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426B1 -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426B1
KR100436426B1 KR10-2002-0033165A KR20020033165A KR100436426B1 KR 100436426 B1 KR100436426 B1 KR 100436426B1 KR 20020033165 A KR20020033165 A KR 20020033165A KR 100436426 B1 KR100436426 B1 KR 10043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board
consonant
screen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6588A (en
Inventor
박진수
박정수
황금희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02-003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426B1/en
Publication of KR2003009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4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에 있어서,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을 키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자음 자판부와; 상기 자음 자판부와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하도록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하늘(天), 땅(地), 사람(人) 삼재(三才)를 본뜬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소정형태로 배정한 모음 자판부와; 상기 자음 자판부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 및 상기 자음 자판부와 상기 모음 자판부의 버튼을 조합하여 생성된 한글에 대하여 해당하는 한자 선택표를 표시하여 선택하는 한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음 자판부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에는 각각 저장글 표시 기능과 일본어의 가다가나, 히라가나 표시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한자 버튼과 조합하여 저장글과, 가다가나 및 히라가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a consonant keyboard part in which a button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form and assigned in order to key input a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10 consonants, {ab, ㄹ, ㅂㅁ, ㅅㅇ, ㅎㅎ} Wow; In order to complete the letters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keyboard part, Cheon-jae, Cheon-ri, Cheon-ri, Cheon-ji, and Jeon-jae, who emulate Samjae, A vowel keyboard unit having three basic vowel buttons in a predetermined form; A subscript button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in combination with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And a Hanja button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Hanja selection table for the Hangul generated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and the vowel keyboard. In addition, the thre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in the vowel keyboard portion include {{}}, {{}}}, and {{}}}.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torage article, katana and hiragana.

Description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기본 자음군이 5개의 버튼으로 구비된 자음 자판부와,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으로 구비된 모음 자판부 및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한글 및 한자를 입력하고 메모리에 특수문자, 저장글, 가다가나 및 히라가나를 표의 형태로 입력하여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 입력 방법과 같이 간편하게 다중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and more specifically, {bb, c, k, k, s} A consonant keyboard part having 10 basic consonants with 5 buttons, and {cheon (·), 지 (ㅡ), phosphorus (ㅣ)} Equipped with three basic vowel buttons, it has a vowel keyboard part and a subscript button for displaying lattice sounds and a kanji button for displaying Chinese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multi-character which enables input of a multi-character as easily as a standard keyboard input method of a computer by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stored words, katana and hiragana into a table in a memory form.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용 전화기, 인터넷 TV, IMT 2000등 정보를 주고 받는 기기들의 사용이 늘면서 휴대용 단말기나 전화기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무선통신의 발달로 이제는 개인 휴대전화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고, 보다 나은 부가 서비스의 제공으로 휴대 전화를 이용한 문자 전송과 메일 송수신등 조그만 휴대전화의 자판을 이용하는 일이 많아졌다.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rtable devices, internet TVs, IMT 2000, and other devices are increasingly used to input text using a portable terminal or a telephon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personal mobile phones are becoming an indispensable necessity, and as a result of providing better value-added services, the use of keyboards such as text transmission and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mobile phones has increased.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전화와 같이 조그만 자판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현대와 같은 인터넷 시대에 알맞게 지금보다 좀 더 편리하고 사용하기 쉬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small keyboard,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nd a mobile phone, there is a demand for a more convenient and easy-to-use method suitable for the Internet age in modern times.

종래에 연구되고 사용되어온 한글 입력방법은 0에서 9까지의 한정된 작은 번호판에 모든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모음과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한개의 버튼위에 여러개의 한글 모음과 자음을 겹쳐 기입하여 왔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시 여러번씩 자판의 버튼을 눌러 한글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Korean input methods that have been studied and used in the past have overwritten several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on a single button to express vowels and consonants for representing all Korean characters in a limited number plate from 0 to 9. Therefore, the user has been using a method of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Korean characters by pressing a button of the keyboard several times when the user inputs Korean characters.

즉, 한글 하나를 입력하기 위하여 많게는 10번 이상씩 자판의 버튼을 누르는불편을 감수하여야 했으며, 글자자판의 버튼에 문자가 7자 이상 대응되게 표시하여야 하므로 보기에 혼란스럽고 사용하기에 까다로운 불편이 많았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the user has to bear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button of the keyboard more than 10 times, and the characters on the keyboard should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7 or more characters. It was.

또한, 한자나 일어같은 제 2외국어를 표현할 수 있는 다중문자 입력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특수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는 소수의 특수문자만이 가능하고, 그 방식 또한 원하는 특수문자를 찾기에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In addi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put a multi-character that can express a second foreign language such as Chinese characters or Japanese. Only a few special characters can be used to input a special character, and the method also has to be inconvenient to find a desired special character. did.

따라서, 간편하게 한글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자 입력 및 여러가지 특수문자와 일어와 같은 제 2외국어의 입력이 가능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eyboard apparatus that not only enables Korean input, but also implements multiple characters capable of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inputting various special characters and second foreign languages such as Japane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기본 자음군이 5개의 버튼으로 구비된 자음 자판부와,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으로 구비된 모음 자판부에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을 구비하여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과 같이 간편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onant keyboard that is provided with 5 buttons of 10 basic consonants group Wealth, {Cheon (지), 지 (ㅡ), phosphorus (ㅣ)} A vowel keyboard provided with three basic vowel buttons, with a subscript button for displaying lattice sounds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for displaying Chinese characters. It is to provide a keyboard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the same, which implements a simple multi-character such as a computer's standard keyboard input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특수문자, 저장글, 가다가나 및 히라가나를 표의 형태로 입력하여, 간단한 글자자판의 버튼조작으로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eyboard device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by selecting the required character by the button operation of a simple character keyboard, by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s, stored words, katana and hiragana in the form of a table; It provides an input metho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에 있어서,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을 키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자음 자판부와;A consonant keyboard unit for dividing and assigning buttons in a predetermined form to key input a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10 consonants;

상기 자음 자판부와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하도록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소정형태로 배정한 모음 자판부와;A vowel keyboard unit in which three basic vowel buttons are assigned in a predetermined form: {cheon (·), ji (−), phosphorus (ㅣ)}, which is a resource of Hunminjeongeum to combine letters with the consonant keyboard;

상기 자음 자판부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 및A subscript button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in combination with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And

상기 자음 자판부와 상기 모음 자판부의 버튼을 조합하여 생성된 한글에 대하여 해당하는 한자 선택표를 표시하여 선택하는 한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for the Hangul generated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part and the vowel keyboard part.

그리고, 상기 첨자 버튼에는 상기 첨자 버튼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에 물음표(?)를 표시하는 물음표(?) 버튼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script button may include a question mark (?) Button function that displays a question mark (?) On the screen by repeating pressing the subscript button twice.

또한, 상기 자음 자판부와 모음 자판부 및 한자 버튼은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숫자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rabic consonants of {1,2,3,4,5,6,7,8,9,0} are displayed in order for the consonant keyboard part, the vowel keyboard part,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s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buttons to display number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umeric button to display.

아울러, 상기 자음 자판부는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ㅅㅇ} 버튼에는 상기 첨자 버튼과 조합하여 공백을 표시하는 공백 버튼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sonant keyboard portion is composed of five buttons each of the consonant combinations {{ㄴ, ㄷ ㄹ, ㅂㅁ, ㅅㅇ, ㅎㅎ}, and the {ㅇ} button includes a blank button function for displaying a space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It is characteristic.

그리고, 상기 모음 자판부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모음 버튼에는 각각 저장글 표시 기능과 일본어의 가다가나, 히라가나 표시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한자 버튼과 조합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three basic collection buttons {Cheon (지), Ji (ㅡ), In (ㅣ)} arranged in the vowel keyboard part includes a storage display function and a Japanese katana and hiragana display func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더불어,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로부터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열의 자음을 생성하는 기본자음 생성단계와;In addition, by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from the consonant keyboard part consisting of five button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son, {, b, ..., {, ...}} of the keyboard device, a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generated or a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A basic consonant generation step of receiving the input times and generating consonants in a row behind the button;

상기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로부터 버튼 동작을 3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의 앞열의 자음을 각각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생성하는 쌍자음 생성단계와;The consonant keyboard consisting of five button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the consonant combination {{b, ㄷ, ㅂㅁ, ㅅㅇ, ㅈㅎ} of the keyboard device, receives a button operation three times, and each consonant of the front row of the corresponding button {ㄲ, ㄸ, ㅃ A double consona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sonant of two consonants;

상기 자판장치의 첨자 버튼을 입력후에 상기 자음 자판부의 {ㄱㄴ, ㄷㄹ, ㅂㅁ,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4개 버튼의 각 누름 동작을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각각 {ㅋ, ㅌ, ㅍ, ㅊ}의 격자음으로 생성하는 격자음 생성단계와;After inputting the subscript button of the keyboard apparatus, each pressing operation of the four button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AB, ㄷㄹ, ㅂㅁ, ㅈㅎ} is input and each consonant in the row of the corresponding button {ㅋ, ㅌ, プ, A lattice sound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lattice sound of the grid;

상기 자판장치의 모음 자판부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과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을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생성단계와;Th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in the vowel keyboard portion of the keyboard apparatus are input to generate three vowel buttons, or the basic vowel buttons are additionally input with the basic vowel buttons. A vowel generation step of combining any vowel buttons to generate a vowel of any remaining vowel groups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천(ㆍ)} 버튼과 같은 버튼인 저장글 버튼과 한자 버튼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저장글 선택표가 화면에 표시되는 저장글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저장글을 선택한 후상기 한자 버튼을 다시 눌러 선택한 저장글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When the combination of the save button and the kanji button, which are the same buttons as the {cloth (·)}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is operated, the save selection table stored in the memory is changed to the save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direction button Selecting a desired article by u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and displaying the selected article on the screen;

한글이 표시된 상기 화면에서 커서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1음절 한글에 상기 한자 버튼을 조합하여 버튼 동작을 입력하면 선택된 한글음의 한자 선택표가 화면에 표시되는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을 다시 눌러 선택한 한자로 변환되는 단계; 및When the button operation is inputted by combining the Hanja button with any one syllable Hangul selected by the cursor on the screen displaying Hangul, the Hanja selection table of the selected Hangul sound is switched to the Hanja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To select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and press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to convert to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And

상기 자판장치의 자음 자판부로 생성 표시되는 각 자음별로 특수 문자표가 일치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상기 화면에 표시후 상기 한자 버튼을 조합하여 선택된 자음에 일치하는 특수 문자표가 표시되어 특수문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을 눌러 선택한 특수문자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된다.The special character table is matched for each consonant generated and displayed by the consonant keyboard part of the keyboard device. The selected 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pecial character t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is displayed by combining the kanji buttons. Switching and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by using a direction button and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to display the selected special character on the screen, it is also achieved by the keyboard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s comprising a.

그리고, 상기 첨자 버튼에는 물음표(?) 버튼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첨자 버튼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에 물음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question mark (?) Button function is added to the subscript button to display a question mark (?) On the screen by repeat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ubscript button twice.

또한, 상기 자음 자판부의 상기 {ㅅㅇ} 자음 버튼에는 공백 버튼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첨자 버튼과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 공백을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part may include a blank button function to display a blank space on the screen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아울러,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지(ㅡ)} 버튼과 같은 버튼인 가다가나 버튼과 한자 버튼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가다가나 글자표가 화면에 표시되는 가다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가다가나 글자표에서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가다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을 눌러 가다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bination of the button or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J (ㅡ)}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is operated, the character tabl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In the table,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 to select the letter and then press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t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인(ㅣ)} 버튼과 같은 버튼인 히라가나 버튼과 한자 버튼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히라가나 글자표가 화면에 표시되는 히라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히라가나 글자표에서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히라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을 눌러 선택한 히라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iragana button and the kanji button are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the same button as the {in (ㅣ)}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the hiragana letter table is switched to the hiragana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direction button is displayed on the hiragana letter table. After selecting the hiragana letter using the kanji button, the selected hiragana let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자음 자판부와 모음 자판부 및 한자 버튼에서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rabic numerals of {1,2,3,4,5,6,7,8,9,0} are displayed in order in the consonant keyboard unit, the vowel keyboard unit,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s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buttons.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device for implementing multipl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글자자판의 상세도,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haracter keyboard to implement multipl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기본자음 및 쌍자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asic consonant and a double consonant gen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격자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attice sound generating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모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owel gen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저장글 표시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orage display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한자 변환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특수문자 표시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ecial character display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물음표(?)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question mark (?)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공백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lan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가다가나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히라가나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iragan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글자자판 110 : 화면100: keyboard 110: screen

120 : 기능 버튼부 210 : 자음 자판부120: function button portion 210: consonant keyboard portion

220 : 모음 자판부 230 : 첨자 버튼220: collection keyboard 230: subscript button

230a : 물음표(?) 버튼 235 : 공백 버튼230a: Question mark (?) Button 235: Blank button

240 : 한자 버튼 250 : 방향 버튼240: Chinese character button 250: Direction button

260 : 저장글 버튼 270 : 가다가나 버튼260: save button 270: go button

280 : 히라가나 버튼 300 : 한자 선택표280: Hiragana button 300: Kanji selection table

310 : 저장글 선택표 320 : 특수 문자표310: Save text selection table 320: Special character table

330 : 가다가나 글자표 340 : 히라가나 글자표330: Tagana letter table 340: Hiragana letter tabl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글자자판의 상세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device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haracter keyboard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100)은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기본 자음군이 5개의 버튼으로 구비된 자음 자판부(210)와,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으로 구비된 모음 자판부(220)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에 상기 자음자판부(210)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230)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 및 방향선택을 위한 방향 버튼(250) 등이 구비되어 4행 3열인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haracter keyboard 10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mobile phone includes a consonant keyboard unit having ten basic consonant groups with five buttons. {Lb, ㄷ, ㅁㅁ, ㅅㅇ, ㅈㅎ} And a vowel keyboard portion 220 provided with three basic vowel buttons {Cheon (지), Ji (ㅡ), Phosphorus}). In addition, a subscript button 230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for displaying a Chinese character, a direction button 250 for selecting a direction, and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It consists of 12 buttons which are 4 rows and 3 columns.

여기서, 상기 방향 버튼(250)을 제외한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은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숫자버튼 기능을 포함한다.Here, the consonant keypad 210, the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except for the direction button 250 are {1,2,3,4,5,6,7,8,9, Arabic numerals of 0} are displayed in order, and includes a number button function for displaying numbers by operating corresponding buttons.

이상과 같은 자판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는 전화 사용에 필요한 기능 버튼부(120)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110)이 더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or mobile phon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vend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unction button unit 120 and a screen 110 displaying information.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은 각각 1개의 버튼에 두개의 자음을 배정하여 한 번의 누름 키동작에서는 앞열의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고, 두 번의 연속 누름 키동작에서는 뒷열의 자음이 표시된다.The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10 consonants of the consonant keypad 210 includes 10 consonants, each of which has two consonants assigned to one button so that the consonants of the front row are displayed in one push key operation. After two consecutive presses, the consonants in the back row are displayed.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하도록 구성된 상기 모음 자판부(220)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하늘(天), 땅(地), 사람(人) 삼재(三才)를 본뜬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이 소정형태로 배정되어 구비된다.The vowel keyboard 220 configured to complete the letters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keyboard 210 is modeled after the heaven, earth, and people Samjae, which is Jejaeri of Hunminjeongeum. Three basic vowel buttons are assigned and provided in a predetermined form.

그리고 상기 첨자 버튼(230)은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격자음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bscript button 230 is combined with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to display a lattice sound.

예를 들어, 상기 기본 자음군을 이루고 있는 {ㄱ, ㄷ, ㅂ, ㅈ}은 상기 첨자 버튼(230)과 조합하여 격자음(거친소리)인 {ㅋ, ㅌ, ㅍ, ㅊ}을 표현하게 된다. 즉,상기 첨자 버튼(230)을 누르는 키동작 이후에 기본 자음군의 {ㄱ}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에 {ㅋ}을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a, c, k, k} constitu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may express {k, k, p, k} as lattice sounds (coarse sounds)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230. That is, if the {a} button of the basic consonant group is pressed after the key operation of pressing the subscript button 230, the {1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마찬가지로 상기 첨자 버튼(230)의 누름동작 후에 {ㄷ} 버튼을 누르면 {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격자음인 {ㅋ, ㅌ, ㅍ, ㅊ}을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Similarly, if the {c} button is pressed after the subscript button 230 is pressed, {ㅌ} may be displayed. In this way, all the lattice sounds {ㅋ, ㅌ, ,, ㅅ} can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기본 자음군을 통하여 또 다른 자음군인 쌍자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자음군을 구성하는 5개의 버튼은 각각 두 개씩의 자음으로 배열되어 두 번의 키동작으로 뒷열의 자음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onant group, which is another consonant group,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basic consonant group. The five buttons constitu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are arranged in two consonants, respectively, to display consonants in the rear row by two key operations.

이 때, 한 번의 키동작을 더하여 총 3번의 키동작을 하면 각각 앞열의 자음을 쌍자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기본 자음군을 이루는 5개의 버튼은 각각 앞열에 {ㄱ, ㄷ, ㅂ, ㅅ, ㅈ}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음이 배열되므로 각각의 버튼의 누름동작을 3회씩 하게 되면, 각각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을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if one key operation is added and a total of three key operations are performed, the consonants in the front row are displayed as double consonants. That is, the five buttons constitu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are each arranged with a basic consonant consisting of {a, c, ㅂ, ㅅ, ㅈ} in the front row, so if each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each of the {ㄲ, ㄸ, 쌍, ㅆ, ㅉ} double consonants.

아울러, 상기 {ㅅㅇ}으로 구성된 버튼은 상기 첨자 버튼(230)과 조합하여 공백을 표시하는 공백 버튼(235)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첨자 버튼(230)을 누른 후 상기 {ㅅㅇ} 버튼과 같은 버튼인 공백 버튼(235)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상에서 글씨의 작성위치를 표시하는 커서가 곧바로 한 칸 띄어쓰기가 되어 공백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on {{}} includes a blank button 235 function for displaying a blank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230. That is, when the blank button 235,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ㅇ} button, is pressed after the subscript button 230 is pressed, a cursor indicating a writing position of the letter is immediately spaced by one space. Will be displayed.

또한, 상기 첨자 버튼(230)은 물음표(?)를 표시할 수 있는 물음표(?) 버튼(230a)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첨자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bscript button 230 includes a function of a question mark (?) Button 230a capable of displaying a question mark (?) To repeat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ubscript button 230 twice on the screen 110. It will display a question mark (?).

이러한 표시기능은 상기 기본 자음군에서 각각 1개의 버튼에 두 개의 자음을 배정하여 한 번의 누름 키동작에서는 앞열의 자음이 표시되고, 두 번의 연속 누름 키동작에서는 뒷열의 자음이 표시 되도록 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This display function is equivalent to assigning two consonants to one button in the basic consonant group so that the consonants in the front row are displayed in one push key operation, and the consonants in the rear row in two consecutive press key operations. .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표현된 한글은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여 모두 한자로 표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desired Hangul using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yed Hangul may be displayed in Hanja in combination with the Hanja button 240.

즉, 먼저 한글을 표시하고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상기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한자들이 나열된 한자 선택표(300)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어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다시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를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자 버튼(240)은 최종 선택을 지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마치, 컴퓨터 키보드의 엔터(Enter) 키(Key)와 같은 역할을 한다.That is, when the first display of the Hangul, and press the Hanja button 240,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300 listing th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ound of the Hangul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o switch to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the direction button ( After selecting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using 250,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on the screen 110. In this case,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ncludes a function of indicating a final selection, and acts as an enter key of a computer keyboar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상기 모음 자판부(220)의 버튼을 조합하여 생성된 한글에 대하여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름으로 해당하는 한자 선택표(300)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한자 선택표(300)는 각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모든 한자를 음별로 분류한 표이며 메모리내에 구비하여 원하는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300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Hanja button 240 for the Hangul generated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and the vowel keyboard 220. will be.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300 is a table in which all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ounds of each Hangul are classified by sound, and can be displayed in a memory to display all desired Chinese characters.

아울러, 상기 모음 자판부(220)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에는 각각 저장글 표시 버튼 기능과 일본어의 가다가나, 히라가나 표시 버튼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저장글, 가다가나, 히라가나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thre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on the vowel keyboard 220 has {save (지), ji (-), in (ㅣ)}, and each of the display buttons and the Japanese katana and hiragana display buttons function. It is included in combination with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may display a stored word, Kagana, Hiragana and the lik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먼저, 저장글 표시 기능을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내에는 일일이 글자를 치지않고 한 번에 불러낼 수 있도록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미리 저장된 글은 상기 기본 모음군의 {천(ㆍ)} 버튼과 같은 버튼인 저장글 버튼(260)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으로 필요한 저장글을 불러오게 된다.First, when the stored article display function is described, frequently used boilerplate phrases are stored in advance so that they can be recalled at once without typing letters in the memory. The pre-stored article is loaded with a necessary article by a combination of a store button 260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ich are buttons such as the {thousand (·)} button of the basic vowel group.

즉, 상기 저장글 버튼(260)을 누른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상기 메모리에 입력된 저장글이 표의 형태로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저장글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저장글 선택표(310)에는 여러가지 저장글이 나열되어 있고, 원하는 저장글을 상기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fter the storage button 260 is pressed, the storage text input to the memory is switched to the storage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110 in the form of a table. Various stored articles are listed in the stored article selection table 310, and a desired stored article may be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원하는 저장글을 선택한 후에는 다시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서, 선택한 저장글이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되도록 한다.After selecting the desired article,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so that the selected article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는 가다가나 글자표(330)와 히라가나 글자표(340)가 저장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가다가나, 히라가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memory tag 330 and the hiragana letter 340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desired tag or hiragana can be displayed in the following manner.

즉,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지(ㅡ)} 버튼과 같은 버튼인 가다가나 버튼(27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가다가나 글자표(33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가다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가다가나 글자표(33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누르면 선택한 가다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된다.That is, when the combination of the button and the kanji button 270,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ji (ㅡ)}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the character table 3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en, it switches to the selection screen. In addition, when the Chinese character table 330 is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the selected character or charact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또한, 상기 가다가나 글자를 생성, 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인(ㅣ)} 버튼과 같은 버튼인 히라가나 버튼(28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히라가나 글자표(34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히라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히라가나 글자표(34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히라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눌러 선택한 히라가나 글자를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한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generation and display of the character, the hiragana button 280 and the kanji button 240,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in (ㅣ)}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operate in combination with the hiragana letter table ( 340 is switched to the hiragana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selects a desired hiragana let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then presses the kanji button 240 again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hiragana letter on the screen 110.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자판장치를 이용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keyboard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characters using the keyboard apparatus having the abov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specific examples for each step.

도 3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기본자음 및 쌍자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consonant and a double consonant gen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자음 생성단계는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로부터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열의 자음을 생성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each step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asic consonant generation step is composed of five buttons each consonant combination of {vb, c, k, k, k, k}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receives a button operation once and generates consonants in the front row of the corresponding button or receives the button operation twice and generates consonants in the rear row of the button.

그리고, 쌍자음 생성단계는 상기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로부터 버튼 동작을 3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생성한다.And, the consonant generation step receives a button operation three times from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consisting of five buttons each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s as {ㄴ b, ㄷㄹ, ㅂㅁ, ㅅㅇ, ㅈㅎ} of the keyboard apparatus of the corresponding column in front of the button Consonants are generated as consonants of {ㄲ, ㄸ, ㅃ, ㅆ, ㅉ}.

도 4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격자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attice sound generating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음(거친소리) 생성단계는 상기 자판장치의 첨자 버튼(230)을 입력후에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ㄱㄴ, ㄷㄹ, ㅂㅁ,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4개 버튼의 각 누름 동작을 입력받아 해당 버튼의 앞열의 자음을 {ㅋ, ㅌ, ㅍ, ㅊ}의 격자음으로 생성한다.As shown in FIG. 4, the lattice sound (roughness) generation step is composed of consonant combinations of {bb, c, k, k, k}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after the subscript button 230 of the keyboard device is input. Each push action of the four buttons is input to generate a consonant of the front row of the button as a grid sound of {ㅋ, ㅌ, ㅌ,,}.

도 5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모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owel gen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생성단계는 상기 자판장치의 모음 자판부(220)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과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을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vowel generation step, three basic vowel buttons {{()), (())}, and (인)} arranged in the vowel keyboard unit 220 of the keyboard apparatus are input. A vowel is generated or a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 button and the basic vowel button additionally input generates one of the remaining vowel groups except for the basic vowel group.

도 6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저장글 표시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oring display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글 표시단계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천(ㆍ)}버튼과 같은 버튼인 저장글 버튼(26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저장글 선택표(31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저장글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저장글을 선택한 수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저장글을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한다.As shown in FIG. 6, in the storing display step, when a combination of a storage button 260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ich are buttons such as the {thousand (·)}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is stored in advance, The storage selection table 310 is switched to the storage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110. Here, the desired stored article can be selected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stored article on the screen 110.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저장글 선택표(310)는 자주사용하는 문구를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에 입력시킴으로서 필요시에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The storage selection table 310 displayed on the screen 110 is a func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d use when necessary by inputting frequently used phrases into the memory in advance.

도 7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한자 변환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 변환단계는 한글이 표시된 상기 화면(110)에서 커서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1음절 한글에 상기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입력하면 선택된 한글음의 한자 선택표(300)가 화면(110)에 표시되어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다시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를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하여 한글을 한자로 변환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Hanja conversion step includes inputting the Hanja button 240 into a single syllable Hangul selected by the cursor on the screen 110 displaying the Hangul. 3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o switch to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Then, after selecting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on the screen 110 to convert the Hangul into Chinese characters.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한글을 한자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상기 화면(110)에 한글로 {가}글자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자 버튼(240)을 누른다.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의 하단에 {가}음의 한자가 나열된 한자 선택표(300)가 나타난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때,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다시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가 생성, 표시되도록 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 Korean character is to be converted into Hanja,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110} character in Korean on the screen 110. W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300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300 listing {a} negative Chinese characters at the bottom of the screen 110 is displayed is switched. At this time,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is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t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이상과 같이 모든 한글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변환이 가능하다.As above, all Korean characters can be converted in the same way.

도 8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특수문자 표시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ecial character display step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문자 표시단계는 상기 자판장치의 자음 자판부(210)로 생성 표시되는 각 자음별로 특수 문자표(320)가 일치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상기 화면(110)에 표시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선택된 자음에 일치하는 특수 문자표(320)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어 특수문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눌러 선택한 특수문자가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되게 한다.As shown in FIG. 8, the special character displaying step includes a consonant selected by matching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for each consonant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by the consonant keypad 210 of the keyboard apparatus. After the display, if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o switch to the special character selection screen. Here, after selecting the desired special character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so that the selected special charact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여기서, 각 자음마다 서로 다른 특수 문자표(320)를 배정하여 필요한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음을 표시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해당하는 특수 문자표(320)가 나타나게 된다. 이 때,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상기 특수 문자표(320)중에서 원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하면 된다.In this case, a different special character table 320 is assigned to each consonant to display consonants in which necessary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and then, w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special character table 320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desired special character may be selected from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도 9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물음표(?)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question mark (?)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음표(?) 표시방법으로 상기 첨자 버튼(230)에는 물음표(?) 버튼(230a)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첨자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은 문장 작성시 자주사용하는 물음표(?)를 2번의 누름동작으로서 손쉽게 표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nd, as shown in FIG. 9, the question mark (?) Button 230a is added to the subscript button 230 in a method of displaying a question mark (?) To repeatedly press the subscript button 230 twice. A question mark (?)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is feature has a feature that can easily display a question mark (?), Which is frequently used when writing a sentence, as two pressing operations.

도 10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공백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lan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백 표시방법은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상기 {ㅅㅇ} 자음 버튼과 같은 버튼인 공백 버튼(235)은 상기 첨자 버튼(230)과 조합하여 상기 화면(110)에 공백을 표시한다. 즉, 문장 작성시에 수시로 사용되는 공백기능(띄어쓰기)은 상기 첨자 버튼(230)을 누르고 상기 공백 버튼(235)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가능하여 사용에 편리한 특징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in the blank display method, the blank button 235,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is combined with the subscript button 230 to display the screen ( A space is displayed at 110). That is, a space function (or space) used frequently at the time of writing a sentence is possible by only pressing the subscript button 230 and pressing the blank button 235, which is convenient for use.

도 11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가다가나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다가나 표시방법은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지(ㅡ)} 버튼과 같은 버튼인 가다가나 버튼(27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가다가나 글자표(33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가다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상기 가다가나 글자표(33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누르면 선택한 가다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된다.As shown in FIG. 11, in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Kanagawa, when the combination of the Kanagawa button 27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ich are the same buttons as the {Z (o)}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is operated 3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and is switched to the selection screen. After selecting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in the character table 330 and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gain, the selected charact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여기서, 상기 가다가나 글자표(330)는 상기 가다가나 버튼(270)을 누르고,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나타나게 되며, 다수의 가다가나 글자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필요한 글자를 선택한다.Here, the kappa character table 330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kappa button 270, and press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nd because a plurality of kana characters are arranged, the necessary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Select.

도 12는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히라가나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iragan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라가나 표시방법은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인(ㅣ)} 버튼과 같은 버튼인 히라가나 버튼(28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히라가나 글자표(34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히라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히라가나 글자표(34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히라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눌러 선택한 히라가나 글자를 상기 화면(110)에 생성,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2, in the hiragana display method, when the hiragana button 280 and the kanji button 240 which are the same buttons as the {in (ㅣ)}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are operated in combination,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is operated. Is switched to the hiragana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selects a desired hiragana let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then presses the kanji button 240 again to generate and display the selected hiragana letter on the screen 110.

도 11의 가다가나 표시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히라가나 글자표(340)는 상기 히라가나 버튼(280)을 누르고,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나타나게 되며, 다수의 히라가나 글자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필요한 글자를 선택한다.Similar to the display method of FIG. 11,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hiragana button 280 and pressing the kanji button 240. Since the plurality of hiragana letters are arranged, the direction button 250 is used. Select the required letter using.

아울러,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에서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시킴으로 숫자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Arabic numerals of {1,2,3,4,5,6,7,8,9,0} in the consonant keyboard 210, the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re sequentially. It displays the number by operating the button.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를 표시할 때는 상기 기능 버튼부(120)에서 입력모드를 숫자모드로 변경한 후 글자자판(100)을 눌러 숫자를 표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ber is displayed, the function button unit 120 changes the input mode to the number mode, and then presses the letter board 100 to display the number.

이상과 같은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방법은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문자를 구현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한 입력방법을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board apparatus and its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multi-characters provide fun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standard keyboard input method of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various characters and providing a simpler input metho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판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버튼은 그 배열에 있어서 서로 위치 관계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단순한 배열 관계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다.In addition, each of the buttons constituting the key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any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the modification of the simple arrangement relationship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및 그 입력방법에 의하면,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기본 자음군이 5개의 버튼으로 구비된 자음 자판부(210)와,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으로 구비된 모음 자판부(220) 및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230)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을 구비하여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과 같이 간편하게 글자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apparatus and the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multi-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having 10 basic consonant groups with five buttons is provided. ), {Cheon (ㆍ), 지 (ㅡ), phosphorus (ㅣ)} A vowel keyboard 220 provided with three basic vowel buttons, a subscript button 230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and a kanji.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ovided to enable the display of characters as easily as the input method of a standard keyboard of a computer.

또한, 한자 버튼(240)을 누르는 간단한 키동작으로서 원하는 한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저장글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미리 입력시켜 놓고 언제든지 불러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can be displayed as a simple key operation of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n addition, by using the Save feature, the frequently used sentences can be pre-typed and recalled at any time for easy use.

아울러, 특수문자, 가다가나 및 히라가나를 표의 형태로 입력하여, 간단한 글자자판(100)의 버튼조작으로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어, 여러가지 문자를 아주 편리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by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s, katakana and hiragana in the form of a tabl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the required character b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simple character keyboard 100, to implement a multi-character that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s very convenient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eyboard apparatus and an input method thereof.

이로써, 표음문자인 한글과 표의문자인 한자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송수신에 간편하게 문자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한글로 "만나자"라는 문장을 입력하려면 여러번의 버튼 입력동작을 하여야 하는데, 한자로서 "會" 한글자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Hangul, which is a phonetic character, and Hanja, which is a ideographic character, so that a character can be easily implemented for sending and receiving a message.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the sentence "Meet Let's" in Korean, you have to do a number of button input operations.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1)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100)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keyboard 100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을 키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자음 자판부(210)와;A consonant keyboard unit 210 which is divided and assigned a button into a predetermined form to key input a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10 consonants;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하도록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소정형태로 배정한 모음 자판부(220)와;A vowel keyboard 220 having three basic vowel buttons in a predetermined form to complete a letter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keyboard 210;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첨자 버튼(230); 및A subscript button 230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in combination with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And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상기 모음 자판부(220)의 버튼을 조합하여 생성된 한글에 대하여 해당하는 한자 선택표(300)를 표시하여 선택하는 한자 버튼(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And a Hanja button 240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Hanja selection table 300 for Hangul generated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and the vowel keyboard 220. Keyboard device that implements multiple charact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첨자 버튼(230)에는 상기 첨자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하는 물음표(?) 버튼(230a)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The subscript button 230 includes a question mark (?) Button 230a function for displaying a question mark (?) On the screen 110 by repeat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ubscript button 230 twice. Keyboard device that implements multiple charact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은{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숫자 표시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the vowel keyboard unit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may have Arabic numerals of {1, 2, 3, 4, 5, 6, 7, 8, 9, 0} in order. Keyboard apparatus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umber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number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butt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자판부(210)는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ㅅㅇ} 버튼에는 상기 첨자 버튼(230)과 조합하여 공백을 표시하는 공백 버튼(235)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is composed of five buttons, each of which is consonant combination {{b, ㄷ, ㅁㅁ, ㅅㅇ, ㅎㅎ}, the {ㅇ} button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230 to display a blank Keyboar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ank button (235)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음 자판부(220)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에는 각각 저장글 표시 기능과 일본어의 가다가나, 히라가나 표시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The thre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on the vowel keyboard 220 include {{}}, {{}}}, and {{}}}. Keyboar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로부터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열의 자음을 생성하는 기본자음 생성단계와;Consonants are composed of five button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consonant combinations {{b, ㄷ, ㅁㅁ, ㅅㅇ, ㅈ}} of the keyboard device, and receives a button action once to generate a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row or the button action. A basic consonant generation step of receiving two inputs and generating consonants of a corresponding row of buttons; 상기 자판장치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로부터 버튼 동작을 3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의 앞열의 자음을 각각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생성하는 쌍자음 생성단계와;Each of the keyboard apparatus receives a button operation three times from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consisting of five button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consonants {{b, ㄷ, ㅂㅁ, ㅅㅇ, ㅈㅎ}, each of the consonants in the front row of the corresponding button {ㄲ, A double consona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sonant of ㄸ, ㅃ, ㅆ, ㅉ}; 상기 자판장치의 첨자 버튼(230)을 입력후에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ㄱㄴ, ㄷㄹ, ㅂㅁ,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4개 버튼의 각 누름 동작을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열의 자음을 각각 {ㅋ, ㅌ, ㅊ, ㅍ}의 격자음으로 생성하는 격자음 생성단계와;After inputting the subscript button 230 of the keyboard device, each of the four buttons of the consonant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pad 210 of the consonant combination is input, and each consonant of the front row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received. A lattice sound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lattice sounds of {k, k, k, k; 상기 자판장치의 모음 자판부(220)에 배열된 {천(ㆍ),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을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과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을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생성단계와;The vowels of the keyboard device 220 are arranged in the {chun (·), ji (ㅡ), phosphorus (ㅣ)} three basic vowel buttons are input to create a corresponding vowel or additionally input with the default vowel button A vowe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ny one vowel group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by combining the basic vowel buttons;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천(ㆍ)} 버튼과 같은 버튼인 저장글 버튼(26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저장글 선택표(31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저장글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저장글을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눌러 선택한 저장글이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단계와;When operating by combining the storage button 26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ich are the same buttons as the {cloth (·)}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the storage selection table 310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Switching to the displayed storage selection screen, selecting the desired storage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pressing the kanji button 240 again to display the selected storage on the screen 110; 한글이 표시된 상기 화면(110)에서 커서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1음절 한글에 상기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버튼 동작을 입력하면 선택된 한글음의 한자 선택표(300)가 화면(110)에 표시되어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다시 눌러 선택한 한자로 변환되는 단계; 및When the button operation is inputted by combining the Hanja button 240 with any one syllable Hangul selected by the cursor on the screen 110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is displayed,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table 300 of the selected Korean sou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And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is switched to select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and t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to convert to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And 상기 자판장치의 자음 자판부(210)로 생성 표시되는 각 자음별로 특수 문자표(320)가 일치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상기 화면(110)에 표시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선택된 자음에 일치하는 특수 문자표(320)가 표시되어 특수문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특수문자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The consonant selected by combin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fter displaying the selected consonant on the screen 110 by matching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for each consonant generated by the consonant vocabulary 210 of the keyboard apparatus.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 switch to the special character selection screen, and after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the selected special character is pressed on the screen 110 by pressing the kanji button 240. Keyboard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s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첨자 버튼(230)에는 물음표(?) 버튼(230a)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첨자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A question mark (?) Button 230a function is added to the subscript button 230 to repeat a pressing operation of the subscript button 2 times to display a question mark? On the screen 110. Keyboard input method that implements multiple characters.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상기 {ㅅㅇ} 자음 버튼에는 공백 버튼(235)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첨자 버튼(230)과 조합하여 상기 화면(110)에 공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The {@}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adds a blank button 235 function to display multiple characters on the screen 110 in combination with the subscript button 230. Implement keyboard input metho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지(ㅡ)} 버튼과 같은 버튼인 가다가나 버튼(27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가다가나 글자표(33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가다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가다가나 글자표(33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가다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가다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If you operate by combining the button or the button 27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J (ㅡ)}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the character table 3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e screen is switched to a selection screen, and the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by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fter selecting the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in the character table 330. Keyboard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multi-characters characterized i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본 모음 버튼의 {인(ㅣ)} 버튼과 같은 버튼인 히라가나 버튼(28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동작시키면 히라가나 글자표(340)가 화면(110)에 표시되는 히라가나선택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히라가나 글자표(340)에서 방향 버튼(250)을 이용하여 히라가나 글자를 선택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히라가나 글자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When the hiragana button 280,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in (ㅣ)} button of the basic vowel button, is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the kanji button 240,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is a hiragana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110. After switching, the hiragana letters are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button 250 in the hiragana letter table 340, and the hiragana letter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10 by pressing the kanji button 240. Implement keyboard input metho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에서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입력 방법.Arabic numerals of {1,2,3,4,5,6,7,8,9,0}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consonant keyboard 210, the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Keyboard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character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number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button.
KR10-2002-0033165A 2002-06-14 2002-06-14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0436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65A KR100436426B1 (en) 2002-06-14 2002-06-14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65A KR100436426B1 (en) 2002-06-14 2002-06-14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57U Division KR200289449Y1 (en) 2002-06-14 2002-06-14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88A KR20030096588A (en) 2003-12-31
KR100436426B1 true KR100436426B1 (en) 2004-06-23

Family

ID=3238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165A KR100436426B1 (en) 2002-06-14 2002-06-14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95B1 (en) * 2003-11-20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for servicing the Korean language into Chinese character
KR100754453B1 (en) * 2006-04-21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067347B1 (en) * 2009-07-03 2011-09-23 장선호 Hangul input keyboar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803A (en) * 1998-03-03 2000-06-26 요트.게.아. 롤페즈 Chinese character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JP2000276288A (en) * 1999-03-29 2000-10-06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010107446A (en) * 2000-05-29 2001-12-07 박형길 Mapp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on number key pad
KR20020016030A (en) * 2000-08-24 2002-03-04 홍경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KR20030005546A (en)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 a chinese character of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803A (en) * 1998-03-03 2000-06-26 요트.게.아. 롤페즈 Chinese characters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0276288A (en) * 1999-03-29 2000-10-06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20010107446A (en) * 2000-05-29 2001-12-07 박형길 Mapp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on number key pad
KR20020016030A (en) * 2000-08-24 2002-03-04 홍경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KR20030005546A (en)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 a chinese character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88A (en)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7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20120134580A (en)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KR1003213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10076671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KR10037186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200313360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0539281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330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KR100615244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based on multi-language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with using select button and funcction button in keypads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200318329Y1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JP2002229721A (en) Simplified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japanese syllable notation
KR20060018565A (en) An input method for a keyboar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78402A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7401Y1 (en) Hangeul input equipment
KR20040012219A (en) Japanese language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