함에 있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통화가 불가능하고 기록을 남길 수 없다는 문제점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서비스가 음성 사서함(Voice Mail) 서비스이다.
음성사서함(音聲私書函) 서비스는, 전화를 걸어 상대방을 찾았으나 부재중일 경우 필요한 음성 내용을 저장하도록 한 다음,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수 있을 때 이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음성사서함 서비스의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으나, 착신자가 일정 시간동안 전화를 받지 않거나 착신자가 자신의 단 말을 자동응답 상태로 전환시켜 놓은 경우에,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자동응답 멘트가 나온다. 이후,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가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가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된다.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착신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자신의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착신자는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자동응답 멘트를 직접 작성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데, 특정 멘트를 자동 응답용 멘트로 설정해 놓으면 어느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설정된 대로 자동 응답 멘트가 재생된다. 이처럼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개인적인 관계가 고려되지 않고 똑같은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되기 때문에, 발신자와 착신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미국인이나 착신자가 한국으로 이민 온 상황을 가정해보자. 착신자 입장에서는 예전부터 알고 지내던 미국인 친구와 친지들이 있을 것이며, 한국에서 살면서 새로 알게 된 한국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음성사서함 서비스 이용에 따른 자동응답 멘트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한국어로 된 자동응답 멘트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것이며, 착신자가 직접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한다 하더라도, 발신자가 누가 될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느 언어로 설정할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발신자 측면에서 볼 때도, 자신이 모르는 언어로 자동응답 멘트를 듣게 된다면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한국어로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자동응답 멘트의 재생 뒤 바로 영어로 같은 의미의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되도록 설정하려 해도, 제한된 시간 내에 2가지 언어의 자동응답 멘트를 입력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또 다른 예로, 자신이 회의나 여름 휴가 등의 사유로 전화를 받지 못하니 음성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의미를 담은 자동응답용 멘트를 남기고자 할 때, 독특한 목소리나 어조, 유행어를 섞어 자신의 개성을 담은 멘트를 기록해두고 싶으나, 자신에게 전화를 걸 사람이 친구나 애인이 아닌 직장 상사, 거래처 직원 등일 수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 경어(敬語)체로 된 딱딱한 형식의 자동응답 멘트를 남기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있어, 사용자의 개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사용자 편의성도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종래의 음성우편 서비스의 경우, 수신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망에 접속해야 하며, 다시 확인하려면 재차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개인 인증을 거쳐 음성 메시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착신자가 부재중일 때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수 차례의 음성우편이 도착했을 때, 동일한 내용의 음성 메시지가 여러 번 기록된다면 메모리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단말기에 지정된 그룹별로 자동응답용 멘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러한 단말기를 포함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재중 전화에 대한 자동 응답 멘트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상기 입력받은 자동응답 멘트를 저장하고, 수신된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수신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상기 자동 응답용 멘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을 관리하는 전화번호 관리부와 단말 사용자의 자동응답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그룹별로 받아들이고, 걸려온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상기 걸려온 전화의 번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상기 걸려온 전화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응답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기 자동응답용 멘트를 상대방 단말로 송출 후, 상대방이 남긴 음성 메시지를 그룹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별로 각기 다른 자동응답용 멘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걸려온 전화를 받지 못해 음성 사서함 서비스로 연결되어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될 때, 각 그룹별로 다양한 언어, 개성 있는 문장 등을 포함한 자동응답용 멘트가 재생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 음성 사서함에 있는 음성 메시지를 단말의 메모리에 그룹별로 저장해 두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때마다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개인 인증을 거쳐야 했던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100), 송수신 부(110), 사운드 입출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전화번호 관리부(102), 자동응답 관리부(104), 레코딩부(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송수신부(110)는 단말로 수신되는 호(call)를 감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며,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멘트를 송출(送出)하는 기능을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110)는 안테나(112)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운드 입출력부(120)는 단말 사용자가 자동응답 멘트를 입력하려 할 때, 그 입력을 마이크(124)를 통해 입력받고,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 통화 상대방이 남긴 음성 메시지, 단말기의 각종 기능 수행시 발생하는 사운드를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한다. 만약 단말기에 헤드셋이나 핸즈프리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기기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입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의 동작 및 각종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00)는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입력받은 자동응답 멘트를 저장하고, 수신된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수신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용 멘트가 재생되도록 한다.
전화번호 관리부(102)는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단말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해 가 족, 친구, 선후배, 직장 등과 같이 그룹을 지어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으며, 특정 그룹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수정, 삭제 등의 관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전화번호 관리부(102)가 수행한다.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받아들인 자동응답 멘트를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각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시키고, 걸려온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걸러온 전화의 전화번호가 속한 그룹을 판단하여, 연계된 자동응답용 멘트가 재생되도록 한다. 각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되는 자동응답 멘트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언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어 등)의 자동응답 멘트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사에서 자동응답 멘트를 제공하는 경우에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도 있다.
레코딩부(106)는 상기 자동응답 관리부(104)의 제어하에 자동응답용 멘트가 재생된 후,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해당 음성메시지를 메모리(140)에 기록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이동통신사의 서버를 거쳐 제공되는 경우, 발신자가 남긴 음성메시지가 일단 이동통신사 서버에 저장되고,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다운받아 메모리(140)에 기록함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40)는,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동응답용 멘트를 저장하거나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필요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저장함에 있어,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그룹에 따라 메모리(140)의 저장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그룹이 가족, 친구, 외국인 친구, 직장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구분된 전화번호 그룹에 따라, 같은 그룹에 속한 사람이 남긴 음성 메시지는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해 두는 것이다.
메모리(140)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 모두 사용 가능하며, 플래시(Flash)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Hard Disk)와 같은 특정 메모리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그룹별 자동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지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를 입력한다(S20). 전화번호 그룹마다 각각 하나씩의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할 수도 있고, 몇 개의 그룹은 동일한 자동응답 멘트를 사용하고, 나머지 특정 그룹은 다른 자동응답 멘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 사용자가 전화번호 그룹별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한 뒤(S20), 호(call)를 수신하였으나(S21), 단말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다른 업무상 전화를 받지 못하면(S22), 단말의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파악한다.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에 따라 착신 호에서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종래에도 있는 기술이므로, 자동응답 관리부(104)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수신된 호가 어느 전화번호 그룹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23). 수신된 호에 대한 전화번호 그룹이 판단되면(S23), 해당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되어 있는 자동응답 멘트를 로딩(loading)한다(S24).
만약,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를 갖는 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말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있는 자동응답 멘트를 로딩한다. 반면, 단말 사용자가 전화번호 그룹이 미지정된 전화번호에 대한 자동응답 멘트도 별도로 설정해 놓았다면, 해당 자동응답 멘트를 로딩한다.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속하는 그룹에 연계된 자동응답용 멘트를 로딩한 후(S24),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상기 수신 호를 발신한 상대방이 상기 로딩한 자동응답용 멘트를 들을 수 있도록 송수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S25).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그룹별 자동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 사용자가 오랜 기간의 외국 생활을 한 경험이 있고, 업무상 외국인을 만날 일도 많아 외국인과의 통화가 잦은 경우에, '외국인 친구'라는 전화번호 그룹을 생성하여,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자신의 단말에 저장하면서 상기 '외국인 친구'그룹에 포함되도록 설정한다(S30).
이후, 자신의 해외 출장으로 인해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음성 메시지를 남 겨 달라는 내용의 자동응답 멘트를 영어로 녹음하여 상기 '외국인 친구'그룹과 연계시키고(S31), 동일한 내용의 자동응답 멘트를 한국어로도 녹음하여 나머지 다른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시킨다. 녹음된 자동응답 멘트는 단말의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각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용 멘트가 설정된 이후(S31), 호(call)가 수신되었으나(S32), 단말 사용자의 해외 출장으로 전화를 받지 못해 전화벨이 울리고 일정 시간이 흐르면(S33),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어느 전화번호 그룹에 속하는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S34).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외국인 친구' 그룹에 속할 경우(S35),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외국인 친구' 그룹에 연계된 영어 멘트를 메모리(140)로부터 로딩한다(S36). 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외국인 친구'에 해당하지 아니하면 한국어 멘트를 메모리(140)로부터 로딩한다(S38).
부재중 전화 수신에 따른 자동응답 멘트가 로딩되면(S36, S38),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상기 수신 호를 발신한 상대방이 상기 로딩된 자동응답 멘트를 들을 수 있도록 송수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S37).
단말에 지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를 각기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언어로 자동응답용 멘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전화를 건 상대방이 속하는 전화번호 그룹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개성을 담아 다양한 언어나 말투(유명인사 특유의 말투, 어린이 목소리, 유머가 섞인 멘트 등)로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할 수도 있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 및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을 편집하면, 그 그룹에 따라 메모리(140)에 자동응답 멘트나 음성 메시지가 편집된 그룹별로 구분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 모듈이 설정된다.(S40).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가 전화번호 그룹을 가족, 친구, 외국인 친구, 직장, 기타 등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구분된 전화번호 그룹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응답 멘트나 음성 메시지가 메모리(140)에 구분되어 저장되도록 셋팅한다.
단말 사용자가 해외 출장 등의 이유로 당분간 전화를 받을 수 없어 자동응답 모드로 단말기를 설정해 놓으면(S41), 상기 저장 모듈이 초기화된다(S42).
이후, 사용자의 단말로 호(call)가 수신되면(S43), 자동응답 관리부(104)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해당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를 재생시키거나,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된 호의 발신자가 들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S44).
메시지를 남겨 달라는 내용의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되고, 상기 수신된 호의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레코딩부(106)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S45). 메모리(140)에 저장함에 있어, 단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전화번호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음성 메시지의 저장이 이루어진 후(S45), 제어부(100)는 단말에 기록된 음성 메시지의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46). 부재중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 사용자가 확인하려 할 때, 수신된 음성 메시지의 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30)에 부재중 수신된 전체 음성 메시지 수 및 각 전화번호 그룹별 음성 메시지 수를 표시해줌이 바람직하며, 새로운 음성 메시지가 저장될 때마다 상기 전체 음성 메시지 수와 해당 그룹의 음성 메시지 수를 증가시킨다.
음성 메시지를 단말의 메모리(140)에 저장할 경우, 저장되는 음성 메시지의 수에 따라 메모리(140)의 용량이 부족할 수도 있고, 단말 사용자가 부재중인 기간에 동일한 사람으로부터 걸려오는 반복적인 전화에 대하여 매번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의 낭비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미 음성 메시지를 남긴 발신자와 동일한 자로부터 호가 수신될 경우(S47), 자동 응답 멘트가 재생되고 나서(S48) 음성 메시지에 대한 저장을 수행하지 않고, 부재중 수신된 전화의 수만 증가시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S49).
단말이 e-mail 전송 기능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제어부(100)는 단말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첨부하여 단말 사용자의 e-mail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고,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있으니 확인하라는 내용을 담은 e-mail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말에 단말 사용자의 e-mail 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부재중 수신된 전화나 음성 메시지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해줌에 있어, 단순히 수신된 순서대로 표시하였으나, 일정 횟수 이 상 전화를 걸었거나 음성 메시지 남긴 사람의 정보를 우선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부재중이었던 단말 사용자로 연락을 많이 취했던 사람과 우선하여 연락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단말(200), 발신단말측 기지국(202), 이동통신 네트워크, 이동통신사 서버(210), 수신단말측 기지국(222), 수신단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 4에서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따른 자동응답 멘트가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상대방이 남긴 음성 메시지가 단말에 저장되는 것을 주요한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응답 멘트가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되고 상대방이 남긴 음성 메시지도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되는 방식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5, 도 6에서 수신단말(220)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처럼 전화번호 관리부(102), 자동응답 관리부(104)를 포함한 제어부(10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그룹별로 등록, 수정할 수 있으며, 각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를 사용자가 직접 녹음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가 자동응답 멘트를 전화번호 그룹별로 설정하면, 설정된 자동응답 멘트가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업로드 되어 저장된다(S60). 발신단말(200)에서 수신단말(220)로 통화시도를 하였으나(S61), 수신단말(220)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전화를 받지 못하면, 수신단말(220)의 제어부(100)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단말(200)의 전화번호가 어느 전화번호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단말(220)의 제어부(100)는 이동통신사 서버(210)로 발신단말(200)이 속하는 전화번호 그룹에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되도록 요청한다(S62). 통상적으로,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수신단말(220)에 전화번호가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S60 과정에서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자동응답 멘트가 저장될 때, 자동응답 멘트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및 자동응답 멘트를 저장한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각 자동응답 멘트에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S62 단계에서 수신단말(220)이 특정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되도록 요청하면, 상기 식별자와 이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매개로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된 자동응답 멘트가 검색된다.
수신 단말(220)의 자동응답 멘트 재생 요청에 따라, 자동응답 멘트가 발신단말(200)로 송출되고(S63), 발신단말(200)에서 상기 송출된 자동응답 멘트가 재생된다. 발신단말(200)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S64), 음성 메시지는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된다. 이후, 수신단말(220)의 사용자가 부재중 메시지를 확인 하기 위해 음성메시지 확인 요청을 하면(S65),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가 수신단말(220)로 전송되어, 수신단말(220)의 사용자는 부재중 남겨진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66)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지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를 설정하여 입력한다(S70).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그룹별 자동응답 멘트는 이동통신사 서버(21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71).
자동응답 멘트가 저장된 뒤(S71), 호(call)를 수신하였으나(S72), 단말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다른 업무상 전화를 받지 못하면(S73), 단말의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파악한다.
자동응답 관리부(104)는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를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수신된 호가 어느 전화번호 그룹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74). 수신된 호에 대한 전화번호 그룹이 판단되면(S74), 해당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되어 있는 자동응답용 멘트가 상대방 단말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 서버(210)로 자동응답 멘트 재생요청을 한다(S75). 이 때,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와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된 다수의 자동응답 멘트 중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와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에 대한 식별자 정보 등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됨이 바람직하다(S75).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사 서버(210)에 저장되어 있던 자동응답 멘트가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되어(S76), 상대방은 자동응답 멘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그룹별 자동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그룹별 자동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 및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Claims (18)

  1. 부재중 전화에 대한 자동 응답 멘트의 사운드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과 상기 입력받은 자동응답 멘트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시, 수신된 전화번호가 해당하는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상기 자동 응답용 멘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을 관리하는 전화번호 관리부;
    상기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입력받은 자동응답 멘트를 저장하고, 호(call)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상기 걸려온 전화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응답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호의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레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멘트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는 자동응답 멘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것을 자동응답 멘트로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 멘트 송출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전화의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 사용자가 단말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 확인시, 단말 사용자의 부재중에 수신된 전화 중, 소정 횟수 이상 중복하여 수신된 전화에 관한 정보를 우선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응답 멘트 송출 후, 동일인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고, 수신된 횟수만을 기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 사용자의 e-mail 주소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자동응답 멘트에 관한 입력을 받아들여 저장하고, 상기 각 전화번호 그룹과 입력된 자동응답 멘트를 연계시키는 단계;
    단말이 호(call)를 수신하였으나, 단말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해당하는 전화번호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수신된 호의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여, 상기 수신된 호의 발신자가 해당하는 전화번호 그룹에 따라 메모리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확인 음성 메시지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 후, 동일 발신자로부터 부재중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 메시지는 저장하지 않고 수신된 전화의 수만 증가시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15. 특정 단말로 호를 발신하는 제 1단말;
    상기 제 1단말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단말의 전화번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하여 해당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가 상기 제 1단말로 전송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 서버로 요청하는 제 2단말; 및
    상기 제 2단말에서 설정된 자동응답 멘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2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단말로 상기 저장된 자동응답 멘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말은,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그룹을 관리하는 전화번호 관리부;
    자동응답 멘트를 단말에 설정된 전화번호 그룹별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 1단말로부터 호(call)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하여, 판단된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 요청하는 자동응답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제 1단말의 사용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말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 요청함에 있어, 각 전화번호 그룹과 연계된 자동응답 멘트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및 이동통신 서버가 상기 제 2단말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124816A 2007-12-04 2007-12-04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KR10142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16A KR101420800B1 (ko) 2007-12-04 2007-12-04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16A KR101420800B1 (ko) 2007-12-04 2007-12-04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157A true KR20090058157A (ko) 2009-06-09
KR101420800B1 KR101420800B1 (ko) 2014-07-17

Family

ID=4098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16A KR101420800B1 (ko) 2007-12-04 2007-12-04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8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795B1 (ko) * 2003-06-1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562250B1 (ko) * 2003-06-21 2006-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선택형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5638A (ko) * 2003-08-07 2005-02-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800B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950B1 (ko) 사전 프로그래밍된 가입자 응답
US71068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pending and preset telephone calls to facilitate transitioning to a phone call
US67687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answering
US20060239419A1 (en) Selective and dynamic voicemail
KR20060050672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7747260B2 (en) Mobility voice messaging
KR100616484B1 (ko) 동일한 벨소리음과 통화연결음을 수신허용조건에 따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77493B1 (ko) 휴대단말기의 착신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605833B1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메시지 데이터 서버, 응답 서비스 센터 및 전화기
KR101420800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KR2009001334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33375A (ko) 통화 중 배경음악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041377A1 (en) Cellular Phone
KR2002001633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N100550940C (zh) 用于设定个性化回铃信息的系统和方法
JP2002044260A (ja) 音声録音・検索ctiシステム
KR100494815B1 (ko)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WO2004008730A1 (ja) 音声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及び音声メッセージの提供方法
KR20010028687A (ko) 교환 시스템에서 운영자 피씨를 이용한 부재중 통화내역 안내 방법
US20090257573A1 (en) Select ring
KR100407387B1 (ko) 음성사서함으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자동으로 내려받는 방법및 이를 구현한 휴대전화기
KR20020073691A (ko) 기지국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KR20040026495A (ko) 이동단말에서 착신자 상태와 발신자 번호별로 준비된안내음성을 들려주는 방식 및 서비스
JPH07177236A (ja) リアルタイム・蓄積統合型音声通信装置
JP2000032162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