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404A -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404A
KR20040029404A KR10-2004-7001872A KR20047001872A KR20040029404A KR 20040029404 A KR20040029404 A KR 20040029404A KR 20047001872 A KR20047001872 A KR 20047001872A KR 20040029404 A KR20040029404 A KR 20040029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terminal device
user
licens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노우에미츠히로
오카모토류이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 서버(5)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에 따라 이용 규칙을 관리하고,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 퍼렌털 제어부(56),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 및 티켓 생성부(54)를 포함한다.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3)는 각 사용자와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이용 규칙 정보(13~14)를 기억한다. 퍼렌털 제어부(56)는 자녀 단말(7)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가하기 위해 부모 단말(6)에 의해 이루어지는 요구인 퍼렌털 정보(15~16)를 부모 단말(6)로부터 획득하고,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는 획득한 퍼렌털 정보(15~16)를 기억한다. 부모 단말(6)로부터 컨텐츠 이용을 위해 자녀 단말(7)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컨텐츠 요구를 수신하면, 티켓 생성부(54)는 자녀 단말(7)에 대해 기억된 퍼렌털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자녀 단말(7)에 대해 기억된 규칙 정보에 나타나는 이용 규칙에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여 라이센스 티켓을 부모 단말(6)로 송신한다.

Description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 이용 제한 제어 방법{LICENSE MANAGEMENT SERVER, TERMINAL DEVICE,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CONTROL METHOD}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 비디오 화상, CD(컴팩트 디스크) 음악, 및 만화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현재 인터넷을 통해 배송되고, 모든 연령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컴퓨터로 가정에서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이하 간략하게 "컨텐츠"라 함)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자녀들은 이들 컨텐츠에서 폭력과 포르노 화상에 요즈음 더욱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가정은 이제 자녀들의 건전한 정신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화상과 생각으로부터 자녀들을 멀리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심이 증가된 결과, 현재 퍼렌털(parental) 시스템이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자녀를 이러한 유해한 컨텐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종래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입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나이를 질문한다. 사용자가 미성년인 경우에는, 배송 시스템은 이 사용자에게 성인용 컨텐츠를 판매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신용 카드를 이용하여 주문을 한 경우에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은 사용자를 성인으로 간주하고 성인용 컨텐츠의 배송을 허가한다.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경우에, "1" 내지 "8"의 숫자에 의해 표시되는 퍼렌털 코드가 판매되는 각 DVD 디스크에 미리 설정된다. 가정에서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모는 홈 세트에 자녀의 시청을 허가하는 컨텐츠의 레벨을 나타내는 퍼렌털 코드를 설정한다. 그 결과, 가정의 재생장치는 거기에 설정된 코드보다 높은 퍼렌털 코드의 DVD는 재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퍼렌털 코드 "2"의 재생 장치는 퍼렌털 코드 "3"의 DVD를 재생할 수 없다. 재생 장치의 퍼렌털 코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4-디지트 암호가 필요하고, 따라서 자녀는 마음대로 재생 장치의 퍼렌털 코드를 변경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대부분은 모든 컨텐츠의 이용을 완전히 제한하거나 전혀 제한하지 않거나 둘 중의 하나이고, 컨텐츠 이용 기간 또는 이용 회수에 대한 제한 등의 좀 더 정밀한 제한을 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DVD 비디오는 재생 이전에 부모 사용자가 DVD 비디오의 폭력 장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DVD 비디오의 이러한 제거 가능한 장면은 미리 정해져 있어서, 부모 사용자는 이러한 소정의 장면 이외의 장면은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부모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 자신의 퍼렌털 코드의 레벨을 생성할 수 없다. 이처럼, 종래의 기술이 소정의 규칙 및 제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지만, 컨텐츠 이용에 대해 부모가 자신만의 규칙 및 제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정의 부모가 다양한 제한 방법으로 각 자녀에게 좀더 특정한 컨텐츠-이용 제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퍼렌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녀가 사용하는 단말이 그 자녀의 부모에 의해 주어진 이용제한에 따라 배송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이용 제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사용자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이용 규칙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퍼렌털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티켓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어 도 1에 도시한 부모 단말로 송신되는 라이센스 티켓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컨텐츠 배송 요구를 하고 퍼렌털 이용 제한이 가해진 컨텐츠를 이용하는 관리 서버, 부모 단말, 및 자녀 단말 사이의 통신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부모 단말의 퍼렌털 설정 요구에 응한 관리 서버로부터의 퍼렌털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이용 규칙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티켓 개정부가 라이센스 티켓을 개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컨텐츠 배송 요구를 하고 퍼렌털 이용 제한이 가해진 컨텐츠를 이용하는 관리 서버, 부모 단말, 및 자녀 단말 사이의 통신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1 변형예에 따라 티켓 개정부가 자녀 단말에 대해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은 제2 변형예에 따라 티켓 개정부가 제한 티켓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제3 변형예에 따라 티켓 개정부가 자녀 단말에 대해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부모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자녀 단말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자녀 단말 등록 화면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요구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자녀 단말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8에 도시한 퍼렌털 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제한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제한 설정 화면에 의해 호출되는 제2 제한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퍼렌털 설정부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한 제2 제한 설정 화면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b는 도 8에 도시한 퍼렌털 기억부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c는 퍼렌털 기억부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d는 퍼렌털 기억부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e는 퍼렌털 기억부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에 따라 이용 규칙을 관리한다.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a)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b)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 제2 단말 장치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관리부; 및 (1) 제2 단말 장치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획득한 이용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제1 단말 장치, 제1 사용자, 제2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에, 제한 관리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며, (3)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4)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제한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를 제1 단말 장치 또는 가정에서 가족 중 부모인 제1 단말의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본 요구는 제2 단말 또는 가정에서 부모의 자녀인 제2 단말의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제한하는 요구를 한다. 본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이 추가된 이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종래의 많은 라이센스 관리 서버가 자녀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정해진 또는 균일한 제한만을 설정할 수 있음에 비하여, 본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사용자(부모)는 제2 사용자(자녀) 각각의 성장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 이용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또한 제1 사용자가 각 자녀에 대한 상이한 제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한다. 본 단말 장치는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소정 단말 장치의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 가해질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억하는 제한 기억부;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소정의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요구하는 티켓 요구를 하는 티켓 요구부;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요구한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티켓 획득부; 및 (1)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소정의 이용 규칙에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2)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포함한다.
본 단말 장치는 단말의 부모 사용자로부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부모 사용자의 자녀인 소정 단말 장치의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가할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부모 사용자의 단말 장치는 획득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본 구성은 부모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여 각 가정의 각 자녀의 성장 및 다양한 상황에 따라 특정하게 결정된 매우 다양한 제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퍼렌털 시스템(1)에 있어서, 컨텐츠 배송 센터의 통신/배송 시스템은 비디오, 게임, 및 저작물 등의 컨텐츠의 이용 라이센스를 총괄하여 관리하고, 부모의 지시에따라 자녀에 대해 배송되는 컨텐츠의 이용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건전한 정신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컨텐츠에 자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퍼렌털 시스템(1)은 컨텐츠 배송 센터(2)에 설치된 컨텐츠 서버(4) 및 관리 서버(5); 다수의 가정(3) 각각의 가족인 부모와 자녀에 의해 이용되는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 및 컨텐츠 서버(4), 관리 서버(5), 및 부모 단말(6)을 서로 접속하는 고속 공중 광대역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의 통신망(8)의 요소를 구비한다.
컨텐츠 배송 센터(2)는 독립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 배송에 대한 컨텐츠 요구에 응하여 배송한다. 컨텐츠 배송 센터(2)는 또한 라이센스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는 티켓 요구에 응하여,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라이센스 티켓을 배송한다. 라이센스 티켓은 그 주요 구성요소로서, 컨텐츠의 암호를 복호하는 컨텐츠 키 및 사용자가 구입한 이용 권리 내에서 요구된 컨텐츠 이용을 미리 허가하는 이용 규칙을 포함한다.
컨텐츠 요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배송을 요구하기 위해 가정(3)의 단말(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이다. 컨텐츠 요구는 그 주요 구성요소로서, 컨텐츠 요구를 하는 단말의 단말 식별자(ID) 및 원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포함한다.
티켓 요구는 라이센스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는 명령이고, 티켓 요구를 하는 단말의 단말 ID,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이용 규칙을 포함한다.
부모 단말(6)에 의해 이루어지는 컨텐츠 및 티켓 요구는 부모 단말(6)의 단말 ID만을 포함하지만, 자녀 단말(7)에 의해 이루어지는 컨텐츠 요구 및 티켓 요구는 자녀 단말(7)의 단말 ID는 물론 부모 단말(6)의 단말 ID도 포함한다.
컨텐츠 이용이 허가된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은 발행된 라이센스 티켓에 포함된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암호를 복호하고, 라이센스 티켓의 이용 규칙을 항상 참조하면서 복호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컨텐츠 서버(4)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관리 서버(5)와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 요구에 응하여 사용자의 단말에게 요구받은 컨텐츠를 배송하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 및 배송부(41)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는 암호화된 컨텐츠 및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는 컨텐츠 키를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부이다.
배송부(41)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부로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관리 서버(5)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를 독출하고, 독출한 컨텐츠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8)을 통해 배송한다.
관리 서버(5)는 컨텐츠의 이용 라이센스 및 그 배송을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티켓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5)는 자녀 단말(7)에 의해 티켓 요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아니라면, 관리 서버(5)는 요구를 한 단말에 대해 일정한 이용 규칙 하에서 요구받은 컨텐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발행한다. 자녀 단말(7)에 의해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5)는 부모 단말(6)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미리 제공된 추가 이용 규칙을 이용범위에 첨부함으로써, 자녀 단말(7)에 대한 신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요구 단말에 이를 발행한다.
관리 서버(5)는 대략 세 개의 데이터베이스(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 및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 및 네 개의 처리부(티켓 생성부(54), 부모/자녀 판단부(55), 퍼렌털 제어부(56), 및 통신부(57))로 구분된다. 세 개의 데이터베이스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실현되고, 네 개의 처리부는 프로그램 등으로 실현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는 부모 단말(6)과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11~12)를 기억한다. 사용자 정보(11~12)는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 및 컨텐츠 재생을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ID를 포함한다.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는 부모 단말(6)의 각 사용자에 대해 각 컨텐츠의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이용 규칙 정보(13~14)를 기억한다.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는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에 대해 퍼렌털 정보(15~16)를 기억한다. 퍼렌털 정보(15~16)는 각 사용자와 각 컨텐츠에 대해 자녀 사용자의 부모가 제공하는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낸다.
티켓 생성부(54)는 부모/자녀 판단부(55)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한다. 부모/자녀 판단부(55)가 부모 단말(6)에 의해 라이센스 티켓이 요구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티켓 생성부(54)는 부모 사용자 및 티켓 요구에 포함된 컨텐츠 ID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이용 규칙을 이용 규칙 정보(13~14)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티켓 요구에서 현재 요구되는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을 독출된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독출한 이용 규칙을 변경하고 이용 규칙 정보(13~14)에 되돌려준다. 이 후, 티켓 생성부(54)는 상기 요구받은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라이센스 티켓에 대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용 규칙과 컨텐츠 서버(4)로부터 송신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 티켓에 기입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부모 단말(6)의 단말 ID를 티켓의 목적지로서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하고, 통신부(57)를 통해 티켓을 송신한다.
한편, 부모/자녀 판단부(55)가 자녀 단말(7)에 의해 라이센스 티켓이 요구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티켓 생성부(54)는 티켓 요구에 첨부된 부모 단말(6)의 단말 ID를 참조하여, 독출한 단말 ID 및 티켓 요구에서 요구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이용 규칙을 독출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티켓 요구에서 요구되는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을 독출된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독출한 이용 규칙을 변경하고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에 되돌려준다. 이 후, 티켓 생성부(54)는 부모 단말(6)로부터의 티켓 요구에 응하여 수행되는 상기 동작과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티켓 생성부(54)는 퍼렌털 제어부(56)로부터 이용 제한을 획득하고 획득한 이용 제한을 티켓 요구에서 요구되는 이용 규칙에 추가하여, 자녀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생성된 자녀 이용 규칙에 컨텐츠 키를 첨부하고, 자녀 단말(7)의 사용자 ID를 기입하여 자녀 사용자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이 후, 티켓 생성부(54)는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티켓의 목적지로서 자녀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하고, 통신부(57)를 통해 티켓을 부모 단말(6)에 송신하며, 배송부(41)가 요구받은 컨텐츠를 배송하도록 한다.
상기 동작에 추가적으로, 티켓 생성부(54)는 퍼렌털 설정 요구(나중에 설명)를 제외하고 부모 단말(6)로부터의 다양한 요구에 응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부모 단말(6)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티켓 생성부(54)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의 정보를 추가 및 삭제하여 사용자 정보(11~12)를 변경하고,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의 정보를 추가 및 삭제하여 이용 규칙 정보를 갱신한다.
부모/자녀 판단부(55)는 수신한 티켓 요구의 단말 ID로부터 부모 단말(6) 또는 자녀 단말(7)에 의해 요구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부모 단말(6)로부터의 티켓 요구는 자신의 단말 ID만을 포함하는 반면에 자녀 단말(7)로부터의 티켓 요구는 자신의 단말 ID 및 부모 단말(6)의 ID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판단이 가능하다. 티켓 요구가 자녀 단말(7)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부모/자녀 판단부(55)가 판단한 경우에, 퍼렌털 제어부(56)는 사용자 정보(11~12) 및 요구에 포함된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참조하여 자녀 단말(7)의 사용자 ID를 특정한다. 특정된 사용자 ID 및 요구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ID에 따라, 퍼렌털 제어부(56)는 자녀 단말(7)의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제공된 이용 제한을 퍼렌털 정보(15~16)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이용 제한을 티켓 생성부(54)에 송신한다.
부모 단말(6)로부터의 퍼렌털 설정 요구에 응하여, 퍼렌털 제어부(56)는 자녀 단말(7)에 대해 제공되는 퍼렌털 정보(15~16)를 또한 생성하고 변경한다. 퍼렌털 정보(15~16)로부터 일정 이용 제한을 삭제하기를 요구하는 퍼렌털 삭제 요구에 응하여, 퍼렌털 제어부(56)는 제한을 삭제함으로써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를 갱신한다.
통신부(57)는 부모 단말(6)로부터 컨텐츠 요구, 티켓 요구, 및 퍼렌털 설정 요구 등의 요구를 수신하고, 티켓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5)에서 생성된 라이센스 티켓을 각 요구 가정(3)에 송신한다.
각 가정(3)에서 이용되는 단말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로 구성된다.
부모 단말(6)은 가정(3)에서 가족 중 부모에 의해 이용되고, 고속 광대역 ADSL 등의 통신망(8)에 접속되는 독점적인 단말이다. 부모 단말(6)은 PC 등에 의해 실현되고, 동일 가정(3) 내의 각 자녀 단말(7)에 대한 이용 제한의 설정을 관리 서버(5)에 요구한다. 또한 부모 단말(6)은 자녀 단말(7)로부터의 컨텐츠 요구 및 티켓 요구를 관리 서버(5)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5)로부터의 요구된 컨텐츠 및 자녀 라이센스 티켓을 자녀 단말(7)에 전송함으로써 자녀 단말(7)에 대한 또는 자녀 단말(7)로부터의 데이터를 중계한다.
부모 단말(6)은 퍼렌털 설정부(61), 요구부(62), 통신부(63), 및 재생부(64)의 네 개의 처리부로 대략 구분될 수 있고, 이들 중 통신부(63)와 재생부(64)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되는 기억부(즉, 이력 기억부(65) 및 컨텐츠 기억부(66))를 포함한다.
퍼렌털 설정부(61)는 부모 단말(6)의 사용자에게 퍼렌털 설정 화면을 제공하고, 퍼렌털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 구성된 퍼렌털 설정요구를 통신부(63)를 통해 관리 서버(5)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5)와의 대화를 통해, 요구부(62)는 퍼렌털 설정 요구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요구에 응하는 메뉴 화면을 수신하고, 수신한 메뉴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요구부(62)는 또한 부모 단말(6)에 의해 이루어지고 메뉴 화면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요구를 통신부(63)를 통해 관리 서버(5)로 송신한다.
통신부(63)는 가정(3)에서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요구를 관리 서버(5)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5)로부터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하며, 이들을 재생부(64 또는 71) 중 하나로 전송한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요구를 송신할 때마다. 통신부(63)는 송신한 컨텐츠 요구의 이력을 이력 기억부(65)에 기록한다. 본 이력은 컨텐츠 요구를 한 단말의 ID; 요구가 이루어진 날짜; 요구하는 컨텐츠의 ID를 포함한다. 자녀 단말(7)에 의해 이루어진 티켓 요구를 관리 서버(5)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통신부(63)는 부모 단말(6)의 ID를 요구에 첨부한다.
통신부(63)는 요구한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컨텐츠의 ID와 이력 기억부(65)를 참조하여 컨텐츠에 대한 요구를 한 단말을 특정하고, 컨텐츠를 특정된 단말의 재생부로 송신한다. 통신부(63)는 컨텐츠를 재생부에 송신할 때마다 송신한 컨텐츠와 그 ID에 해당하는 이력을 삭제한다.
통신부(63)는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하면 수신한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된 목적지 단말 ID를 참조하고, 첨부된 단말 ID에 의해 특정되는 단말의 재생부(64 및 71) 중 하나로 라이센스 티켓을 송신한다.
재생부(64)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복호기 등의 탬퍼-리지스턴트(tampering-resistant) 메커니즘을 갖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고, 수신한 라이센스 티켓을 컨텐츠 기억부(66)에 기억하며, 컨텐츠 기억부(66)의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소정 데이터 길이 단위로 수신한 컨텐츠를 복호한다. 그리고 재생부(64)는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에 따라 재생 모듈이 인-스트림 재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인-스트림 재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부(64)는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 기억부(66)에 기억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재생 명령에 응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력 기억부(65)는 통신부(63)에 의해 송신되는 컨텐츠 요구의 이력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컨텐츠 기억부(66)는 부모 단말(6)로 배송되는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한다.
자녀 단말(7)은 가정(3)에서 가족 중 자녀에 의해 이용되고, 블루투스 등의 로컬 무선 통신을 통해 부모 단말(6)에 접속되는 PC로서, 부모 단말(6)을 통해 컨텐츠 배송 센터(2)로부터 컨텐츠 및 자녀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한다. 자녀 단말(7)은 자녀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한다. 자녀 단말(7)은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는 세 개의 처리부(재생부(71), 요구부(72), 및 통신부(73))로 대략 구분된다. 재생부(71)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되는 컨텐츠 기억부(74)를 포함한다.
재생부(71)는 MPEG 복호기 등의 탬퍼-리지스턴트 메커니즘을 갖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고,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재생 명령에 응하여 부모 단말(6)을 통해 배송된 컨텐츠에 대한 인-스트림 재생을 수행한다. 재생부(71)는 이러한 재생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 기억부(74)에 기억해 두고, 재생 명령에 응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자녀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에 따라 재생이 이루어진다.
요구부(72)는 부모 단말(6)을 통해 관리 서버(5)에 액세스하여 각 요구에 응하는 메뉴 화면을 수신하고, 수신한 메뉴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요구부(72)는 사용자의 이러한 입력을 포함하는 컨텐츠 요구 및 티켓 요구를 통신부(73)에 송신한다. 컨텐츠 요구 및 티켓 요구를 송신할 때, 요구부(72)는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요구 단말로서 이들 요구에 첨부한다.
통신부(73)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부모 단말(6)의 통신부(63)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세하게는, 통신부(73)는 컨텐츠 요구 및 티켓 요구를 송신하고,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한다.
컨텐츠 기억부(74)는 자녀 단말(7)로 배송된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한다.
통신망(8)은 인터넷 등에 의해 실현된다.
도 2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에서의 사용자 정보(11~12)의 데이터 구조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정보(11~12)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 내에서 자녀 단말(7)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 각각에 대해 생성되고, 사용자 ID(20)에 따라 관리된다. 사용자 정보(11~12)의 각 세트는 사용자 성명(21), 주소(22),전화번호(23), 및 이-메일 주소(24) 등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 ID(25 및 26)를 보유한다. 사용자가 최초로 본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구입할 때,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ID와 함께 개인 정보가 등록된다. 이후에는 정보(11~12)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 정보(11~12)가 갱신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요구는 가정(3)에 추가로 자녀 단말(7)이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이사 때문에 주소(22)를 변경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52)에 기억된 이용 규칙 정보(13~14)의 데이터 구조 예를 도시한다. 이용 규칙 정보(13~14)는 컨텐츠를 구입한 부모 단말(6)의 각 사용자에 대해 생성되고, 사용자 ID(20)에 따라 관리된다. 본 도면과 다른 도면에 있어서, 각 사용자 ID(20)는 사용자 ID(20)에 의해 특정되는 사용자 성명으로 나타내진다. 유사하게, 각 컨텐츠 ID(30)는 컨텐츠 ID(30)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명으로 나타내진다. 이용 규칙 정보(13~14)는, 각 사용자 및 사용자에게 이용이 허가된 각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의 컨텐츠 ID(31); 컨텐츠 이용이 허가된 유효 기간(32); 컨텐츠의 허가된 이용 회수(33); 컨텐츠의 연속적인 이용이 허가된 연속 이용 시간(34); 및 컨텐츠 이용이 허가된 총 이용 시간(35)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15~16)의 데이터 구조 예를 도시한다. 퍼렌털 정보(15~16)는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에 대해 생성되고, 사용자 ID(20)에 의해 관리된다. 퍼렌털 정보(15~16)는 각 자녀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의 이용이 허가된 컨텐츠의 컨텐츠 ID(31) 및 컨텐츠 이용에 대한 다수의 이용 제한을 나타낸다. 다수의 이용 제한은 자녀 단말(7)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기간(예를 들어, 학교의 봄/여름 방학 등)을 나타내는 유효 기간(43);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 회수를 제한하는 이용 회수에 대한 제한(44); 사용자가 컨텐츠를 연속 이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연속 이용 제한(45); 및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총 시간을 제한하는 총 이용 제한(46)을 포함한다. 유효 기간(43)은 그 시작과 종료를 나타내는 시작 시간(47)과 종료 시간(48)으로 구성된다.
각 컨텐츠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이용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온라인 비디오 게임인 경우에, 인터넷 접속료에 대한 제한을 이용 제한으로서 설정하거나, 또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타임 슬롯에 대해 제한을 가할 수도 있다.
도 5는 티켓 생성부(54)에 의해 부모 단말(6)로 발행되는 라이센스 티켓(140)의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낸다. 라이센스 티켓(140)은 시작 부분에 라이센스 티켓(140)을 식별하는 캐릭터 문자열인 라이센스 티켓 ID(141)를 포함하고, 또한 순서대로 라이센스 티켓(14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보유하는 헤더(142); 티켓(140)에 나타난 컨텐츠의 암호를 복호하는 컨텐츠 키(143); 컨텐츠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이용 규칙의 그룹(144, 145, ...); 및 티켓(140)의 마지막 부분에 티켓(140)의 해쉬 값(146)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는 컨텐츠가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이용 규칙의 그룹(144, 145, ...) 중에서, 이용 규칙의 그룹(144)(시청 규칙(144))은 컨텐츠가 시청할 화상인 경우에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규칙일 수 있다. 컨텐츠가 인쇄를 위한 것일 때, 이용 규칙의 다른 그룹(인쇄 규칙(145))은 컨텐츠 인쇄를 위한 규칙일 수 있다. 라이센스 티켓(141)은 다른 가능한 컨텐츠 이용에 따른 이용 규칙의 다른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헤더(142)는, 헤더(142)를 식별하는 캐릭터 문자열인 헤더 ID(147); 본 라이센스 티켓(140)에 기초하여 이용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148); 본 티켓(140)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ID(149); 년, 월, 일, 및 시간으로 본 티켓(140)의 유효 기간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LT(라이센스 티켓) 시작 시간(150); 년, 월, 일, 및 시간으로 동일한 유효 기간의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LT 종료 시간(151); 및 본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 대한 버전 정보(152)의 정보를 포함한다. 헤더(142)는 필요한 경우에 실제로 컨텐츠를 처리하는 단말의 단말 ID 등의 다른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블랭크 필드를 포함하여,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 중에서 본 단말을 특정한다.
시청 규칙(144)은, 전체 시청 규칙(144)을 식별하는 시청 ID(153);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용이 허가된 회수를 나타내는 카운터(154); "컨텐츠를 10초 동안 재생하면 1회로 카운트한다"와 같이 카운터(154)가 회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수 정의(155); 사용자가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도록 허가된 연속 재생 시간(156);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허가된 총 재생 시간(157); 플러그인 시청 규칙(159)을 식별하는 소정의 캐릭터 문자열인 플러그인 ID(158); 및 플러그인 재생 모듈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규칙을 나타내는 플러그인 시청 규칙(159)의 정보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ID(158) 및 플러그인 시청 규칙(159)은 일정 형태의 플러그인 재생 모듈에서의 시청 규칙(144)에는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하, 도 6의 순서도 및 도 7의 퍼렌털 설정 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갖는 퍼렌털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관리 서버(5),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 사이의 통신 절차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절차는 자녀 단말(7)이 컨텐츠 요구를 하고 부모 단말(6)에 의해 퍼렌털 이용 제한이 가해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동작에 앞서, 부모 단말(6)의 사용자는 관리 서버(5)에 액세스하여 컨텐츠를 구입하고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얻는다. 그리고 부모 단말(6)의 사용자는 자녀 단말(7)을 관리 서버(5)에 등록하고, 도 7에 도시하는 퍼렌털 설정 화면을 수신한다. 이 때 부모 단말(6)은 구입한 컨텐츠의 이용에 대한 퍼렌털 이용 제한을 퍼렌털 설정 화면에 입력하고, 입력된 퍼렌털 이용 제한으로 구성된 퍼렌털 설정 요구를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1).
도 7은 부모 단말(6)에 의해 이루어지는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5)로부터 송신되는 퍼렌털 설정 화면(170)의 예를 도시한다. 퍼렌털 설정 화면(170)은 도 3에 도시한 이용 규칙 정보(13~14) 및 도 4에 도시한 퍼렌털 정보(15~16)의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퍼렌털 설정 화면(170)은, 이용이 허가된 컨텐츠명을 나타내는 컨텐츠명(171); 컨텐츠 이용이 허가된 자녀 단말(7)의 사용자 성명을 나타내는 등록 사용자명(172); 이용 규칙 정보(13~14)에 나타난 유효기간(32)을 나타냄으로써 본 유효 기간(32)을 제한하는 입력을 받는 유효 기간(173); 이용 규칙 정보(13~14)에 나타난 허가된 이용 회수(33)를 나타냄으로써 본 허가된 이용 회수(33)를 제한하는 입력을 받는 허가된 이용 회수(174); 및 연속 이용 시간(34)을 나타냄으로써 본 시간(34)을 제한하는 입력을 받는 연속 이용 시간(175)의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모 단말(6)의 사용자, 부모 "A"가 자녀 단말(7)의 사용자인 두 명의 자녀, 자녀 "A1" 및 자녀 "A2"를 두고 있고, 자녀 "A1"이 공부하지 않고 항상 너무 많이 놀기 때문에 부모 "A"는 자녀 "A1"이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을 시청하는데 적용되는 연속 이용 시간(34)을 3시간에서 1시간으로 감소시키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한편, 부모 "A"는 학교 생활을 잘 하는 자녀 "A2"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 이 때 부모 "A"는 퍼렌털 설정 화면(170)을 보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이용 시간(175)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시간(175)을 "3"에서 "1" 시간으로 변경한다. 이 후, 부모 "A"는 조작부(미도시)에 제공되는 전송 버튼을 눌러서, 본 퍼렌털 제한을 퍼렌털 설정 요구의 일부로서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5)의 퍼렌털 제어부(56)는 본 퍼렌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에 대한 퍼렌털 정보를 생성하고,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를 갱신한다(단계 S2). 도 7의 예에 대해서, 연속 이용 시간(34)을 1시간으로 제한하기 위해 관리 서버(5)로 송신된 퍼렌털 설정 요구의 결과로, 자녀 "A1"에 대한 퍼렌털 정보 내의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에 대한 연속 이용 제한(45)은 1시간으로설정된다.
이 후, 자녀 "A1"은 자녀 단말(7)의 요구부(72)를 조작하여, 부모 단말(6)로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포함하는 티켓 요구를 송신하고(단계 S3), 부모 단말(6)은 티켓 요구에 그 단말 ID를 첨부하여 이를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4).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5)는, 자녀 단말(7)로부터 라이센스 티켓을 요구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뉴 화면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면, 퍼렌털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녀 단말(7)로 메뉴 화면을 송신한다. 자녀 단말(7)은, 자녀 단말(7)의 사용자 자녀 "A1"에게 허가된 컨텐츠명; 및 자녀 "A1"에 대해 현재 허가된 이용 규칙을 포함하는 본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본 메뉴 화면을 보는 자녀 "A1"은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을 원하는 컨텐츠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시간으로 "3시간"을 입력함으로써, 메뉴 화면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티켓 요구가 생성된다. 그리고 자녀 단말(7)은 티켓 요구에 그 단말 ID를 첨부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이용 규칙을 포함하는 티켓 요구를 부모 단말(6)에 송신한다. 부모 단말(6)의 통신부(63)는, 티켓 요구를 수신하면, 티켓 요구에 그 단말 ID를 첨부하고, 이를 관리 서버(5)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5)의 부모/자녀 판단부(55)는 본 티켓 요구를 수신하고, 부모 단말(6)과 자녀 단말(7) 양쪽의 단말 ID를 포함하는 티켓 요구를 인식함으로써, 티켓 요구가 자녀 단말(7)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판단한다(단계 S5).
본 판단 결과에 따라서, 퍼렌털 제어부(56)는 요구한 컨텐츠 "만화: 내일의존"의 이용을 위하여 자녀 "A1"에게 가해진 연속 이용 제한(45)인 "1시간"을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연속 이용 제한(45) "1시간"을 티켓 생성부(54)로 송신한다.
티켓 생성부(54)는 티켓 요구에 첨부된 부모 단말(6)의 단말 ID를 참조함으로써, 부모 "A"를 부모 단말(6)의 사용자로서 특정한다. 티켓 생성부(54)는 또한 티켓 요구에 포함된 컨텐츠 ID를 참조하여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을 특정하고, 특정한 컨텐츠 및 부모 "A"에 대한 이용 규칙 정보(13)를 독출한다. 티켓 요구에서 요구하는 재생 시간 "3시간"이 독출한 이용 규칙 정보(13)에서의 총 이용 시간(35) "30시간"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티켓 생성부(54)는 티켓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티켓 생성부(54)는 또한 독출한 이용 규칙 정보(13)를 갱신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라이센스 티켓에서의 회수 정의(155)가 "컨텐츠를 3시간 동안 재생하는 것을 1로 카운트한다"라고 정의하는 경우에, "10"으로 나타나 있는 허가된 이용 회수(33)는, "10"으로부터 요구한 이용에 대한 "1"을 감산한 결과 "9"로 갱신된다. "30"으로 나타나 있는 총 이용 시간(35)은, "30시간"으로부터 "3시간"을 감산한 결과 "27시간"으로 갱신된다. 동시에, 티켓 생성부(54)는 요구받은 3시간 컨텐츠 이용에 해당하는 라이센스 티켓(140)을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티켓 생성부(54)는 우선, 카운터(154)를 "1"로 설정; 회수 정의(155)는 "컨텐츠를 3시간 동안 재생하는 것을 1로 카운트한다"로 나타남; 연속 재생 시간(156)을 "3시간"으로 설정; 및 총 재생 시간(157)을 "3시간"으로 설정 등과 같이 라이센스 티켓(140)의 시청 규칙(144)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1시간"으로 나타나 있는 퍼렌털 제어부(56)로부터 송신된 연속 이용 제한(45)에 응하여, 연속 재생 시간(156)을 "3시간"에서 "1시간"으로 갱신한다. 이 후, 티켓 생성부(54)는 요구받은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에 대한 컨텐츠 키를 상기 라이센스 티켓(140)의 일부에 첨부하고, 헤더(142)에 자녀 단말(7)의 사용자 ID를 기입한다. 이는 자녀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54)는 티켓의 목적지로서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하고, 이를 통신부(57)를 통해 부모 단말(6)로 송신한다(단계 S6).
부모 단말(6)의 통신부(63)는,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하면, 티켓에 첨부된 단말 ID를 참조하여 자녀 단말(7)을 특정하고, 티켓을 특정된 자녀 단말(7)로 전송한다(단계 S7).
자녀 단말(7)은 본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하여 이를 컨텐츠 기억부(74)에 넣고, 티켓과 별개로 획득한 컨텐츠의 암호를 기억된 티켓을 이용하여 복호한다. 자녀 단말(7)은 퍼렌털 이용 제한이 부가된 이용 규칙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따라서, 자녀 "A1"이 3시간 재생을 위한 티켓 요구를 했음에도, 컨텐츠 "만화: 내일의 존"의 재생은 자녀 "A1"이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한 후 1시간이 되면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모 단말(6)의 사용자는 각 자녀 사용자와 각 컨텐츠에 따라 상기 퍼렌털 정보(15~16)에 있어서 상이한 이용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부모 단말(6)의 사용자가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가 성장함에 따라 이용 제한을 완화 또는 강화하거나, 모든 제한을 제거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부터 원하는 제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으로, 관리 서버(5)는 퍼렌털 정보(15~16)를 기억하고, 기억된 퍼렌털 정보(15~16)에 따라 자녀 사용자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라이센스 티켓을 자녀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이는 각 가정(3)의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명백하지만, 본 발명의 퍼렌털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리 서버(5)가 컨텐츠의 배송에 앞서 라이센스 티켓을 발행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통신망(8)을 통해 언제든지 암호화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할 때 라이센스 티켓을 구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퍼렌털 정보(15~16)의 각 세트는 자녀 단말(7)의 상이한 사용자에 대응하고, 본 퍼렌털 정보(15~16)의 세트는 상이한 컨텐츠 각각을 사용자가 이용하는 데 대한 제한을 포함한다. 그러나, 퍼렌털 정보(15~16)의 각 세트는 상이한 컨텐츠에 대응하고, 본 퍼렌털 정보(15~16)의 세트는 자녀 단말(7)의 상이한 사용자 각각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포함해도 된다. 대안적으로, 퍼렌털 정보의 각 세트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ID 대신에, 상이한 단말 ID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각 자녀 단말(7)이 상이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다는 가정하에 주어진다. 그러나, 동일한 자녀 단말(7)이 상이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등에 의해서, 자녀 단말(7)의 요구부(72)는 각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때마다 자신의 사용자 ID(20)를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그리고 요구부(72)는 자녀 단말(7)의 단말 ID 뿐 아니라 입력된 사용자 ID(20)를 포함하는 티켓 요구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퍼렌털 제어부(56)는 티켓 요구에 포함된 사용자 ID(20)에 대응하는 이용 제한을 퍼렌털 데이터베이스(53)의 퍼렌털 정보(15~16)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이용 제한을 티켓 생성부(54)로 송신한다.
상기 실시예는, 자녀 단말(7)의 요구부(72)가 자녀 단말(7)의 단말 ID를 첨부하여 다양한 형태의 요구를 하고, 부모 단말(6)의 통신부(63)가 요구를 관리 서버(5)에 중계할 때 자신의 단말 ID를 본 요구에 첨부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자녀 단말(7)이 그 구성으로 인해 관리 서버(5)로 직접 액세스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요구를 할 때 자녀 단말(7)의 요구부(72)가 항상 자신과 부모 단말(6)의 단말 ID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부모와 자녀 단말(6 및 7)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티켓 요구를 송신한 경우에, 관리 서버(5)는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을 부모와 자녀 단말(6 및 7)에게 별개로 송신한다. 그러나, 관리 서버(5)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두 개의 라이센스 티켓을 별개로 생성한 후에 자녀 단말(7)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을 부모 단말(6)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에 포함시키고 이를 부모 단말(6)에 송신할 수도 있다. 부모 단말(6)은 이를 수신하면, 부모 라이센스 티켓으로부터 자녀 라이센스 티켓을 취출하고, 자녀 라이센스 티켓을 자녀 단말(7)에 송신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5)는 티켓 요구를 한 부모 단말(6) 또는 자녀 단말(7) 중 하나의 사용자 ID를 라이센스 티켓(140) 헤더(142)의 사용자 ID(149) 필드에 기입하여, 본 라이센스 티켓(140)(및 총괄적으로 이용 라이센스)이 사용자 ID에 의해 특정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한정(bound)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142)에 단말 ID를 기억하는 필드를 제공하고, 사용자 ID(149) 필드에 사용자 ID를 기입하는 대신에, 티켓 요구를 한 부모 단말(6) 및 자녀 단말(7) 중 하나의 단말 ID를 본 필드에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라이센스 티켓(140)(및 총괄적으로 이용 라이센스)은 단말 ID에 의해 특정된 단말에 의해서만 이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단말 한정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 정보(11~12), 이용 규칙 정보(13~14), 및 퍼렌털 정보(15~16) 등의 정보는 각 단말 ID에 대응하여 생성된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제2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공통인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지정되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다.
퍼렌털 시스템(1)과 다르게, 본 퍼렌털 시스템(10)은 공중망에 접속된 자녀 단말을 포함하고, 부모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자녀 단말로부터의 직접 액세스를 관리 서버에게 거절하도록 하여, 지정된 자녀 단말로의 접속을 논리적으로 차단한다. 퍼렌털 시스템(10)의 부모 단말은 부모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용 제한을 미리 기억하고, 기억된 이용 제한에 따라 상기 자녀 단말 중 하나에 의해 요구되는 라이센스 티켓을 동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자녀 단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제한한다. 퍼렌털 시스템(10)은, 컨텐츠 배송 센터(101)에 설치된 컨텐츠 서버 및 관리 서버(103); 통신망(8); 및 모두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고 라우터(104)가 부모 및 자녀 단말(107 및 108)을 통신망(8)에 접속하는, 부모 단말(107), 자녀 단말(108), 및 라우터(104)의 요소를 구비한다.
부모 단말(107)로부터의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103)는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의해 특정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을 무효로 하여, 자녀 단말(108)로부터의 직접 액세스를 차단한다.
관리 서버(5)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되는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 및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111)) 및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는 두 개의 처리부(티켓 생성부(114) 및 통신부(57))로 대략 구분된다.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111)는 컨텐츠에 대해 티켓 생성부(114)에 의해 생성된 이용 규칙 정보(112~113)를 기억한다.
이용 규칙 정보(112~113)는 도 3에 도시한 이용 규칙 정보(13~14)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규칙 정보(112~113)의 각 세트가 자녀 단말(108)의 각 사용자에대해서도 생성된다는 점 및 정보(112~113)의 각 세트가 플래그를 기억하는 플래그 영역(81; 후술한다)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 정보의 세트가 유효한지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규칙 정보(13~14)와 다르다.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 이용 규칙 정보의 세트는 무효이다.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 이용 규칙 정보가 유효하다.
부모 단말(107)로부터의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응하여, 티켓 생성부(114)는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의해 특정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이용 규칙 정보의 세트의 플래그 영역(81)에서의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결과, 이용 규칙 정보의 본 세트는 무효인 것으로 나타난다. 티켓 생성부(114)는, 이후 자녀 단말(108)로부터 티켓 요구를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11~12) 및 티켓 요구에 포함된 단말 ID를 참조하여, 자녀 단말(108) 사용자의 사용자 ID(20)를 특정하고 나서 이용 규칙 정보(112~113) 중에서 특정된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 정보 세트를 특정한다. 그 다음, 티켓 생성부(114)는 특정된 이용 규칙 정보 세트의 플래그 영역(81)을 참조한다. 플래그가 온이라면, 티켓 생성부(114)는, 요구하는 자녀 단말(108)에게, 티켓 요구가 부모 단말(107)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에만 라이센스 티켓(140)을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114)는 관리 서버(103)와 자녀 단말(108) 사이의 접속을 논리적으로 차단한다. 플래그 영역(81)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모 단말(107)이 요구를 하는지 자녀 단말(108)이 요구를 하는지에 관계 없이, 티켓 생성부(114)는 도 1의 티켓 생성부(54)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이 라이센스 티켓(140)을 발행한다.부모 단말(107)로부터의 퍼렌털 무효화 요구에 응하여, 티켓 생성부(114)는 퍼렌털 무효화 요구에 의해 특정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한 플래그 영역(81)의 플래그를 클리어한다.
라우터(104)는 서로 랜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모 및 자녀 단말(107 및 108)을 ADSL 등의 외부 통신망(8)에 접속하는 통신장치이다.
부모 단말(107)은 각 가정(102)에서 부모가 이용하려고 구입한 PC 등의 컴퓨터이다. 관리 서버(103)가 자녀 단말(108)로부터의 티켓 요구를 일단 거절하면, 부모 단말(107)이 자녀 단말(108)에 대한 티켓 요구를 한다. 부모 단말(107)은, 본 티켓 요구에 응한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하면, 자녀 단말(108)에 대해 부모 단말(107)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용 제한을 라이센스 티켓(140)에 나타난 이용 규칙에 추가하고, 본 라이센스 티켓을 자녀 단말(108)에 전송한다.
부모 단말(107)은,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되는 네 개의 기억부 및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는 다섯 개의 처리부로 대략 구분된다. 네 개의 기억부는, 컨텐츠 기억부(66), 퍼렌털 기억부(121), 요구 이력 기억부(123), 및 잔여 티켓 기억부(124)로 구성된다. 다섯 개의 처리부는, 요구부(62), 재생부(64), 퍼렌털 설정부(120), 티켓 개정부(122), 및 통신부(125)로 구성된다.
퍼렌털 설정부(120)는 퍼렌털 설정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도 1에 도시한 퍼렌털 설정부(61)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퍼렌털 정보(126)를 생성한다. 본 퍼렌털 설정부(120)는 설정부(61)와 다음의 세 가지 점에서 다르다. 첫째, 퍼렌털 설정부(120)는 생성된 퍼렌털정보(126)를 퍼렌털 기억부(121)에 기억한다. 두 번째, 퍼렌털 설정부(120)는 퍼렌털 유효화 요구를 통신부(125)를 통해 전송하여, 부모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자녀 단말(108) 사용자로부터의 직접 액세스를 차단한다. 세 번째, 퍼렌털 설정부(120)는 자녀 단말(108)에 대해 설정할 제한 완화 정보(127)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제한 완화 정보(127)는, 잔여 티켓 기억부(124)가 "잔여 라이센스 티켓"(후술한다)을 기억하고 있으면, 일정 조건 하에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이용 제한을 완화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퍼렌털 기억부(121)는 퍼렌털 설정부(120)에 의해 생성된 퍼렌털 정보(126) 및 제한 완화 정보(127)를 기억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가정(102)에 있는 단말의 단말 ID와 이들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ID와의 대응을 기억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가 첨부된 라이센스 티켓을 통신부(125)로부터 수신하면, 라이센스 티켓의 헤더에 기입된 요구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 ID로 변경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122)는 퍼렌털 기억부(121)의 퍼렌털 정보(126)를 참조하고, 수신된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에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해 퍼렌털 정보(126)에 설정된 이용 제한을 기입하여, 자녀 단말(108)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140)을 개정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122)는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을 통신부(125)로 송신한다.
상세하게는, 티켓 개정부(122)는 도 5에 도시한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 내의 정보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컨텐츠에 대한 유효기간(43)의 개시 시간(47)(도 4에 도시)을 LT 시작 시간(150)으로 기입하고, 또한 유효 기간(43)의 종료 시간을 LT 종료 시간(151)으로 기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티켓 개정부(122)는 컨텐츠에 대한 유효 기간(43)을 라이센스 티켓(140)에 대한 유효 기간으로 기입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유효 기간이 시청 규칙(144) 및 인쇄 규칙(145)과 같은 필드에 기입되어 있더라도, 라이센스 티켓(140)에 대해 개정된 유효 기간에 따라 자녀 단말(108)이 컨텐츠를 이용한다.
또한 티켓 개정부(122)는 원래 수신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오리지널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상기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140)에 나타난 개정된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을 감산하고, 감산을 통해 얻은 값이 나타내는 이용 범위 내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상술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122)는 생성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잔여 티켓 기억부(124)에 둔다.
티켓 개정부(122)는, 통신부(125)를 통해 자녀 단말(108)로부터 추가 티켓 요구를 수신하면, 추가 티켓 요구가 요구한 컨텐츠에 대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잔여 티켓 기억부(124)가 기억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기억하고 있다면, 티켓 개정부(122)는 퍼렌털 기억부(121)를 참조하여 요구하는 자녀 단말(108) 재생부(131)의 재생 상태와 다른 정보가 제한 완화 정보(127)에 나타난 조건에 합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재생 상태 등은 추가 티켓 요구에 나타난다. 합치한다면, 티켓 개정부(122)는 잔여 티켓 기억부(124)에 기억된 잔여 라이센스 티켓으로부터 제한 완화 정보(127)에 나타난 조건 하에서 컨텐츠 재생을 허가하기만 하는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된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통신부(125)에 송신한다. 상기 잔여 라이센스 티켓으로부터, 티켓 개정부(122)는 또한 상기 추가 라이센스 티켓의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값을 감산한 값에 의해 나타나는 이용 규칙을 갖는 신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122)는 신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잔여 티켓 기억부(124)에 두어 티켓 기억부(124)를 갱신한다.
한편, 잔여 티켓 기억부(124)가 추가 티켓 요구에 의해 요구되는 컨텐츠에 대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하고 있지 않거나, 재생부(131)의 재생 상태와 다른 정보가 제한 완화 정보(127)에 나타난 조건과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티켓 개정부(122)는 수신한 추가 티켓 요구를 폐기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추가 티켓 요구가 아닌 티켓 요구를 수신하면, 티켓 요구를 통신부(125)에 반송하여, 이를 관리 서버(103)로 송신한다.
요구 이력 기억부(123)는 다양한 형태의 요구의 이력을 기억한다. 본 이력은 통신부(125)에 의해 기록되고, 각 요구를 송신한 송신 날짜, 요구의 형태, 요구를 한 단말의 단말 ID, 및 요구에 의해 요구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잔여 티켓 기억부(124)는 티켓 개정부(122)에 의해 생성된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여 라이센스 티켓은, 개정 전의 본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유효 기간으로부터 자녀 단말(108)에 대한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유효 기간을 감산하여 얻은 기간 동안 컨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부(125)는 자녀 단말(108) 및 라우터(104)에 랜으로 접속된다. 자녀 단말(108)의 통신부(132)로부터의 컨텐츠 요구, 및 부모 단말(107)의 요구부(62)로부터의 컨텐츠 요구와 티켓 요구를 수신할 때마다, 통신부(125)는 각 요구의 이력을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기입하고, 이들 요구를 관리 서버(103)로 송신한다. 자녀 단말(108)로부터 티켓 요구를 수신한 때에는, 통신부(125)는 요구를 티켓 개정부(122)에 전송하고, 티켓 개정부(122)가 티켓 요구를 반환한 경우에만 요구의 이력을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기입한다. 이 후, 통신부(125)는 티켓 요구에 요구 단말로서 기입된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부모 단말(107)의 단말 ID로 변경하고 본 티켓 요구를 관리 서버(103)로 송신한다.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103)로부터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한 경우에는, 통신부(125)는 요구 이력 기억부(123)의 이력과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ID를 참조하여 요구 단말을 특정하고, 컨텐츠 또는 라이센스 티켓(140)을 특정된 단말의 재생부로 송신하고 나서, 컨텐츠 또는 라이센스 티켓(140)에 대한 요구의 이력을 요구 이력 기억부(123)로부터 삭제한다.
통신부(125)가 자녀 단말(108)로부터의 티켓 요구에 응한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한 경우에, 통신부(125)는 라이센스 티켓(140)을 요구한 자녀 단말(108)의 재생부(131)에 직접 송신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하라. 그렇게 하기 전에, 통신부(125)는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라이센스 티켓(140)에 첨부하고, 티켓(140)을 티켓 개정부(122)에 전송하여 개정부(122)로부터 개정된 티켓(140)을 수신하고 나서, 개정된 티켓(140)을 자녀 단말(108)의 재생부(131)에 전송한다.
퍼렌털 정보(126)는 도 4에 도시한 퍼렌털 정보(15~16)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가정(3)의 각 자녀 사용자에 대해 제공된다. 퍼렌털 정보(126)에 대응하는 제한 완화 정보(127)가 존재한다면, 퍼렌털 정보(126)는 제한 완화 정보(127)에 대한 포인터를 포함한다.
제한 완화 정보(127)는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는 조건 및 이러한 제한을 완화하는 방법의 기재를 포함한다. 제한 완화 조건은 구체적으로, 제한을 완화하는 컨텐츠의 형태; 완화할 제한의 형태; 재생부(131)에 의한 컨텐츠 재생 시작과 컨텐츠에 대응하는 추가 티켓 요구의 발행 사이의 기간; 및 재생부(131)의 재생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컨텐츠에 대한 제한으로서 유효 기간(43)(도 4에 도시)이 주어져 있고, 유효 기간(43)의 종료 시간(48) 10분 전에 추가 티켓 요구를 하도록 요구부(133)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제한 완화 정보(127)는 "컨텐츠 이용 시작에서부터 30분 이상이 경과하지 않았고 사용자의 게임 기록이 저장되지 않았다면(즉, 제한 완화 조건), 종료 시간(48)은 10분 연장된다(즉, 제한을 완화하는 방법의 기재)" 라고 나타낸다.
자녀 단말(108)은 각 가정(102)에서 가족 중 자녀가 이용하도록 구입한 PC 등의 컴퓨터이고, 라우터(104)를 통해 통신망(8)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103)가 자녀 단말(108)로의 그 접속을 논리적으로 차단한 후에, 단말(108)은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관리 서버(103)에 대한 접속이 차단되기 전에는, 자녀 단말(108)은 요구부(133)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티켓 요구를 라우터(104) 및 통신망(8)을 통해 관리 서버(103)로 직접 송신한다. 관리 서버(103)로부터, 자녀 단말(108)은 부모단말(107)에 대해 발행된 티켓과 같은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하고, 컨텐츠 서버(4)로부터 송신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자녀 단말(108)은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되는 컨텐츠 기억부(74) 및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는 세 개의 처리부(재생부(131), 통신부(132), 및 요구부(133))를 포함한다.
재생부(131)는 MPEG 복호기 등의 탬퍼-리지스턴트 메커니즘을 갖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고, 도 1에 도시한 재생부(71)와 유사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재생한다. 본 재생부(131)는, 컨텐츠에 대해 설정된 다른 이용 규칙을 무시하는 한편 티켓 개정부(122)에 의해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의 헤더에 기입된 유효 기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는 점에서 재생부(71)와 다르다.
통신부(132)는 부모 단말(107) 및 라우터(104)와 랜으로 접속된다. 관리 서버(103)와 자녀 단말(108) 사이의 접속이 논리적으로 차단된 후에는, 통신부(132)는 도 1에 도시한 통신부(73)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부(132)는 통신부(132)가 관리 서버(103)에 대한 그 접속이 논리적으로 차단되기 전에 수행하는 다음의 동작에 있어서 통신부(73)와 다르다. 즉, 본 통신부(132)는 요구부(133)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티켓 요구 및 컨텐츠 요구를 라우터(104)와 통신망(8)을 통해 관리 서버(103)로 직접 송신하고, 관리 서버(103)로부터 부모 단말(107)에 의해 수신되는 티켓과 같은 라이센스 티켓(140) 및 컨텐츠 서버(4)로부터 요구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요구부(133)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지정된 요구에 응하여 관리 서버(103)로부터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컨텐츠 요구와 티켓 요구 등의 사용자의 입력으로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요구를 통신부(132)를 통해 관리 서버(103)로 송신한다. 동시에, 요구부(133)는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송신하여 요구 단말(108)을 특정한다. 요구부(133)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는 점에서 부모 단말(107)의 요구부(62)와 다르다. 즉, 요구부(133)는 항상 재생부(131)의 재생 상태를 감시하고,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이 라이센스 티켓에 이용 규칙에 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면 본 이용 규칙으로 인해 몇 분 후에 중단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공한다. 동시에, 요구부(133)는 컨텐츠의 상기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추가 티켓 요구를 통신부(132)에 송신한다. 본 추가 티켓 요구는 본 요구가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ID 정보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용 규칙 데이터베이스(111)에 기억된 이용 규칙 정보(112~113)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이용 규칙 정보(13~14)와 다르게, 본 이용 규칙 정보(112~113)는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 대해 생성되고, 이용 규칙 정보(112~113)의 각 세트는 플래그 영역(81)을 포함한다. 플래그 영역(81)에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는, 이용 규칙 정보의 세트는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한 규칙 정보이고 부모 단말(107)로부터의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의해 무효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플래그 영역(81)에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녀 단말(108)은 관리 서버(103)에 대해 직접 티켓 요구를 하고,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티켓 개정부(122)가 라이센스 티켓을 개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도에서는 관리 서버(103)로부터 송신된 라이센스 티켓(140), 잔여 라이센스 티켓(91), 및 자녀 사용자에 대한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92)이 나타나 있다.
본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티켓(140)은 컨텐츠 재생을 10회 허가하는 이용 규칙(93)을 포함한다. 퍼렌털 기억부(121)에 기억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한 퍼렌털 정보(126)가 컨텐츠 재생 회수를 2회로 제한하는 이용 제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티켓 개정부(122)는 10회의 재생을 허가하는 이용 규칙(93)을 2회만 재생을 허가하는 이용 규칙(95)으로 변경하여 자녀 사용자에 대한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92)을 생성한다. 그 결과, 개정된 티켓에 대한 2회 재생(95)을 오리지널 티켓(140)의 10회 재생으로부터 감산한 후에 8회 재생에 대한 이용 권리가 남는다. 이 때 남은 이용 권리에 대해 어떠한 동작도 수행되지 않으면, 이용 권리는 무효가 된다. 따라서 티켓 개정부(122)는 컨텐츠의 남은 8회 재생을 허가하는 이용 규칙(94)을 포함하는 잔여 라이센스 티켓(91)을 생성하고, 잔여 티켓 기억부(124)를 갱신한다.
도 11은 관리 서버(103), 부모 단말(107), 및 자녀 단말(108)이 서로 통신하여 자녀 단말(108)이 티켓 요구를 하고 퍼렌털 이용 제한이 가해진 컨텐츠를 획득하도록 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부모 단말(107)은 컨텐츠 이용 제한을 가할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퍼렌털 유효화 요구를 관리 서버(103)에 송신한다(단계 S11).
티켓 생성부(114)는 지정된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 정보(112~113) 내의 플래그 영역(81)의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이용 규칙 정보(112~113)에 기재된 이용 규칙을 무효로 한다(단계 S12).
자녀 단말(108)이 티켓 요구를 관리 서버(103)에 송신함으로써(단계 S13), 티켓 생성부(114)는 사용자 정보(11~12) 및 송신된 티켓 요구에 첨부된 단말 ID를 참조하여 단말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ID를 특정한다. 그리고 티켓 생성부(114)는 이용 규칙 정보(112~113)를 참조하여 특정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이용 규칙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이용 규칙 정보의 플래그 영역(81)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티켓 생성부(114)는 자녀 단말(108)로부터의 티켓 요구를 거절한다(단계 S14).
그 결과, 이제 자녀 단말(108)은 부모 단말(107)을 통해 관리 서버(103)로 티켓 요구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만 티켓 요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자녀 단말(108)은 티켓 요구를 부모 단말(107)에 송신한다(단계 S15).
부모 단말(107)은 상기 티켓 요구에 첨부된 요구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부모 단말(107)의 단말 ID로 변경하고, 티켓 요구를 자신의 요구로서 관리 서버(103)에 송신한다. 동시에, 부모 단말(107)은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요구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원래 티켓 요구를 한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기입한다(단계 S16).
관리 서버(103)는 부모 단말(107)로부터의 티켓 요구를 수신하고 라이센스 티켓(140)을 발행한다(단계 S17).
부모 단말(107)의 통신부(125)는 관리 서버(103)로부터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하고, 요구 이력 기억부(123) 및 티켓(140)에 나타난 컨텐츠 ID를 참조하여 원래 티켓 요구를 한 자녀 단말(108)을 특정한다. 통신부(125)는 특정된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라이센스 티켓(140)에 첨부하고, 이를 티켓 개정부(122)로 송신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라이센스 티켓(140)에 기입된 사용자 ID를 원래 티켓 요구를 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 ID로 변경한다. 그리고 나서, 티켓 개정부(122)는 퍼렌털 기억부(121)를 참조하여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 ID 및 라이센스 티켓(140)에 나타난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유효 기간(43)(시작 시간(47)과 종료 시간(48)으로 구성됨)을 특정한다. 티켓 개정부(122)는 특정된 유효 기간(43)을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에 기입하여 자녀 단말(108)에 대한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단계 S18),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을 통신부(125)를 통해 자녀 단말(108)로 송신한다(단계 S19).
자녀 단말(108)은,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에 포함된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라이센스 티켓(140)과 별개로 획득한 컨텐츠의 암호를 복호하고,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에 기입된 유효 기간(43)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S20).
자녀 단말(108)에 의한 컨텐츠 재생 동안에 유효 기간(43)의 종료 시간(48)이 근접하는 경우에, 재생부(131)의 재생 상태를 감시하고 있는 요구부(133)는 감시된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티켓 요구를 부모 단말(107)로 송신한다(단계 S21). 부모 단말(107)의 통신부(125)는 본 추가 티켓 요구를 티켓 개정부(122)로 전송하고, 이 때 잔여 티켓 기억부(124)가 추가 티켓 요구에 대응하는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잔여 티켓 기억부(124)가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티켓 개정부(122)는 퍼렌털 기억부(121)의 제한 완화 정보(127)를 참조하여 추가 티켓 요구에 나타난 정보가 제한 완화 정보(127)에 기입된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합치한다면, 티켓 개정부(122)는 상기 잔여 라이센스 티켓으로부터 제한 완화 정보(125)에 기입된 조건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122)는 자녀 단말(108)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추가 라이센스 티켓에 기입하고, 자녀 단말(108)의 단말 ID를 추가 라이센스 티켓에 대한 목적지로서 첨부한다. 이에 후속하여, 티켓 개정부(122)는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통신부(125)로 전송하고, 이 때 이를 추가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된 단말 ID에 의해 특정된 자녀 단말(108)로 전송한다(단계 S23). 예를 들어, 이러한 추가 라이센스 티켓이 발행되지 않는다면 기록을 저장하지 못하고 게임이 중지되지만, 본 추가 라이센스 티켓은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가 게임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게임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게임을 계속해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모 단말(10)의 사용자는 각 자녀 사용자 및 자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 컨텐츠에 따라 퍼렌털 정보(126)에 상이한 이용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부모 단말(6)의 사용자가 자녀 단말(7)의 각 사용자가 성장함에 따라 자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 제한을 완화 또는 강화하거나, 모든 제한을 제거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부터 원하는 제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 단말(107)이 자녀 단말(108)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관리 서버(103)의 부하가 감소할 뿐 아니라 각 라이센스 티켓이 가정(102)의 각 자녀 단말(108)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퍼렌털 시스템(10)으로, 자녀 단말(108)에 의한 컨텐츠 이용 제한은 일정 조건 하에서 일시적으로 완화될 수 있고, 이는 부모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각 자녀의 상태를 고려하여 유연하게 제한을 가하도록 해 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티켓 개정부(122)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자녀 라이센스 티켓 생성에 대한 변형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제1 변형예에 따라 티켓 개정부(122)가 자녀 단말(108)에 대한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160)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도는 관리 서버(103)로부터 송신된 라이센스 티켓과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16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의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라이센스 티켓(140)이 발행된 경우에, 컨텐츠에 대한 게임-플레이 규칙 내의 카운터(161)는 "10"으로 나타나고, 이는 컨텐츠를 10회 플레이하는 것이 허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퍼렌털 기억부(121)의 퍼렌털 정보(126)가 컨텐츠의 재생 회수를 2로 제한하는 이용 제한(163)을 기억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는 본 이용 제한(163)을 카운터(161) 필드 바로 뒤에 삽입하여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160)을 생성한다. 이는 삽입된 이용 제한(163)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이 더 길어지게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재생부(131)를 설정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카운터(161)가 아니라 카운터(161) 뒤에 삽입된 이용 제한(163)에 따라 컨텐츠를 플레이하도록 한다.
제1 변형예에 따라 생성된 개정 라이센스 티켓(160)은,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의 데이터 길이 및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라이센스 티켓(160)이 생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서 티켓 개정부(122)에 의해 생성된 개정 라이센스 티켓과 다르다. 제2 실시예의 퍼렌털 시스템(10)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정(102) 내의 부모 단말(107)에 의해 티켓 개정이 수행되고,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160)이 가정(102)에서만 이용되는 경우에는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은 본 방식 또는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개정될 수 있다. 티켓 개정부(122)는 이러한 방식으로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을 개정하여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의 이용 규칙에 나타난 이용 범위를 제한할 수 있지만,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을 개정하여 본 이용 범위를 확장할 수는 없다는 것에 유념하라.
도 13은 제2 변형예에 따라 제한 티켓(165)이 티켓 갱신부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좌측에 있는 라이센스 티켓(140)은 관리 서버(103)로부터 송신되고, 도면 중앙의 라이센스 티켓(140)과 동일하다. 제한 티켓(165)은 퍼렌털 정보(126)에 기입된 이용 제한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티켓이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 라이센스 티켓(140)과 제한 티켓(165)이 개정된 라이센스 티켓으로서 자녀 단말(108)로 송신된다.
티켓 개정부는, 관리 서버(103)로부터 라이센스 티켓(140)을 수신하면, 본 오리지널 라이센스 티켓(140)에는 어떠한 개정도 추가하지 않고, 라이센스 티켓(14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한 티켓(165)을 생성한다. 본 제한 티켓(165)은 그 이용 규칙 필드에 이용 규칙에 대응하는 퍼렌털 정보(126)의 이용 규칙을 기억한다. 제한 티켓(165)의 다른 필드는 라이센스 티켓(140)의 필드와 동일한 정보를 기억한다. 제한 티켓(165)의 생성을 위해서, 티켓 개정부는 라이센스 티켓(140)의 사본을 만들고, 라이센스 티켓(140)의 사본에 기입되어 있고 퍼렌털 정보(126)의 이용 제한에 대응하는 이용 규칙을 이들 이용 규칙이 추가된 이용 규칙으로 개정한다.
자녀 단말의 재생부는, 라이센스 티켓(140)과 제한 티켓(165)을 수신하면, 라이센스 티켓(140)의 이용 규칙(컨텐츠 이용을 10회까지 허가)과 제한 티켓(165)의 이용 규칙(컨텐츠 이용을 2회까지 허가)의 논리곱(2회까지 허가되는 컨텐츠 이용)을 구하여, 구한 논리곱을 컨텐츠 재생을 위한 이용 규칙으로 이용한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제한 티켓(165)은 라이센스 티켓(140)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기재된다. 그러나, 제한 티켓(165)이 퍼렌털 정보(126)의 각 이용 제한을 유효한 정보로서 포함하는 한편 이러한 이용 제한과 라이센스 티켓(140)의 이용 규칙 사이에 대응관계를 보이는 한 제한 티켓(165)의 구조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 티켓(165)이 단독으로 이용될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한 티켓(165)은 라이센스 티켓(140)에 기입된 이용 규칙에 추가될 제한만을 나타내도 된다. 자녀 단말의 재생부는 이러한 제한티켓(165)의 제한에 의해 나타나는 이용 규칙과 라이센스 티켓(140)의 이용 규칙의 논리곱을 구해도 된다.
제2 변형예의 라이센스 티켓(140)과 제한 티켓(165)은 동시 또는 다른 시기에 자녀 단말로 송신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 자녀 단말은 동일 컨텐츠에 대한 상기 두 형태의 라이센스 티켓(140 및 165)을 수신한 경우에만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된다. 컨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해 제한 티켓(165)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라이센스 티켓(140)에 제공함으로써, 자녀 단말이 본 정보를 참조하여, 필요하다면 제한 티켓(165)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필요하지 않으면 라이센스 티켓(140)만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도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도 14는 제3 변형예에 따라 자녀 단말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이 티켓 개정부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것은 상이한 이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티켓(166~168)으로서 관리 서버(103)에서 자녀 단말로 송신된다.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것은 티켓(166~168)에서 선택된 라이센스 티켓(169)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3 변형예의 티켓 개정부는 관리 서버(103)에서 송신된 라이센스 티켓을 개정하지 않고 자녀 단말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169)을 생성한다. 본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켓 개정부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이한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166~168)을 수신하고, 이들을 잔여 티켓 기억부(124)에 둔다. 예를 들어, 라이센스 티켓(166)은 컨텐츠 플레이를 2회 허가하는 이용 규칙을 게임-플레잉 규칙에 대한 카운터 필드에 포함한다. 유사하게, 라이센스 티켓(167 및 168)은 컨텐츠 플레이를 각각 5회와 10회 허가하는 이용 규칙을 나타낸다.
티켓 개정부는, 자녀 단말(108)로부터 티켓 요구를 수신하면, 퍼렌털 기억부(121)의 퍼렌털 정보(126)를 참조하여 요구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에 대해 가해진 이용 제한을 발견한다. 그리고 티켓 개정부는 컨텐츠 플레이를 3회 허가하는 발견된 이용 제한에 가장 근접하는 이용 제한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잔여 티켓 기억부(124)의 라이센스 티켓(166~168)에서 선택한다. 따라서 티켓 개정부는 컨텐츠 플레이를 2회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166)을 선택하고, 선택한 라이센스 티켓(166)을 자녀 사용자에 대한 티켓(169)으로서 자녀 단말(108)로 송신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 규칙 정보(112~113)는 퍼렌털 유효화 요구에 의해 지정된 자녀 단말(108)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81)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정된 자녀 단말(108)을 특정하는 정보를 사용자 정보(11~12)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는 것도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제2 실시예는 어떠한 잔여 티켓도 기억하지 않는 경우에는 티켓 개정부(122)가 추가 티켓 요구를 폐기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추가 티켓 요구의 정보가 제한 완화 정보(127)의 제한 완화 조건과 합치한다면, 티켓 개정부(122)가 추가 티켓 요구에 응하여 제한 완화 정보(127)에 나타난 범위 내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기만 하는 추가 라이센스 티켓을 발행하는 것도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5)와 부모 단말(107)은, 퍼렌털 정보(15~16/126)에 기초한 이용 제한을 라이센스 티켓(140)에 추가함으로써 자녀 단말(7/108)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제한한다. 그러나, 자녀 단말(7/108)에 의한 컨텐츠 이용은 다른 방법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 단말(7/108)의 재생부(71/131)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신호 또는 명령을 제공하여, 본 신호 또는 명령이 퍼렌털 시스템(1/10) 내 또는 부모 및 자녀 단말 사이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현된다. 사용자가 부모 단말(6/107)에게 본 신호 또는 명령을 출력하도록 한 경우에, 재생부(71/131)의 재생은 잠시 멈추거나 정지한다.
제2 실시예는 컨텐츠의 이용 라이센스 및 라이센스 티켓(140)을 사용자 한정되는 것으로 기재한다. 그러나, 이용 라이센스 및 라이센스 티켓(140)은 각 사용자 대신에 각 단말에 대해 발행되어 라이센스 및 라이센스 티켓을 "단말 한정"해도 된다. 이는, 티켓 요구를 한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헤더에 기입하는 대신에, 부모 및 자녀 단말(107 및 108)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ID를 기억하는 필드를 라이센스 티켓(140)의 헤더에 제공하고, 단말 ID를 본 필드에 기입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부모 단말(107)에 의해 이용되는 퍼렌털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부모 단말(107)의 사용자는 본 부모 단말(107)에 접속된 모든 자녀 단말(108)을 자녀 단말 리스트에 미리 등록한다. 본 등록을 한 후에, 부모 단말(107)은 등록된 자녀 단말(108) 각각에 대해 퍼렌털이용 제한을 가한다. 상기 자녀 단말 리스트는, 예를 들어, 통신부(125)의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기억된다.
도 15는 부모 단말(107)에 의해 표시되는 자녀 단말 등록 화면(150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녀 단말 등록 화면(1500)은 엔트리 리스트(1501) 및 자녀 단말 리스트(1502)를 포함한다. 부모 단말(107)의 통신부(125)는, 예를 들어, 가정에서 부모 단말(107)과 랜으로 접속된 각 자녀 단말(108)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자녀 단말(108)에 대한 정보를 엔트리 리스트(1501)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엔트리 리스트(1501)는 두 개의 리스트 엔트리, "단말 1(자녀 A1)" 및 "단말 2(자녀 A2)"를 포함한다. 리스트 엔트리 "단말 1(자녀 A1)"에서, "단말 1"은, 부모 단말(107)이 그 사용자에게 제공한 단말 ID "USO086"을 갖는 자녀 단말(108)에게 부모 단말(107)에 의해 주어진 단말명이다. "자녀 A1"은 단말 ID "USO086"을 갖는 자녀 단말(108)에서 자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명이다. 유사하게, 다른 리스트 엔트리 "단말 2(자녀 A2)"에서, "단말 2"는 단말 ID "USO871"을 갖는 다른 자녀 단말(108)을 특정하기 위해 부모 단말(107)에 의해 제공된 단말명이고, "자녀 A2"는 본 자녀 단말(108)의 자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명이다.
부모 사용자는 컨텐츠 이용 제한을 가하고자 하는 자녀 단말(108)의 리스트 엔트리를 엔트리 리스트(1501)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리스트 엔트리를 자녀 단말 리스트(1502)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부모 사용자는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엔트리 리스트(1501)에 표시된 자녀 단말(108)의 리스트 엔트리를 선택하고, "설정"버튼(1504)을 누른다. 그 결과, 선택된 리스트 엔트리, 본 도의 경우에는 "단말 1(자녀 A)"가 자녀 단말 리스트(1502)에 표시되고 등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리스트 엔트리 "단말 2(자녀 A2)"를 엔트리 리스트(1501)에서 선택하고 "설정" 버튼(1504)을 누른 경우에는, 선택된 리스트 엔트리 "단말 2(자녀 A2)" 또한 자녀 단말 리스트(1502)에 표시되고 등록된다. 이 후, 사용자가 "엔터" 버튼(1506)을 누른 경우에, 자녀 단말 리스트(1502)에 등록된 두 개의 리스트 엔트리는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기억된다. 한편, 사용자가 "취소" 버튼(1507)을 누른 경우에는, 자녀 단말 리스트(1502)의 리스트 엔트리가 클리어되고, 자녀 단말 등록 화면(1500)의 표시가 종료된다.
도 16은 자녀 단말 등록 화면(1500)에 대한 엔트리에 기초하고, 요구 이력 기억부(123)에 기억된 자녀 단말 리스트(160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자녀 단말 리스트(1600)는 부모 단말(107)에 접속된 각 자녀 단말(108)에 대해 단말 ID(1601), 사용자명(1602), 및 단말명(1603)을 포함한다. 도면의 예에 있어서, 자녀 단말 리스트(1600)는 단말 ID(1601) "USO086"과 "USO871"을 각각 갖는 두 개의 자녀 단말(108)에 대해 사용자명(1602)으로 "자녀 A1"과 "자녀 A2", 단말명(1603)으로 "단말 1"과 "단말 2"를 포함한다.
부모 단말(107)이 상기 자녀 단말 리스트(1600)를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퍼렌털 설정부(120)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퍼렌털 제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퍼렌털 설정부(120)(도 8에 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제한 설정 화면(170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한 설정 화면(1700)은 그 상부에, 텍스트 "사용자 지정"을 갖는 사용자 체크 박스(1701) 및 텍스트 "단말 지정"을 갖는 단말 체크 박스(170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체크 박스(1701 및 1702) 중 하나를 클릭하여 지정된 사용자 또는 지정된 단말 중 하나에 의해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가한다. 화면(1700)의 중앙에는 사용자 테이블(1703)과 단말 테이블(1704)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 테이블(1703)은 부모 단말(107)에 접속된 자녀 단말(108)의 사용자명을 나타내고, 단말 테이블(1704)은 이들 자녀 단말(108)의 단말명을 나타낸다. 이들 사용자명과 단말명은 자녀 단말 리스트(1600)에 포함된 것과 동일하다. 사용자 체크 박스(1701)가 온인 경우에만, 사용자 테이블(1703)의 사용자명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체크 박스(1702)가 온인 경우에는, 이들 사용자명은 예를 들어 점각(stippled) 글자를 이용하여 표시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 단말 테이블(1704) 또한 사용자 테이블(1703)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사용자 테이블(1703)은 또한 "전부 제한"으로 나타나는 엔트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명 "자녀 A1"을 선택하고 나서 "다음" 버튼(1705)을 누른 경우에, 후속하는 조작을 통해 설정되는 제한은 선택된 자녀 사용자 "자녀 A1"에 대해서만 가해진다. 한편, 사용자가 항목 "전부 제한"을 선택하고 나서 "다음" 버튼(1705)을 누른 경우에는, 후속하는 조작을 통해 설정되는 제한은 사용자 테이블(1703)에 표시되는 모든 자녀 사용자에 대해 균일하게 가해진다. 유사하게, 단말 테이블(1704) 또한 "전부 제한"으로 나타나는 엔트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단말 체크 박스(1702)를 온으로 하고 항목 "전부 제한"을 선택하고 나서 "다음" 버튼(1705)을 누른 경우에, 후속하는 조작을 통해 설정되는 제한은 부모 단말(107)에 접속된 모든 자녀 단말(108)에 대해 균일하게 가해진다. 사용자가 "취소" 버튼(1706)을 누른 경우에, 본 제한 설정 화면(1700)에 입력된 모든 데이터가 클리어되고, 제한 설정 조작이 종료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제한 설정 화면(1700)에 의해 호출되는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의 예를 도시한다. 부모 사용자는 본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이전 제한 설정 화면(1700)에서 부모 사용자가 선택한 자녀 사용자 또는 자녀 단말에 가해지는 제한의 구체적인 사항을 입력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은 카테고리 컬럼(1801), 컨텐츠명 컬럼(1802), 및 이용 회수 컬럼(1803)을 포함한다. 카테고리 컬럼(1801)은 대상 연령 그룹 및 컨텐츠 형태로 구성되는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컨텐츠명 컬럼(1802)은 "전부 제한"으로 나타나는 항목 및 부모 단말(107)이 라이센스 티켓을 갖고 있는 이용 가능 컨텐츠명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컨텐츠명 컬럼(1802)에서 "전부 제한"으로 나타난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컬럼(1803)에 표시된 이용 회수 등의 "전부 제한" 항목과 같은 행의 이용 제한은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모든 컨텐츠에 균일하게 가해진다. 이용 회수 컬럼(1803)은 컨텐츠명 컬럼(1802)의 컨텐츠명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의 이용 회수를 나타낸다. 부모 단말(107)에 기억된 라이센스 티켓은 컬럼(1803)에서의 이들 이용 회수를 결정한다. 컨텐츠명 컬럼(1802)에서 항목 "전부 제한"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용 회수 컬럼(1803)에서 본 항목과 동일 행에 표시된 이용 회수가 컬럼(1801)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모든 컨텐츠에 대한 최대 이용 회수로서 적용된다는 것에 유념하라.
카테고리 컬럼(1801)의 대상 연령 그룹은 유치원 자녀, 저학년 및 고학년의 초등학교 자녀, 중고등학교 학생, 및 "전부"로 나타나는 모든 연령 그룹 등의 대상 사용자의 연령 그룹이다. 카테고리 컬럼(1801)의 컨텐츠 형태는 영화, 음악, 만화, 게임, 뉴스, 스포츠, 교육, 및 취미를 포함한다.
도 19는 퍼렌털 설정부(120)에 기억된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1900)의 예를 도시한다. 본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1900)은 카테고리 컬럼(1901)에 상술한 바와 같은 대상 연령 그룹 및 컨텐츠 형태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1900)을 기억하는 퍼렌털 설정부(120)는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의 카테고리 컬럼(1801) 내에, 기억된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1900)의 카테고리 컬럼(1901) 항목을 제공한다. 또한 카테고리 테이블(1900)은 컨텐츠 ID 컬럼(1902) 내에 카테고리 컬럼(1901)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포함하고, 컨텐츠 ID 그룹을 이들 카테고리 중 적당한 카테고리와 결합시킨다. 본 도에 도시한 각 컨텐츠 ID는 여덟 자리로 구성되고, 이 중 하위 여섯 자리는 컨텐츠의 대상 연령 그룹을 나타내고 상위 두 자리는 컨텐츠의 형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 사용자로서 유치원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에 있어서는, 컨텐츠 ID의 상위 두 자리는 "**"로 나타나는 와일드 카드, 즉 임의의 값이고 하위 여섯 자리는 "000000"~"009999"로 나타난다. 음악 컨텐츠의 컨텐츠 ID에 있어서는, 상위 두 자리는 "MU"로 나타나고, 하위 여섯 자리는 와일드 카드이다. 예를 들어, 저학년 초등학교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 컨텐츠에 있어서는, 본 컨텐츠 ID는 "MU010000~MU019999"로 나타난다. "전부"로 나타나는 연령 그룹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컨텐츠 ID에 있어서는, 상위 두 자리는 와일드 카드이고, 하위 여섯 자리는 "000000~999999"로 나타난다. 즉, 본 카테고리 "전부"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이들 대상 연령 그룹 카테고리가 컨텐츠 ID의 하위 여섯 자리로 나타내지지만, 다르게 나타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대상 연령 그룹이 컨텐츠 형태를 나타내는 상위 두 자리의 우측 두 자리로 나타내질 수도 있다.
퍼렌털 설정부(120)는 컨텐츠 카테고리 테이블(1900) 및 부모 단말(107)에 기억된 각 라이센스 티켓의 컨텐츠 ID(148)를 참조하고,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을 통해 부모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카테고리 컬럼(1801)의 카테고리에 컨텐츠 ID(148)가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해당한다면, 퍼렌털 설정부(120)는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의 컨텐츠명 컬럼(1802)에 컨텐츠 ID(158)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명을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해당하지 않는다면, 퍼렌털 설정부(120)는 본 컨텐츠명을 점각 글자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본 컨텐츠명을 갖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판단에 있어서, 컨텐츠 ID(148)에 관련된 대상 연령 그룹이 선택된 카테고리의 연령 그룹보다 나이가 더 많은 연령 그룹이라면, 퍼렌털 설정부(120)는 라이센스 티켓의 컨텐츠 ID(148)가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부모 사용자가 대상 연령 그룹 "초등학교 저학년"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치원 자녀 연령 그룹에 ID가 관련된 만화 "훌라 댄스 도그"의 컨텐츠명과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에 대한 연령 그룹에 ID가 관련된 만화 "내일의 존"의 컨텐츠명이 컨텐츠명 컬럼(1802)에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그러나,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에 ID가 관련된 만화 "형사 코난"의 컨텐츠명, 및 성인 연령 그룹에 ID가 관련된 만화 "허리케인 하이츠"의 컨텐츠명은 점각 글자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컨텐츠명 컬럼(1802)의 보통 서체로 나타난 컨텐츠명의 우측에는, 이들 컨텐츠명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티켓이 허가하는 이용 회수가 이용 회수 컬럼(1803)에 표시된다. 본 도의 예에서는, 만화 "훌라 댄스 도그" 및 "내일의 존"을 각각 "15" 및 "10"회까지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의 선택을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만화 "형사 코난"의 컨텐츠명이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본 만화에 대한 이용 회수 "5" 또한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이용 회수 컬럼(180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 "전부"를 선택한 경우에는, 라이센스 티켓이 부모 단말(107)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의 컨텐츠명이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명 컬럼(1802)에 보통 서체로 나타난 컨텐츠명을 선택하여 컨텐츠명의 우측 이용 회수 컬럼(1803)에 기입된 제한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명 컬럼(1802)에 보통 서체를 이용하여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명 "만화: 훌라 댄스 도그"를 선택한 후에, 사용자는 이용 회수 컬럼(1803)에 "15"에 겹쳐써서 "5"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허가된 연속 이용 시간, 유효 기간, 및 유효 시간 슬롯 등의 컬럼 또한 이용 회수 컬럼(1803)의 우측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화면을 우측으로 스크롤하여 이들 각각의 항목에 이용 제한을겹쳐씀으로써, 선택된 각각의 컨텐츠에 따라 제한을 더욱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설정 조작을 귀찮게 생각한다면, 단순하게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엔터" 버튼(1804)을 누를 수 있다.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대한 입력을 완료한 후에, 사용자는 "엔터" 버튼(1804)을 누름으로써, 제한 설정 화면(1800)에 입력된 데이터가 퍼렌털 정보(126)로서 퍼렌털 기억부(121)에 기억되고, 설정 화면(1800)의 표시가 종료한다. 이는 퍼렌털 설정부(120)에 의한 제한 설정 조작을 종료시킨다.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대한 입력 조작 동안 사용자가 퍼렌털 제한을 가할 자녀 단말(108) 또는 자녀 사용자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뒤로" 버튼(1805)을 누름으로써, 지금까지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클리어되고, 화면은 제한 설정 화면(1700)으로 복귀한다. "취소" 버튼(1806)은 제한 설정 화면(1700)의 "취소" 버튼(1706)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있어서, 대상 연령 그룹과 컨텐츠 형태가 동일 카테고리 컬럼(1801)에 기입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대상 연령 그룹 또는 컨텐츠 형태 중 하나에 따라서만 이용 가능 컨텐츠를 제한할 수 있다. 이들 대상 연령 그룹과 컨텐츠 형태가 별개의 컬럼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연령 그룹과 컨텐츠 형태 쌍방에 따라 이용 가능 컨텐츠를 제한할 수 있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한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에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퍼렌털 정보(126)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본 퍼렌털 정보(126)는 카테고리(2001), 컨텐츠 ID(2002), 이용 회수(2003), 연속 이용 시간(2004), 및 유효기간(2005)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이들 항목 각각은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의 각 컬럼에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한 컨텐츠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이 카테고리 컬럼(1801)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만을 수신한 경우에, 본 퍼렌털 정보(126)는 카테고리 항목(2001)에만 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필드는 공란이다. 일단 사용자가 이러한 퍼렌털 정보(126)를 설정하면, 사용자는 신규 컨텐츠 및 컨텐츠의 이용 권리를 구입한 후에 신규 이용 제한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자녀 단말(108)에 의해 이용 가능한 컨텐츠는 카테고리 항목(2001) 하의 컨텐츠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이용 제한 설정 화면(1800) 상의 컨텐츠명 컬럼(1802)에서 항목 "전부 제한"을 선택한 경우에, 도 20a에 도시한 퍼렌털 정보는 컨텐츠 ID(2002)로서 예를 들어 "*"로 나타나는 와일드 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선택하고, 컨텐츠명 컬럼(1802)에서 "전부 제한"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퍼렌털 정보(126)는 카테고리(2001)로서 "초등학교 저학년", 및 컨텐츠 ID(2002)로서 "*"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용 회수(2003), 연속 이용 시간(2004), 및 유효 기간(2005) 등의 본 퍼렌털 정보(126)에 기입된 이용 제한은 "초등학교 저학년" 카테고리의 모든 컨텐츠에 균일하게 가해진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카테고리 컬럼(1801)에서 "전부", 및 컨텐츠명 컬럼(1802)에서 "전부 제한"을 선택한 경우에, 도 20a에 도시한 퍼렌털 정보(126)는 카테고리(2001)로서 "전부", 및 컨텐츠 ID(2002)로서 "*"를 포함한다. 그리고 퍼렌털 정보(126)에 기입된 이용 제한은 모든 컨텐츠에 대해 균일하게 가해진다.
사용자가 제한 설정 화면(1700)에서 사용자 체크 박스(1701)를 온으로 하고 "전부 제한"을 선택한 경우에, 본 퍼렌털 정보(126)에 기입된 제한은 자녀 단말 리스트(1600)에 나타난 모든 자녀 단말(108)에 대해 균일하게 가해진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항목(2001)이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자녀 단말 리스트(1600)에서 자녀 A1의 단말 ID "USO086"인 자녀 단말(108)과 자녀 A2의 단말 ID "USO871"인 자녀 단말(108) 둘 다 "초등학교 저학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만을 이용할 수 있다. 카테고리 항목(2001)에 기초하는 제한은 제2 제한 설정 화면(1800)을 통해 본 제한이 설정된 후에 구입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 티켓에 또한 가해진다. 즉, 새로 구입한 컨텐츠가 카테고리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단말 ID "USO086" 및 "USO871"을 갖는 자녀 단말(108) 둘 다 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컨텐츠가 카테고리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나이가 더 많은 연령 그룹의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이들 자녀 단말(108) 중 어느 것도 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도 20b 내지 20e는 도 8에 도시한 퍼렌털 기억부(121)에 기억된 퍼렌털 정보(126)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b는 이용 제한이 단말 ID(1601) 및 컨텐츠 ID(148)에 관련되어 있는 퍼렌털 정보(126)를 도시한다. 본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일정 자녀 단말이 일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용 제한이 가해진다.
도 20c는 이용 제한이 사용자 ID(20) 및 컨텐츠 ID(148)에 관련되어 있는 퍼렌털 정보(126)를 도시한다. 본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일정 사용자가 일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용 제한이 가해진다.
도 20d는 이용 제한이 단말 ID(1601)에 관련되어 있는 퍼렌털 정보(126)를 도시한다. 본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일정 자녀 단말이 어떠한 컨텐츠를 이용할 때라도 동일한 이용 제한이 가해진다.
도 20e는 이용 제한이 사용자 ID(20)에 관련되어 있는 퍼렌털 정보(126)를 도시한다. 본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일정 자녀 사용자가 어떠한 컨텐츠를 이용할 때라도 동일한 이용 제한이 가해진다.
상기 예에서는 부모 사용자가 각 컨텐츠에 대해 단순하게 이용 제한을 가하지만, 각 컨텐츠의 동작 모드, 즉 각 컨텐츠가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자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부모 사용자가 좀 더 정밀한 제한을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이용 제한 설정 및 제어에 있어서, 성인 사용자는 각 자녀 사용자에 대한 이용 제한을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한 설정 및 제어 방법은 성인 사용자가 이용 제한을 설정하기 위해 귀찮은 입력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 주고, 사용자가 좀 더 대략적인 이용 제한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부모 단말(107)은 자녀 단말 리스트(1600)에 퍼렌털 이용 제한을 가할 모든 자녀 단말(108)을 등록한다. 본 자녀 단말 리스트(1600)에 등록되지 않은 자녀 단말(108)에 관해서는, 부모 단말(107)은 이들 자녀 단말(108)에 의한 모든 컨텐츠 이용을 금지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용 제한 제어(라이센스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 및 단말 장치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라이센스 관리 서버 및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이용 제한 제어 방법, 특히 퍼렌털 제어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 수행하는 특징적인 단계를 갖는 프로그램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통신망 등을 통해 배송될 수 있는 CD-ROM(read-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가정, 특히 가정의 자녀 사용자에 대해 이용되는 서버로서 컨텐츠 배송 시스템으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디지털 컨텐츠를 각 가정으로 배송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들 컨텐츠의 이용 라이센스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서 유용하다.

Claims (32)

  1.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따른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a)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b)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관리부; 및
    (1)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상기 획득한 이용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단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관리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며, (3)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4)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라는 것을 명령하는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거절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명령이 지시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는 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획득하고,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a)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b)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컨텐츠의 이용을 요구하는 두 개의 이용 요구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두 개의 이용 요구에 응하는 제1 및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 내에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
  4. 컨텐츠에 대한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는 단말 장치로서,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의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 가해질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억하는 제한 기억부;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소정의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요구하는 티켓 요구를 하는 티켓 요구부;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요구한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티켓 획득부; 및
    (1)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소정의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2)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이용 규칙을 상기 신규 이용 규칙으로 개정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이용 규칙과 상기 제한 사이의 대응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신규 이용 규칙만을 나타내는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하여,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이 첨부된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명령에 응하여 상기 소정 단말 장치에 대해 정지 신호를 송신하는 정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요구부는 상이한 이용 규칙 하에서 각각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에 대한 티켓 요구를 하고,
    상기 티켓 획득부는 또한 상기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며,
    상기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에 가장 근접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티켓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 중에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상기 소정 이용 규칙의 범위와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의 범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는 이용 규칙 하에서,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잔여 티켓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의 범위가 상기 잔여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의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되는 경우에,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이 소정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완화 정보를 기억하는 완화 정보 기억부;
    티켓 요구가 상기 제한 완화 정보에 나타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판단하는 판단부; 및
    (1) 상기 티켓 요구가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한다고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경우에, 소정 정도 완화된 제한이 추가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발행할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요구하고, (2)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며, (3)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완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억부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에 의한 어떠한 컨텐츠의 이용에라도 가할 제한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억하고,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로부터의 어떠한 컨텐츠의 이용을 위한 요구에라도 응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억부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컨텐츠의 이용에라도 가할 제한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억하고,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컨텐츠의 이용을 위한 요구에라도 응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억부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가할 제한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억하고, 상기 제한은 이용할 컨텐츠에 따라 가해지며,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억부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가할 제한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억하고, 상기 제한은 이용할 컨텐츠에 따라 가해지며,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라이센스 관리 서버 및 다수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단말 장치에 따른 이용 규칙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각 단말 장치는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며,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a)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b)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관리부; 및
    (1)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상기 획득한 이용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단말 장치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관리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며, (3)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4)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한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한 송신부;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하는제1 이용 요구부;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로부터 상기 요구한 제1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1 티켓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는 제2 이용 요구부;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제2 티켓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제1 라이센스 티켓에 따라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라는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거절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명령이 지시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는 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획득하고,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a)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b)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컨텐츠의 이용을 요구하는 두 개의 이용 요구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티켓 발행부는 상기 두 개의 이용 요구에 응하는 제1 및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 내에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티켓 획득부는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위치시킨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으로부터 상기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취출하여 상기 취출된 제1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명령에 응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해 정지 신호를 송신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부에 의한 이용을 정지시키는 이용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0. 라이센스 관리 서버 및 다수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단말 장치에 따른 이용 규칙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각 단말 장치는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며,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a)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b)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 및
    (1)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2 단말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상기 생성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티켓 발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 가해질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억하는 제한 기억부;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상기 라이센스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하는 제1 이용 요구부;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제1 티켓 획득부; 및
    (1)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2)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제한된 티켓 발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는 제2 이용 요구부;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제2 티켓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따라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티켓 발행부는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을 상기 신규 이용 규칙으로 개정하여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티켓 발행부는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의 소정 부분에 나타나는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용 규칙을 나타내는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상기 이용부는 상기 다수의 이용 규칙 중의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신규 이용 규칙만을 나타내는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티켓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라이센스 티켓에 첨부하고, 상기 제2 라이센스 티켓이 첨부된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으로 취급하고,
    상기 이용부는 상기 신규 이용 규칙과 상기 획득한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나는 이용 규칙의 논리곱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논리곱에 대응하는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 요구부는 상이한 이용 규칙 하에서 각각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에 대한 이용 요구를 하고,
    상기 제1 티켓 획득부는 또한 상기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며,
    상기 제한된 티켓 발행부는 또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에 가장 근접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티켓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다수의 라이센스 티켓 중에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a) 상기 제1 티켓 획득부가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의 범위 및 (b)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의 범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는 이용 규칙 하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잔여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잔여 티켓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상기 신규 이용 규칙의 범위가 상기 잔여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이용 규칙의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한된 티켓 생성부는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이 소정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완화 정보를 기억하는 완화 정보 기억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가 상기 제한 완화 정보에 나타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1) 상기 요구가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한다고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경우에, 소정 정도 완화된 제한이 추가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발행할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요구하고, (2)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며, (3)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완화부로부터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여 상기 완화 라이센스 티켓에 따라 컨텐츠를 이용하는 추가 이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명령에 응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해 정지 신호를 송신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부에 의한 이용을 정지시키는 이용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라는 것을 명령하는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거절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명령이 지시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이용 요구를 거절하는 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29.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따른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 대한 이용 제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a)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라이센스 정보 기억부, 및 (b)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정보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한 정보를 상기 제한 정보 기억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1)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상기 획득한 이용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단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며, (3)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4) 상기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제한 제어 방법.
  30.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따른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는, (a)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단말 장치 각각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에 이용 규칙을 관련시키는 라이센스 정보를 기억하는 라이센스 정보 기억부, 및 (b)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정보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한 정보를 상기 제한 정보 기억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1)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 요구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2) 상기 획득한 이용 요구에 응하여,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단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하나에 관련되어 있는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나는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며, (3)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고, (4) 상기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제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1. 컨텐츠의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는 단말 장치에 대한 이용 제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의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 가해질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한 정보를 상기 제한 기억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소정의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요구하는 티켓 요구를 하는 단계;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요구한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단계; 및
    (1)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소정의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2)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제한 제어 방법.
  32. 컨텐츠의 이용 규칙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 컨텐츠 이용을 위한 요구를 하는 단말 장치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단말 장치의 소정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 가해질 제한을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한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한 정보를 상기 제한 기억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에게, 소정의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티켓을 요구하는 티켓 요구를 하는 단계;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요구한 라이센스 티켓을 획득하는 단계; 및
    (1) 상기 획득한 라이센스 티켓에 나타난 소정의 이용 규칙에 상기 제한 기억부의 제한 정보에 나타난 제한을 추가하여 신규 이용 규칙을 생성하고, (2) 상기 신규 이용 규칙 하에서 컨텐츠 이용을 허가하는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생성하며, (3) 상기 제한된 라이센스 티켓을 상기 소정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01872A 2001-08-06 2002-08-05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KR20040029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8248 2001-08-06
JPJP-P-2001-00238248 2001-08-06
PCT/JP2002/007989 WO2003014889A2 (en) 2001-08-06 2002-08-05 License management server, terminal device,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404A true KR20040029404A (ko) 2004-04-06

Family

ID=1906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872A KR20040029404A (ko) 2001-08-06 2002-08-05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28622A1 (ko)
EP (1) EP1433037A2 (ko)
KR (1) KR20040029404A (ko)
CN (1) CN1636177A (ko)
WO (1) WO200301488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61B1 (ko) * 2006-01-03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7983989B2 (en) 2006-01-03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888B2 (en) 2002-06-18 2006-03-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Learning device interaction rules
US6889207B2 (en) * 2002-06-18 2005-05-0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Content control in a device environment
US6795404B2 (en) 2002-06-18 2004-09-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Device for aggregating, translating, and disseminating communications within a multiple device environment
US7039698B2 (en) 2002-06-18 2006-05-0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Notification device interaction
JP2006501714A (ja) * 2002-09-30 2006-01-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ペアレンタルコントロールを用いて付加的コンテンツにアクセスする方法
US7722458B2 (en) * 2002-10-21 2010-05-25 Igt Gaming device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alternate payout features
JP5026670B2 (ja) * 2002-12-30 2012-09-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承認領域における分割された権利
US20060107330A1 (en) * 2003-01-02 2006-05-18 Yaacov Ben-Yaacov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managing rights for digital music
US8666524B2 (en) * 2003-01-02 2014-03-04 Catch Media, Inc. Portable music player and transmitter
US8732086B2 (en) * 2003-01-02 2014-05-20 Catch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ights for digital music
US8644969B2 (en) * 2003-01-02 2014-02-04 Catch Media, Inc. Content provisioning and revenue disbursement
US8918195B2 (en) * 2003-01-02 2014-12-23 Catch Media, Inc. Media management and tracking
US20040267384A1 (en) * 2003-02-07 2004-12-30 Broadon Communications, Inc. Integrated console and controller
US7322042B2 (en) * 2003-02-07 2008-01-22 Broadon Communications Corp. Secure and backward-compatible processor and secure software execution thereon
US7779482B1 (en) 2003-02-07 2010-08-17 iGware Inc Delivery of license information using a short messaging system protocol in a clos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100017627A1 (en) 2003-02-07 2010-01-21 Broadon Communications Corp. Ensuring authenticity in a clos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8131649B2 (en) * 2003-02-07 2012-03-06 Igware, Inc. Static-or-dynamic and limited-or-unlimited content rights
US20050022019A1 (en) * 2003-07-05 2005-01-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Enforcement of playback count in secure hardware for presentation of digital productions
CN1913943B (zh) * 2003-09-18 2013-01-02 图尔宾公司 控制对大型多人在线角色扮演游戏的访问的系统和方法
US7472424B2 (en) * 2003-10-10 2008-12-30 Microsoft Corporation Parental controls for entertainment content
JP4489022B2 (ja) * 2003-10-16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利用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利用制御方法
JP4731111B2 (ja) * 2003-11-19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型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データ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US8185475B2 (en) * 2003-11-21 2012-05-22 Hug Joshua 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sharing media content
US20050192905A1 (en) * 2004-03-01 2005-09-01 Rutan Caleb C. Licensing method for an electronic file
US8010783B1 (en) 2004-04-15 2011-08-30 Aol Inc. Service provider invocation
US8239962B2 (en) * 2004-05-17 2012-08-07 Konin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cessing rights in DRM systems
US20050278258A1 (en) * 2004-06-14 2005-12-15 O'donnell Michael User software for facilitating copyright licensing and compliance
JPWO2006022304A1 (ja) * 2004-08-26 2008-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起動制御装置
EP1635545B1 (en) * 2004-09-14 2013-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of digital rights protected content using USB or memory cards
WO2006049023A1 (ja) * 2004-11-01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コンテンツ利用方法
JP4684656B2 (ja) * 2005-01-06 2011-05-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機、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FR2887050B1 (fr) * 2005-06-14 2007-10-05 Viaccess Sa Procede et systeme de securisation d'une transaction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JP4241680B2 (ja) * 2005-07-05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7019469A2 (en) 2005-08-05 2007-02-15 Real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queuing purchase transactions and for registering users and devices
US20100146536A1 (en) * 2005-11-14 2010-06-10 Michael Craner Parental media palettes
US8099508B2 (en) * 2005-12-16 2012-01-17 Comcast Cable Holdings, Llc Method of using tokens and policy descriptors for dynamic on demand session management
US20100217976A1 (en) * 2006-01-03 2010-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US20070255659A1 (en) * 2006-05-01 2007-11-01 Wei Yen System and method for DRM translation
US10664575B2 (en) * 2006-05-02 2020-05-26 Acer Cloud Technology, Inc. Virtual vault of licensed content
EP1874051A1 (de) * 2006-06-27 2008-01-02 Denny Holwerda Verfahren zur Übermittlung eines Informationsstroms gemäss Anforderung einer Empfangsstelle
JP4968917B2 (ja) * 2006-07-28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権限管理装置、権限管理システム及び権限管理方法
WO2008019530A1 (en) * 2006-08-09 2008-02-21 Intel Corporation Dynamic content play control
US7624276B2 (en) * 2006-10-16 2009-11-24 Broadon Communications Corp. Secur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7613915B2 (en) * 2006-11-09 2009-11-03 BroadOn Communications Corp Method for programming on-chip non-volatile memory in a secure processor, and a device so programmed
US8200961B2 (en) * 2006-11-19 2012-06-12 Igware, Inc. Securing a flash memory block in a secure device system and method
JP4483891B2 (ja) * 2007-04-02 2010-06-16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データ移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316259B (zh) * 2007-05-30 2012-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过滤的方法、装置及系统
KR20090004217A (ko) * 2007-07-06 2009-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의 호환 시스템
US9009309B2 (en) * 2007-07-11 2015-04-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oken-based crediting of network usage
US20090089417A1 (en) * 2007-09-28 2009-04-02 David Lee Giffin Dialogue analyzer configured to identify predatory behavior
WO2009041982A1 (en) * 2007-09-28 2009-04-02 David Lee Giffin Dialogue analyzer configured to identify predatory behavior
JP5554565B2 (ja) 2007-11-27 2014-07-23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145914B2 (ja) * 2007-12-14 2013-02-20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管理装置、コンテンツ視聴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視聴管理システム
JP4483959B2 (ja) * 2008-03-12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プログラム、視聴制限決定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
JP5173563B2 (ja) * 2008-05-02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方法
US8948731B2 (en) * 2008-07-18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Rating of message content for content control in wireless devices
WO2010103110A2 (en) * 2009-03-13 2010-09-16 Metaboli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 of applications on a computer
KR101585679B1 (ko) * 2009-04-17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Ims 기반의 시스템에서 iut의 수행방법
ATE536697T1 (de) * 2009-04-28 2011-12-15 Nokia Siemens Networks Oy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chtigungsabhängigen zugriff auf multimediainhalte sowie die vorrichtung umfassendes system
JP5648531B2 (ja) * 2010-03-09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配信方法、プログラム
US9742811B2 (en) 2010-03-18 2017-08-22 Nominum, Inc. System for providing DNS-based control of individual devices
US10263958B2 (en) 2010-03-18 2019-04-16 Nominum, Inc. Internet mediation
US9992234B2 (en) 2010-03-18 2018-06-05 Nominum, Inc. System for providing DNS-based control of individual devices
US9191393B2 (en) * 2010-03-18 2015-11-17 Nominum, Inc. Internet mediation
US20120311673A1 (en) * 2011-06-01 2012-12-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dia usage monitoring and control
US9319381B1 (en) 2011-10-17 2016-04-19 Nomin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content policy
US8640200B1 (en) * 2012-03-23 2014-01-28 Amazon Technologies, Inc. Authored injections of context that are resolved at authentication time
US8627097B2 (en) 2012-03-27 2014-01-07 Igt System and method enabling parallel processing of hash functions using authentication checkpoint hashes
US10057370B2 (en) * 2012-09-06 2018-08-21 Unisys Corporation Team processing using dynamic licenses
US9122845B2 (en) * 2013-03-15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ed application distribution
US20150095985A1 (en) * 2013-09-27 2015-04-02 Alcatel-Lucent Usa Inc. Parental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Online Store Contents
US9893769B2 (en) * 2013-12-03 2018-02-13 Sony Corporation Computer ecosystem with temporary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transfer
US9648100B2 (en) * 2014-03-05 2017-05-09 Commvault Systems, Inc. Cross-system storage management for transferring data across autonomo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US20150256423A1 (en) * 2014-03-10 2015-09-10 Charles Carey Stearns Data collection, aggregation, and analysis for parental monitoring
JP2015201030A (ja) * 2014-04-08 2015-11-12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管理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10789642B2 (en) 2014-05-30 2020-09-29 Apple Inc. Family accounts for an online content storage sharing service
US20150348032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Real time approval of digital store purchases for a shared content storage account
US9875346B2 (en) * 2015-02-06 2018-01-23 Apple Inc. Setting and terminating restricted mode operation on electronic devices
US10154316B2 (en) 2016-02-26 2018-12-11 Apple Inc. Motion-based configuration of a multi-user device
CN106059999B (zh) * 2016-05-06 2021-03-23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媒体文件的展示方法、客户端、插件及系统
US10789301B1 (en) * 2017-07-12 2020-09-29 Groupon,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ferring device rendered object interaction behavior
JP6640798B2 (ja) * 2017-07-31 2020-02-05 グリー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利用管理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利用管理方法、サーバ、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管理ユーザ端末
EP3490264A1 (en) * 2017-11-24 2019-05-2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multiple multimedia devices based on a common time contingent
US10558546B2 (en) 2018-05-08 2020-02-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or presenting device usage on an electronic device
US11363137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acts on another electronic device
US11526562B2 (en) * 2019-12-16 2022-12-13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cument access using hierarchical path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508A (en) * 1991-06-28 1995-08-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License document interchange format for license management system
JPH08263438A (ja) * 1994-11-23 1996-10-11 Xerox Corp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7613659B1 (en) * 1994-11-28 2009-11-03 Yt Acquisi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kenless biometric electronic transmissions using an electronic rule module clearinghouse
US5671412A (en) * 1995-07-28 1997-09-23 Globetrotter Software, Incorporated License management system for software applications
GB2320595B (en) * 1996-12-21 2001-02-21 Int Computers Ltd Network access control
US6009525A (en) * 1997-08-29 1999-12-28 Preview Systems, Inc. Multi-tier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US6308274B1 (en) * 1998-06-12 2001-10-23 Microsoft Corporation Least privilege via restricted tokens
ATE225998T1 (de) * 1998-07-17 2002-10-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fernsehprogrammführung mit mehreren geräten an einem ort
US6438235B2 (en) * 1998-08-05 2002-08-20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content protection utilizing public key cryptography
WO2000020950A1 (en) * 1998-10-07 2000-04-13 Adobe Systems, Inc. Distributing access to a data item
US6820063B1 (en) * 1998-10-26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based on certificates and access predicates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SG96597A1 (en) * 2000-02-17 2003-06-16 Ibm Archiving and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KR100329545B1 (ko) * 2000-04-21 2002-04-01 김태주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US6810389B1 (en) * 2000-11-08 2004-10-26 Synopsys, Inc.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packaging of software application licenses
US20020143647A1 (en) * 2001-03-30 2002-10-03 Intertainer, Inc.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61B1 (ko) * 2006-01-03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24777B1 (ko) * 2006-01-03 2009-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7983989B2 (en) 2006-01-03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US8355989B2 (en) 2006-01-03 2013-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6177A (zh) 2005-07-06
WO2003014889A2 (en) 2003-02-20
US20030028622A1 (en) 2003-02-06
WO2003014889A3 (en) 2004-04-22
EP1433037A2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9404A (ko)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US7103663B2 (en) License management server,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method
JP4294266B2 (ja) 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利用制限制御方法
KR100692382B1 (ko)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들을 보안성 있게 배포하는 방법및 시스템
RU2283508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лицензии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для поддержки множества устройств
JP2003178163A (ja) 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端末装置、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利用制限制御方法
EP1585008A1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US20050177420A1 (en) Shopping system, video rental system,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moving picture distribution technique
US20050086069A1 (en) Separable presentation control rules with distinct control effects
US20080228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digital inventory of multimedia files stored across a dynamic distributed network
US8090920B2 (e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he recording medium
RU2408997C2 (ru) Метод политики 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мена
US200801782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tents of an Information Carrier
JP4580009B2 (ja) 動画配信技術を用いたビデオレンタルシステム
KR20020042848A (ko) 콘텐츠 파일 재생 허가 방법, 및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위한 재생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00020658A (ko)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US20040015519A1 (en) Content delivery server and content delivery system having the same
JP2006004072A (ja) ライセンス評価装置,ライセンス評価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75309B1 (en) Content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herefrom
JP4622307B2 (ja) 著作権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処理方法
JP451632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4576901B2 (ja) ライセンス評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ライセンス評価方法
KR100677564B1 (ko) Rfid를 이용하여 콘텐츠 접근 제어가 가능한 콘텐츠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708090B1 (ko) 멀티 스토리 컨텐츠 애드 온 시스템 및 방법
US8751825B1 (en) Content server and method of stor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