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105A -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105A
KR20020044105A KR1020010083354A KR20010083354A KR20020044105A KR 20020044105 A KR20020044105 A KR 20020044105A KR 1020010083354 A KR1020010083354 A KR 1020010083354A KR 20010083354 A KR20010083354 A KR 20010083354A KR 20020044105 A KR20020044105 A KR 2002004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key
basic
press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18066B1 (en
Inventor
강윤기
강훈기
Original Assignee
강윤기
강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기, 강훈기 filed Critical 강윤기
Priority to KR10-2001-008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066B1/en
Publication of KR2002004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0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time reduction of letter combination by selectively and separately allocating basic letters, composed of combinations of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in an array of keys in a mobile terminal and creating characters using one or more of the basic letters. CONSTITUTION: A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is composed of a keypad part(1), a memory part(3), a central control part(5), and a display part(7). The keypad part(1) comprises input keys generating relevant character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user's push operations and function keys generating relevant character conversion signals according to the user's push operations. The memory part(3) stores consonants and vowels related to the Hangul characters allocated to the keypad part(1). The central control part(5) appoints relevant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part(3)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signal or a character conversion signal supplied from the keypad part(1) and outputs an associated control signal. The display part(7), operated by a character conversion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rt(5),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relevant input key. Also the display part(7), operated by a character input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rt(5), displays an associated character.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세팅된 자음과 모음 각각 하나씩 조합하여 이루어진 기본글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문자를 생성하거나, 상기 기본글자에 자음 및 모음의 추가조합으로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generate a character by using at least one or more basic characters formed by combining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set in adv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basic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generate characters by an additional combination of the two.

최근 들어 디지털 휴대폰 서비스의 시작으로 전화를 통한 문자서비스와 함께 문자삐삐등 문자의 송수신이 필요한 다양한 정보단말기의 출현으로 컴퓨터의 키보드가 아닌 전화기의 자판만으로 문자를 입력하려고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며, 정보통신기기들이 소형화 추세에 따라 입력버튼수도 적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크기의 축소와는 반비례하게 오히려 기능은 향상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cell phone service, various information terminals that need to send and receive text along with text service through the phone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try to enter text using only the keyboard of the phone, not the computer keyboar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become smaller, the number of input buttons decreases. However, as the function is improv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duction in size, the necessity of inputting characters continues to increase.

한글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근거로 하는 경우 초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하고, 중성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로 하고,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자가 되지만 실제 상용되는글자의 수는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코드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때는 ㄲ, ㄸ, ㅃ, ㅆ, ㅉ과 ㅑ, ㅕ, ㅛ, ㅠ, ㅔ, ㅖ, ㅐ, ㅒ를 추가할당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키(1, 2, 3, 4, 5, 6, 7, 8, 9, 0, *, #)로 각각의 자음 및 모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If Hangul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Hangul spelling, Choseong is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ッ, ㅎ, and neutral i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and the finality is a, b, c, d, ㅁ, It consists of ㅂ, ㅅ, ㅇ, ㅈ, ㅋ, ㅋ, ㅌ, ッ, ㅎ, ㄱㅅ, ㄴㅈ, ㅎㅎ, ㄹㄱ, ㄹㅁ,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 The number of theoretical letters that can be theoretically formed by combin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11,172 characters, but the actual number of commonly used letters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the most commonly used completed codes or combination codes range from 1,800 to 1,900 characters. I can express Hangul. In the existing code system, when the keyboard is input, ㄲ, ㄸ, ㅃ, ㅆ, ㅉ and ㅑ, ㅕ, ㅛ, ㅠ, ㅔ, ㅖ, ㅐ, ㅒ are allotted. In order to display the Hangul as a complete Hangul using the keys of the terminal, there are about 12 keys (1, 2, 3, 4, 5, 6, 7, 8, 9, 0, *, #) provided in the terminal. Inputs corresponding to consonants and vowels of.

이에 따라 한정된 입력버튼으로 한글, 영어문자 등 여러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문자를 할당한 다음, 선택 시에 연속해서 눌러 해당 문자입력을 수행하고 있다.Accordingly, since a number of characters such as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must be input with a limited input butto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a single button, and the selected characters are continuously pressed to select a corresponding character.

현재 소형이면서 한글 입력 장치로 보편화된 제품인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폰의 문자 입력키는 한정된 개수로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자음, 모음 및 영어문자를 할당해야 하는 상황이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 혹은 영어문자를 버튼에서 찾아 상기 버튼을 필요한 숫자만큼 눌러 입력시킴으로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다시 커서 이동키로 다음 공간까지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하나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다량의 문자를 입력시키기 번거로우며, 한글과 영어문자를 연속해서 입력시킬 수 없어 문자입력이 매우 불편하다.For example, a mobile phone, which is a small and generalized product using a Korean input device, is used. As the character input keys of the mobile phone are used in a limited number, it is necessary to assign several consonants, vowels, and English characters to a single button. Select one letter by finding consonants, vowels or English letters to input from the buttons and pressing the button as many times as necessary, and then move to the next space with the cursor movement keys, and then select the next letter in the same way as above. do. This method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does not input the characters but combines the characters one by one, making it difficult to input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because the input method is difficult, and it is possible to input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continuously. Character input is very inconvenient.

또한, 한글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모 수는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등 최소한 24개가 필요하나 전화기 자판은 특수기호까지 포함해도 12개밖에 되지 않으므로 자판의 숫자하나당 최소한 2개 이상의 자모가 할당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특정자판이 눌렀을 때 자판위에 표기된 2 내지 3개의 자모 중 어떤 것이 적용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규칙들이 제안되어왔다.In addition, at least 24 letters, including 14 consonants and 10 vowels, are required to fully implement Hangul. However, since the phone keyboard contains only 12 special symbols, at least two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number. For this reason, complicated rules have been propos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or three letters written on the keyboard should be applied when a particular keyboard is pressed.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입력해야 할 글자를 생각해 가며 글자를 짜맞추어가는 과정이 매우 번잡하고 쉽지 않으며 규칙성이 있으나 자판구성에 있어서 자주 쓰이지 않는 자모와 자주 쓰는 자모가 혼재되어 있어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열두 자판을 대각선으로 오르내리며 사용하는 점이라든지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서 자주 사용되는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이 불편하게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Because of these rules, the process of assembling letters as you think about the letters you need to type is very complicated, not easy, and there are twelve keyboards to enter the letters because there is a mixture of letters that are frequently used and not frequently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keyboard. It is often uncomfortable to input frequently used consonants or vowel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are used up and down diagonally and the frequency of Hangul alphabet is not considered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자입력 시 글자조합의 용이성과 시간단축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세팅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음과 ㅏ, ㅓ, ㅗ, ㅜ, ㅡ, ㅣ으로 이루어진 기본모음에서 각각 하나씩 조합하여 이루어진 기본글자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키의 배열 내에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할당하고, 상기 기본글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문자를 생성하거나, 상기 할당되지 않은 키 배열 내에 분리되도록 선택적으로 할당된 ㅑ,ㅕ, ㅛ, ㅠ,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으로 이루어진 확장모음 및 상기 기본자음의 선택적 추가조합으로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b, c, r, ㅁ, ㅂ, ㅅ, ㅇ, ㅈ, ㅋ, ㅋ, pre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improve the ease and time reduction of the letter combination when entering letters 키, 상기, ㅎ, ㄲ, ㄸ, ㅃ, ㅆ, ㅉ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by combining the basic letters consisting of one each from the basic vowel consisting of ㅏ, ㅓ, ㅗ, TT, ㅡ, ㅣ 문자, ㅕ, ㅛ, ,, ㅐ, ㅒ, 할당, 할당, ㅕ, ㅛ, ㅠ, ㅒ, 할당, or 할당, 분리, 된, 된, 생성, or 된, 선택, 된, ㅒ, ㅒ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generate characters by using an extended collection consisting of, ㅘ, ㅙ, ㅚ, ㅝ, ㅞ, ㅟ, 및 and an optional additional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s.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형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pseudo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solid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group of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패드부 3 : 메모리부1: Keypad 3: Memory

5 : 제어부 7 : 디스플레이부5: control unit 7: display unit

10, 11, 12 : 키패드 10c, 11c, 12c : 좌측 기능키10, 11, 12: Keypad 10c, 11c, 12c: Left function key

10f, 11f, 12f : 이동키 10g, 11g, 12g : 일반키10f, 11f, 12f: Move key 10g, 11g, 12g: General ke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키 및 좌우 기능키에 자음군 및 모음군 각각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본글자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본글자의 입력과 받침자음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본자음과 ㅏ, ㅓ, ㅗ, ㅜ, ㅡ, ㅣ 로 이루어진 기본모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본모음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본모음은 ㅑ,ㅕ, ㅛ, ㅠ,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과 기본모음의 ㅏ와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뿐만 아니라 상기 기본모음은 기본글자에 덧붙여지는 ㅣ와, 상기 기본글자의 기본모음을 치환하는 ㅔ, ㅖ, ㅓ, ㅣ, ㅘ, ㅕ, ㅑ, ㅒ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과 기본모음의 ㅗ와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본모음은 기본글자에 덧붙여지는 ㅣ와, 상기 기본글자의 기본모음을 치환하는 ㅝ, ㅞ, ㅜ, ㅡ, ㅢ, ㅛ, ㅠ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며, 좌측 기능키 " * "의 반복적인 키입력에 따라 상기 홑자음군 및 겹자음군에 결합되는 기본 모음을 ㅏ에서 ㅗ로, ㅗ에서 ㅏ로 상호 전환시키며, 상기 기본자음과 어느 하나의 기본모음과의 조합을 모음그룹으로 하고, 상기 모음그룹을 메뉴키에 설정한 후, 메뉴키의 선택적인 입력에 의해 상기 모음그룹간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자음은 숫자 9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받침에 해당하는 기본글자를 누름으로써 형성시키며, 상기 한글문자에 해당되는 키를 1회 누른 상태에서 " * "를 누르면 해당키에 배열된 한글어문자의 맨 마지막 문자를 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패드부에서 한글문자 입력도중 숫자 0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 * "키를 누르면 영어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영어문자 입력상태에서 숫자 0번키를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서 영어문자 대문자와 소문자로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영어문자에 해당되는 키를 1회 누르고 " * "를 누르면 해당키에 배열된 영어문자의 맨마지막 문자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 * "키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0번키를 누르면 한글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되고, 좌측 기능키 " * "을 설정시간 이상 누르면 특수문자모드로 진행하고, 상기 특수문자모드에서 각 키에 저장된 특수문자테이블을 출력하여 해당 특수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우측 기능키 " # "을 설정시간 이상 누르면 숫자문자모드로 진행하고, 상기 숫자문자모드에서 각 키에 표시된 숫자문자를 선택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우측 기능키 " # "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 기능키" * "의 누르면 입력된 최종문자의 복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asic character consisting of any combination selected from each of the consonant group and the vowel group is formed on the numeric keys and the left and right function key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ptional charac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letters, a, b, c, d, d,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ッ, ㅎ Consonant group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ㄸ, ㄸ, ㅃ, ㅆ, ㅉ and the basic vowel selected from 기본, ㅓ, ㅗ, TT, ㅡ, ㅣ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collection includes an extended collection consisting of ㅑ, ㅕ, ㅛ, ㅠ,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 the basic letters, A, b, c, d, k, k, k, o, k, ㅋ, ㅌ, ッ, ㅎ single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및, ㄸ, ㅃ, ㅆ, ㅉ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consisting of the combination and the 음 of the basic vowel as well as the basic vowel is added to the base letter | And, an extended vowel consisting of ㅖ, ㅖ, ㅓ, ,, ㅘ, ㅕ, ㅑ, ㅒ to replace the basic vowel of the basic letter, and the basic letter is a, b, c, d, d, ,, ㅂ. , ㅅ, ㅇ, ㅈ, ㅊ, ㅋ, ㅌ, ,, ㅎ single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and ㄲ, ㄸ, ㅃ, ㅆ, 조합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group and 모 of the basic vowel, The vowel includes an extended vowel consisting of ㅝ, ㅞ, TT, ㅡ, ㅢ, ㅛ, ㅠ which is added to the basic character and replaces the basic vowel of the basic character. A basic vowel combined with the single consonant group and the double consonant group according to an input Switch from ㅗ to ,, from ㅗ to ,, and combine the basic consonant with any one of the basic vowels as a vowel group, set the vowel group to a menu key, and then, The conversion between the vowel groups is made, and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formed by pressing the basic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while pressing the number 9 key, and pressing "*" while pressing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haracter once And re-display the last character of the Hangul characters arranged on the corresponding key, and press the "*" key while pressing the number 0 key during the Hangul character input on the keypad to switch to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By repeatedly pressing the number 0 key in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the switching between the uppercase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is made,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letters Pressing once and pressing "*" will not only display the last character of the English characters arranged on that key. Press the number 0 key while pressing the "*" key to switch to Korean character input mode. Press the left function key "*" for more than the set time to proceed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In the special character mode, the special characters stored in each key. And outputting the table to select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and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 for more than the set time proceeds to the numeric character mode, and selects and displays the numeric character displayed on each key in the numeric character mode; Simultaneously press the left function key "*" while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 to copy the last character ente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키와,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변환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1)와, 상기 키패드부(1)에 할당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자에 관련된 자모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용도 및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자들을 더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모리부(3)와, 상기 키패드(1)에 의하여 인가되는 문자입력 및 문자변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5) 및 상기 중앙제어부(5)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변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키패드(1)의 입력키와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중앙제어부(5)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입력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로 구성되어져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keypad unit 1 including an input key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and a function key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ver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And a memory part (3) configured to store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age and additional functions, which are stored in alphabets related to the Hangul characters to be assigned to the keypad part (1), and the keypad (1). Characters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5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5 to designat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nd th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applied by In response to a conversion control signal,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input key of the keypad 1 is displayed and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ler 5. Small to have been composed of a display unit 7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상기 키패드부(1)에서는 일반키(10g)를 이용하여 한글입력을 위한 키 조작을 수행한 후, 한글입력 상태에서 부가적인 키의 적용을 상기 중앙제어부(5) 및 메모리부(3)와 연계하여 수행하게된다. 상기 일반키(10g)라 함은 메뉴, 통화, 확인, 종료 및 지움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필요한 입력키(10a, 11a, 12a) 및 기능키(10c, 11c, 12c, 10d, 11d, 12d, 12e) 이외의 키들을 의미함은 자명하다 하겠다.The keypad 1 performs a key operation for Korean input using the general key 10g, and then applies an additional key in the Korean input state to the central controller 5 and the memory 3. Will be done. The general key 10g is an input key 10a, 11a, 12a and function keys 10c, 11c, 12c, 10d, 11d, 12d, which ar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menus, calls, confirmation, termination, and clearing. 12e) means keys other than self-explanatory.

먼저, 한글입력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1)에 배열된 키 중 " * " 는 상기 그룹끼리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부여된 기능키(10c, 11c)에 해당되며, 반복적인 누름에 따라 그룹끼리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중앙제어부(5)에 해당 신호를 발생하며, 한글입력시 받침의 표시를 위해 확장모음에 할당된 키 중 숫자 9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받침조합의 기능으로 전환되어 받침에 해당되는 기본글자를 누름으로써 받침을 표시할 수 있게된다.First, "*" of the keys arranged on the keypad 1 in the Hangul input state corresponds to the function keys (10c, 11c) assigned to enable the switching between the groups, mutuall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The corresponding signal is genera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5 so that it can be switched, and it is switched to the function of the support combination by holding down the number 9 key among the keys assigned to the extended collection to display the support when entering Korean. By pressing a letter, you can mark the base.

또한, 한글입력 도중 영어문자입력을 위한 전환 기능은 확장모음에 할당된 키 중 0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기능키(10c, 11c)" * "를 누르면 한글입력에서 영어문자입력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중앙제어부(5)에 해당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영어문자 입력 도중 반대로 좌측 기능키(12c)" * "를 누른 상태에서 0번키(12e)를 누름과 동시에 다시 한글입력으로 전환된다.In addition, switching function for English character input during Hangul input is possible to switch from Hangul input to English character input by pressing left function key (10c, 11c) "*" while pressing No. 0 key among extended keys. The corresponding signal is genera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5 so as to. In addition, while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c) "*" while pressing the English character input key 0e (12e) at the same time, it is converted into Korean input again.

한편 상기 한글입력에서 영어문자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0번키(12e)의 반복적으로 누르면 영어문자 대소의 전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부(5)에 해당 신호를 발생하게된다.On the other hand, pressing the 0 key (12e) repeatedly in the state of switching from the Hangul input to the English characters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5) to switch between the case of the English characters.

또 한편, 영어문자 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3회에 거친 반복 누름을 단축하기 위하여 해당 숫자 1회의 누름과 함께 좌측 기능키" * "의 누름으로 인하여 해당키의 3회의 연속누름 기능이 가능한 신호를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한글, 영어문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시 우측 기능키(10d, 11d, 12d)" # "누른 상태에서 연이은 좌측 기능키(10c, 11c, 12c)" * "의 누름으로 인해 마지막으로 표시된 문자와 같은 문자를 재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horten the repeated pressing of three times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when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one time number and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 the signal capable of three consecutive pressing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key is provided. Is generated. In addition, when entering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the last character displayed by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10d, 11d, 12d) "#" continued left function key (10c, 11c, 12c) "*" Redisplay characters such as

뿐만 아니라 특수문자의 표시를 위해 좌측 기능키(10c, 11c, 12c)" * "키의누른 상태에서 숫자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숫자키에 포함된 특수문자 열이 표시되며 이어서 특수문자 열중 해당 특수문자 행에 해당되는 숫자키를 다시 눌러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o display the special characters, press the left function key (10c, 11c, 12c) "*" Numeric key while pressing the key. Then, the special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is displayed. Press the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line again to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형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와 누름 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할당하였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pseudo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s shown in Table 1, the number keys and the number of pressing are divided and allocated.

이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0g, 11g, 12g)의 조작에 의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초기그룹으로 설정된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까, 따, 빠, 싸, 짜 로 구성된 가형그룹 기본글자를 상기 1번부터 8번까지의 숫자키 배열 내에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할당한다. 상기 가형그룹 기본글자에 따른 +ㅣ, ㅔ, ㅖ, ㅓ, ㅣ, ㅘ, ㅕ, ㅑ, ㅒ를 포함한 가형그룹 확장모음을 상기 9, 0, # 키에 선택적으로 할당되며, 상기 가형그룹의 기본글자 및 확장모음에 해당되는 숫자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한글문자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있다. 상기 가형그룹 확장모음 중 " +ㅣ "은 모음 "ㅣ "의 덧붙임을 나타내고, 나머지 확장모음은 치환의 기능을 수행함을 나타낸다.A user is set to an initial group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 input Hangul by manipulation of general keys 10g, 11g, 12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cates the basic character group consisting of ah, jha, tea, car, ta, wave, ha, ka, ta, bar, sa, and ja to be separated in the array of number keys from 1 to 8. The vowel group extended collection including + ㅣ, ㅔ, ㅖ, ㅓ, ㅣ, ㅘ, ㅕ, ㅑ, ㅒ according to the basic group basic letter is selectively assigned to the 9, 0, # keys, and the basic of the group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Korean character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number key is pressed. "+ |" Represents the addition of the vowel "|" in the extended group group, and the remaining extended collections perform the function of substitution.

예를 들어 " 가 "라는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게되면 디스플레이부(7)에 " 가 "라는 한글문자가 표기되기 때문에 한번의 키 누름으로 인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를 표시하게된다. 계속하여 덧붙임과 치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면, 먼저 " 개 "라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가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디스플레이부(7)에 "가 "의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숫자 9번키를 1회 누름과 동시에 " ㅣ "는 " 가 "에 덧붙임으로서 " 개 "라고 하는 한글문자가 조합되어 총 2회의 버튼 누름으로 하나의 한글문자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1 key is pressed once to display the Korean character "" ", the display unit 7 displays the Korean character" "" so that one Korean character is displayed by one key press.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unction of adding and replacing is performed. First, when the Korean character of "dog" is to be input, when the number 1 key is pressed once in the pattern group, the Korean character of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By pressing the number 9 key once and adding “ㅣ” to “”, Hangeul characters called “gae” are combined and a single Korean character can be displayed by pressing 2 buttons.

또 하나의 예로 " 게 "라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가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디스플레이부(7)에 " 가 "라는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숫자 9번키를 2회 누름과 동시에 " ㅔ "에 해당되는 모음이 상기 " 가 "에 있던 모음 " ㅏ "와 치환되면서 " 게 "라고 하는 한글문자가 조합되어 총 3회의 버튼 누름으로 하나의 한글문자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As anothe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the Korean character "Crab", press the number 1 key once in the model group, and the Korean character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As the vowel corresponding to "ㅔ" is replaced with the vowel "ㅏ" in which "is", the Hangul characters called "crab" are combined and a single Hangul character can be displayed by pressing a button three times in total.

한편, " 가까이 "라는 글자의 입력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적으로 " 가 "라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가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디스플레이부(7)에 "가 "의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이동키(10f)를 누르면 커서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숫자 1번키를 3회 누름과 동시에 " 까 "에 해당되는 한글이 이어서 표시되고, 그 다음 숫자 7번키를 1회 누르면 " 아 "라는 한글이 출력되며, 숫자 0번키를 2회 반복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아 "에서 모음 " ㅏ "는 " ㅣ "로 치환되어 " 이 "라는 한글이 출력되면서 비로소 " 가까이 "라는 한글문자가 표시된다. 여기서 " 가 "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키를 1회 누름, " 까 "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키를 3회 누름 및 "이 "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키를 3회 누름으로써 " 가까이 "라는 세 개의 한글문자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n input of the letters "close". First of all, if you want to input the Korean character "" ", press the number 1 key once in the model group, and the Korean character of"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If you move to the right, press the number 1 key three times and the Hangul corresponding to "Cha" will be displayed next time. Then, press the number 7 key once to display the Hangul "A" and press the number 0 key 2 When pressed repeatedly, "vo" in the "vo" "ㅏ" is replaced with "| |" and the Hangul "" is displayed as the Hangul characters near "" is displayed. In this case, three Korean letters "close" are pressed by pressing the key once to display "," pressing the key three times to create "Ca", and pressing the key three times to generate "This". Character display is possible.

또한, 가형그룹과 고형그룹의 상호전환이 좌측 기능키(10c, 11c)" * "의 반복적인 누름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키를 조작하여 상기 각 그룹별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In addition, the switching between the visible group and the solid group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by repeatedly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s 10c and 11c " * ".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와 누름 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solid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as shown in Table 2, shown separately according to the number keys and the number of pres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1g)의 조작에 의하여 한글입력상태에서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꼬, 또, 뽀, 쏘, 쪼 로 구성된 고형 기본글자를 상기 1번부터 8번까지의 숫자키 배열 내에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할당된 고형그룹 기본글자와, 이에 따른 +ㅣ, ㅝ, ㅞ, ㅜ, ㅡ, ㅢ, ㅛ, ㅠ 를 포함한 고형그룹 확장모음을 상기 9, 0, # 키에 선택적으로 할당된 고형그룹 확장 모음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그룹 기본글자 및 확장모음에 해당되는 숫자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한글문자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있다. 상기 확장모음 중 " +ㅣ "은 모음 " ㅣ "의 덧붙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머지 확장모음은 치환의 기능을 수행한다.B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key (11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angul input state high, no, degree, furnace, mother, bo, cow, o, ja, cho, nose, toe, gun, ho, bo, The solid group basic letters, consisting of po, saw, and squat, are assigned to be selectively separated within the numeric key arrays of numbers 1 to 8, and thus + ㅣ, ㅝ, ㅞ, TT, ㅡ, ㅢ, The solid group extension collection including ㅛ, ㅠ consists of a solid group extension collection selectively assigned to the above 9, 0, # keys, an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number of key presses corresponding to the solid group basic letters and the expansion collection are pressed.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Korean characters. "+ |" Represents the addition of the vowel "|", and the rest of the expansion bar performs the function of substitution.

예를 들어 " 괴 "라는 한글문자를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고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디스플레이부(7)에 " 고 "의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숫자 9번키를 1회 누름과 동시에 " +ㅣ "는 " 고 "에 덧붙임으로서 " 괴 "라고 하는 한글문자가 조합되어 총 2회의 버튼 누름으로 하나의 한글문자 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display the Korean character “Goe”, press the number 1 key once in the solid group and the Korean character of “Go”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 ㅣ "is added to" Go ", and the Hangeul character called" Goe "is combined, so it is possible to display one Hangul character by pressing the button twice.

또 하나의 예로 " 궤 "라는 한글문자를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고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디스플레이부(7)에 " 고 "의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숫자 9번키를 3회 누름과 동시에 " ㅞ "에 해당되는 모음이 상기 " 고 "에 있던 모음 " ㅗ "와 치환되면서 " 궤 "라고 하는 한글문자가 조합되어 총 4회의 버튼 누름으로 하나의 한글문자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자음과 하나의 모음만으로 한글을 전부 표현되는 것이 아니다. 받침이 들어간 한글을 조합해야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받침이 들어간 한글문자의 생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우선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당 그룹중 기본글자를 이루는 자음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열하며, 해당 자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As another example, if you want to display the Korean character "Gong", press the number 1 key once in the solid group and the Korean character of "Go"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7). The vowel corresponding to "ㅞ" is replaced with the vowel "ㅗ" in the "go", and the Hangul characters called "Gock" are combined, so that a single Hangul character can be displayed by pressing a total of four buttons. Of course, not all Korean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only one consonant and one vowel. Since it is often necessary to combine Hangeul with support, we will look at the generation of Hangeul characters with support. First, as shown in Table 3, the consonants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consonants forming the basic letters in the group, and the consonants are used.

한글에서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으로 된 홑자음과 받침으로 쓰이는 ㄲ, ㅆ 으로 된 겹자음을 각 숫자키에 선택적으로 할당 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할당된 자음과 겹자음은 표 1 또는 표 2에서 보인 가형 그룹과 고형 그룹의 자음 배열과 동일하게 되어있다. 이어서 받침의 표시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먼저 " 공 "이라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고형그룹에서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 고 "라는 한글문자가 출력되며 바로 이어서 숫자9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7번키를 1회 누르면 " 고 "자 아래로 " ㅇ "이 받침으로 결합되어 마침내 " 공 "이라는 한글문자를 생성하게 됨으로써 총 2회의 키 누름으로 한글문자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ッ, ㅎ which can be used as a support in Hangul and 겹, ㅆ as a support It is configured to be optionally assigned to numeric keys. The assigned consonants and the double consonants are the same as the consonant arrangement of the solid group and the solid group shown in Table 1 or Table 2. In the following example of the display of the stand, when you want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Gong", press the number 1 key once in the solid group and the Korean character "Go" will be displayed. Pressing the number 7 key once in the "go" character down "ㅇ" is combined as a support to finally create a Korean character "ball", so that the display of the Hangul characters with a total of two key presses.

한편, 한글문자가 할당된 해당 숫자키의 마지막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키를 3회 누름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 꼬 "라는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숫자1번키(" 고,코,꼬 ")를 1회 누른상태에서(" 고 ") 좌측 기능키(11c)" * "를 1회 누름으로서 " 꼬 "를 표시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총 3회의 누름으로 가능한 것을 1회를 줄여 총 2회의 누름으로 연속 누름이 가능하게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받침 및 연속기능은 도 2에서의 가형그룹에서도 적용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숫자키 9번키는 단순 누름으로 하게되면 해당 모음이 표시되지만 여기서의 기능은 누른 상태에 의한 받침조합의 기능을 간단히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ss the key three times to display the last Hangul character of the numeric key assigned the Hangul charac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functions will be added and described. For example, to display the Hangul character "Ko", press the number 1 key ("Go, Ko, Ko") once and press the left function key (11c) "*" once. "Ko" will be display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ss continuously by pressing 2 times in total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possible by pressing 3 times in total.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upporting and continu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re also applied to the dummy group in FIG. 2.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9 key is a simple pressing the corresponding vowels are displayed, but the function here is to simp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upport combination by pressin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 그룹을 나타낸 키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2g)의 조작에 의하여 한글입력상태에서 영어문자를 입력을 하려면 기존의 방식으로는 일반키(12g)를 이용하여 영어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그룹으로 전환한 다음 해당 영어문자를 입력하고 또 다시 한글로 전환하는 그룹으로 이동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글입력시 몇 가지의 키 입력으로 영어문자 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져있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showing a group of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o input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Korean input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key (12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put the English characters using the general key (12g) in the conventional manner After switching to the menu group fo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English characters, and then moved to the group to switch back to Hangu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conversion of English characters by a few key input when entering Hangul.

간략히 기능을 설명하면, 한글입력그룹인 가형그룹 또는 고형그룹에서 숫자 0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연이어 좌측 기능키(12d)인 " * "를 누르면 바로 영어문자 대문자 그룹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져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영어문자 대문자 그룹에서 숫자 0번키를 한번 누르면 소문자 그룹으로 전환되며 다시 0번키를 누르면 대문자 그룹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져있다. 물론 상기의 영어문자 대문자 그룹으로의 전환 시 사용되었던 키 입력 순서를 반대로 하여 좌측 기능키(12c) " * "을 누른 상태에서 연이어 중간 기능키인 숫자 0번키를 누르면 바로 전에 사용되었던 가형 또는 고형그룹으로 전환되어 한글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되어있다.Briefly, the function is configured to immediately switch to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group by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d " * " while pressing the number 0 key in the Hangul input group or the solid group.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pressing the number 0 key once i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group converts to the lowercase group, and when the 0th key is pressed again, it is configured to switch to the uppercase group. Of course, by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c) "*" and pressing the number 0 key, which is the middle function key, in the reverse order of the key input sequence used when switching to the upper case letter group of English letters, the solid or solid group used immediately before Switched to, you can enter Hangul characters immediately.

예를 들어 설명하면, " A "라는 영어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우선 기본적으로세팅된 한글입력그룹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숫자 0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 기능키(12c) " * "를 누르면 영어문자 대문자 입력모드 상태로 전환되어지며, 이 때 숫자 1번키를 1회 누르면 " A "가 표시되고, 또한 " T "라는 영어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숫자 7번키를 2회 누르면 " T "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영어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영어문자가 할당된 해당 숫자키의 반복적인 누름으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display the English letter "A", first press the left function key (12c) "*" while pressing the number 0 key while being converted to the Korean input group set by default. The mode is changed to input mode. At this time, press the number 1 key once to display "A", and press the number 7 key twice to display the English letter "T" and display "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splay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to which English characters are assigned to display English characters.

한편, 영어문자가 할당된 해당 숫자키의 마지막 영어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키를 3회 누름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 C "라는 영어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숫자1번키(ABC)를 1회 누른 다음(" A "표시) 좌측 기능키(12c)" * "를 1회 누름으로서 " C "를 표시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총 3회의 누름으로 가능한 것을 1회를 줄여 총 2회의 누름으로도 가능하게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ss the key three times to display the last English character of the numeric key assigned the English charac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functions will be added and described. For example, you can display "C" by pressing the number 1 key (ABC) once ("A") and then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c) "*" once to display the English character "C". Will b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ne time that is possible with a total of three presses and to press a total of two times.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글, 영어문자 이외에도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일반화 되어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도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수문자들을 테이블로 형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since it is generalized to input special characters in addition to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4, special characters were formed in a table.

상기 특수문자 테이블은 일 예로 구성된 것이며, 더불어 특수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좌측 기능키(12c)인 " * "을 누른 상태로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행에 해당되는 특수문자들을 로딩(Loading)하기 위한 숫자키 즉, 로딩키를 누르게 되면 메모리부(3)에 미리 저장된 해당 문자열들이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되며, 해당 문자가 위치한 열에 해당되는 숫자인 선택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특수문자를 표시하게 된다.The special character table is configur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special character table is switched to the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while pressing " * " on the left function key 12c to load the specia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line. If you press the number key, that is, the loading key,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s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3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and when the sel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column wher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located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is displayed. do.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을 표시하기 위해 키패드의 좌측 기능키(12c)인 " * "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1번키(로딩)를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이 1번키(로딩)에 해당되는 문자열이 표시되며,For example, " To display "", press the number 1 key (loading) while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c) "*" to display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1 key (loading)

상기 특수문자열중에서 ""가 위치한 해당 열의 숫자 2번키 즉, 선택키를 누르게되면 ""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물론 로딩키, 선택키로 구분한 것은 특수문자 테이블에서 행과 열을 구분하기 위함이며, 처음 누른 숫자키는 상기 특수문자테이블의 행을, 나중에 누른 숫자키는 상기 특수문자테이블의 열에 적용된다.In the special string above, If you press the number 2 key in the corresponding column where "is located, Of course, loading keys and selection keys are used to distinguish rows and columns in the special character table. Applies to columns of special character tables.

또한, 상기 로딩키가 입력되어 해당 숫자에 저장된 특수문자열이 표시되면 상기 키패드부(1)의 방향키(10f, 11f, 12f)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서 또 다른 숫자키에 해당되는 특수문자들을 표시되며, 이에 선택키를 누름으로서 해당 특수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됨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충분히 응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oading key is input and a special string stored in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splayed, specia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nother numeric key are displayed by selectively pressing the direction keys 10f, 11f, and 12f of the keypad unit 1, It is apparent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by pressing the selection key, which can be sufficiently applied by a person in the field.

한편, 상기 키패드부(1)의 우측 기능키(12c)" # "을 누른 상태에서 연이어 숫자키 0번부터 9번까지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아라비아숫자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키패드부(1)의 우측 기능키(12d)" # "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 기능키(12c)" * "를 누름에 따라 마지막으로 표시된 임의의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연속적으로 재 표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12c) "#" of the keypad (1) in succession by pressing the numeric keys 0 to 9 consecutively configured to display Arabic numerals, as well as the By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2c "*" while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12d "#" of the keypad 1, the same characters as the last displayed random characters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

한편, 도면에서 보인바와 같이 가형그룹, 고형그룹 및 영어문자를 각각 도면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배열 내에 모두 나타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visible group, the solid group, and the English characters are shown in the drawings, respectively, it will be obvious that all appear in the key arrangement of the a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은, 자주 쓰이는 자모를 초기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글자를 짜맞추어가는 과정이 매우 단순화되었으며 한글, 영어문자, 특수문자, 아라비아숫자의 혼용을 키 배열 내에서 수행함으로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문자 조합 시 키를 누르는 횟수를 현저히 줄여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ssembling letters is greatly simplified by setting a frequently used alphabet as an initial value, and it is possible to mix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By performing it within the key arrangement, not only is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key presses when combining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키 및 좌우 기능키에 자음군 및 모음군 각각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본글자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본글자의 입력과 받침자음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Forming a basic letter consisting of any combination selected from each of the consonant group and vowel group on the numeric key and the left and right function key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the selective combination of the input and the base consonant of the basic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본자음과 ㅏ, ㅓ, ㅗ, ㅜ, ㅡ, ㅣ 로 이루어진 기본모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본모음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letter, a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プ, ㅎ and a double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ㄲ, ㄸ, ㅃ, ㅆ, ㅉ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combining any one of the basic consonant selected from the basic vowel selected from the basic vowel consisting of ㅏ, ㅓ, ㅗ, TT, ㅡ, ㅣ.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본모음은 ㅑ,ㅕ, ㅛ, ㅠ,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collection includes a characte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extended collection consisting of 확장, ㅕ, ㅛ, ,,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Wa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과 기본모음의 ㅏ와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letter, a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プ, ㅎ and a double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ㄲ, ㄸ, ㅃ, ㅆ, ㅉ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combination with the 모 of the basic vowe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본모음은 기본글자에 덧붙여지는 ㅣ와, 상기 기본글자의 기본모음을 치환하는 ㅔ, ㅖ, ㅓ, ㅣ, ㅘ, ㅕ, ㅑ, ㅒ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vowe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ㅣ appended to the basic letter, and an extended collection consisting of ㅔ, ㅖ, ㅓ, ㅣ, ㅘ, ㅕ, ㅑ, 하는 to replace the basic vowel of the basic let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본글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이루어진 홑자음군 및 ㄲ, ㄸ, ㅃ, ㅆ, ㅉ 으로 이루어진 겹자음군과 기본모음의 ㅗ와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letter, a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プ, ㅎ and a double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ㄲ, ㄸ, ㅃ, ㅆ, ㅉ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combination with the 모 of the basic vowe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본모음은 기본글자에 덧붙여지는 ㅣ와, 상기 기본글자의 기본모음을 치환하는 ㅝ, ㅞ, ㅜ, ㅡ, ㅢ, ㅛ, ㅠ 로 이루어진 확장모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basic vowel is a charac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extended vowel consisting of ㅝ, ㅞ, TT, ㅡ, ㅢ, ㅛ, ㅠ which is added to the basic character and replaces the basic vowel of the basic character. Input method.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좌측 기능키 " * "의 반복적인 키입력에 따라 상기 홑자음군 및 겹자음군에 결합되는 기본 모음을 ㅏ에서 ㅗ로, ㅗ에서 ㅏ로 상호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vowels coupled to the single consonant group and the double consonant group are switched from ㅏ to, and ㅗ to 따라 according to repeated key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 ".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본자음과 어느 하나의 기본모음과의 조합을 모음그룹으로 하고, 상기 모음그룹을 메뉴키에 설정한 후, 메뉴키의 선택적인 입력에 의해 상기 모음그룹간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A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 and any one basic vowel as a vowel group, the vowel group being set to a menu key, and the mutual switching between the vowel groups is performed by selective input of a menu key Character input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받침자음은 숫자 9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받침에 해당하는 기본글자를 누름으로써 자모로 된 한글문자에 해당 자음이 받침으로 결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The support consonant i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is formed by combining the consonant with the support by pressing the basic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while pressing the number 9 ke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문자에 해당되는 키를 1회 누른 상태에서 " * "를 누르면 해당키에 배열된 한글문자의 맨 마지막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Pressing "*" while pressing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Hangul character once,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last character of the Hangul characters arranged on the ke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패드부에서 한글문자 입력도중 숫자 0번키를 누른 상태에서 " * "키를 누르면 영어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되고, " * "키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0번키를 누르면 한글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While pressing the number 0 key while inputting Korean character on the keypad, press the "*" key to switch to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and press the number 0 key while pressing the "*" key to switch to the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영어문자 입력상태에서 숫자 0번키를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서 영어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로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between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of the English letter by repeatedly pressing the number 0 key in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영어문자에 해당되는 키를 1회 누르고 " * "를 누르면 해당키에 배열된 영어문자의 맨 마지막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Pressing a key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letter once and pressing "*" to display the last character of the English letters arranged on the corresponding key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좌측 기능키 " * "를 누르고 있으면 특수문자모드로 진행하고, 상기 특수문자모드에서 각 키에 저장된 특수문자테이블을 행 또는 열 단위로 로딩하여 출력함으로서 해당 특수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Press and hold the left function key "*" to advance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select the special character by loading the special character table stored in each key in row or column unit in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각 키에 저장된 특수문자테이블의 행이 표시되면 상기 방향키의 선택적인 누름으로 또 다른 숫자키에 해당되는 특수문자테이블의 행이 표시되어 이에 따른 해당 특수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When a row of a special character table stored in each key is displayed, a row of a special character table corresponding to another numeric key is displayed by selectively pressing the direction key to select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accordingly. Character input method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우측 기능키 " # "를 누르고 있으면 숫자문자모드로 진행하고, 상기 숫자문자모드에서 각 키에 표시된 숫자문자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 " proceeds to the numeric character mode, and selects and displays the numeric characters displayed on each key in the numeric character m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우측 기능키 " # "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 기능키 " * "의 누르면 입력된 마지막문자의 재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t display of the last character entered by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 while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
KR10-2001-0083354A 2001-12-22 2001-12-22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418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54A KR100418066B1 (en) 2001-12-22 2001-12-22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54A KR100418066B1 (en) 2001-12-22 2001-12-22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105A true KR20020044105A (en) 2002-06-14
KR100418066B1 KR100418066B1 (en) 2004-02-14

Family

ID=2772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354A KR100418066B1 (en) 2001-12-22 2001-12-22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06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19A (en)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5252A (en) * 2002-09-19 2004-03-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WO2004084528A1 (en) * 2003-03-17 2004-09-30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KR100456000B1 (en) * 2002-11-22 2004-11-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symbol in mobile phone
WO2006115365A1 (en) * 2005-04-25 2006-11-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1204019B (en) * 2005-04-25 2011-11-09 索尼计算机娱乐(韩国)股份有限公司 Korean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29A (en) * 1998-09-24 2000-04-15 홍범준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f telephone and keypad the same
KR100314395B1 (en) * 1998-12-15 2001-12-28 박원영 Dial Button Code System
KR100682448B1 (en) * 1999-07-07 2007-02-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KR100336493B1 (en) * 1999-10-29 2002-05-15 오길록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20020007111A (en) * 2000-07-15 2002-01-26 황재엽 Hangul input code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phon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19A (en)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5252A (en) * 2002-09-19 2004-03-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456000B1 (en) * 2002-11-22 2004-11-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symbol in mobile phone
WO2004084528A1 (en) * 2003-03-17 2004-09-30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US7339498B2 (en) 2003-03-17 2008-03-04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AU2004220994B2 (en) * 2003-03-17 2009-11-26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US7864076B2 (en) 2003-03-17 2011-01-04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WO2006115365A1 (en) * 2005-04-25 2006-11-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1204019B (en) * 2005-04-25 2011-11-09 索尼计算机娱乐(韩国)股份有限公司 Korean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669888B2 (en) 2005-04-25 2014-03-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066B1 (en)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8390A (en)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US20080158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KR100418066B1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3213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2251253A (en) Input part of mobile terminal
KR100431947B1 (en)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KR20070012265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key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20080024571A (en) The method of inputting arabic & persian letters with the keypad of mobi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100486866B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20020049830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186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19980013987A (en) How to input Hangul signal using Tenki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000041317A (en) Device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english
KR101088072B1 (en) keypad for korea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and method for generating korean
KR100905575B1 (en)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451191B1 (en) Arrangement of hangle inputting key for key-pad of mobile phon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669227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for a Product containing 3×4 Keypad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30648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lephone to b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easi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