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576A - 기록매체, 재생장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재생장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576A
KR20070015576A KR1020067023751A KR20067023751A KR20070015576A KR 20070015576 A KR20070015576 A KR 20070015576A KR 1020067023751 A KR1020067023751 A KR 1020067023751A KR 20067023751 A KR20067023751 A KR 20067023751A KR 20070015576 A KR20070015576 A KR 2007001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entry
playback
avcli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142B1 (ko
Inventor
히로시 야하타
도모유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BD-ROM에는 비디오 스트림과 엔트리 맵이 기록되어 있고, 엔트리 맵은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SPN_EP_start)를 엔트리 시각(PTS_EP_start)과 플래그(is_angle_change_point)에 대응하여 표시하며, 플래그(is_angle_change_ point)는 각 엔트리 위치(SPN_EP_start)에 존재하는 픽쳐가 디코딩의 리프레시 동작을 의도하고 있는 IDR 픽쳐인가, 선행하는 픽쳐의 참조를 필요로 하는 Non-IDR I 픽쳐인가를 나타낸다.
엔트리 맵, 엔트리 시각, 플래그, IDR 픽쳐, Non-IDR I 픽쳐

Description

기록매체, 재생장치, 프로그램{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PROGRAM}
본 발명은 점프재생(jump playback)기술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발명이다.
점프재생이란 가변 부호길이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디지털 스트림의 도중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재생의 대상이 MPEG 2-Video, MPEG 4-AVC로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인 경우, 점프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점프위치에 해당하는 픽쳐가 참조하고 있는 모든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하기 위한 판독범위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GOP 구조에 의해서 변한다. MPEG 2-Video의 GOP 구조에는 Closed-GOP, Open-GOP라는 종별이 있다. Closed-GOP는 픽쳐 간의 의존관계가 하나의 GOP 내에서 완결되어 있으므로, 점프위치를 포함하는 GOP를 판독하여 디코더에 공급하면 점프위치에서의 참조 픽쳐를 모두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다.
한편, Open-GOP는, MPEG 2-Video의 예로 생각하면, 픽쳐 간의 의존관계가 하나의 GOP 내에서 완결되지 않고 그 앞의 GOP(previous OP)에까지 미친다. 그런 이유에서 점프재생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점프위치를 포함하는 GOP의 하나 앞의 GOP를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여 디코더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GOP 구조가 Open-GOP이면 하나 앞의 GOP까지 판독범위를 넓히는 준비가 필요해진다.
점프재생 시에는 GOP의 선두에 존재하는 I 픽쳐(Intra picture)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I 픽쳐의 탐색을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록된 선행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0-228656호
그런데 MPEG 2-Video의 Open-GOP에서는 의존관계가 고작 하나 앞의 GOP에 미치는 정도였으나, MPEG 4-AVC의 Open-GOP에서는 수십 프레임 전의 픽쳐에까지 의존관계가 미치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MPEG 4-AVC의 디코더 모델에는 단시간 참조 픽쳐, 장시간 참조 픽쳐라고 하는 2종류의 참조 픽쳐가 규정되어 있고, 장시간 참조 픽쳐에서는 수십 프레임 전의 픽쳐의 참조가 허용되기 때문이다. 수십 프레임 전까지 의존관계가 미칠 수 있으므로, 하나의 GOP까지 판독범위를 넓히는 정도로는 디코드에 필요한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없다.
따라서 재생장치는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여 판독범위를 확대시키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최악의 경우란, 비디오 스트림 선두에까지 의존관계가 미치고 있는 경우이며, 이 경우, 판독범위는 비디오 스트림 선두까지 확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2시간 길이의 비디오 스트림에서, 1시간 경과 후의 재생위치에서부터 점프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스트림 선두에까지 판독범위를 확대한다면, 1시간 분의 픽쳐의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어서, 참조 픽쳐의 준비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점프재생에 막대한 시간을 요하므로, 기록매체에 의한 영화작품의 반포라는 용도에는 MPEG 4-AVC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고 있다. 그래서 스트림 배신(stream distribution)이라고 하는 재생형태에서의 이용, 즉, 비디오 스트림을 반드시 선두부터 재생한다고 하는 재생형태가 MPEG 4-AVC에서의 숙원의 과제라고도 이야기되고 있었다. 그러나 MPEG 4-AVC에 의한 부호화는 고화질과 고압축률이라는 메리트를 가져오므로, 점프재생에 막대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고 해도, 기록매체로서의 응용이라는 용도를 폐기하기는 매우 아깝다는 한탄의 소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존관계가 멀리 있는 픽쳐에까지 미치게 하는 Open-GOP 구조에서 점프재생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과 엔트리 맵(entry map)이 기록되어 있고, 엔트리 맵은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플래그에 대응하여 나타내며, 상기 플래그는 각 엔트리 위치에 존재하는 픽쳐가 디코더의 리프레시(decoder refresh) 동작을 의도하고 있는 인트라 픽쳐인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에서의 플래그는, 각 엔트리 위치에 존재하는 픽쳐에 대응되어 있고, 각 픽쳐가 디코딩의 리프레시 동작을 의도하고 있는 인트라 픽쳐인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엔트리 위치에 대응되어 있는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재생장치는 어느 인트라 픽쳐가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인가를 알 수 있다. Open-GOP에서의 의존관계가 멀리 있는 픽쳐에까지 미친다고 해도 장시간의 의존관계는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를 넘는 것은 아니므로, 점프재생 시에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까지 판독범위를 넓히면 점프재생 시의 디코드에 필요한 모든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2시간 길이의 비디오 스트림에서 1시간 경과 후의 재생위치에서부터 점프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그 점프위치의 15분 전에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가 있으면, 그 15분 전의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까지 판독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점프재생의 디코드에 필요한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다. 판독범위의 확대 폭을 1시간에서 15분까지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점프위치에 필요한 참조 픽쳐의 준비를 빨리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록매체를 사용한 영화작품의 반포라는 용도로 MPEG 4-AVC를 이용할 수 있어서, MPEG 4-AVC의 용도를 크게 넓힐 수 있다.
높은 압출률을 얻기 위해, 15분, 30분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간격으로 IDR 픽쳐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특수재생의 효율화를 실현할 있으므로, MPEG 4-AVC에 의한 압축 부호화의 이점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특수재생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BD-RO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BD-ROM에 기록되는 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표시 순서에 배치되는 복수의 픽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a)에 나타낸 비디오 스트림의 GOP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은 표시 순서 및 부호화 순서에서의 Closed-GOP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Open-GOP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은 IDR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 Non-IDR I 픽쳐에서의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Non-IDR I 픽쳐가 가질 수 있는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TS 패킷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Clip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를 나타낸다. (b)는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를 나타낸다.
도 12는 AVClip으로의 진입, AVClip으로부터의 탈출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엔트리 포인트 #1 ~ 엔트리 포인트 #5의 PTS_EP_start, SPN_EP_start를 EP_Low, EP_High의 세트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점프재생 시에서의 판독범위의 확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PlayList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AVClip과 PlayList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비디오 디코더(8)에 의해 Non-IDR I 픽쳐가 복호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IDR 픽쳐를 디코드할 때의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의 저장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In_time을 I 픽쳐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제어부(44)에 의한 PL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멀티앵글구간의 실현을 위한 응용 층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은 PlayItem 정보의 4개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이루어진 일괄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각 AVClip을 구성하는 익스텐트(extent)를 PlayList 시간 축 상에 기술한 도면이다.
도 27(a)은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는 4개의 AVClip이 BD-ROM 상에서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 라고 하는 배당 이미지(allocation imag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AVClip을 구성하는 분할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익스텐트의 연속길이를 어떻게 결정하는가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BD-ROM에서의 익스텐트의 배당과 이들 익스텐트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 설정을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PSR(3)의 설정 값이 취할 수 있는 복수의 값과 PlayItem 및 Clip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 2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멀티앵글구간을 대상으로 한 디스크 판독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앵글 영상 A를 재생할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앵글 영상 전환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앵글 영상 전환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PLmark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PLmark에 의한 챕터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PlayList 정보 중 PlayItem #1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부분의 비디오 스트림의 내용 및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픽쳐 열 중 PlayItem #2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픽쳐 열 중 PlayItem #3으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챕터 서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2는 챕터 스킵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BD 드라이브
2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Arrival time Clock Counter)
3 소스 디패킷타이저(Source de-packetizer)
4 PID 필터(PID Filter)
5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6 멀티플렉스드 버퍼(Multiplexed Buffer)
7 코디드 픽쳐 버퍼(Coded Picture Buffer)
8 비디오 디코더
10 디코디드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11 비디오 플레인(video plane)
12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13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
14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
15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
16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
17 콤포지션 컨트롤러(Composition Controller)
18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Presentation Graphics Plane)
19 CLUT부
20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21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
22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
23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
24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
25 콤포지션 컨트롤러(Composition Controller)
26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Interactive Graphics Plane)
27 CLUT부 28 합성부
29 합성부 30 스위치
31 네트워크 장치(Network Device)
32 로컬 기억장치(Local Storage)
33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Arrival Time Clock Counter)
34 소스 디패킷타이저(Source De-Packetizer)
35 PID 필터 36 스위치
37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38 엘리멘터리 버퍼(Elementary Buffer)
39 오디오 디코더
40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41 버퍼 42 텍스트 자막 디코더
43 시나리오 메모리 44 제어부
46 PSR 세트 100 BD-ROM
200 재생장치 300 리모컨
400 텔레비전
(제 1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행위 중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BD-ROM(100)이다. 이 BD-ROM(100)은 재생장치(200), 리모컨(300), 텔레비전(400)에 의해 형성되는 홈시어터 시스템에 영화작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제공된다.
이상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사용형태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행위 중 생산행위에 대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BD-ROM의 응용 층에 대한 개량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BD-RO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4단째에 BD-ROM을 나타내고, 제 3단째에 BD-ROM 상의 트랙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트랙은 BD-ROM의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횡 방향으로 확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이 트랙은 리드인 영역과 볼륨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의 볼륨영역은 물리 층, 파일 시스템 층, 응용 층이라는 계층모델(layer model)을 갖는다. 디렉터리 구조를 사용하여 BD-ROM의 응용 층 포맷(application format)을 실현하면 도면 중의 제 1단째와 같이 된다. 이 제 1단째에서 BD-ROM에는 루트 디렉터리의 아래에 BDMV 디렉터리가 있다.
BDMV 디렉터리의 하위에는 PLAYLIST 디렉터리, CLIPINF 디렉터리, STREAM 디렉터리라고 불리는 3개의 서브디렉터리가 존재한다.
STREAM 디렉터리에는 소위 디지털 스트림 본체가 되는 파일 군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이고,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00001.m2ts, 00002.m2ts, 00003.m2ts)이 존재한다.
PLAYLIST 디렉터리는 확장자 mpls가 부여된 파일(00001.mpls, 00002.mpls, 00003.mpls)이 존재한다.
CLIPINF 디렉터리에는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00001.clpi, 00002.clpi, 00003.clpi)이 존재한다.
<AVClip의 구성>
이어서,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00001.m2ts, 00002.m2ts, 00003.m2ts …)은 AVClip을 저장하고 있다. AVClip은(중단),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픽쳐 pj 1, 2, 3)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을(상 1단째)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상 2단째), 다시 TS 패킷으로 변환하며(상 3단째), 동일 자막계통의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하 1단째의 PG 스트림) 및 대화계통의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하 2단째의 IG 스트림)을 TS 패킷으로 변환하여(하 3단째) 이들을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어서, MPEG 2-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인 AVClip이 BD-ROM에 어떻게 기록되는가를 설명한다. 도 4는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BD-ROM에 기록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1단째에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은 제 2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S_extra_header(도면 중의 「EX」)가 부가된다.
제 3단째 및 제 4단째는 BD-ROM의 물리단위와 TS 패킷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제 4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D-ROM 상에는 복수의 섹터가 형성되어 있다. extra_header 부착 TS 패킷(이하, EX 부착 TS 패킷이라고 한다)은 32개마다 그룹화되어서 3개의 섹터에 기록된다. 32개의 EX 부착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6144 바이트(= 32 × 192)이며, 이는 3개의 섹터 사이즈 6144 바이트(= 2048 × 3)와 일치한다. 3개의 섹터에 수용된 32개의 EX 부착 TS 패킷을 "Aligned Unit"이라 고 하고, BD-ROM에 기록 시에는 Aligned Unit 단위로 암호화가 이루어진다.
제 5단째에서 섹터는 32개 단위로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어, ECC 블록을 구성한다. 기록장치는 Aligned Unit의 단위로 BD-ROM을 액세스하는 한은 32개의 완결된 EX 부착 TS 패킷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이 BD-ROM에 대한 AVClip의 기록의 프로세스이다.
<비디오 스트림>
이어서,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은 복수의 픽쳐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부호화 순서로 배치되는 복수의 픽쳐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I, P, B는 각각 I 픽쳐, B 픽쳐, P 픽쳐를 의미한다. I 픽쳐에는 IDR 픽쳐와 Non-IDR I픽쳐 2종류가 있다. Non-IDR I 픽쳐, P 픽쳐, B 픽쳐는 다른 픽쳐와의 프레임 상관성에 의거하여 압축 부호화되어 있다. B 픽쳐는 Bidirectionally predictive(B)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말하고, P 픽쳐는 Predictive(P)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말한다. B 픽쳐에는 reference B 픽쳐와 non-reference B 픽쳐가 있다.
도 5(a)에서는 Non-IDR I 픽쳐를 "I" 로 기술하고 있고, IDR 픽쳐를 "IDR"로 기술하고 있다. 이하, 동일한 표기를 사용한다.
<GOP 구조>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비디오 스트림의 GOP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IDR 픽쳐와, 이 IDR 픽쳐에 이어지는 B 픽쳐 및 P 픽쳐는 하나의 Closed-GOP를 구성한다. 한편, Non-IDR I 픽쳐와 Non-IDR I 픽쳐에 이어지는 B 픽쳐 및 P 픽쳐는 하나의 Open-GOP를 구성한다.
도 6(a)은 표시 순서 및 부호화 순서에서의 Closed-GOP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화 순서에서 Closed-GOP는 IDR 픽쳐가 선두에 배치된다. 표시 순서에서 IDR 픽쳐는 선두가 되지 않으나, IDR 픽쳐 이외의 다른 픽쳐(B 픽쳐, P 픽쳐)는 Closed-GOP 보다 앞의 GOP에 존재하는 픽쳐와 의존관계를 가질 수는 없다. 도면 중의 ×가 표시된 화살표는 앞의 GOP와의 의존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Closed-GOP는 의존관계를 완결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도 6(b)은 Open-GOP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의 상단은 표시 순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하단은 부호화 순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부호화 순서에서는 Non-IDR I 픽쳐가 선두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호화 순서와 표시 순서의 차이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 P 픽쳐의 순서가 바뀌어 있는 점이다. 표시 순서에서는 Non-IDR I 픽쳐 앞에 B 픽쳐가 존재한다.
Non-IDR I 픽쳐 앞의 B 픽쳐는 앞의 GOP와 의존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Non-IDR I 픽쳐보다 뒤의 픽쳐는 앞의 GOP와 의존관계를 가질 수 없다. 이와 같이, Open-GOP는 앞의 픽쳐와의 사이에서 의존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이 MPEG 4-AVC에서의 GOP 구조이다.
이어서, IDR 픽쳐 및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은 IDR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IDR 픽쳐는 복수의 인트라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7(b)은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IDR 픽쳐가 인트라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Non-IDR I 픽쳐는 인트라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 P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 B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7(c)은 Non-IDR I 픽쳐에서의 의존관계를 나타낸다. Non-IDR I 픽쳐는 B, P 슬라이스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다른 픽쳐와의 의존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Non-IDR I 픽쳐가 가질 수 있는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단째는 표시 순서로 배치된 픽쳐 열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부호화 순서로 배치된 픽쳐 열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Non-IDR I 픽쳐가 가질 수 있는 의존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설령 장시간 참조 픽쳐가 존재한다고는 해도 IDR 픽쳐를 넘는 의존관계가 존재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IDR 픽쳐는 디코더의 리프레시 동작을 디코더에 명령하므로, 그때까지 디코더 내에 얻어진 참조 픽쳐는 이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 동작에 의해 모두 소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Non-IDR I 픽쳐에서의 의존관계는 IDR 픽쳐에서 완결되게 된다.
<IDR 픽쳐>
IDR 픽쳐를 비디오 스트림 중에 삽입하는 기술적 의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Closed-GOP를 규정하는 IDR 픽쳐는, 예를 들어 1 GOP 마다 출현과 같이, 정해진 단위로 출현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서 어느 부분에 몇 개의 IDR 픽쳐를 둘 것인가는 비디오 스트림의 인코드 조건에 따라서 변한다. 따라서 인코드 조건에 따라서는 IDR 픽쳐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IDR 픽쳐가 많이 포 함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IDR 픽쳐는 자신의 압축 부호화에 단시간 참조 픽쳐 및 장시간 참조 픽쳐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비디오 스트림에 삽입되는 IDR 픽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비디오 스트림의 압축률은 낮아진다. 즉 IDR 픽쳐의 삽입 수가 많으면 그 압축률의 이점이 손상되게 된다. 그러나 비디오 스트림의 도중에 IDR 픽쳐가 적어도 1개 삽입되어 있으면 스트림의 도중에서부터의 특수재생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특수재생을 행함에 있어서, P 픽쳐를 디코드하는 경우, 그 P 픽쳐를 복호 하기 위해서는 어느 픽쳐까지 소급하여 복호 하면 되는가를 알 수 없다. 왜냐하면, 특수재생에 의해 표시하고 싶은 P 픽쳐는 그보다 이전에 부호화되어 있는 B 픽쳐를 참조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또, 그 B 픽쳐도 그보다 이전에 부호화되어 있는 B 픽쳐와 P 픽쳐를 참조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디까지 되돌아가서 복호를 하면 표시하고자 하는 P 픽쳐를 복호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보증이 전혀 없다. 그러나 비디오 스트림 중의 적절한 위치에 IDR 픽쳐가 삽입되어 있으면, 픽쳐 간의 의존관계는 IDR 픽쳐 전후에서 단절되는 것이 명백하므로, 특수재생에서 IDR 픽쳐까지 거슬러 올라가 복호를 함으로써 P 픽쳐의 재생에 필요한 픽쳐의 취득이 가능해진다. 특수재생에서의 P 픽쳐의 디코드가 쉬워지게 되므로, I 픽쳐 및 P 픽쳐를 순차 디코드해 가게 되어 비디오 스트림의 배속 재생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 IDR 픽쳐를 몇 개, 어디에 삽입해 두는가는 인코드 조건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이 결정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수재생의 효율화와 압축률의 쌍방을 참작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15분 간격, 30분 간격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간격으로 IDR 픽쳐가 삽입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설명을 진행한다.
<BD-ROM에 기록>
이어서,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어떻게 하여 TS 패킷으로 변환되어 BD-ROM에 기록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TS 패킷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제 1단째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나타낸다. 제 2단째는 MPEG 4-AVC에 규정된 액세스 유닛(Access Unit)을 나타낸다.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라이스 데이터는 순서대로 배치되고, AUD(Access Unit Delimiter),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SEI(Supplemental Enhanced info)가 부가됨으로써 액세스 유닛으로 변환되게 된다.
AUD, SPS, PPS, SEI, 액세스 유닛의 각각은 MPEG 4-AVC에 규정된 정보이고, ITU-T Recommendation H.264 등의 다양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이들 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AUD, SPS, PPS, SEI가 재생장치에 공급되는 것이 랜덤 액세스의 필수조건이 된다고 하는 점이다.
제 3단째는 NAL 유닛을 나타낸다. 제 2단째에서의 AUD, PSP, PPS, SEI에 대하여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는 각각 NAL 유닛으로 변환되게 된다. NAL 유닛은 MPEG 4-AVC의 네트워크 추상계층(Network Abstraction Layer)에서 규정된 단위이며, ITU-T Recommendation H.264 등의 다양 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이들 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는 각각 독립된 NAL 유닛으로 변환되어 있으므로,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 각각은 네트워크 추상계층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된다는 점이다.
하나의 픽쳐를 변환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NAL 유닛은 제 4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ES 패킷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TS 패킷으로 변환되어 BD-ROM 상에 기록된다.
하나의 GOP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 GOP의 선두에 위치하는 IDR 픽쳐 및 Non_IDR I 픽쳐를 구성하는 NAL 유닛 중 AUD를 포함하는 것을 디코더에 투입시켜야 한다. 즉 AUD를 포함하는 NAL 유닛이 IDR 픽쳐 및 Non_IDR I 픽쳐를 디코드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가 된다. 이 AUD를 포함하는 NAL 유닛을 본 실시 예에서는 점(Point)으로서 취급한다. 그리고 재생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때에, AUD를 포함하는 NAL 유닛을 I 픽쳐를 재생하기 위한 엔트리 위치로 해석한다. 따라서, AVClip에서 점프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IDR 픽쳐 및 Non-IDR I 픽쳐의 AUD가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이상이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의 구성이다.
<Clip 정보>
이어서,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00001.clpi, 00002.clpi, 00003.clpi …)은 Clip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Clip 정보는 개개의 AVClip에 대한 관리정보이다. 도 10은 Clip 정보의 내부 구성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lip 정보는,
i) AVClip 파일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ClipInfo()』,
ii) ATC Sequence, STC Sequence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Sequence Info()』,
iii) Program Sequence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Program Info()』,
iv) 『Characteristic Point Info(CPI())』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인출 선 cu 1은 i번째의 Program Sequence(Program Sequence(i))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본 인출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rogram Sequence(i)에 대한 Program Info는 Stream_PID와 Stream_Coding_Info의 세트를 Ns(i)개 배열하여 이루어진다(도면 중의 Stream_PID[i](0), Stream_Coding_Info(i, 0) ~ Stream_PID[i](Ns(i)-1), Stream_Coding_Info(i, Ns(i)-1)).
Stream_PID는 AVClip을 구성하는 개개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한 패킷 식별자를 나타내고, Stream_Coding_Info는 AVClip을 구성하는 개개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1(a)은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를 나타내고, 도 11(b)은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를 나타낸다. 비디오 스트림의 Stream_Coding_Info는 비디오 스트림의 부호화 방식이 MPEG 4-AVC, MPEG 2-Video 중 어느 하나인가를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비디오 스트림의 표시방식이 480i, 576i, 480p, 1080i, 720p, 1080p 중 어느 하나인가를 나타내는 『Video_format』,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 비율이 23.976Hz, 29.97Hz, 59.94Hz 중 어느 하나인가를 나타내는 『frame_rate』,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픽쳐의 애스펙트 비가 4 : 3, 16 : 9 중 어느 하나인가를 나타내는 『aspect_ratio』를 포함한다.
도 11(b)은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Stream_Coding_Info는 오디오 스트림의 부호화 방식이 LPCM, Dolby-AC 3, Dts 중 어느 하나인가를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오디오 스트림의 출력형식이 스테레오, 모노, 멀티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audio_Presentation_type』,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내는 『Sampling_Frequency』,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언어를 나타내는 『audio_language』로 이루어진다.
이 Stream_Coding_Info를 참조함으로써, AVClip에서의 복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 중 어느 것이 MPEG 4-AVC 형식인가를 알 수 있다.
<CPI(EP-map)>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CPI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인출선 cu 2는 CPI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인출선 cu 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I는 EP_map으로 이루어진다. EP_map은 Ne개의 EP_map_for_one_stream_PID(EP_map_for_one_stream_ PID(0) ~ EP_map_for_one_stream_PID(Ne - 1))로 이루어진다. 이들 EP_map_for_one_ stream_PID는 AVClip에 속하는 개개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한 EP_map이다. EP_map은 하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 상에서 I 픽쳐의 AUD가 존재하는 엔트리 위치의 패킷 번호(SPN_EP_start)를 엔트리 시각(PTS_EP_start)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면 중의 인출선 cu 3은 EP_map_for_one_stream_PID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EP_map_for_one_stream_PID는 Nc개의 EP_High(EP_High(0) ~ EP_High(Nc - 1))와 Nf개의 EP_Low(EP_Low(0) ~ EP_Low(Nf - 1))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EP_High는 I 픽쳐의 SPN_EP_start 및 PTS_EP_start의 상위 비트를 나타내는 역할을 가지며, EP_Low는 I 픽쳐의 SPN_EP_start 및 PTS_EP_Start의 하위 비트를 나타내는 역할을 갖는다.
도면 중의 인출선 cu 4는 EP_High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 인출 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EP_High(i)는 EP_Low에 대한 참조 값인 『ref_to_EP_Low_id[i]』와 I 픽쳐의 PTS의 상위 비트를 나타내는 『PTS_EP_High[i]』와 I 픽쳐의 SPN의 상위 비트를 나타내는 『SPN_EP_High[i]』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i는 임의의 EP_High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도면 중의 인출선 cu 5는 EP_Low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인출선 cu 5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EP_Low는 『is_angle_change_point(EP_Low_id)』와 대응하는 I 픽쳐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I_end_position_offset(EP_Low_id)』와, 대응하는 I 픽쳐의 PTS의 하위 비트를 나타내는 『PTS_EP_Low(EP_Low_id)』와, 대응하는 I 픽쳐의 SPN의 하위 비트를 나타내는 『SPN_EP_Low(EP_Low_i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EP_Low_id는 임의의 EP_Low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이들 EP_map의 데이터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특허문헌 등에 기재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 중 『 is_angle_change_point』라는 플래그는 본원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is_angle_change_point』는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정된 I 픽쳐가 다른 AVClip으로부터의 진입점이 되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도 12는 AVClip으로의 진입, AVClip으로부터의 탈출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AVClip의 진입점이란, 어떤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광 픽업이 판독하고 있을 때, 그 광 픽업이 탐색(seek)을 하도록 하여 다른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의 기록위치로 광 픽업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도 12에서의 화살표 er 1은 AVClip으로의 진입시에서의 광 픽업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진입시에 is_angle_change_point"= 1"의 엔트리 포인트로 표시되는 TS 패킷은 진입 가능한 위치로 해석된다.
is_angle_change_point"= 1"의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는 TS 패킷 직전의 TS 패킷은 AVClip으로부터의 탈출 점으로 해석된다. 여기서 AVClip으로부터의 탈출이란, 어떤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을 판독하고 있을 때, 광 픽업이 탐색을 하도록 하여 다른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12에서의 화살표 ex 1은 AVClip으로부터의 탈출시의 광 픽업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다른 AVClip으로부터의 진입시에는 지금까지의 디코드의 과정에서 얻어진 픽쳐를 참조할 수는 없다. 따라서, is_angle_change_point"= 1"의 엔트리 포인트로 지시되는 I 픽쳐는 IDR 픽쳐가 아니면 안 된다.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 정됨으로써 대응하는 I 픽쳐가 IDR 픽쳐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고, "= 0"으로 설정됨으로써 대응하는 I 픽쳐가 Non_IDR I 픽쳐라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본 도면에 도시한 조작, 즉 현재 재생 중인 AVClip으로부터의 「탈출」과, 다른 AVClip으로의 「진입」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을 앵글전환(angle_change)이라고 한다. is_angle_change_point는 이 "angle_change"가 가능하다는 이유에서 명명되어 있다. 다만, 앵글전환의 실현에는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EP_map뿐만이 아니라, AVClip이나 PlayList 정보에 대한 개량이 필요하게 된다. 앵글 실현을 위한 AVClip, PlayList 정보에 대한 개량은 제 2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데이터 구조상 EP_map은, EP_High, EP_Low의 세트로 표현되나, 이 표기로는 설명이 번잡해지므로, 특별히 미리 양해를 얻어서, 이들 EP_High에 표시되는 PTS·SPN의 상위 비트, EP_Low에 표시되는 PTS·SPN의 하위 비트를 합쳐서 PTS_PE_start, SPN_EP_start로 표기한다.
도 5, 도 8에 도시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EP_map이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5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단째는 표시 순으로 배치된 복수의 픽쳐를 나타내고, 제 2단째는 그 픽쳐에서의 시간 축을 나타낸다. 제 4단째는 BD-ROM 상의 TS 패킷 열을 나타내고, 제 3단째는 EP_map의 설정을 나타낸다. 제 2단째에서의 시간 축의 t 1, t 2, t 3, t 4, t 5에 I 픽쳐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t 1 ~ t 5가 EP_map에서 PTS_EP_start로 설정되게 된다. 한편, 비디오 스트림의 AUD가 BD-ROM에서의 TS 패킷 열의 n 1, n 2, n 3, n 4, n 5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 n 1 ~ n 5가 EP_map에서 SPN_EP_start로 설정된다. 이들 t 1 ~ t 5, n 1 ~ n 5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 #1 ~ 엔트리 포인트 # 5 중 엔트리 포인트 #1, 엔트리 포인트 #3은 IDR 픽쳐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is_angle_change_point는 "1"로 설정된다. 그 이외의 엔트리 포인트 #2, 엔트리 포인트 #4, 엔트리 포인트 #5에서의 is_angle_change_point는 "0"으로 설정된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엔트리 포인트 #1 ~ 엔트리 포인트 #5의 PTS_EP_start, SPN_EP_start를 EP_Low, EP_High의 세트로 표현한 것이다. 본 도면의 좌측에 EP_Low를 나타내고 우측에 EP_High를 나타낸다.
도 14의 좌측의 EP_Low(0) ~ (Nf - 1) 중 EP_Low(i) ~ (i + 1)의 PTS_EP_Low는 t1 ~ t 5의 하위 비트를 나타낸다. EP_Low(0) ~ (Nf - 1) 중 EP_Low(i) ~ (i + 1)의 SPN_EP_High는 n 1 ~ n 5의 하위 비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EP_Low(i) ~ (i + 1)에서의 is_angle_change_point(i) ~ (i + 1) 중 (i) 및 (i + 2)는 대응하는 I 픽쳐가 IDR 픽쳐이므로, is_angle_change_point는 "1"로 설정되어 있다. (i + 1), (i + 3), (i + 4)는 대응하는 I 픽쳐가 Non-IDR I 픽쳐이므로, is_angle_change_point는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4의 우측은 EP_map에서의 EP_High(0) ~ (Nc - 1)을 나타낸다. 여기서 t 1 ~ t 5는 공통의 상위 비트를 가지고 있고, 또 n 1 ~ n 5도 공통의 상위 비트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 이 공통의 상위 비트가 PTS_EP_High, SPN_EP_High에 기술된다. 그리고 EP_High에 대응하는 ref_to_EP_LOW_id는 t 1 ~ t 5, n 1 ~ n 5에 해당하는 EP_Low 중 선두의 것(EP_Low(i))을 나타내도록 설정해 둔다. 이렇게 함으로 써, PTS_EP_start, SPN_EP_start의 공통의 상위 비트는 EP_High에 의해 표현되게 된다.
이와 같은 EP_map의 최대의 특징은 점프재생 시의 판독범위의 확대가 필요 최저한이 되는 것이다. 도 15는 점프재생 시에서의 판독범위의 확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면 중의 In_time에서 점프재생을 실행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In_time을 점프위치로 하면, 재생장치는, 이 점프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포인트로, is_angle_change_point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판정한다. 본 도면에서는 시각 t 3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가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PTS_EP_start = t 3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 #3으로부터 SPN_EP_start = n 3을 인출하고, AV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 중 n 3 이후를 판독하여 디코더에 공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 선두까지 판독범위를 확대하지 않고도 I 픽쳐에 해당하는 픽쳐의 디코드에 필요한 모든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해 둘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길이가 2시간이고, 점프위치인 In_time이 1시간 경과한 후의 재생위치인 경우에, t 3이 In_time의 15분 전이면, 그 15분 전의 t 3까지 판독범위를 확대함으로써 In_time에 해당하는 픽쳐의 디코드에 필요한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다.
"1시간 경과 후"를 나타내는 In_time에서 점프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15분 전의 t 3까지 판독범위를 확대하는 것만으로 점프재생의 디코드에 필요한 참조 픽 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으므로, 판독범위의 필요 최저한의 확대에 의해 BD-ROM 상의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을 자유로운 위치에서부터 재생해 갈 수 있다. 이에 의해, BD-ROM을 사용한 영화작품의 반포라는 용도에 MPEG 4-AVC를 이용할 수 있어서, MPEG 4-AVC의 용도를 크게 넓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MPEG 4-AVC 대응의 EP_map을 MPEG 2-Video에 대응하는 EP_map의 데이터 구조와 비교하면, I 픽쳐의 SPN을 PTS에 대응시켜서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MPEG 4-AVC 대응의 EP_map의 데이터 구조는 MPEG 2-Video 대응의 EP_map과 공통하고 있다. 차이는, MPEG 4-AVC 대응의 EP_map에 is_angle_change_point가 존재하고 있어서, 대응하는 I 픽쳐가 IDR 픽쳐인가 Non-IDR I 픽쳐인가가 이 is_angle_change_point에 표시되어 있는 점이다. MPEG 4-AVC 대응의 EP_map은 IDR 픽쳐 및 Non-IDR I 픽쳐의 SPN-PTS 세트에 is_angle_change_point를 부가하는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MPEG 2-Video에 대응한 EP_map과 호환성이 있다. MPEG 4-AVC 대응의 EP_map을 MPEG 2-Video와 호환성이 있는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BD-ROM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람은 MPEG 2-Video의 부호화 방식, MPEG 4-AVC의 부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때에 EP_map의 형식을 의식할 필요는 없다. EP_map의 데이터 구조를 의식하지 않고, MPEG 2-Video의 부호화 방식, MPEG 4-AVC의 부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부호화 방식의 선택의 폭이 넓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이 본 실시 예에 관한 Clip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확장자 "mpls"가 부여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PlayList 정보>
확장자 "mpls"가 부여된 파일(00001.mpls, 00002.mpls, 00003.mpls …)은 PlayList 정보를 저장한 파일이다. PlayList 정보는 AVClip을 참조하여 PlayList라고 불리는 재생경로를 정의하는 정보이다. 도 16은 PlayList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도면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ayList 정보는 복수의 PlayItem 정보로 이루어진다. PlayItem이란 하나 이상의 AVClip 시간 축 상에서 In_Time, Out_Time을 지정함으로써 정의되는 재생구간이다. PlayItem 정보를 복수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복수 재생구간으로 이루어지는 PlayList(PL)가 정의된다. 도면 중의 점선 hs 1은 PlayItem 정보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ayItem 정보는 대응하는 Clip 정보를 나타내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과, 대응하는 AVClip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Clip_codec_indentifier』와, 『In_time』과, 『Out_time』으로 이루어진다. 도 17은 AVClip과 PlayList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단째는 AVClip이 갖는 시간 축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PlayList가 갖는 시간 축(PL 시간 축이라 한다)을 나타낸다. PlayList 정보는, PlayItem #1, #2, #3이라는 3개의 PlayItem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PlayItem #1, #2, #3의 In_time, Out_time에 의해 3개의 재생구간이 정의되게 된다. 이들 재생구간을 배열시키면 AVClip 시간 축과는 다른 시간 축이 정의되게 된다. 이것이 제 2단째에 도시된 PL 시간 축이다. 이와 같이, PlayItem 정보의 정의에 의해 AVClip과는 다른 시간 축의 정의가 가능해진다.
Clip 정보에서의 EP_map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I 픽쳐의 SPN을 IDR 픽쳐의 유무와 함께 PTS에 대응시켜서 나타내고 있다. 이 EP_map에 의해 임의의 시각으로부터의 특수재생의 효율화는 보증되어 있으므로, PlayList 정보는 특수재생이 효율화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시간정보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시간정보에 의한 표현에 의해 BD-ROM에서의 PlayList 정보는 고쳐쓰기 가능한(re-writable) 타입의 기록매체(BD-RE)에서의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와의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이 본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의 내부 구성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본 도면에 도시된 내부 구성에 의거하여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주로 시스템 LSI와 드라이브 장치라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부분을 장치의 캐비닛 및 기판에 실장함으로써 공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시스템 LSI는 재생장치의 기능을 달성하는 다양한 처리부를 집적한 집적회로이다. 이렇게 하여 생산되는 재생장치는 BD 드라이브(1),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Arrival time Clock Counter, 2), 소스 디패킷타이저(Source De-packetizer, 3), PID 필터(PID Filter, 4),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5), 멀티플렉스드 버퍼(Multiplexed Buffer, 6), 코디드 픽쳐 버퍼(Coded Picture Buffer, 7),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10), 비디오 플레인(11), 트랜스 포트 버퍼(12),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 13),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 14),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 15),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 16), 콤포지션 컨트롤러(Composition Controller, 17),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Presentation Graphics plane, 18), CLUT부(19), 트랜스 포트 버퍼(20), 코디드 데이터 버퍼(21),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22), 오브젝트 버퍼(23), 콤포지션 버퍼(24), 콤포지션 컨트롤러(25),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Interactive Graphics plane, 26), CLUT부(27), 합성부(28), 합성부(29), 스위치(30), 네트워크 장치(Network Device, 31), 로컬 기억장치(Local Storage, 32),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33), 소스 디패킷타이저(34), PID 필터(35), 스위치(36), 트랜스 포트 버퍼(37), 엘리멘터리 버퍼(Elementary Buffer, 38), 오디오 디코더(39), 트랜스 포트 버퍼(40), 버퍼(41), 텍스트 자막 디코더(42), 시나리오 메모리(43), 제어부(44), PSR 세트(46)로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의 내부 구성은 MPEG의 T-STD 모델을 베이스로 한 디코더 모델이며, 다운 컨버트(down converting)를 상정한 디코더 모델로 되어 있다.
BD-ROM 드라이브(1)는 BD-ROM의 로딩/이젝트를 행하고, BD-ROM에 대응하는 액세스를 실행하여, 32개의 섹터로 이루어지는 Aligned Unit을 BD-ROM으로부터 판독한다.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2)는 27MHz의 수정 발진기(27MHz X-tal)에 의거 하여 어라이벌 타임 클록을 생성한다. 어라이벌 타임 클록은 TS 패킷에 부여된 ATS의 기준이 되는 시간 축을 규정하는 클록 신호이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는, BD-ROM으로부터 32개의 섹터로 이루어지는 Aligned Unit이 판독되면, Aligned Unit을 구성하는 각각의 TS 패킷에서 TP_extra_header를 제거하고, TS 패킷만을 PID 필터(4)에 출력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에 의한 PID 필터(4)로의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2)가 측정하고 있는 시각이 TP_extra_header에 표시되는 ATS에 도달한 타이밍에 이루어진다. PID 필터(4)로의 출력은 ATS에 따라서 이루어지므로, 설령 BD-ROM으로부터의 판독에 1배속, 2배속이라는 속도 차가 있어도 PID 필터(4)로의 TS 패킷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가 측정하는 현재시간에 따라서 이루어지게 된다.
PID 필터(4)는,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ID를 참조함으로써, TS 패킷이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IG 스트림 중 어느 하나에 귀속하는 것인가를 판정하여, 트랜스 포트 버퍼 5, 트랜스 포트 버퍼 12, 트랜스 포트 버퍼 20, 트랜스 포트 버퍼 37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5)는 비디오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PID 필터(4)로부터 출력된 때에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멀티플렉스드 버퍼(MB, 6)는 트랜스 포트 버퍼(5)로부터 코디드 픽쳐 버퍼(7)에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때에 일단 PES 패킷을 축적해 두기 위한 버퍼이다.
코디드 픽쳐 버퍼(CPB, 7)는 부호화 상태에 있는 픽쳐(I 픽쳐, B 픽쳐, P 픽 쳐)가 저장되는 버퍼이다.
비디오 디코더(8)는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개개의 프레임 영상을 소정의 복호시각(DTS)별로 디코드함으로써 복수 프레임 영상을 얻어서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기록한다.
디코디드 픽쳐 버퍼(10)는 복호 된 픽쳐가 기록되는 버퍼이다.
비디오 플레인(11)은 비 압축 형식의 픽쳐를 저장해 두기 위한 플레인이다. 플레인은 재생장치에서 한 화면 분의 화소 데이터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다. 비디오 플레인(11)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이 비디오 플레인(11)에 저장된 픽쳐 데이터는 16비트의 YUV 값으로 표현된 화소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12)는 PG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PID 필터(4)로부터 출력되었을 때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코디드 데이터 버퍼(CDB, 13)는 PG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14)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저장한 PES 패킷(ODS)을 디코드하여,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인덱스 컬러(index color)로 이루어지는 비 압축상태의 비트맵을 그래픽스 오브젝트로서 오브젝트 버퍼(15)에 기록한다.
오브젝트 버퍼(15)는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배치된다.
콤포지션 버퍼(16)는 그래픽스 데이터 묘사를 위한 제어정보(PCS)가 배치되는 메모리이다.
콤포지션 컨트롤러(17)는 콤포지션 버퍼(16)에 배치된 PCS를 해독하여, 해독결과에 의거한 제어를 한다.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은 한 화면 분의 영역을 가진 메모리이며, 한 화면 분의 비 압축 그래픽스를 저장할 수 있다. 본 플레인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 중의 비 압축 그래픽스의 각 화소는 8비트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된다. CLUT(Color Lookup Tabl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인덱스 컬러를 변환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는 표시에 제공된다.
CLUT부(19)는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20)는 IG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코디드 데이터 버퍼(CDB, 21)는 IG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22)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저장한 PES 패킷을 디코드하여,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인덱스 컬러로 이루어지는 비 압축상태의 비트맵을 그래픽스 오브젝트로 오브젝트 버퍼(23)에 기록한다.
오브젝트 버퍼(23)는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22)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배치된다.
콤포지션 버퍼(24)는 그래픽스 데이터의 묘사를 위한 제어정보가 배치되는 메모리이다.
콤포지션 컨트롤러(25)는 콤포지션 버퍼(24)에 배치된 제어정보를 해독하여, 해독결과에 의거한 제어를 한다.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은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22)에 의한 디코드에서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가 기록된다. 본 플레인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 중의 비 압축 그래픽의 각 화소는 8비트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된다. CLUT(Color Lookup Tabl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인덱스 컬러를 변환함으로써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는 표시에 제공된다.
CLUT부(27)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합성부(28)는 비디오 플레인(11)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프레임 화상과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합성시킨다. 이와 같은 합성에 의해 동화상 상에 자막이 중합된 합성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합성부(29)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와 합성부(28)의 출력인 합성화상(비 압축상태의 픽쳐 데이터와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의 비 압축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합성한 것)을 합성 한다.
스위치(30)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로컬 기억장치(32)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트랜스 포트 버퍼(20)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장치(31)는 재생장치에서의 통신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며, URL에 해당하는 웹 사이트와의 TCP 커넥션, FTP 커넥션 등을 확립한다.
로컬 기억장치(32)는 다양한 기록매체 및 통신매체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를 저장해 두기 위한 하드 디스크이다. 네트워크 장치(31)에 의해 확립된 커넥션을 통하여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된 콘텐츠 등도 이 로컬 기억장치(32)에 저장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4)는, 로컬 기억장치(32)에서 판독된 AVClip의 TS 패킷에서 TP_extra_header를 제거하고, TS 패킷만을 PID 필터(35)에 출력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4)에 의한 PID 필터(35)로의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33)가 측정하고 있는 시각이 TP_extra_header에 표시되는 ATS에 도달한 타이밍에 이루어진다.
PID 필터(35)는 로컬 기억장치(32)로부터 판독된 TS 패킷을 IG 스트림의 디코더 측, 오디오 디코더 측, 텍스트 자막 디코더 측 중 어느 하나로 전환(switching)한다.
스위치(36)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로컬 기억장치(32)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오디오 디코더(39) 측에 공급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37)는 오디오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을 축적한다.
엘리멘터리 버퍼(EB, 38)는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오디오 디코더(39)는 엘리멘터리 버퍼(38)로부터 출력된 PES 패킷을 복호 하여 비 압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40)는 텍스트 자막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을 축적한다.
엘리멘터리 버퍼(EB, 41)는 텍스트 자막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텍스트 자막 디코더(42)는 버퍼(41)로부터 출력된 PES 패킷을 디코드하여 표시에 제공한다. 이 디코드는 로컬 기억장치(32)로부터 별도로 판독되는 폰트를 사용하여 텍스트 자막 스트림 중의 텍스트 자막 열을 비트맵으로 전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자막은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기록된다.
시나리오 메모리(43)는 현재 PlayList 정보나 현재 Clip 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이다. 현재 PlayList 정보는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PlayList 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이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재 Clip 정보는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Clip 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이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44)는 명령 ROM과 CPU로 이루어지며, 명령 ROM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재생장치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 제어의 내용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사용자 이벤트 및 PSR 세트(46)에서의 각 PSR의 설정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화한다.
PSR 세트(46)는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불휘발성의 레지스터이며, 64개의 플레이어 상태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PSR(1) ~ (64))와 4096개의 제너럴 퍼포즈 레지스터(General Purpose Register)(GPR)로 이루어진다. 64개의 플레이어 상태 레지스터(PSR)는 각각 현재의 재생시점 등, 재생장치에서의 제반 상태를 나타낸다. 64개의 PSR(PSR(1) ~ (64)) 중 PSR(5) ~ PSR(8)은 현재의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중 PSR(5)은, 1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챕터 번호를 나타내고, OxFFFF로 설정됨으로써 재생장치에서 챕터 번호가 무효임을 나타낸다.
PSR(6)은 0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ayList(현재 PlayList)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7)은 0 ~ 255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ay Item(이하, 현재 PI라고 한다)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8)은 0 ~ OxFFFFFFFF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45KHz의 시간 정밀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재생시점(현재 PTM)을 나타낸다.
이상이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이다. 이들 구성요소 중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10)는 특히 중요하므로, 도 19 ~ 도 21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는 복호화된 픽쳐가 복수 저장된다. 도 19는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는 복호화된 픽쳐로, 참조 픽쳐와 비 참조 픽쳐가 저장된다. 참조 픽쳐에는 단시간 참조 픽쳐와 장시간 참조 픽쳐가 있다. 단시간 참조 픽쳐는 FIFO 영역에 저장되고, 선입 선출 식으로 취급된다. 한편, 장시간 참조 픽쳐는 FIFO 영역에 저장되지 않으며, 선입 선출 식으로는 취급되지 않는다.
도 20은 비디오 디코더(8)에 의해 Non-IDR I 픽쳐가 복호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Non-IDR I 픽쳐의 복호과정에서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저장되는 장시간 참조 픽쳐 및 단시간 참조 픽쳐가 참조 되게 된다. 도면 중의 화살표 rf 1, rf 2, rf 3은 단시간 참조 픽쳐에 대한 참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화살표 rf 4, rf 5, rf 6은 장시간 참조 픽쳐에 대한 참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1은 IDR 픽쳐를 디코드할 때의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의 저장내용을 나타낸다. IDR 픽쳐의 디코드시에는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대한 순간 리프레시가 이루어지므로,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저장되어 있던 단시간 참조 픽쳐, 장시간 픽쳐는 모두 소거되게 된다. 이상이 코디드 픽쳐 버퍼(7),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대한 상세이다. 이어서 제어부(44)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4)는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 시에서 배속재생이나 점프재생을 실행하도록 BD 드라이브(1) 및 비디오 디코더(8)를 제어한다.
배속재생은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 픽쳐 중 I 픽쳐(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포함한다)를 순차로 재생해 감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EP_map의 엔트리 포인트에는 IDR 픽쳐 및 Non-IDR I 픽쳐의 위치 및 사이즈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비디오 스트림 중 I 픽쳐 만을 판독하여 재생함으로써 2배속, 3배속이라 는 특수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점프재생에는 타임 서치와 PL 재생이 있다. 타임 서치란, "몇 시 몇 분 몇 초"에 재생하라는 시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여, 지시된 재생개시시점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때 제어부(44)는 시간정보를 BD-ROM 상의 I 픽쳐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처리를 행하여 I 픽쳐 어드레스를 구하고 나서, 그 어드레스 이후의 TS 패킷을 BD-ROM으로부터 판독하도록 하여, 그 TS 패킷을 순차 디코더에 투입한다.
한편, PL 재생은 PlayList 정보의 In_time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부터 Out_time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들 제어의 근간에 있는 것은 시간정보로부터 I 픽쳐 어드레스를 이끌어내는 처리이다. 도 22는 시간정보를 I 픽쳐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에서 점프재생의 점프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In_time으로 표기하고 있다. 도 22의 스텝 S 1에서는 In_time을 PTS_EP_start로 하고, 스텝 S 2에서는 PTS_EP_start에 가장 가까운 EP_High_id, EP_Low_id의 세트를 구한다. 여기서 EP_High_id는 In_time 이전의 시점을 나타내는 EP_High로서, In_time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한편, EP_Low_id는 EP_High[EP_High_id] 이후, In_time 이전의 시점을 나타내는 EP_Low로서, In_time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EP_High_id를 구하기 위해, 제어부(44)는 복수의 EP_High의 PTS_EP_High에 제시되는 시간 폭을 더해 간다. 여기서 PTS_EP_High에 제시되는 시간 폭은 PTS_EP_High를 상위 비트로 하는 시간단위이다. 그리고 몇 개째의 EP_High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 ∑가 In_time을 넘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k개째의 EP_High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 ∑가 In_time을 넘는 경우, 이 k에서 1을 뺀 수치(k - 1)를 EP_High_id로 한다.
EP_Low_id를 구하기 위해, 제어부(44)는 PTS_EP_High(EP_High_id)까지의 총합 ∑에 복수 EP_Low의 PTS_EP_Low에 표시되는 시간 폭을 더해 간다. 그리고 몇 개째의 EP_Low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이 In_time을 넘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h개째의 EP_Low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이 In_time을 넘는 경우, 이 h에서 1을 뺀 수치(h - 1)를 EP_Low_id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EP_High_id 및 EP_Low_id의 세트에 의해 In_time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포인트가 특정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EP_Low_id를 구하면, 스텝 S 3 ~ 스텝 S 5로 이루어지는 루프 처리로 이행한다. EP_Low_id를 변수 j에 대입한 후에(스텝 S 3), 스텝 S 4 ~ 스텝 S 5로 이루어지는 루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 루프 처리는 스텝 S 5가 Yes로 판정될 때까지 변수 j의 디크리먼트(스텝 S 4)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 스텝 S 5는 변수 j에 의해 특정되는 엔트리 포인트의 is_angle_change_point(PTS_EP_Low[j].is_ angle_change_point)가 1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고, 변수 j에 의해 특정되는 엔트리 포인트의 is angle_change_point가 연속하여 "0"을 나타내고 있는 한은 이 루프 처리는 반복하여 실행된다.
변수 j에 의해 지정되는 엔트리 포인트의 is angle_change_point가 "1"이 되 면 이 루프 처리는 종료하게 된다. 스텝 S 5가 Yes가 되면 변수 j를 EP_Low_id에 대입하여(스텝 S 6), 이 EP_Low_id에 가장 가까운 ref_to_EP_Low_id[i]를 가진 EP_High[i]를 구한다(스텝 S 7). 이렇게 하여 EP_Low_id가 구해지면 SPN_EP_Low[EP_Low_id]와 SPN_EP_High[i]로부터 SPN_EP_Start를 구하고(스텝 S 8), 이 SPN_EP_Start를 I 픽쳐 어드레스로 변환한다(스텝 S 9).
여기서 SPN은 TS 패킷의 시리얼 번호이므로, 이 SPN에 의거하여 TS 패킷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SPN을 상대 섹터 수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S 패킷은 32개마다 하나의 Aligned Unit으로 변환되어 3개의 섹터에 기록되므로, SPN을 32로 나눔으로써 몫을 얻어서, 그 몫을 I 픽쳐가 존재하는 Aligned Unit의 번호로 해석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Aligned Unit 번호에 3을 곱함으로써, SPN에 가장 가까운 Aligned Unit의 섹터 어드레스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섹터 어드레스는 하나의 AVClip 파일의 선두에서부터의 상대 섹터 수이므로, 이 상대 섹터 수를 파일 포인터로 설정하여 AVClip을 판독함으로써 I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판독할 수 있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In_time 이전을 가리키는 엔트리 포인트로서, IDR 픽쳐를 지시하는 것을 찾아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다중화된 IDR 픽쳐 이후를 판독함으로써 In_time의 디코드에 필요한 참조 픽쳐를 디코더 내에 준비할 수 있다. 이상이 시간정보로부터 I 픽쳐 어드레스를 이끌어내는 처리의 순서이다. 이어서, PlayList 정보에 의거하는 재생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어부(44)에 의한 PL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 차트에서 처리대상인 PlayItem을 PlayItem #x로 한다. 본 플로차트는 현재 PlayList 정보(.mpls)의 판독을 행하고(스텝 S 101), 그 후, 스텝 S 102 ~ 스텝 S 110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텝 S 102 ~ 스텝 S 110은, 스텝 S 109가 Yes가 될 때까지 현재 PlayList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PI 정보에 대하여 스텝 S 103 ~ 스텝 S 110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 처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루프 처리에서 처리대상이 되는 PlayItem을 PlayItem #x(PI#x)라고 부른다. 이 PlayItem #x는 현재 PlayList의 선두의 PlayItem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스텝 S 102). 상술한 루프 처리의 종료요건은 이 PlayItem #x가 현재 PlayList의 최후의 PlayItem이 되는 것이며(스텝 S 109), 만일 최후의 PlayItem이 아니면 현재 PlayList에서의 다음의 PlayItem이 PlayItem #x로 설정된다(스텝 S 110).
루프 처리에서 반복하여 실행되는 스텝 S 103 ~ 스텝 S 110은 이하의 처리로 이루어진다. 먼저, 처음에 PlayItem #x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Clip 정보를 메모리에 판독하고(스텝 S 103), PlayItem #x의 In_time을 현재 Clip 정보의 EP_map을 사용하여 I 픽쳐 어드레스 u로 변환한다(스텝 S 104). 이 변환은 도 22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이루어지며, IDR 픽쳐의 어드레스가 I 픽쳐 어드레스 u로서 산출된다.
한편, PlayItem #x의 Out_time을 현재 Clip 정보의 EP_map을 사용하여 I 픽쳐 어드레스 v로 변환한다(스텝 S 105). Out_time의 변환에는 도 22의 플로차트의 실행은 불필요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I 픽쳐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v로 산출하면 된다. 이들 변환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 v의 다음의 I 픽쳐를 구하고, 그 어드레스의 바로 하나 앞을 어드레스 w로 설정하며(스텝 S 107), 이렇게 하여 산출된 어드레스 w를 사용하여 I 픽쳐 어드레스 u에서 어드레스 w까지의 TS 패킷의 판독을 BD-ROM 드라이브(1)에 명령한다(스텝 S 108).
한편, 비디오 디코더(8)에 대해서는 현재 PlayListMark의 mark_time_stamp에서 PlayItem #x의 Out_time까지의 출력을 명령한다(스텝 S 106). 이상의 스텝 S 105 ~ 스텝 S 108에 의해 AVClip에서 PlayItem #x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부분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PlayItem #x가 현재 PlayList의 최후의 PI인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 S 109).
PlayItem #x가 현재 PlayList의 최후의 PI가 아니면, 현재 PlayList에서의 다음의 PlayItem을 PlayItem #x로 설정하고(스텝 S 110) 스텝 S 103으로 복귀한다. 이상의 스텝 S 103 ~ 스텝 S 110을 반복함으로써 PlayList를 구성하는 PlayItem은 순차 재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is_angle_change_point"= 1"의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는 픽쳐까지 판독범위를 넓히면, IDR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공급할 수 있고, 점프재생 시의 디코드에 필요한 모든 참조 픽쳐를 디코디드 픽쳐 버퍼(10) 내에 준비할 수 있으므로, 점프재생 시에서의 판독범위의 확대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높은 압축률을 얻기 위해, 15분, 30분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간격으로 IDR 픽쳐가 비디오 스트림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특수재생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 으므로, MPEG 4-AVC에 의한 압축 부호화의 이점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특수재생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제 1 실시 예에서는 EP_map은 AVClip에서의 진입점을 지시하는 is_angle_change_point를 EP_map의 데이터 구조와 함께 개시하였다. 제 2 실시 예에서는 is_angle_change_point에 의해 지시되는 진입점 및 탈출 점에 의해 실현되는 앵글 전환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앵글 전환조작이란,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재생 중인 AVClip으로부터의 「탈출」과 다른 AVClip으로의 「진입」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을 말한다.
여기서, 정면, 오른쪽 방향, 왼쪽 방향과 같이, 하나의 피사체를 복수의 카메라 앵글로 포착한 복수의 영상이 복수의 AVClip으로 기록되어 있고, 이들 중 정면에서의 영상을 나타내는 AVClip의 재생 중에 상술한 「탈출」과 오른쪽 방향에서의 영상을 나타내는 AVClip으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면, 정면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이라는 재생 영상의 전환이 발생한다. 카메라 앵글을 전환하도록 재생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 변환에 유래하여 상술한 「탈출」 및 「진입」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은 "앵글 전환"이라고 불린다. 이와 같은 앵글 전환의 실현 시에 AVClip이나 PlayList 정보에 대한 개량이 필요해진다. 앵글 전환을 위한 개량이 부가된 PlayList 정보의 PlayItem 정보 및 복수의 AVClip을 멀티앵글구간(multi-angle section)이라고 한다.
멀티앵글구간의 실현을 위한 응용 층의 레이아웃을 도 24에 나타낸다. 본 실 시 예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멀티앵글구간이 4개의 앵글 영상의 전환을 의도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멀티앵글구간은 4개의 AVClip(00001.m2ts, 00002.m2ts, 00003.m2ts, 00004.m2ts)과 하나의 PlayList 정보(00001.mpls) 및 4개의 Clip 정보(00001.clpi, 00002.clpi, 00003.clpi, 00004.clpi)에 의해 구성된다.
도 25는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멀티앵글구간 대응의 Play Item 정보는 통상의 Play Item과의 호환부분과 멀티앵글구간의 실현을 위한 확장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호환부분의 데이터 구조는 도 16과 동일하며, 『Clip_information_file_name』, 『Clip_codec_identifier』, 『IN_time』, 『OUT_time』이다. 멀티앵글구간에서 이 호환부분으로 지정되는 AVClip은 1개째의 앵글구간으로 취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멀티앵글구간에 대응할 수 없는 재생장치(BD-RE의 데이터 구조밖에 대응할 수 없는 재생장치)가 멀티앵글구간 대응의 Play Item을 판독하였다고 해도, 이 호환부분만을 참조하여 재생을 행함으로써 1개째의 앵글구간을 재생해 갈 수 있다. 확장부분의 데이터 구조는 『is_multi_angles』, 『number_of_angles』, 『is_seamless_angle_change』, 『Angle 정보[2][3] … [j]』로 이루어진다.
『is_multi_angles』는 이 Play Item에 대응하는 재생구간이 멀티앵글구간인가 비 앵글구간인가를 나타낸다.
『number_of_angles』는 멀티앵글구간을 나타내도록 『is_multi_angles』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는 앵글 수를 나타낸다.
『is_seamless_angle_change』는 심리스(seamless) 한 앵글전환이 의도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심리스 한 앵글전환이 의도되어 있는가 여부는 AVClip이 후술하는 인터리브(interleave) 기록에 의해 기록되는가 여부에 의해서 변한다. 따라서 인터리브 기록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is_seamless_angle_change』는 온(ON)으로 설정되고,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is_seamless_angle_change』는 오프(OFF)로 설정된다.
『Angle 정보[2] … [j]』는 멀티앵글구간에서의 개개의 앵글구간에 대한 정보이며, 『Clip_Information_file_name』, 『Clip_codec_identifier』를 포함한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angle_id]』에는 앵글구간을 구성하는 AVClip의 파일명이 기술된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angle_id]』는 앵글정보의 Clip_Information_ file_name에 의해 기술된 파일명의 AVClip에서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서, 앵글정보에는 In_time, Out_time이 없다. 이는 2개째 이후의 앵글구간은 호환부분에 존재하는 In_time, Out_time에 의해 Play Item의 시점 및 종점이 지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앵글정보 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AVClip은 호환부분 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AVClip과 동일한 재생시간이 아니면 안 된다. 또, AVClip 재생시간 축에서 개개의 재생 타이밍을 규정하는 타임 스탬프(System Time Clock)의 값이 엄밀히 동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PlayItem 정보의 호환부분 및 확장부분은 Clip_Information_file_name을 가지고 있으므로, 복수의 AVClip에 대하여 재생구간을 일괄하여 지정할 수 있다.
도 26(a)은 PlayItem 정보의 4개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이루어진 일괄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1단째 ~ 제 4단째는 4개의 AVClip 시간 축(AVClip #1, #2, #3, #4의 시간 축)을 나타내고, 제 5단째는 PL 시간 축을 나타낸다. PlayItem 정보가 갖는 4개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이들 4개의 시간 축이 지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PlayItem이 갖는 In_time, Out_time에 의해 택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4개의 재생구간이 정의되게 된다. 이에 의해, PL 시간 축에는 전환할 수 있는 복수의 앵글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소위 멀티앵글구간)이 정의되게 된다. In_time, Out_time에 의해 지정되는 4개의 AVClip 상의 4개의 재생구간은 PlayList 시간 축에서 동일한 재생시간대에 위치하게 된다.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는 각 AVClip이 어떻게 분할되어 BD-ROM 상에 기록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AVClip은 복수의 익스텐트로 분할되어 BD-ROM에 기록된다. 익스텐트란, BD-ROM 상의 연속영역에 기록되는 BD-ROM 상의 하나의 분할부분으로, 세그먼트라고 불린다.
도 24에 도시한 AVClip #1 ~ AVClip #4는 4개의 앵글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AVClip #1 ~ #4는,
AVClip #1 →
AVClip #1.1/5, AVClip #1.2/5, AVClip #1.3/5, AVClip #1.4/5, AVClip #1.5/5
AVClip #2 →
AVClip #2.1/5, AVClip #2.2/5, AVClip #2.3/5, AVClip #2.4/5, AVClip #2.5/5
AVClip #3 →
AVClip #3.1/5, AVClip #3.2/5, AVClip #3.3/5, AVClip #3.4/5, AVClip #3.5/5
AVClip #4 →
AVClip #4.1/5, AVClip #4.2/5, AVClip #4.3/5, AVClip #4.4/5, AVClip #4.5/5
라는 5개의 익스텐트로 분할된다.
도 26(b)은 각 AVClip을 구성하는 익스텐트를 PlayList 시간 축 상에 기술한 도면이다. 각 AVClip을 구성하는 5개의 익스텐트는 동일 재생시간대에 위치한다. 즉, AVclip #1.1/5, AVclip #2.1/5, AVclip #3.1/5, AVclip #4.1/5는 동일 시간대에 위치한다. AVclip #1.2/5, AVclip #2.2/5, AVclip #3.2/5, AVclip #4.2/5는 동일 시간대에, AVclip #1.3/5, AVclip #2.3/5, AVclip #3.3/5, AVclip #4.3/5는 동일 시간대에 위치한다.
이들 4개의 AVClip을 구성하는 익스텐트는 BD-ROM에서 인터리브 기록된다. 여기서 인터리브 기록은 복수의 파일을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분할부분을 교호로 기록해 두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인터리브 기록에 의해 어떤 파일의 판독 도중에 다른 파일을 판독하는 판독 처 파일의 전환을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AVClip의 재생 도중에, 재생 영상을 도중에서 중단시키지 않고, 상술한 「탈출 」 및 「진입」을 실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심리스 한 앵글전환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도 26(b)에 도시한 익스텐트는 BD-ROM상에서 도 27(a)과 같이 인터리브 기록된다.
도 27(a)은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는 4개의 AVClip이 BD-ROM상에서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 라고 하는 할당 이미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4개의 AVClip의 각각이 5개의 익스텐트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각 AVClip을 구성하는 5개의 분할부분 중 1개째의 것(AVClip #1.1/5, AVClip #1.2/5, AVClip #3.1/5, AVClip #4.1/5)이 한 묶음으로 기록된다. 이들 AVClip #1.1/5 ~ AVClip #4.1/5는 동일 시간대에 재생되어야하는 AVClip의 일부이다. 이와 같이 동일 시간대에 재생되어야하는 익스텐트가 모여서 연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터리브 기록에 의해 AVClip #1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와 AVClip #2를 구성하는 익스텐트가 교호로 나타나므로, 예를 들어, AVClip #1.1/5, AVClip #2.1/5를 함께 판독하도록 하면 AVClip #1.1/5 또는 AVClip #2.1/5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디코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앵글전환이 실현되게 된다.
멀티앵글구간에서 AVClip은 제 1 실시 예에 설명한 진입점 및 탈출 점에 해당하는 위치를 분할경계로 하여 분할되어 있다. 그러므로 분할부분의 선두 위치는 진입점이 되고, 종단위치는 탈출 점이 된다. 진입점에서 시작되고, 탈출 점에서 끝나는 분할부분이 서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떤 AVClip으로부터의 탈출과, 다른 AVClip으로의 진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27(b)은 AVClip을 구성하는 분할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익스텐트의 선두(혹은 최초의 비디오 데이터의 내부)에는 AUD가 있고, 완결된 액세스 유닛인 IDR 픽쳐가 존재하고 있다. 진입점에 해당하는 IDR 픽쳐의 PTS 및 SPN은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된다. 하나의 익스텐트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를 하회해서는 안 된다. 만일 이 길이가 짧으면 BD-ROM으로부터의 판독 시에 버퍼의 언더플로(underflow)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익스텐트에는 진입점에 해당하는 IDR 픽쳐가 2개 이상 존재해도 된다. 그러나 하나의 익스텐트 내의 최후의 IDR 픽쳐에서부터 익스텐트의 말미까지의 길이는 상술한 소정의 길이를 하회해서는 안 된다. 도 28은 익스텐트의 연속길이를 어떻게 결정하는가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엔트리 포인트 #1 ~ #5는 is_angle_change_point가 각각 1, 0, 1, 0, 1로 설정되어 있다. 이 중 엔트리 포인트 #5에서부터 익스텐트 말미까지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를 하회해서는 안 된다.
도 29는 BD-ROM에서의 익스텐트의 할당과 이들 익스텐트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설정을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빗금 친 부분은 AVClip #2를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의 선두에 위치하는 I 픽쳐(IDR 픽쳐, Non-IDR I 픽쳐)의 AUD를 나타낸다. AVClip #2뿐만이 아니라 AVClip #1, AVClip #3, #4, #5에 대해서도 각 AVClip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의 선두에 I 픽쳐(IDR 픽쳐, Non-IDR I 픽쳐)는 존재하나, 간략화를 위해 이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AVClip #2를 구성 하는 복수의 익스텐트(AVclip #2.1/5, AVclip #2.2/5, AVclip #2.3/5, AVclip #2.4/5, AVclip #2.5/5)가 다른 AVClip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와 인터리브 기록되어 있는 경우, AVClip #2에 대응하는 Clip 정보의 EP_map은 엔트리 포인트 #1, #2, #3, #4, #5라는 5개의 엔트리 포인트를 갖는다. 엔트리 포인트 #1, #2, #3, #4, #5는 AVClip #2를 구성하는 AVclip #2.1/5, AVclip #2.2/5, AVclip #2.3/5, AVclip #2.4/5, AVclip #2.5/5의 SPN을 PTS와 대응시켜서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AVClip #2를 구성하는 5개의 익스텐트 중 AVclip #2.2/5, AVclip #2.4/5, AVclip #2.5/5의 선두는 Non-IDR I 픽쳐이고, AVclip #2.1/5, AVclip #2.3/5의 선두는 IDR 픽쳐인 경우, AVclip #2.1/5, AVclip #2.3/5의 SPN을 나타내는 엔트리 포인트 #1, 엔트리 포인트 #3의 is_angle_change_point는 = 1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AVClip #2를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의 선두는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익스텐트의 선두는 다른 AVClip로부터의 진입점으로 해석되게 된다. 익스텐트의 말미는 is_angle_change_point는 "= 1"에 의해 지정된 점의 직전에 해당하므로, 다른 AVClip으로의 탈출 점으로 해석된다. 도 29는 AVClip #2를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 설정이나, AVClip #1을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 AVClip #3, #4, #5를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의 선두도 AVClip #2와 마찬가지로 is_angle_change_point" =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된다. AVClip #1, #2, #3, #4, #5를 구성하는 각 익스텐트의 말미와 익스텐트의 선두 사이의 경계에서 탈출 및 진입이 가능해지므로, 이와 같은 심리스 한 앵글전환이 가능해진 다.
이상이 본 실시 예에 관한 기록매체에 대한 개량이다. 이어서 재생장치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제시한 재생장치에서 앵글구간의 지정을 나타내는 것은 PSR 세트(46)에서의 PSR(3)이다. PSR(3)은 현재 앵글을 나타내는 수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 2 실시 예의 제어부(44)는 이 PSR(3)의 설정 값에 따라서 앵글구간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30은 PSR(3)의 설정 값이 취할 수 있는 복수의 값과 PlayItem 및 Clip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좌측은 PSR(3)이 취할 수 있는 복수의 값(1 ~ 4)을 나타낸다.
PSR(3)의 설정 값이 1인 경우, PlayItem 정보에서 호환부분에 있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이 참조 되며, 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기술되어 있는 파일명 00001.clpi의 Clip 정보가 메모리에 판독되게 된다. 그리고 이 Clip 정보 안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가 참조 되고, AVClip(00001.m2ts)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PSR(3)의 설정 값이 2인 경우, PlayItem 정보에서 Angle 정보 [2] 내에 있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이 참조 되고, 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기술되어 있는 파일명 00002.clpi의 Clip 정보가 메모리에 판독되게 된다. 그리고 이 Clip 정보 안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가 참조 되고, AVClip(00002.m2ts)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PSR(3)의 설정 값이 3인 경우, PlayItem 정보에서 Angle 정보 [3] 내에 있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이 참조 되고, 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기술되어 있는 파일명 00003.clpi의 Clip 정보가 메모리에 판독되게 된다. 그리고 이 Clip 정보 안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가 참조 되고, AVClip(00003.m2ts)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PSR(3)의 설정 값이 4인 경우, PlayItem 정보에서 Angle 정보 [4] 내에 있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이 참조 되고, 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기술되어 있는 파일명 00004.clpi의 Clip 정보가 메모리에 판독되게 된다. 그리고 이 Clip 정보 안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가 참조 되고, AVClip(00004.m2ts)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25의 PlayItem 정보에 의거하는 제어부(44)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제 2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가 도 23의 플로차트와 다른 것은 스텝 S 103이 스텝 S 111 ~ 스텝 S 114로 치환되어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부(44)는 현재 PlayList 정보 중 하나의 Play Item을 재생할 때, PSR(3)의 설정 값을 변수 V에 대입하여(스텝 S 111), 변수 V가 2 이상인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 112). PSR(3)의 설정 값 V가 = 1이면(스텝 S 112에서 No), Play Item의 호환부분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기술되어 있는 Clip 정보를 메모리에 판독한다(스텝 S 113). 그리고 Play Item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의 TS 패킷을 판독하도록 BD-ROM 드라이브(1)를 제어한다(스텝 S 104 ~ 스텝 S 108).
PSR(3)의 설정 값 V가 2 이상이면(스텝 S 112에서 Yes), PalyItem #x에서 V개째의 앵글정보 V.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어 있는 Clip 정보를 메모리에 판독한다(스텝 S 114). 그리고 Play Item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의 TS 패킷을 판독하도록 BD-ROM 드라이브(1)를 제어한다(스텝 S 104 ~ 스텝 S 108).
이와 같이 PSR(3)의 설정 값에 따라서 다른 AVClip을 액세스함으로써 앵글구간의 선택적인 재생이 실현된다.
도 32는 멀티앵글구간을 대상으로 한 디스크 판독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도면에서, 현재 어드레스는 광 픽업에 의한 현재의 판독 처의 어드레스이다. 현재 익스텐트는 현재 어드레스에 의한 판독 처가 되어 있는 익스텐트를 의미한다. 현재 앵글은 멀티앵글구간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앵글 영상을 의미한다.
스텝 S 50 ~ 스텝 S 52는 본 플로차트에서의 메인 루프이다. 이 루프 처리는 현재 어드레스를 다음의 어드레스로 갱신하는 처리(스텝 S 50)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 스텝 S 50 ~ 스텝 S 52의 반복에 의해 하나의 익스텐트의 내부에서 판독 처를 나타내는 현재 어드레스는 순차 갱신되어 간다.
스텝 S 51은 앵글전환이 이루어졌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여기서 앵글전환은 리모컨에 설치되어 있는 앵글 키를 누르거나 수치 버튼을 누름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일 이루어지면 전환 처가 되는 앵글을 나타내는 수치를 변수 V에 대입하고(스텝 S 53), 준비 플래그를 "= 1"로 설정한다(스텝 S 54).
여기서 앵글 키의 누름에 의해 앵글전환이 이루어졌다면, PSR(3)의 수치에 "1"을 더한 값을 변수 v에 대입한다. 수치 버튼의 누름에 의해 앵글전환이 이루어진 경우는 그 눌러진 수치 키에 대응하는 값을 변수 v에 대입한다.
스텝 S 52는 현재 어드레스가 현재 익스텐트의 종료 어드레스가 되었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하나의 익스텐트를 구성하는 TS 패킷이 모두 판독되고, 현재 어드레스가 익스텐트의 종단에 도달하면 이 스텝 S 52가 Yes가 된다.
스텝 S 52가 Yes가 되면 스텝 S 55 ~ 스텝 S 57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 55는 준비 플래그가 = 1인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준비 플래그가 0이면 현재 AVClip의 다음의 익스텐트를 현재 익스텐트로 설정하고(스텝 S 56), 현재 익스텐트의 선두 AUD의 어드레스를 현재 어드레스로 설정한 후에(스텝 S 57), 스텝 S 50 ~ 스텝 S 52로 이루어지는 루프 처리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준비 플래그가 = 0인 경우에는 현재 앵글에 속하는 다음의 익스텐트가 판독되게 된다.
준비 플래그가 = 1인 경우, 판독 처가 되는 AVClip 파일의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현재의 판독 처 어드레스가 현재 익스텐트의 말미에 도달한 것을 계기로 하여 판독 처가 되는 AVClip 파일의 전환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먼저, 처음에 전환 처 앵글의 익스텐트 중 현재 익스텐트의 다음의 시간대에 재생되는 것을 익스텐트 dst로 설정한다(스텝 S 58). 그리고 익스텐트 dst의 선두 AUD를 지시하는 EPtop을 특정한다(스텝 S 59). 그 후, EPtop의 is_angle_change_point가 = 1인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 60). 이 판정은 익스텐트 dst의 선두가 진입점이 될 수 있는가 여부의 판정을 의미한다. 만일 is_angle_change_point가 = 0이면, 준비 플래그를 = 1로 설정한 채 스텝 S 56으로 이행한다. 스텝 S 56 ~ 스텝 S 57의 처리는 현재 앵글에 속하는 다음의 익스텐트의 판독이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현재 앵글의 재생은 계속되게 된다. 즉, 익스텐트 dst가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진입점이 아니라면 현재 앵글의 재생을 계속하는 것이다.
만일 is_angle_change_point가 = 1이면, 익스텐트 dst를 현재 익스텐트로 설정하고(스텝 S 61), 익스텐트 dst의 선두 AUD의 어드레스를 현재 어드레스로 설정한다(스텝 S 62). 그리고 준비 플래그를 0으로 클리어하고, 전환 처 앵글을 나타내는 변수 V를 PSR(3)로 설정한다(스텝 S 63). 최후에 스텝 S 113으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변수 V에 해당하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설정되어 있는 Clip 정보가 판독되고, 그 Clip 정보에 의거하는 재생을 계속하게 된다.
도 33은 앵글 영상 A를 재생할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AVClip #1을 구성하는 5개의 익스텐트(AVclip #1.1/5, AVclip #1.2/5, AVclip #1.3/5, AVclip #2.4/5, AVclip #1.5/5)가 순차 판독되고 있다.
도 34는 앵글 영상 전환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VClip #1을 구성하는 5개의 익스텐트 중 AVClip #1.2/5가 판독되고 있는 도중에 앵글 전환조작을 의도하는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하자(스텝 S 51에서 Yes). 이에 의해 준비 플래그는 1로 설정된다(스텝 S 54). 이 조작은 AVClip #1에 해당하는 앵글 영상으로부터 AVClip #2에 해당하는 앵글 영상으로의 전환을 의도하는 것이다. 전환조작은 AVclip #1.2/5의 판독 도중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전환시점의 다음의 시간대에 재생되는 익스텐트로, AVclip #2.3/5가 익스텐트 dst로 특정된다(스텝 S 58). 이 익스텐트 dst의 선두는 PTS_EP_start = t 3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 #3에 의해 지시되고 있으므로, 이 AVClip #2의 엔트리 포인트 #3에서의 is_angle_change_point가 참조 된다(스텝 S 60). 여기서 엔트리 포인트 #3의 is_angle_change_point = 1이고, 진입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익스텐트 dst에 해당하는 AVclip #2.3/5를 현재 익스텐트로 설정하고(스텝 S 61), 이 현재 익스텐트의 선두의 AUD의 어드레스를 현재 어드레스로 설정한 상태에서(스텝 S 62), AVClip #2를 나타내는 "2"로 PSR(3)을 설정한다(스텝 S 64). 이렇게 함으로써, 이후, AVClip #2를 구성하는 AVclip #2.3/5, AVclip #2.4/5, AVclip #2.5/5가 판독되게 된다.
도 35는 앵글 영상 전환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BD-ROM으로부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VClip #1을 구성하는 5개의 익스텐트 중 AVclip #1.1/5가 판독되고 있는 도중에 앵글 전환조작을 의도하는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하자(스텝 S 51에서 Yes). 이에 의해 준비 플래그는 1로 설정된다(스텝 S 54). 전환조작이 AVclip #1.1/5의 판독 도중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AVclip #1.2/5의 판독이 이루어지면 전환시점의 다음의 시간대에 재생되는 익스텐트로, AVclip #2.2/5가 익스텐트 dst로서 특정된다(스텝 S 58). 이 익스텐트 dst의 선두는 PTS_EP_start = t 2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 #3에 의해 지시되고 있으므로, 이 AVClip #2의 엔트리 포인트 #2에서의 is_angle_change_point가 참조 된다(스텝 S 60). 여기서 엔트리 포인트 #2의 is_angle_change_point는 = 0이며, 진입점으로 해석할 수가 없다. 앵글전환을 실행할 수는 없으며, AVclip #1.1/5의 다음에 해당하 는 AVclip #1.2/5를 현재 익스텐트로 설정하고, 현재 익스텐트의 선두를 현재 어드레스로 설정하여(스텝 S 56, 스텝 S 57) AVclip #1.2/5의 판독을 행한다.
AVclip #1.2/5의 판독 시에 현재 어드레스가 AVclip #1.2/5의 말미에 도달하면(스텝 S 52), 준비 플래그가 1인가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 S 55). 여기서 준비 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전환시점의 다음의 시간대에 재생되는 익스텐트로 AVclip #2.3/5가 익스텐트 dst로서 특정된다(스텝 S 56). 이 익스텐트 dst의 선두는 PTS_EP_start = t 3에 해당하는 엔트리 포인트 #3에 의해 지시되고 있으므로, 이 AVClip #2의 엔트리 포인트 #3에서의 is_angle_change_point가 참조 된다(스텝 S 60). 여기서 엔트리 포인트 #3의 is_angle_change_point는 = 1이며, 진입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익스텐트 dst에 해당하는 AVclip #2.3/5를 현재 익스텐트로 설정하고(스텝 S 61), 이 현재 익스텐트 선두의 AUD의 어드레스를 현재 어드레스로 설정한 후에(스텝 S 62), AVClip #2를 나타내는 2로, PSR(3)을 설정한다(스텝 S 64). 이렇게 함으로써, 이후, AVClip #2를 구성하는 AVclip #2.3./5, AVclip #2.4/5, AVclip #2.5/5가 판독되게 된다.
도 35와 같이, 전환시점의 다음의 시간대에 재생되는 익스텐트가 진입점이 될 수 없는 경우는, 진입점에 도달할 때까지 현재 앵글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의 재생을 계속하게 된다.
또, AVclip #2.3/5로의 전환이 가능해지는 기간은 PlayList 시간 축에서 동일 시간대에 위치하는 AVclip #1의 익스텐트(AVclip #1.3/5)의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이다. 즉, 동일 시간대에 위치하는 익스텐트(AVclip #1.3/5)의 재생이 개시되면, 이미 AVclip #1.3/5로의 재생전환을 실현할 수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AVClip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의 선두가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고 있고, 이 엔트리 포인트의 is_angle_change_point를 참조함으로써 전환 처의 앵글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 중 어느 것이 진입점이 될 수 있는가를 즉석에서 알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알게 된 진입점에서부터 IDR 픽쳐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스트림이 MPEG 4-AVC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활한 앵글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제 1 실시 예는 IDR 픽쳐가 15분, 30분 간격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점프재생을 효율화하기 위한 개량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 3 실시 예는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쳐 중 어느 것을 IDR 픽쳐로 하는가 라고 하는, IDR 픽쳐 선택을 제안한다. 즉 인코드 조건을 정할 때에 어느 픽쳐를 IDR 픽쳐로 하는가에 대한 최적의 선택을 제안한다.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은 MPEG 4-AVC에 다중화되고, Clip 정보를 통하여 PlayList 정보에 의해 참조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IDR 픽쳐의 선택은 이 PlayList 정보의 성질을 고려요소로 포함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제 3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PlayList 정보가 제 2 실시 예와 다른 것은 복수의 PLMark(#1 ~ #n)가 추가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실시 예에서의 IDR 픽쳐의 선택은,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 를 갖는 PlayList 정보의 PL 재생을 훨씬 효율화하는 개량임에 틀림없다.
도 36에서의 PLmark 정보(PLmark())는 PL 시간 축 중 임의의 구간을 챕터 점으로 지정하는 정보이다. 도 36의 인출선 pm 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Lmark 정보는 『ref_to_PlayItem_Id』와 『mark_time_stamp』를 포함한다. 도 37은 PLmark 정보에 의한 챕터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1단째는 AVClip 시간 축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PL 시간 축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화살표 pk 1, 2는 PLmark 정보에서의 PlayItem의 지정(ref_to_PlayItem_Id)과 일 시점의 지정(mark_time_stamp)을 나타낸다. 이들 지정에 의해 PL 시간 축에는 3개의 챕터(Chapter #1, #2, #3)가 정의되게 된다. 이상이 PLmark에 대한 설명이다.
도 38은 PlayList 정보 중 PlayItem #1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부분의 비디오 스트림의 내용 및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PlayItem #1의 In_time이 시간 축에서 t 2의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면, 이 t 2에 해당하는 픽쳐를 IDR 픽쳐에 인코드해 둔다. 이에 의해, PlayList 정보에 의한 재생 시에서 PlayItem #1의 In_time 이후의 픽쳐를 판독함으로써 PlayList #1을 재생해 갈 수 있다.
도 39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픽쳐 열 중 PlayItem #2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PlayItem #1의 In_time에 의해 지정된 픽쳐가 IDR 픽쳐였던 것에 대하여, PlayItem #2의 In_time으로 지정되어 있는 픽쳐는 IDR 픽쳐가 아니어도 된다. 즉, PlayList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 PlayItem 정보 중 선두 이외의 PlayItem에 대해서는 In_time에 의해 지정되는 픽쳐를 IDR 픽쳐로 인코드해 둘 필요는 없다. Non-IDR I 픽쳐로 부호화해 두면 된다. 왜냐하면, MPEG 4-AVC에서는 장시간 참조 픽쳐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PlayItem #1의 In_time에서부터 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픽쳐를 장시간 참조 픽쳐로 이용하도록 PlayItem #2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픽쳐 및 PlayItem #3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픽쳐를 인코드해 두면, PlayItem #2의 In_time, PlayItem #3의 In_time에 IDR 픽쳐를 배치해 둘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 의한다. 장시간 참조 픽쳐가 이용한 인코드에 의해 IDR 픽쳐를 포함하는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MPEG 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을 높은 압축률로 압축할 수 있다. 그 반면, PlayList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 PlayItem 정보 중 선두 PlayItem에서의 In_time은, 선행하는 픽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선두 PlayItem에서의 In_time에서부터의 재생 시에는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는 참조 픽쳐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선두 PlayItem에서의 In_time에 지정되는 픽쳐는 반드시 IDR 픽쳐에 인코드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Playitem 정보 #2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픽쳐 중 PLMark #1로 지정되는 것에 대해서는 IDR 픽쳐에 인코드해 둔다. PLMark 정보로 지정되는 픽쳐는 챕터로 해석된다. 그리고 챕터 서치에 의해 이 PLMark 정보에서 지정되는 픽쳐에서부터 점프재생될 때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는 참조 픽쳐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PLMark 정보로 지정되는 I 픽쳐는 반드시 IDR 픽쳐에 인코드해 두는 것이다.
도 40은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픽쳐 열 중 PlayItem #3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0에서도 도 39와 마찬가지로 PlayItem #3의 In_time에 의해 지정되 어 있는 픽쳐는 IDR 픽쳐가 아니어도 된다. PlayItem 정보의 In_time 정보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픽쳐 중 PLMark #3에 의해 지정되는 것에 대해서도 IDR 픽쳐로 인코드해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챕터에서부터의 재생 시에는 참조 픽쳐는 불필요해지므로, PLMark 정보에 의거하는 재생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이상이 본 실시 예에 관한 기록매체의 개량이다. 이어서 본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PlayList 정보에 의거한 재생제어순서는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PlayList 정보의 In_time 및 Out_time을 I 픽쳐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순서를 거쳐서 PlayList 정보에 의거한 재생을 실행한다.
PlayList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PlayItem 정보 중 선두의 PlayItem 정보의 In_time에 의해 지정되는 픽쳐는 IDR 픽쳐이고, 이 IDR 픽쳐는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므로, 제어부(44)는 In_time에 대응하는 엔트리 포인트에 표시되는 SPN_EP_start 이후를 판독함으로써 IDR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공급한다. 비디오 디코더(8)로의 IDR 픽쳐 공급에 의해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의 클리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재생장치는 In_time에 가장 가까운 시점을 가리키는 엔트리 포인트를 검색하지 않아도, In_time에 상당하는 위치를 BD-ROM으로부터 판독하는 것만으로 IDR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공급할 수 있고, PL 재생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PLMark 정보에 의해 챕터가 규정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는 PlayList 정보를 사용한 챕터 서치 기능 및 챕터 스킵 기능을 실행한다. 챕 터 서치 기능은 PLMark 정보에 기술되어 있다.
ref_to_PlayItem_Id에 대응하는 PlayItem 정보를 복수의 PlayItem 정보 중에서 특정하여, 특정한 PlayItem 정보가 정의되어 있는 AVClip에서 PLMark 정보에 기술된 mark_time_stamp에 표시되는 위치에서의 점프재생을 행하는 것이고, 이때, 제어부(44)는 복수의 엔트리 포인트 중 PLMark 정보에 기술된 mark_time_stamp에 가장 가까운 PTS_EP_start를 갖는 엔트리 포인트를 특정하여, 특정한 엔트리 포인트의 SPN_EP_start에 대응하는 I 픽쳐 어드레스에서의 재생을 행하게 한다.
챕터 스킵은 현재의 재생위치에 해당하는 챕터의 직전 또는 직후의 챕터를 규정하는 PLMark 정보를 특정하여, 그 PLMark 정보에 대한 챕터 서치를 실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PLMark 정보의 mark_time_stamp에 의해 지정되는 픽쳐는 IDR 픽쳐에 인코드 되어 있고,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의 PTS_EP_start는 이 IDR 픽쳐의 재생시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엔트리 포인트의 SPN_EP_start에 표시되는 위치 이후의 픽쳐를 판독함으로써 IDR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챕터 서치 및 챕터 스킵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챕터 서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에서, 먼저 챕터 메뉴에서의 챕터 선택을 기다려서(스텝 S 124), 챕터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챕터에 해당하는 PLMark 정보를 현재 PlayListMark로 한다(스텝 S 125). 스텝 S 126에서는 현재 PlayListMark의 ref_to_PlayItem_Id에 기술되어 있는 PI를 PlayItem #x로 설정하고, 스텝 S 127에서는 PlayItem #x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Clip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 S 128에서는 현재 Clip 정보의 EP_map을 사용하여 현재 PlayListMark의 mark_time_stamp를 I 픽쳐 어드레스 u로 변환한다. 여기서 PLMark 정보의 mark_time_stamp로 지시되어 있는 픽쳐는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그런 이유에서 I 픽쳐 어드레스 u는 IDR 픽쳐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게 된다.
한편, 스텝 S 129에서는 PlayItem #x의 Out_time을 현재 Clip 정보의 EP_map을 사용하여 I 픽쳐 어드레스 v로 변환한다. 스텝 S 130은 현재 PlayListMark의 mark_time_stamp에서 PlayItem #x의 Out_time까지의 출력을 프레젠테이션 엔진(Presentation Engine, 31)에 명령한다. 이렇게 하여 I 픽쳐 어드레스 u, v를 변화하여 다른 부분의 재생을 명령한 상태에서, 도 23의 스텝 S 107로 이행하므로, 다른 AVClip으로부터 TS 패킷이 판독되게 되고, 영상내용의 전환이 실현된다. 이상이 챕터 서치의 처리순서이다. 이어서 챕터 스킵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챕터 스킵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 131은 리모컨에 대한 SkipNext 키, SkipBack 키에 대한 조작대기를 행한다. 만일 조작이 이루어지면 스텝 S 132를 실행한다. 스텝 S 132는 눌러진 키가 SkipNext 키인가 SkipBack 키인가의 판정이고, SkipBack 키이면 스텝 S 133에서 방향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SkipNext 키이면 스텝 S 134에서 방향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스텝 S 135는 현재 PlayListMark의 번호에 방향 플래그의 값을 더한 번호를 현재 PlayListMark의 번호로 설정한다. 여기서 SkipNext 키이면, 방향 플래그는 +1 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현재 PlayListMark는 인크리먼트 되게 된다. SkipBack 키이면, 방향 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현재 PlayListMark는 디크리먼트 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PLMark 정보를 설정하면, 도 41과 마찬가지로 스텝 S 126 ~ 스텝 S 130의 처리순서를 실행함으로써 TS 패킷 판독을 행한다.
여기서 PLMark 정보의 mark_time_stamp에 의해 지정되는 픽쳐는 IDR 픽쳐에 인코드 되어 있고, is_angle_change_point"= 1"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의 PTS_EP_start는 이 IDR 픽쳐의 재생시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엔트리 포인트에 표시되는 SPN 위치 이후의 픽쳐를 판독함으로써 IDR 픽쳐를 비디오 디코더(8)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PlayList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 PlayItem 중 선두의 PlayItem의 In_time에 의해 지시되고 있는 픽쳐나 PLMark 정보에 의해 챕터 위치로 지시되고 있는 픽쳐를 IDR 픽쳐로 설정해 두므로, PlayItem의 In_time이나 PLMark 정보의 챕터 위치부터 IDR 픽쳐를 검색해 가는 검색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과정의 생략에 의해 PlayList 정보를 사용한 재생제어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비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행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기(A) (B) (C) (D) … 의 변경을 한 실시행위의 형태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해진다. 본원의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이상에 기재한 복수의 실시 예 및 그들의 변형 예를 확장한 기재 내지 일반화한 기재로 하고 있다. 확장 내지 일반화의 정도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의 특성에 의거한다.
(A) 모든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를 BD-ROM으로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기록되는 EP_map에 특징이 있고, 이 특징은 BD-ROM의 물리적 성질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EP_map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라면 어떤 기록매체라도 좋다. 예를 들어, DVD-ROM, DVD-RAM, DVD-RW, DVD-R, DVD+RW, DVD+R, CD-R, CD-RW 등의 광 디스크, PD,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라도 좋다. 또, 콤팩트 플래시 카드(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 미디어 카드, PCM-CIA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카드라도 된다. 플렉시블 디스크, Super Disk, Zip, Clik! 등의 자기기록 디스크(i), ORB, Jaz, SparQ, SyJet, EZFley, 마이크로 드라이브 등의 이동 가능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ii)라도 좋다. 또한, 기기 내장형의 하드 디스크라도 좋다.
(B) 모든 실시 예에서의 재생장치는 BD-ROM에 기록된 AVClip을 디코드한 후에 TV에 출력하였으나, 재생장치를 BD-ROM 드라이브만으로 하고, 그 이외의 구성요소를 TV에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재생장치와 TV를 IEEE 1394로 접속된 홈네트워크에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실시 예에서의 재생장치는 텔레비전과 접속하여 이용되는 타입이었으나,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된 재생장치라도 된다. 또한, 각 실시 예의 재생장치에서 처리의 본질적 부분을 이루는 시스템 LSI(집적회로)만을 실시해도 된다.
(C) 각 플로차트에 제시한 프로그램에 의한 정보처리는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로차트에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프로 그램은 단일체로 발명으로 성립한다. 모든 실시 예는, 재생장치에 내장된 형태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실시행위에 대한 실시 예를 제시하였으나, 재생장치로부터 분리하여 각 실시 예에 제시한 프로그램 단일체를 실시해도 된다. 프로그램 단일체의 실시행위에는 이들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행위(1)나 유상·무상에 의해 프로그램을 양도하는 행위(2), 대여하는 행위(3), 수입하는 행위(4), 쌍방향의 전자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에 제공하는 행위(5), 점포 전시, 카탈로그 권유, 팸플릿 배포에 의해 프로그램의 양도나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권유하는 행위(6)가 있다.
(D) 각 실시 예에서의 디지털 스트림은 BD-ROM 규격의 AVClip이었으나, DVD-Video 규격, DVD-Video Recording 규격의 VOB(Video Object)라도 된다. VOB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얻어진 ISO/IEC13818-1 규격 준거의 프로그램 스트림이다. 또, AVClip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은 MPEG4나 WMV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은 Linear-PCM 방식, Dolby-AC 3 방식, MP3 방식, MPEG-AAC 방식, dts 방식이어도 좋다.
(E) 제 3 실시 예에서는 PlayList 정보의 모든 PlayItem 정보의 In_time에 의해 지정되는 픽쳐를 IDR 픽쳐로 인코드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홈시어터 시스템에서의 이용과 같이, 개인적인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내부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이 내부 구성에 의거하여 양산하는 것이 명백하므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공업제품의 생산분야에서 생산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0)

  1. 기록매체로,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과 엔트리 맵(entry map)이 기록되어 있고,
    엔트리 맵은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플래그에 대응하여 나타내며,
    상기 플래그는 각 엔트리 위치에 존재하는 픽쳐가 디코딩의 리프레시(refresh) 동작을 의도하고 있는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인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멀티앵글구간에서 하나의 앵글 영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리프레시를 의도한 픽쳐는 멀티앵글구간에서의 다른 앵글 영상으로부터의 재생 전환(switching)이 가능해지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재생이 가능해지는 위치는 세그먼트의 선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복수의 관리정보 파일과 재생구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재생구간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멀티앵글구간의 시점(start point) 및 종점(end point)을 규정하는 정보이며, 복수의 관리정보 파일의 파일명이 기술된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트리 맵은 복수 중 하나의 관리정보 파일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플래그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엔트리 맵에 의거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픽쳐(picture)를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픽쳐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임의의 재생개시 시점에서부터의 재생명령이 있은 경우, 플래그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엔트리 시각 중 재생개시시점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정하고, 특정된 엔트리 시각에 대응하는 엔트리 위치에서부터의 판독을 판독수단이 행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복수의 참조 픽쳐(reference picture)가 저장되어 있는 픽쳐 버퍼와,
    참조 픽쳐를 이용한 움직임 보상을 실행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엔트리 위치에는 디코딩의 리프레시를 의도하고 있는 인트라 픽쳐가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디코더는 당해 인트라 픽쳐를 디코드 한 때 픽쳐 버퍼의 저장내용을 클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복수의 관리정보 파일과 재생구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재생구간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멀티앵글구간의 시점 및 종점을 규정하는 정보이며, 복수의 관리정보파일의 파일명이 기술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생장치는,
    재생대상이 되는 앵글 영상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레지스터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상태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수단은,
    상태 레지스터의 갱신이 있으면 재생구간정보에 파일명이 기술되어 있는 관리정보파일 중 갱신 후의 값에 대응하는 것을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참조 되는 엔트리 맵은 판독된 관리정보파일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AV 파일이 복수 기록되어 있고,
    판독수단의 판독의 대상이 되는 비디오 스트림은 인출된 관리정보 파일의 파일명과 동일 파일명을 갖는 AV 파일 내에 존재하며,
    판독수단은 AV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extent) 중 특정된 엔트리 시각에 대응하는 엔트리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기록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순서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록매체에는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플래그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엔트리 맵이 기록되어 있고,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픽쳐를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스텝과,
    판독된 픽쳐를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임의의 재생개시 시점에서부터의 재생명령이 있은 경우,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엔트리 시각 중 재생개시시점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정하고, 특정된 엔트리 시각에 대응하는 엔트리 위치에서부터의 판독을 판독스텝에서 행하도록 하 는 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0. 기록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방법으로,
    상기 기록매체에는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플래그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엔트리 맵이 기록되어 있고,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픽쳐를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스텝과,
    판독된 픽쳐를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임의의 재생개시 시점에서부터의 재생명령이 있은 경우,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엔트리 시각 중 재생개시시점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정하고, 특정된 엔트리 시각에 대응하는 엔트리 위치에서부터의 판독을 판독스텝에서 행하도록 하는 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KR1020067023751A 2004-04-16 2005-04-15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시스템 KR101129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1593 2004-04-16
JPJP-P-2004-00121593 2004-04-16
PCT/JP2005/007321 WO2005101828A1 (ja) 2004-04-16 2005-04-15 記録媒体、再生装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576A true KR20070015576A (ko) 2007-02-05
KR101129142B1 KR101129142B1 (ko) 2012-03-26

Family

ID=3515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751A KR101129142B1 (ko) 2004-04-16 2005-04-15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778521B2 (ko)
EP (1) EP1746826A4 (ko)
JP (2) JP4249224B2 (ko)
KR (1) KR101129142B1 (ko)
CN (2) CN101673574B (ko)
MX (1) MXPA06011814A (ko)
TW (1) TWI405466B (ko)
WO (1) WO2005101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5466B (zh) * 2004-04-16 2013-08-11 Panasonic Corp A regeneration device, a regeneration program, a regeneration method, and a regeneration system
JP5200204B2 (ja) 2006-03-14 2013-06-05 ディブエッ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高信頼性システムを含む連合型デジタル権限管理機構
CN101321284B (zh) * 2007-06-10 201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编解码方法、设备及系统
US20080317124A1 (en) * 2007-06-25 2008-12-25 Sukhee Cho Multi-view video coding system, decoding system, bitstream extraction system for decoding base view and supporting view random access
KR101635876B1 (ko) 2009-01-07 2016-07-04 쏘닉 아이피, 아이엔씨. 온라인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가이드의 단일, 공동 및 자동 생성
JP5723888B2 (ja) 2009-12-04 2015-05-27 ソニック アイピ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本ビットストリーム暗号材料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333778A1 (en) * 2009-12-04 2011-06-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49497B2 (en) * 2010-06-29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random access points for streaming video data
JP2012018727A (ja) * 2010-07-08 2012-01-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85439B2 (en) 2010-07-15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data for multiplexing video components
US8914534B2 (en) 2011-01-05 2014-12-16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itrate streaming of media stored in matroska container files us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U2012225826A1 (en) * 2011-03-10 2013-09-05 Vidyo, Inc. Parameter set maintenance in video coding
KR101803970B1 (ko) * 2011-03-16 201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9467708B2 (en) 2011-08-30 2016-10-11 Sonic Ip, Inc. Selection of resolutions for seamless resolution switching of multimedia content
US8909922B2 (en) 2011-09-01 2014-12-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back alternative streams of protected content protected using common cryptographic information
US8964977B2 (en) 2011-09-01 2015-02-2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encoded media streamed us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8768079B2 (en) 2011-10-13 2014-07-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cking a reference picture on an electronic device
US8787688B2 (en) * 2011-10-13 2014-07-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cking a reference picture based on a designated picture on an electronic device
US9197685B2 (en) * 2012-06-28 2015-11-2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video startup using trick play streams
EP2875417B1 (en) 2012-07-18 2020-01-01 Verimatr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content switching to provide a linear tv experience using streaming content distribution
US9804668B2 (en) 2012-07-18 2017-10-31 Verimatr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content switching to provide a linear TV experience using streaming content distribution
US9179144B2 (en) 2012-11-28 2015-11-03 Cisco Technology, Inc. Fast switching hybrid video decoder
US9313510B2 (en) 2012-12-31 2016-04-12 Sonic Ip, Inc. Use of objective quality measures of streamed content to reduce streaming bandwidth
US9191457B2 (en) 2012-12-31 2015-11-1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delivery of content
US10397292B2 (en) 2013-03-15 2019-08-27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elivery of content
US9906785B2 (en) 2013-03-15 2018-02-2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transcoding video data according to encoding parameters indicated by received metadata
US9247317B2 (en) 2013-05-30 2016-01-26 Sonic Ip, Inc. Content streaming with client device trick play index
US9094737B2 (en) 2013-05-30 2015-07-28 Sonic Ip, Inc. Network video streaming with trick play based on separate trick play files
US9967305B2 (en) 2013-06-28 2018-05-08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streaming media content
US9866878B2 (en) 2014-04-05 2018-01-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at different frame rates using enhancement layers
WO2017033764A1 (ja) * 2015-08-26 2017-03-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075292B2 (en) 2016-03-30 2018-09-11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start-up of playback
US10652594B2 (en) 2016-07-07 2020-05-12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key frames in encrypted content
US10498795B2 (en) 2017-02-17 2019-12-0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dur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10958948B2 (en) * 2017-08-29 2021-03-2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latency reduction in digital content switching operations
US10939142B2 (en) 2018-02-27 2021-03-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storage, distribution and security within a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5714A1 (fr) * 1996-01-08 1997-07-17 Kabushiki Kaisha Toshiba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procede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TW361046B (en) * 1996-10-31 1999-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ynamic picture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coding dynamic picture image
JPH114444A (ja) 1997-06-11 1999-01-06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20030113096A1 (en) * 1997-07-07 2003-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system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plurality of simultaneously displayed images
JP3595151B2 (ja) * 1998-02-20 2004-12-02 株式会社東芝 使用可能キー表示システムで用いる光ディスク、この光ディスクを用いる方法および装置
JP3510783B2 (ja) * 1998-03-12 2004-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画像記録再生方法及び動画像記録再生装置
JP3058870B1 (ja) 1999-02-05 2000-07-04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Afc回路
JP4328989B2 (ja) 1999-11-24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682434B2 (ja) * 2000-04-21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599740B2 (ja) * 2000-04-21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193607C (zh) * 2000-04-21 2005-03-16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和方法
WO2001082605A1 (en) 2000-04-21 2001-11-01 Sony Corporation Encoding device and method, recorded medium, and program
JP4538908B2 (ja) * 2000-06-14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変換装置及び方法
JP4416959B2 (ja) * 2001-04-26 2010-02-1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Xyアドレス型固体撮像装置のフリッカノイズ低減方法
WO2003001749A1 (fr) 2001-06-22 2003-01-03 Omron Corporation Systeme de reseau securise et esclave securise
KR100434740B1 (ko) * 2001-11-09 2004-06-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저배속 재생방법
JP3852366B2 (ja) * 2002-04-2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MXPA04002365A (es) * 2002-06-21 2004-11-22 Lg Electronics Inc Medio de grabacion que tiene estructura de datos para manejar la reproduccion de datos de video grabados en el mismo.
CN101350215B (zh) * 2002-06-24 2012-08-29 Lg电子株式会社 记录和再现用于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方法及装置
JP4312151B2 (ja) * 2002-06-28 2009-08-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重経路データの記録及び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と、それによって記録し、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JP3513148B1 (ja) * 2002-10-11 2004-03-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US7869690B2 (en) 2002-11-11 2011-01-1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V streams onto a recording medium with reproduction path change point features
KR100636129B1 (ko) * 2002-12-16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앵글을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로 기록된 정보저장매체및 그 장치
CN101714395B (zh) 2003-04-23 2012-01-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再现方法、记录媒体、记录方法
TWI405466B (zh) * 2004-04-16 2013-08-11 Panasonic Corp A regeneration device, a regeneration program, a regeneration method, and a regene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3574B (zh) 2013-03-06
CN1969548A (zh) 2007-05-23
TWI405466B (zh) 2013-08-11
JP2008295048A (ja) 2008-12-04
WO2005101828A1 (ja) 2005-10-27
EP1746826A4 (en) 2010-04-21
US7778521B2 (en) 2010-08-17
US20070274679A1 (en) 2007-11-29
MXPA06011814A (es) 2006-12-15
TW200605667A (en) 2006-02-01
EP1746826A1 (en) 2007-01-24
JP4249224B2 (ja) 2009-04-02
KR101129142B1 (ko) 2012-03-26
US8521002B2 (en) 2013-08-27
CN100544419C (zh) 2009-09-23
JP4750823B2 (ja) 2011-08-17
JPWO2005101828A1 (ja) 2008-03-06
CN101673574A (zh) 2010-03-17
US20100272412A1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142B1 (ko)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시스템
JP4750824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プログラム
KR101162790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0884150B1 (ko) 슬라이드 쇼에서 랜덤 액세스를 고속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기록방법, 재생방법
US8055117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A2515954C (en)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JP4764855B2 (ja) 記録方法、再生システム
KR100884148B1 (ko) 슬라이드 쇼에서 랜덤 액세스를 고속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기록방법, 재생방법
JP4204621B2 (ja) 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2007221818A (ja)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2007221819A (ja) システムl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