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869B1 -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869B1
KR100371869B1 KR10-2000-0046041A KR20000046041A KR100371869B1 KR 100371869 B1 KR100371869 B1 KR 100371869B1 KR 20000046041 A KR20000046041 A KR 20000046041A KR 100371869 B1 KR100371869 B1 KR 10037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utton
input
mod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2822A (en
Inventor
안재우
이승용
황삼청
Original Assignee
황삼청
안재우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삼청, 안재우, 이승용 filed Critical 황삼청
Priority to KR10-2000-004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869B1/en
Publication of KR2002001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8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 등의 일측(一側)에 문자확장 버튼을 구성하고 키패드의 버튼마다 문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여러 번의 버튼조작이 없이 쉽게 입력하게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모드 토글을 실행하여 입력모드를 설정한다.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원하는 글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특정 문자확장 버튼과 키패드의 디지트 버튼을 함께 누르면 해당 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 확장 버튼과 해당 디지트버튼에 의해 정해지는 문자가 입력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character extension button on one side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and displays a letter for each button of the keypad so that a user can easily enter a letter without having to operate a plurality of buttons. First, the user sets the input mode by executing a mode toggle to select a character set to be input. When the input mode is set, when a specific character expansion button and the digit button of the keypad are pressed together to input a desired letter or number, the character determined by the corresponding character expansion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digit button is input in the input mode.

또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ouch screen device.

Description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본 발명은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PDA등 제한된 수의 버튼을 가지는 장치에서 문자확장 버튼과 키패드의 디지트버튼을 선택하여 문자를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extension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effectively inputting a character by selecting a character extension button and a digit button of a keypad in a device having a limited number of buttons,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will be.

이동통신장치에서도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발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한된 수의 디지트버튼을 가지고 문자를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입력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 1 과 도 2이다.As text messages can be created, stored, or s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ny methods for effectively entering text with a limited number of digit buttons have been developed.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re shown in FIGS. 1 and 2.

우선, 이를 설명하자면 도 1은 만약 어느 사용자가 "말"이라는 글자를 입력한다고 가정해보자. 사용자가 문자확장 버튼(100)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팬널(100)에 여러 가지 문자세트가 보여진다. 여기서, "말"의 글자를 이루기 위해 "ㅁ"을 입력하려면 키패드(130)의 디지트버튼인 "▼"(140)을 여러 번 눌러(Press),커서(Cursor)가 "ㅁ"(120)이라는 자음에 이르렀을 때 "선택"버튼(150)을 누르면 "ㅁ"자가 선택이 되고 모음인 "ㅏ"자와 자음인 "ㄹ"도 이러한 상기 방식을 반복 진행하여 "말"이라는 완전한 글자를 이루게 된다.First, to explain this, suppose that a user inputs a word "word". When the user presses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100, various character sets are shown on the display panel 100. Here, to input "ㅁ" to form the letter of "horse", press the digit button "▼" (140) of the keypad 130 several times (Press), the cursor (Cursor) is "ㅁ" (120) When the consonant is reached, pressing the "Select" button 150 selects the "ㅁ" character and the vowel "ㅏ" and the consonant "ㄹ" are repeated in this manner to form the complete word "word". .

또한, 다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도 상기 도 1과 같은 복잡한 입력방법이 동원된다. 예를 들어 가령 "Zoo"라는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영문단어를 입력하고자 한다고 가정해보자.In addition, a complicated input method as shown in FIG. 1 is used to input other characters. For example, suppose you want to enter an English word in uppercase and lowercase "Zoo".

즉, 도 2를 가지고 설명하자면 키패드(200)의 디지트버튼인 "메뉴"(210)버튼을 누르고, 디스플레이 팬널(220)에 출력되는 "영문입력모드"를 선택하여 대문자인"Z"자를 입력하기 위해 "1QZ"버튼(230)을 누른다. 처음 글자는 대문자인 "Q"자가 나오고 한 번 더 "1QZ"버튼(230)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팬널(220)에 대문자인 "Z"자가 출력되고 "선택"버튼(240)을 눌러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문자인 "o"도 입력하게 되는데 원리는 "6MNO"버튼(260)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팬널(220)에 첫 글자인 대문자 "M"이 출력된다. "6MNO"버튼(260)을 여러 번 반복해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팬널(220)의 글자는 M→ N→ O→ m→ n→ o로 바뀌고 소문자 "o"가 출력되면 "선택"버튼(240)을 눌러 선택한다. "o"글자를 하나 더 입력하려면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Zoo"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존방식은 버튼에 지정된 여러 글자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버튼을 여러 번 반복해야만 원하는 글자를 찾고 이를 선택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왔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the "digit" button of the digit button of the keypad 200 is pressed, and the input letter "Z"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English input mod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20. To press the " 1QZ " The first letter comes out of the uppercase letter "Q" and once more pressing the "1QZ" button 230, the uppercase letter "Z" is output to the display panel 220 and selected by pressing the "select" button 240. In this manner, a lowercase letter “o” is also input. In principle, when the “6MNO” button 260 is pressed, an uppercase letter “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20. When the "6MNO" button 260 is repeatedly pressed several times, the letters of the display panel 220 change from M → N → O → m → n → o and when the lowercase letter “o” is output, press the “Select” button 240. Choose. If you want to enter one more letter "o", repeat the above process to complete the word "Zoo". As such, the conventional method has been inconvenient to select one of several letters assigned to the button and to repeat the corresponding button several times to find the desired letter and to select and enter it.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버튼을 여러 번 누를 필요 없이 원하는 글자가 한번에 하나씩 입력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enable a user to input desired letters one at a time without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several times using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도 1은 종래의 한글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1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도 2는 종래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2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도 3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3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4는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4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5는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5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6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6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Korean /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tension buttons.

도 7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일어/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7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Japanese /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8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8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9는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영어/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9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 English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10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심벌세트(Symbol set;특수문자)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10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symbol set (special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tension buttons.

도 11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심벌세트(특수문자)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11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symbol set (special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tension buttons.

본 발명은 휴대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 등의 일측(一側)에 문자확장 버튼을 구성하고 키패드의 버튼마다 문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여러 번의 버튼조작이 없이 쉽게 입력하게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모드 토글을 실행하여 입력모드를 설정한다.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원하는 글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특정 문자확장 버튼과 키패드의 디지트 버튼을 함께 누르면 해당 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 확장 버튼과 해당 디지트버튼에 의해 정해지는 문자가 입력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character extension button on one side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and displays a letter for each button of the keypad so that a user can easily enter a letter without having to operate a plurality of buttons. First, the user sets the input mode by executing a mode toggle to select a character set to be input. When the input mode is set, when a specific character expansion button and the digit button of the keypad are pressed together to input a desired letter or number, the character determined by the corresponding character expansion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digit button is input in the input mode.

또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ouch screen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3에서 문자확장 버튼(330)은 장치의 왼쪽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입력의 편의상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글의 경우 19개 자음글자 와 10개의 기본 모음글자로 이루지게 된다. 이중19개 자음글자는 14개 기본자음과 5개의 경음으로 이루지게 되는데 여기서 다시 14개 기본자음은 4개의 격음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한글의 구성을 바탕으로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을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3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In FIG. 3, the text expansion button 33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evice for convenience of inpu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angul is composed of 19 consonants and 10 basic vowels. The 19 consonants consist of 14 basic consonants and 5 consonants, where again the 14 basic consonants contain 4 different consonants. Based on the Hangul composition, a method of inputting Hangul effectively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will be described.

"뺄"(300)이라는 글자를 입력한다고 가정하면 먼저, 한글모드로 변환하기 위해 문자확장 버튼(310)과 "0"디지트 버튼(320)을 함께 누르면 한글모드로 변환된다. 또는 별도의 모드변환 버튼을 마련하고, 이 모드변환 버튼을 눌러서 한글모드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문맥에 따라 자동변환이 되도록 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letter "subtract" 300 is input, first, when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310 and the "0" digit button 320 are pressed together to convert to the Hangul mode, the character is converted to the Hangul mode. Alternatively, a separate mode switch button may be provided, and the mode switch button may be pressed to switch to the Hangul mode. Or, depending on the context, it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도 3에서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자판의 가운데 표기된 문자는 디지트버튼만을 눌러서 입력이 가능하고, 자판의 위쪽에 표기된 문자는 문자확장 버튼(310)과 함께, 그리고 아래쪽에 표기된 문자는 문자확장 버튼(370)과 함께 눌러서 입력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mode in Figure 3,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keyboard can be input by pressing only the digit butto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of the keyboard with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310, and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bottom of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 370) can be pressed to enter.

즉, 상기 문자확장 버튼(330)은 "▲"(310)버튼과 "▼"(370)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이용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자판을 배열하였다.That is,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330 is composed of a "▲" (310) button and "▼" (370) to arrange the keyboard as follows to facilitate the use.

1) 해당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중단에 위치한 문자):ㄱ, ㄷ, ㅂ, ㅅ, ㅈ, ㅏ, ㅜ, ㅗ, ㅓ, ㅇ1) Character to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character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 c, ㅂ, ㅅ, ㅈ, ㅏ, TT, ㅗ, ㅓ, ㅇ

2) "▲"(31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문자): ㄲ, ㄸ, ㅃ, ㅆ, ㅉ, ㅑ, ㅠ, ㅛ, ㅕ2) Characters input using the “▲” (310) buttons (characters located on the upper left of the keyboard): ㄲ, ㄸ, ㅃ, ㅆ, ㅉ, ㅑ, ㅠ, ㅛ, ㅕ

3) "▼"(37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문자): ㅋ, ㅌ, ㅍ, ㄴ, ㅊ, ㅡ, ㄹ, ㅁ, ㅣ, ㅎ3) Characters input using the "▼" (370) buttons (characters located on the lower left of the keyboard): ㅋ, ㅌ, ッ, ㄴ, ㅁ, ㅡ, ㄹ, ㅁ, ㅣ, ㅎ

4) 숫자는 숫자모드일 때 해당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4) When the number is in number mode, simply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문자전환 버튼("▲" "◀" "▶" "▼")은 해당 자판에 배열되어 있는 문자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쉽게 문자입력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자판배열에 관한 설명도 이에 준하여 설명된다. 그리고 자음은 연속해서 여러 개가 입력될 수도 있지만 연속해서 입력되는 모음은 하나의 모음으로 조합된다. 즉, 예를 들면 "ㅏ" + "ㅣ" = "ㅐ" 등이다. 이런 형태로 입력하면 원하는 글자로 조합이 빠르게 진행된다.The character switching button ("▲" "◀" "▶"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arranged on the keyboard, so that users are easily familiar with the character input metho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keyboard layout will be described accordingly. And several consonants may be input in succession, but consecutive vowels are combined into one vowel. That is, for example, "ㅏ" + "ㅣ" = "ㅐ" and the like. If you type in this form, the combination proceeds quickly to the desired letter.

이하에서는 문자확장 버튼과 디지트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를 +로 표기한다. 그리고, 하나의 버튼을 누르고 다음 버튼을 누르는 것을 "→"로 표기한다. 즉, "3" → "1"은 "3"버튼을 누르고 이어서 "1"버튼을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se of pressing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and the digit button simultaneously is indicated by +. Then, pressing one button and pressing the next button are denoted by "→". That is, "3" → "1" means to press the "3" button and then to press the "1" button.

따라서, "뺄"자의 "ㅃ"은 "▲"(310) + "3"(34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ㅐ"자는 "6"(350) → "▼"(370) + "9"(360)를 이용하여 완성하고 마지막 받침인 "ㄹ"자인 "▼"(370) + "7"(380)을 누르면 "뺄"자가 완성되게 된다. 이를 연속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ㅃ" of "subtract" is made of "▲" 310 + "3" (340). The "ㅐ" character is completed using "6" (350) → "▼" (370) + "9" (360) and the final support "ㄹ" character "▼" (370) + "7" (380) Press to complete the "subtract" character. If you list them consecutively:

"뺄" = "▲"(310) + "0"(320) → "▲"(310) + "3"(340) → "6"(350) → "▼"(370) + "9"(360) → "▼"(370) + "7"(380)"Subtract" = "▲" (310) + "0" (320) → "▲" (310) + "3" (340) → "6" (350) → "▼" (370) + "9" ( 360) → "▼" (370) + "7" (380)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310) + "0"(320)는 한글/숫자 모드전환을 위한 것인데 이미 한글 입력모드였었다면 생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310) + "0"(320)을 실행하여 숫자모드에서 한글모드로 변환하고 다시 한글모드에서 숫자모드로 전환하고 싶다면 "▲"(310) + "0"(320)을 다시 한번 실행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characters may be continuously input using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Here, "▲" 310 + "0" 320 is for Hangul / Numeric mode switching, but if it was already in Korean input mode, it can be omitted. Otherwise, execute "▲" (310) + "0" (320) to convert from numeric mode to Korean mode and if you want to switch back to Korean mode from Korean mode, change "▲" (310) + "0" (320). Just run it again.

도 4는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상기 도 3이 한글입력 방법이였던 것인데 반해서 도 4는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영문 입력방법을 보여준다.4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While FIG. 3 was a Korean input method, FIG. 4 shows an English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도 4의 키패드의 영문자판배열은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단순숫자를 입력할 경우, 예를 들면 "1-234-567-8901"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토글할 필요 없이 해당 디지트버튼만 누르면 된다.In the English keyboard arrangement of the keypad of FIG. 4, when a simple number is input in a manner used in English, for example, only a corresponding digit button is pressed without having to toggle to input a number of "1-234-567-8901". .

그리고 영문모드일 때는 상기 도3의 자판배열 설명처럼 영문자판배열도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자판을 배열하였다.In the English mode, the keyboard is arranged as follows to facilitate input of the English keyboard array as described in the keyboard layout of FIG. 3.

1) 해당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중단에 위치한 문자): A, E, I, L, O, P, U, V, Y, ※1) Character to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character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 E, I, L, O, P, U, V, Y, ※

2) "▲"(43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문자): B, D, G, J ,M, Q, S, W, Z2) Characters input using the “▲” (430) button (characters located on the upper left of the keyboard): B, D, G, J, M, Q, S, W, Z

3) "▼"(45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문자): C, F, H, K, N, R, T, X, ㆍ , @3) Characters input using the “▼” (450) button (characters located on the lower left of the keyboard): C, F, H, K, N, R, T, X, ㆍ, @

4) 숫자는 숫자모드일 때 해당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4) When the number is in number mode, simply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그리고, "def"(400)와 같은 버튼은 영어 알파벳으로 된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해 기존의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And, a button such as "def" (400) is to support the existing method to press the phone number in the English alphabet.

이하의 설명에서는 입력모드 선택버튼으로 "▲"(430) + "0"(440)을, 영문 입력 모드에서 대소문자 모드변환 버튼으로 "0"(440)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in which "▲" 430 + "0" 440 is used as the input mode selection button and "0" 440 is used as the case change mode button in the English input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디스플레이 팬널의 "Kalo"이라는 글자를 입력한다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영문모드로 토글하기 위해서 문자확장 버튼(430)을 누른 후 동시에 "0"(440)을 눌러 영문모드를 선택하고 대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소문자 입력을 위해 "0"(440)을 한 번 더 누른 후, 원하는 소문자를 입력한다. 이를 연속적인 행위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If it is assumed that the letter "Kalo" of the display panel is input, the user presses the letter expansion button 430 and simultaneously presses "0" 440 to select the English mode and inputs an uppercase letter in order to toggle to the English mode. Then, after pressing "0" 440 once more to input a lowercase letter, a desired lowercase letter is input. This is listed as a sequence of actions:

"Kalo" = "▲"(430) + "0"(440) → "▼"(450) + "4"(460) → "0"(440) → "1"(470) → "4"(460) → "5"(410)"Kalo" = "▲" (430) + "0" (440) → "▼" (450) + "4" (460) → "0" (440) → "1" (470) → "4" ( 460) → "5" (410)

여기서 "▲"(430) + "0"(440)은 영문/숫자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것이고, 한번 더 "0"(440)을 이용하는 것은 영문입력모드에서의 대/소 문자 전환을 위한 것이다.Here, "▲" (430) + "0" (440) is for switching to alphanumeric mode, and using "0" (440) once more is for switching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in English input mode. .

도 5는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5의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은 장치의 일측에 모두 마련할 수도 있고, 양측에 각각 2개씩 마련할 수도 있으며, 키패드 위에 모두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3개만 마련하여 3개버튼의 조합에 의해 4개버튼의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문자확장 버튼의 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위치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5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The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of FIG. 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or two on each side, and not on all of the keypads, but only three but four buttons by a combination of three button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n effect.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osition or combination.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쉽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3과 도4의 설명처럼 일문모드일 때는 다음과 같이 자판을 배열이 이루어 진다.In the Japanese mo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keyboard is arranged as follows in order to easily input characters using the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1) 해당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중앙에 위치한 문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や, わ1) Character to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charact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eyboard):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や, わ

2) "▲"(51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상단에 위치한 문자):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ゆ,2) Characters input using the “▲” (510) button (characters located at the top of the keyboard):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ゆ,

3) "▼"(56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하단에 위치한 문자):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 よ, 〃3) Characters input using the “▼” (560) button (character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eyboard):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 よ, 〃

4) "◀"(54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좌단에 위치한 문자):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4) Characters input using the “◀” (540) button (character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keyboard):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

5) "▶"(570)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자판의 우단에 위치한 문자):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 5) Characters input using the “▶” (570) button (characters located at the right end of the keyboard):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

6) 숫자는 숫자모드일 때 해당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6) When the number is in number mode, simply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상기 자판배열에 따라,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가지고서 일어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을 서술한다. 사용자가 가령 "ちょっと"(500)라는 촉음(促音)과 요음(拗音)을 가진 낱말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우선 일어모드로 토글하기 위하여 "▲"(510) + "0"(520)을 눌러 전환한다. 이에 이어 "ち"자를 입력하기 위해 "▲"(510) + "4"(530)를 연속하여 누른다. 그리고, 요음인 "ょ"와 촉음인 "っ" 자를 입력하기 위해 "◀"(540)을 누르고 "??"표시가 있는 디지트 버튼(550)을 누른 다음에 해당글자를 입력한다. 즉, "ょ" = "◀"(540) + "9"(550) → "▼"(560) + "9"(550) , "っ" = "◀"(540) + "9"(550) → "▼"(560) + "4"(530)와 같다. 마지막 글자인 "と"는 "▶"(570) + "4"(530)를 눌러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과정을 연속해서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method of inputting Japanese sentences with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enter a word with a tactile sound and a consonant sound like "ち ょ っ と" (500), first press "▲" (510) + "0" (520) to toggle to Japanese mode. . Subsequently, "▲" 510 + "4" 530 are continuously pressed to input the "ち" character. Then,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ょ" and the letter "っ" that is the sound note, "◀" 540 is pressed and the digit button 550 with "??" is pressed, and then the corresponding letter is input. That is, "ょ" = "◀" (540) + "9" (550) → "▼" (560) + "9" (550), "っ" = "◀" (540) + "9" (550 ) Is the same as "▼" (560) + "4" (530). The last letter "と" is completed by pressing "▶" (570) + "4" (530). Therefore, the above proces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as follows.

"ちょっと" = "▲"(510) + "0"(520) → "▲"(510) + "4"(530) → "◀"(540) + "9"(550) → "▼"(560) + "9"(550) → "◀"(540) + "9"(550) → "▼"(560) + "4"(530) → "▶"(570) + "4"(530)"ち ょ っ と" = "▲" (510) + "0" (520) → "▲" (510) + "4" (530) → "◀" (540) + "9" (550) → "▼" ( 560) + "9" (550) → "◀" (540) + "9" (550) → "▼" (560) + "4" (530) → "▶" (570) + "4" (530 )

여기서 "▲"(510) + "0"(520)은 일어입력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미 일어 입력 모드였었다면 입력모드 전환을 생략할 수 있다.Here, "▲" 510 + "0" 520 means switching to Japanese input mode. If the user has already entered the Japanese input mode, the input mode switching can be omitted.

일어를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에서 진술한 요음과 촉음 이 외에도 탁음(濁音)과 반탁음(半濁音), 카타카나(カタカナ)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버튼을 누르면 변경이 된다.When entering Japanese, in addition to the rhythms and tactiles mentioned above, you need to hear the sound of the sound, the sound of the bass,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katakana.

" √ ""√"

""(입력모드 변환 토글)" "(Toggle Input Mode)

" ˚ ""˚"

" ″""″"

여기서 1), 3), 4)는 글자입력 전후에 누르면 해당글자를 변환시킨다. 예를 들면 は + " ˚ " = ぱ이거나, " ˚ " + は = ぱ처럼 알맞게 지정한다.Here 1), 3) and 4) converts the corresponding letter when pressed before or after the letter input. For example, は + "˚" = ぱ, or "˚" + は = 지정.

도 6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영어 문자 입력방법의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6은 상기 도 3의 한글입력방법과 상기 도 4의 영어입력방법을 병합에 따른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의 자판배열을 보여주는 예이다. 문자 입력은 전술한 상기 도3, 도4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여기서도 한글/영어/숫자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토글하여 각 해당 모드를 선택한다. 즉, "▲"(610) + 모드변환 버튼(600)을 누르면 한글모드, 한글모드에서 다시 상기 두 버튼을 누르면 영어모드, 영어모드에서 다시 상기 두 버튼을 누르면 숫자모드와 같이 상기 두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한글입력 모드 영어입력 모드 숫자입력 모드 한글입력 모드 ..., .이때, 현재의 입력모드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인 표시부에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6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Korean /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tension buttons.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eyboard layout of a keypad for effectively entering characters using two character expansion buttons according to merg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FIG. 3 and the English input method of FIG.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FIGS. 3 and 4, and here, the respective modes are selected by toggling in the same manner to switch to the Hangul / English / numeric mode. That is, when the "▲" (610) + mode conversion button 600 is pressed, pressing the two buttons again in the Hangul mode, Hangul mode, the English mode, pressing the two buttons again in the English mode, press the two buttons as in the numeric mode To select the input mode. That is, Hangul input mode English input mode Numeric Entry Mode Hangul input mo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indicating what the current input mode i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ich is the display panel of the apparatus.

도 7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일어/영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문자 입력은 전술한 상기 도 4, 도 5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여기서도 일어/영어/숫자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토글하여 각 해당 모드를 선택한다.7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Japanese /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The text inpu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FIGS. 4 and 5, and here, the respective modes are selected by toggling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witch to the Japanese / English / numeric mode.

도 8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8은 상기 도 3의 한글입력방법과 상기 도 5의 일어입력방법을 병합하여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자판배열을 보여주는 예이다. 문자 입력은 전술한 상기 도3,도5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여기서도 한글/일어/숫자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토글하여 각 해당 모드를 선택한다.8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eyboard layout of a keypad for effectively inputting characters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by combin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FIG. 3 and the Japanese input method of FIG. 5.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 of FIGS. 3 and 5 described above. Here, the respective modes are selected by toggling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witch to the Hangul / Japanese / numeric mode.

도 9는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영어/일어 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9는 상기 도 3의 한글입력방법과 상기 도 4의 영어입력방법, 그리고 도 5의 일어입력방법을 병합하여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자판배열을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문자 입력은 전술한 상기 도 3, 도 4, 도 5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여기서도 한글/일어/영어/숫자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토글하여 각 해당 모드를 선택한다.9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Hangul / English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FIG. 9 illustrates a keyboard layout of a keypad for effectively entering characters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by combin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FIG. 3, the English input method of FIG. 4, and the Japanese input method of FIG. 5. Yes.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 and here, the respective modes are selected by toggling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witch to the Hangul / Japanese / English / numeric modes.

도 10은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심벌세트(특수문자)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10의 (a), (b), (c)는 각각 2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한글/숫자, 영어/숫자, 한글/영어/숫자 등의 문자입력방법에 특수문자입력모드를 추가하여 각각 한글/숫자/특수문자, 영어/숫자/특수문자, 한글/영어/숫자/특수문자 문자입력방법을 구성한 예이다. 다음은 특수문자를 각 조합모드별로 입력하는 방법이다.10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symbol set (special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haracter extension buttons. (A), (b), and (c) of FIG. 10 respectively add special character input mod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such as Korean / numeric, English / numeric, Korean / English / numeric using two character extension buttons, respectively. This example shows how to input Korean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and Korean /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The following is how to input special characters for each combination mode.

1) 한글/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1) In the case of Korean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010)을 입력하기 위해 "7"(101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7" (1010) button to input the "♥" 1010 as known in the above process.

2) 영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2) For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020)을 입력하기 위해 "▲"(1060)과 함께 "7"(104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of all, the above-mentioned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7" 1040 button together with the "▲" 1060 to input the "+" 1020 as known in the above process.

3) 한글/영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3) In case of Korean /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050)을 입력하기 위해 "▼"(1030)과 함께 "8"(107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8” 1070 button together with the “▼” 1030 to input the “©” 1050 as known in the above process.

도 11은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효과적인 심벌세트(특수문자)문자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11의 (a), (b), (c), (d)는 각각 4개의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일어/숫자, 일어/영어/숫자, 한글/일어/숫자, 한글/영어/일어/숫자 문자입력방법에 특수문입력모드를 추가하여 각각 일어/숫자/특수문자, 일어/영어/숫자/특수문자, 한글/일어/숫자/특수문자, 한글/영어/일어/숫자/특수문자 문자입력방법을 구성한 예이다. 다음은 특수문자를 각 조합모드별로 입력하는 방법이다.11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ive symbol set (special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character extension buttons. (A), (b), (c), and (d) of FIG. 11 are Japanese / numeric characters, Japanese / English / numeric characters, Korean / Japanese / numeric characters, Korean / English / Japanese / numeric characters using four character expansion buttons, respectively. Add a special sentence input mode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input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Japanese /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Korean /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Korean / English /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s. This is an example. The following is how to input special characters for each combination mode.

1) 일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1) In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100)을 입력하기 위해 "7"(111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7" 1110 button to input the "♥" 1100 as known in the above process.

2) 일어/영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2) For Japanese /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150)을 입력하기 위해 "◀"(1160)과 함께 "7"(117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mentioned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7" 1170 button together with the "1" 1160 to input the "x" 1150 as well known in the above process.

3) 한글/일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3) In case of Korean /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120)을 입력하기 위해 "▲"(1130)과 함께 "7"(1140)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7" 1140 button together with the "▲" 1130 to input the "+" 1120 as is well known in the above process.

4) 한글/영어/일어/숫자/특수문자모드의 경우,4) In case of Korean / English / Japanese / numeric / special character mode,

우선, 상기 과정에서 주지된 것처럼 특수문자모드로 전환한 다음 "ⓒ"(1150)을 입력하기 위해 "▼"(1190)과 함께 "8"(1191)버튼을 누르면 위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First, the above special characters are inputted by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and then pressing the “8” 1119 button together with “▼” 1190 to input “©” 1150 as known in the above process.

이상의 상기 도 3 내지 도 11의 실시예는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서도 가능하다. 즉, 문자확장 버튼은 장치의 일측에 혹은 화면상에 배치하고 자판을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내어 각각의 해당버튼들을 터치함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특히,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는 현재의 입력모드에 따라 자판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바꿀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예를 들어, 한글/영어/숫자 입력이 가능하더라도 한글모드에서는 자판에 한글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3 to 11 are also possible on the touch screen of the device. That is, the text expansion button can be implemented by touching each of the corresponding buttons by arranging on one side of the device or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method is convenient becaus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keyboar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ent input mode. For example, even if Korean / English / numeric input is possible, it is convenient because only Korean characters can be displayed on the keyboard in Korean mo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수의 버튼을 가지는 장치에서 많은 종류의 문자입력을 문자확장 버튼과의 사용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having a limited number of buttons has an effect of convenient and quick input of many types of text inputs with a text expansion button.

Claims (9)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자확장 버튼과, "0"에서 "9"까지의 숫자버튼과, 문자모드전환 수단을 구비한 장치에서,In an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character expansion buttons, a number button of " 0 " to " 9 ", and a character mode switching means, 상기 숫자버튼에는 특정 문자모드에서 해당 숫자버튼만을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해당 숫자버튼과 상기 문자확장 버튼을 눌러서 입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며,The number button is a character that is input by pressing only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in a specific character mode, and one or more characters are display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and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상기 문자모드전환 수단을 누름에 따라 숫자입력 모드와 상기 특정 문자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문자입력모드 중의 하나가 선택되며,When the character mode switching means is pressed, one of a number input mode including a number input mode and the specific character mode is selected, 숫자입력 모드에서는 눌러진 숫자버튼에 해당하는 숫자가 입력되며,In number input mode,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number button is entered. 상기 특정 문자모드에서는 눌러진 숫자버튼과 문자확장버튼에 따라 해당 숫자버튼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 중에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In the specific character mode,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extension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input from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number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button and 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pres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확장 버튼은 제1 및 제2의 문자확장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text expansion button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text expansion button, 상기 숫자버튼에는 숫자버튼만을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1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2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The number button is displayed by pressing only the number button, the character to be input, the character to be press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and the first character expansion button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 to be press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and the second character expansion button at the same time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expansion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확장 버튼은 제1 내지 제4의 문자확장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is composed of the first to fourth character expansion button, 상기 숫자버튼에는 숫자버튼만을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1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2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3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와, 숫자버튼과 상기 제4의 문자확장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The number button includes a character to be input by pressing only a number button, a character to be pressed by pressing a number button and the first character expansion button at the same time, a character to be press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number button and the second character extension button, and a number. And a character to be input by pressing a button and the third character extension button at the same time, and a character to be press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numeric button and the fourth character extension butt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확장 버튼은 상기 장치의 일측(一側)에 위치하고 상기 문자모드전환 버튼이 키패드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The character expansion butt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evice and the character mode switching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extension button is located on the keypad. 삭제delete
KR10-2000-0046041A 2000-08-09 2000-08-09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100371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041A KR100371869B1 (en) 2000-08-09 2000-08-09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041A KR100371869B1 (en) 2000-08-09 2000-08-09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822A KR20020012822A (en) 2002-02-20
KR100371869B1 true KR100371869B1 (en) 2003-02-11

Family

ID=1968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041A KR100371869B1 (en) 2000-08-09 2000-08-09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8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228B1 (en) * 2000-12-22 2003-05-12 (주) 아이앤아이솔루션 Efficient keypad combin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using restricted number of keypad
KR100700803B1 (en) * 2001-04-26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794986B1 (en) 2006-10-31 2008-01-16 홍승혁 Input device having extended key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493B1 (en) * 1995-12-19 1999-11-15 아끼구사 나오유끼 Kana input method
KR20000010379A (en)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493B1 (en) * 1995-12-19 1999-11-15 아끼구사 나오유끼 Kana input method
KR20000010379A (en)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822A (en)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1003648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ing vowel of the Hangul in the same
JP2002251253A (en) Input part of mobile terminal
KR100937971B1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037186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100679421B1 (en) Keypad for inputting Hangu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076671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KR20020044105A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0587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JP3109642U (en)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KR100628076B1 (en) A Keypad in Mobile phone
KR100905575B1 (en)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10082330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0539281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0313360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0451191B1 (en) Arrangement of hangle inputting key for key-pad of mobile phone
KR200407401Y1 (en) Hangeul input equipment
KR101000348B1 (en) Hun-mjn-jung-ta hangul(korean alphabet) input system which uses the keyboard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