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333A -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333A
KR20020016333A KR1020000049604A KR20000049604A KR20020016333A KR 20020016333 A KR20020016333 A KR 20020016333A KR 1020000049604 A KR1020000049604 A KR 1020000049604A KR 20000049604 A KR20000049604 A KR 20000049604A KR 20020016333 A KR20020016333 A KR 2002001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d
mobile terminal
storage devic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138B1 (ko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2000004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1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13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망 가입자의 통화내용을 녹음, 재생 및 전송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은 통상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유무선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우편 주소가 등록된 고정 단말기와, 상기 저장장치와 상기 인터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와 연동된 고정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Telephone message procsssing system in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elephone message procs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망 가입자의 통화내용을 녹음, 재생 및 전송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으로 구성되며, 이동 단말기는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 Digital Cellular Network),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와 같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이고,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제어기사이에서의 신호 포맷을 무선 링크와 유선링크에 적합하도록 바꾸며,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의 각 요소별 기능과 셀 운용자 사이의 접속 수단이 되며, 기지국 운용 관리, 기지국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 관리,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수집, 기지국 운용, 감시 및 고정에 관련된 하부장치 등의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 관리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전화망 혹은 동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간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한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비용이 저렴해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도 고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품질도 향상되고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 급증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이 상대방과 즉각적인 통화를 원하거나,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응답하기 위한 것인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상대방과 직접적으로 통화하지 못하거나 자신에게 착신된 전화를 받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 : Voice Mail System)은 인간의 음성에의한 메시지를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전화기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시스템 내의 디스크 등에 일시 저장했다가 지정된 전화기에 지정된 방법으로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컴퓨터 기술을 구사한 '음성 저장 전달(voice store and forward)'이라고 부르는 고도의 기능으로 음성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망(網) 상에 존재하는 기억 장치나 메시지 전달의 수신측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이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후에 수신자의 요구에 의해 수신자의 단말기를 통해 청취된다.
이와 같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많은 가입자를 수용한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또는 교환기)에 설치되거나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가입자들에게 부가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된다.
그와 같은 부가서비스중의 하나는 Power off, Busy, No Paging Response, No Answer 등으로 응답을 할 수 없는 경우 음성 메시지에 녹음하여 두거나,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메시지를 남겨두거나(상대방 단말기로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음성 메시지가 있으므로 원할 경우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호출 번호를 남기는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음성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은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응답 장치에 통화하고자 하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과,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에 음성 메시지를 남겨두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즉, 유무선 전화기에서는 유무선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 자신의 전화기의 자동 응답 장치에 간단한 인사말과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내용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시켜 놓은 상태에서, 설정된 횟수 이상 착신음 발생후에도 착신측 유무선 전화기의 사용자가 오프 후크(off hook)하지 않으면 자동 응답 장치에서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가 발신측 전화기로 자동송신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 전화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착신측 유무선 전화기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면, 착신측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응답 장치에 발신측에서 송신한 음성 메시지가 저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유무선 전화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녹음은 단순한 녹음으로써 전화기 사용자간의 음성이 대화형으로 녹음되는 경우는 없고, 특히 녹음된 음성을 다른 유무선 전화기로 전송할 수도 없었다.
또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서도 음성을 대화형식으로 연속적으로 녹음할 수는 없었다.
이와 같은 사용자간 음성 통화 내용 녹음이나 전송 기술은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이동 단말기와 유무선 전화기간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간 통화내용 저장이나, 저장된 통화내용에 대한 다른 유무선 전화기로의 전송 방법은 없으며, 특히 통화내용을 컴퓨터 등에 전송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서, 교환기와 연동되는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유무선망 가입자의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유무선망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나 유무선 전화기 또는 컴퓨터 등으로 재생 및 전송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우편 주소가 등록된 고정 단말기와, 상기 저장장치와 상기 인터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와 연동된 고정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저장장치와의 사이에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시키는 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사용자나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다른 유무선 가입자나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교환기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통화내용을 있다는 것을 알리는 단문 서비스 센터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기능 키를 한 번 조작한 이후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설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기능 키가 다시 한 번 조작되면 상기 저장장치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던 통화내용의 저장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장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고정 단말기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 다른 고정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상의 유무선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해 통화 중인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교환기와 연동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검색한 통화내용을 선택하여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상기 교환기를 통해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거나,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고정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통화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 또는 유무선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전이나 통화 중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용 저장과 관련된 기능 키를 누르면 저장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해 자신의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를 눌러 검색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선 전화가 상기 저장장치와 연동된 교환기에 접속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누르면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교환기에서 통화내용이 전송되면 자신의 메모리 영역에 상기 교환기에서 전송된 통화내용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 영역은 상기 유무선 전화기는 음성 녹음용 테잎이나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경우 불휘발성 메모리나 멀티미디어 카드를 사용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카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착탈가능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은 리셉터클을 통해 컴퓨터에 내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전송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검색한 통화내용을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고정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임의의 고정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유무선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키 패드에서 상기 고정 단말기의 전자우편 주소를 입력한 후 상기 통화내용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내용은 음성 또는 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이동 단말기 12 : 기지국
13 : 무선 통신망 14 : 단문 서비스 센터
15 : 유무선 전화기 16 : 유선 통신망
17 : 교환기(IGS) 18 : 저장장치
19 : 전자우편 서버 20 : 인터넷
21 : 고정 단말기(컴퓨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전송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3,16)을 통해 전송된 유무선 전화기(15)나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장치(18)와, 통상의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18)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우편 주소가 등록된 고정 단말기(21)와, 상기 저장장치(18)와 상기 인터넷(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15)나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에서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e-mail address)와 연동된 고정 단말기(21)로 상기 저장장치(18)의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전자우편 서버(19)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13,16)과 상기 저장장치(19)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저장장치(19)로 전송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15) 사용자와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18)의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13,16)을 통해 임의의 다른 유무선 가입자(도시하지 않음)나 이동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는 교환기(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기(17)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5) 또는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 사용자가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18)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18)에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통화내용을 있다는 것을 알리는 단문 서비스 센터(14)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장치(18)는 상기 교환기(17)를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15) 또는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에서 상기 기능 키를 한 번 조작한 이후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설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기능 키가 다시 한 번 조작되면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 중이던 통화내용의 저장을 중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장치(18)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장치(18)는 상기 고정 단말기(21)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상기 유무선 전화기(15) 또는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로 전송되거나 또 다른 고정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고정 단말기(21)는 상기 고정 단말기(21)의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넷 및 전자우편 서버(19)를 통해 상기 저장장치(18)로 전송되는 기능(TTS : Text To Speech)을 구비하도록 하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저장장치(18)에서 텍스트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은 통상의 유선 통신망(16)이나 무선 통신망(13)을 이용해 통화 중인 유무선 전화기(15) 또는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싶은 경우, 유무선 전화기(15)의 경우 유무선 전화기(15)의 특정 키(예를 들면 통화내용 저장관련 기능 키)를 눌러 유선 통신망(16)과 교환기(17)를 통해 유무선 전화기(15)의 통화내용을저장장치(18)에 저장하고,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의 경우에도 특정 키를 눌러 기지국(12), 무선 통신망(13) 및 교환기(17)를 통해 저장장치(18)에 저장한다.
즉, 유무선 전화기(15)가 통화중 통화내용을 저장하라는 메시지를 발생시키면, 유무선 전화기(15)의 경우 유선 통신망(16)에서는 이를 교환기(17)로 전송하고, 교환기(17)에서는 저장장치(18)의 메모리 영역 중 유무선 전화기(15)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통화내용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가 통화중 통화내용을 저장하라는 메시지를 발생시키면, 이를 기지국(12)에서 수신하여 무선 통신망(13)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13)에서는 이를 다시 교환기(IGS)(17)로 전송하면, 교환기(17)에서는 저장장치(18)의 메모리 영역 중 유무선 전화기(15)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통화내용을 저장한다.
이어서, 유무선 전화기(15)나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특정 키입력신호가 다시 한 번 발생하면, 교환기(17)는 저장장치로 저장하던 통화내용의 저장을 중지시킨다.
이때 유무선 전화기(15)와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 역시 상대방 전화기(단말기)와 통화중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영역으로는 유무선 전화기(15)의 경우 음성 녹음용 테잎(Tape)이나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고,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의 경우에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나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Card)를 이용하면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유무선 전화기(15)의 사용자나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의 사용자는 상기 저장장치(18)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데,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방법 중 상기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가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가 자신의 키 패드를 이용해 자신의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를 눌러 검색할 수 있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15)의 경우에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5)가 상기 저장장치(18)와 연동된 교환기(17)에 접속한 후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누르면 상기 교환기(17)에서 상기 저장장치(18)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장치(18)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전화기(15)로 전송시킴으로써 유무선 전화기(15)가 통화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무선 전화기(15)와,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는 상기 저장장치(18)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다른 유무선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 및 고정 단말기(21)로 전송할 것을 교환기(17)를 통해 요청한다.
그러면 교환기(17)에서는 유무선 통신망(16,13)을 통해 다른 유무선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에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음성 녹음용 테잎이나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와 같은 저장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교환기(17)에서 전송된 통화 내용을 저장한다. 이때 통화 내용이 전송되는 착신측이 임의의 이동 단말기인 경우 교환기(17)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로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한 것과 관련된 단문(Short Message)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의 저장 영역에 저장장치(18)에 저장되었던 통화내용이 전송되었음을 알게되고 이를 재생시켜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21)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라 약칭 함)인데, 유무선 전화기(15)나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가 저장장치(18)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고정 단말기(21)로 전송하기 위해서, 통화내용이 전송될 고정 단말기(21)의 전자우편 주소(e-mail address)를 교환기(17)로 전송하면, 교환기(17)는 저장장치(18)의 통화내용을 전자우편 서버(19)로 전송하고, 전자우편 서버(19)는 인터넷(20)을 통해 고정 단말기(21)로 통화내용을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고정 단말기(21)에서 저장장치(18)로 통화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단말기(21) 사용자가 자신의 고정 단말기(21)에서 텍스트 형태의 파일을 작성한 후 음성 파일로 변환시키는 기능(TTS)을 이용하여 음성 파일로 변환시킨 후 인터넷(20)을 이용해 저장장치(18)에 접속하여, 특정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연동된 저장장치(18)의 저장영역에 전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고정 단말기(21)에서 텍스트 파일을 저장장치(18)로 전송하면 저장장치(18)에서 텍스트 파일을 음성파일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이동 단말기(10,11)의 저장영역으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카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통화내용이 많은 경우에도 충분히 계속해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은 리셉터클을 통해 고정단말기(21)에 내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화내용은 기본적으로 음성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차세대 이동 통신인 IMT-2000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망과 연동된 유무선전화기와 이동 단말기에서의 통화내용을 유무선 전화기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고정 단말기로도 저장하거나, 전송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우편 주소가 등록된 고정 단말기와;
    상기 저장장치와 상기 인터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와 연동된 고정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저장장치와의 사이에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시키는 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사용자나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다른 유무선 가입자나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통화내용을 있다는 것을 알리는 단문 서비스 센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기능 키를 한 번 조작한 이후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설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기능 키가 다시 한 번 조작되면 상기 저장장치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던 통화내용의 저장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고정 단말기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 다른 고정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고정 단말기의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로 상기 음성 파일이 전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전송 시스템.
  9. 통상의 유무선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해 통화 중인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교환기와 연동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검색한 통화내용을 선택하여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상기 교환기를 통해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통화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 또는 유무선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전이나 통화 중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용 저장과 관련된 기능 키를 누르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해 자신의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를 눌러 검색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통화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선 전화가 상기 저장장치와 연동된 교환기에 접속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누르면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교환기에서 통화내용이 전송되면 자신의 메모리 영역에 상기 교환기에서 전송된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영역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경우 음성 녹음용 테잎이나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경우 불휘발성 메모리나 멀티미디어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카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착탈가능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은 리셉터클을 통해 컴퓨터에 내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검색한 통화내용을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고정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임의의 고정 단말기로 상기 저장장치의 통화내용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선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키 패드에서 상기 고정 단말기의 전자우편 주소를 입력한 후 상기 통화내용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은 음성 또는 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처리 방법.
KR1020000049604A 2000-08-25 2000-08-25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071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04A KR100710138B1 (ko) 2000-08-25 2000-08-25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04A KR100710138B1 (ko) 2000-08-25 2000-08-25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333A true KR20020016333A (ko) 2002-03-04
KR100710138B1 KR100710138B1 (ko) 2007-04-23

Family

ID=1968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604A KR100710138B1 (ko) 2000-08-25 2000-08-25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1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72A (ko) * 2002-09-11 2002-10-30 박문찬 녹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3602A (ko) * 2001-08-08 2003-02-15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1215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KR100466859B1 (ko) * 2002-07-09 2005-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0315B1 (ko) * 2002-03-15 2005-02-07 (주)온넷테크놀러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메시지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메신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930B1 (ko) * 1997-07-09 2000-01-15 서정욱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02A (ko) * 2001-08-08 2003-02-15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70315B1 (ko) * 2002-03-15 2005-02-07 (주)온넷테크놀러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메시지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메신저 장치
KR20040001215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KR100466859B1 (ko) * 2002-07-09 2005-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82172A (ko) * 2002-09-11 2002-10-30 박문찬 녹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138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8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call management with text-to-speech messaging
US8611863B2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US5875231A (en) Telephone call on hold service for a party placed on hold by another party
RU217862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ки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в мобильные терминалы
JP3288050B2 (ja) 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着信通知方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710138B1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EP1077563A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telecommunicating calls
KR100605833B1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메시지 데이터 서버, 응답 서비스 센터 및 전화기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2069B1 (ko) 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JP3388893B2 (ja) パーソナル通信サービス装置
KR100618519B1 (ko) 음성 메시지를 이용한 예약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28525A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着信未応答時メッセージ報知方法
JP4017315B2 (ja) ボイスメールサービス方法及びボイスメール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KR20020018351A (ko) 간이 전자교환기에서의 전자메일 자동전달 및음성응신방법과 그 장치
KR100554795B1 (ko)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JP2000224306A (ja) 異なる通信事業者の移動電話端末にまたがって文字メッセージを伝達するメールサーバ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EP10210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call handling
KR20050091247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과,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서비스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