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814A -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814A
KR20010084814A KR1020000010139A KR20000010139A KR20010084814A KR 20010084814 A KR20010084814 A KR 20010084814A KR 1020000010139 A KR1020000010139 A KR 1020000010139A KR 20000010139 A KR20000010139 A KR 20000010139A KR 20010084814 A KR20010084814 A KR 2001008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electrode
grid electrod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무라히사오
미야모또사또루
쯔루오까아쯔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야스나가 히데아키
히다찌 일렉트로닉 디바이시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야스나가 히데아키, 히다찌 일렉트로닉 디바이시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riority to KR102000001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814A/ko
Publication of KR2001008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2Cutters specially designed for producing particula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8Arrangement of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측벽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을 갖는 패널부, 네크부, 및 상기 패널부와 네크부를 접속시키는 퍼널부를 갖는 진공관; 2개의 유리 비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선정된 간격으로 떨어진채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캐쏘드, 제1 그리드 전극, 제2 그리드 전극,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 및 애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네크부에 수용된 전자총; 2개의 유리 비드들중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애노드에 인접한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1 포커스 전극에 인가될 중간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할하는 분압 저항;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1 포커스 전극의 상류에 배치된 제2 포커스 전극에 대향 부착되어 상기 분압 저항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리 비드들 중 하나를 둘러싸는 금속 도전체; 상기 금속 도전체와 상기 분압 저항의 중간 전압 단자 사이의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분압 저항의 절연 기판의 한 면 상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1 포커스 전극에 상기 중간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금속막―상기 금속막은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축 방향으로 적어도 1㎜ 연장되며 상기 금속 도전체로부터 적어도 1㎜ 간격이 떨어져 있음―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본 발명은 내부 분압 저항을 사용한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TV 수신기 또는 정보 터미널에 사용되는 컬러 음극선관은, 진공관의 한쪽 끝에서 복수개(통상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기 위한 전자총, 그 다른 쪽 끝에서 복수개(대개 3개)의 컬러광을 방출하기 위한 진공관의 내측면에 코팅된 인(phosphor)으로 구성된 형광 스크린, 및 형광 스크린에 근접 배치되어 컬러 선택 전극의 역할을 하는 쉐도우 마스크를 포함한다. 전자 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진공관의 외부에 장착된 편향 요크(yoke)에 의해 발생된 자계에 의해 사각 래스터(raster)를 형성하여 형광 스크린 상에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편향되어 형광 스크린을 수직 및 수평으로 스캐닝한다.
도 8은 컬러 음극선관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참조번호 1은 패널부, 참조번호 2는 인-라인형 전자총을 수용하기 위한 네크부, 참조번호 3은 패널부(1)과 네크부(2)를 접속시키는 퍼널부, 참조번호 5는 쉐도우 마스크, 참조번호 6은 마스크 프레임, 참조번호 7은 자기차폐부, 참조번호 8은 마스크 고정 메카니즘, 참조번호 10은 편향 요크, 참조번호 11은 내부 도전형 코팅, 참조번호 12는 차폐컵, 참조번호 13은 접촉 스프링, 참조번호 14는 게터(getter), 참조번호 15는 스템 핀(stem pin)을 가리킨다.
이러한 컬러 음극선관에서, 진공관은 패널부(1), 네크부(2) 및 퍼널부(3)로 구성되고, 네크부(2)에 수용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16)은 편향 요크(10)에 의해 생성된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에 놓임으로써 형광 스크린(4)를 2차원적으로 스캐닝한다.
전자빔(16)은 스템 핀(15)를 통해 공급된 영상 신호에 의해 양적으로 변조되어, 형광 스크린(4)의 바로 앞에 배치된 쉐도우 마스크(5)에 의해 컬러-선택이 이루어지며, 원하는 컬러 영상을 재생하도록 주 컬러(primary color)에 대응하는 인에 입사된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은 전체 형광 스크린에 걸쳐 충분히 작은 전자빔 스폿을 얻기 위해 다단 포커스 렌즈 시스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개평 제10-255682(1998, 9.25일)은 애노드와 포커스 전극 사이에 중간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 주 렌즈의 역할을 하는 "확장 필드 렌즈(extended field lens)"를 공개하고 있다. 도 9는 일본특개평 제10-255682호에 공개된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세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총의 X-X 라인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전자총은, 확장 필드 렌즈형으로서 같은 간격으로 동일면상에 놓인 3개의 캐쏘드(309)(각각의 전자빔에 하나씩 할당됨), 제1 전극(301), 제2 전극(302), 제3 전극(303), 제4 전극(304), 제5-1 전극(포커스 전극, 305), 제5-2전극(포커스 전극, 306), 중간 전극(310), 제6 전극(애노드 전극, 307), 및 캐쏘드(309)로부터 순서대로 동축적으로 배치된 차폐컵(308)을 포함하고, 캐쏘드 및 전극들은 한쌍의 유리 비드(311) 상에 선정된 간격으로 고정된다.
세라믹 기판 상에 제조된 분압 저항(312)는, 음극선관 내의 중간 전극(310)에 공급될 전압을 얻기 위해 음극선관 내에 수용되며, 분압 저항(312)는 유리 비드(311) 중 하나에 고정된다. 금속 와이어(314a)는 유리 비드(311)을 둘러싸고,분압 저항(3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극(310)에 용접된다.
캐쏘드(309)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캐쏘드(309)과 제1 전극(301)과 제2 전극(302)과 제3 전극(303)에 의해 형성된 프리포커스 렌즈, 제3 전극(303)과 제4 전극(304)과 제5-1 전극(305)에 의해 형성된 선행-주 렌즈와, 제5-2 전극(306)과 중간 전극(310)과 제6 전극(307)에 의해 형성된 주 렌즈에 의해 형광 스크린 상에 포커싱되어, 음극선관의 관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극(310)에 인가되는 전압은, 분압 저항(312)를 사용하여 애노드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애노드 전극보다는 낮지만 포커스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는 높도록 선택된다. 중간 전극(310)의 제공은,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포커스 전극으로 음극선관축을 따라 전위 분포가 부드러워지는 확장형 렌즈를 구성하며, 구면 수차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전자빔 스폿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 글래스(317)의 내측벽 상에 축적된 전하량은, 금속 와이어(310a)가 유리 비드(311)과 분압 저항(312)를 둘러싸도록 금속 와이어(314a)를 중간 전극(310)에 부착시킴으로써, 안정화된다.
전체 전자총이 네크 글래스(317) 내에 삽입된 후에, 네크 글래스(317)의 내측벽상에 보다 안정된 전위가 설정될 수 있도록, 금속 와이어(314a) 내에 포함된 금속부를, 외부 고주파 유도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하여 기화시킴으로써, 네크 글래스(317)의 내측벽과 분압 저항(312)과 유리 비드(311)상에 (도시되지 않은) 금속막을 형성한다.
음극선관의 제조시에, 음극선관의 개스를 완전히 배출하고 밀봉한 후에, 음극선관의 통상의 동작 전압의 약 2배 정도의 고전압을 그 애노드에 인가하는 소위 스폿-노킹(spot-knocking)을 수행하여, 전극들간에 강제로 아크 방전(arcing)시키고, 전극과 네크부의 내측벽 사이에 강제로 아크 방전시켜서, 음극선관 내의 외래 입자 또는 전자총의 전극들에서의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정규 동작시에 음극선관 내부 아크 방전을 예방한다.
그러나, 스폿-노킹용 고전압이, 내부 분압 저항을 사용하여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분할된 전압을 중간 전극으로 인가함으로써 형성된 확장 필드 렌즈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의 전극에 인가될 때, 애노드 전극과 상기 언급한 방전 억제용 금속 와이어 사이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과 그 인접한 중간 전극 사이에서 스폿-노킹을 위한 충분히 높은 전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폿-노킹의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음극선관 내에서 만족할 만한 내압(withstand voltage) 특성이 얻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폿-노킹 동작 동안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들과 방전 억제용 금속 와이어 사이의 아크 방전을 방지하여 스폿-노킹 효과를 개선시킴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한, 내부 분압 저항을 사용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을 갖는 패널부, 네크부, 상기 패널부와 네크부를 접속시키는 퍼널부를 포함하는 진공관; 2개의 유리 비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선정된 간격으로떨어진채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캐쏘드, 제1 그리드 전극, 제2 그리드 전극,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 및 애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네크부에 수용된 전자총; 2개의 유리 비드들중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애노드에 인접한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1 포커스 전극에 인가될 중간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할하는 분압 저항;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2 포커스 전극에 대향 부착되어 상기 분압 저항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리 비드들 중 하나를 둘러싸는 금속 도전체―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2 포커스 전극은 상기 제1 포커스 전극의 상류에 배치됨―; 상기 금속 도전체와 상기 분압 저항의 중간 전압 단자 사이의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분압 저항의 절연 기판의 한 면 상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1 포커스 전극에 상기 중간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금속막―상기 금속막은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축 방향으로 적어도 1㎜ 연장되며 상기 금속 도전체로부터 적어도 1㎜ 간격이 떨어져 있음―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를 따라 절취된 컬러 음극선관의 부분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의 분압 저항의 상부도.
도 4는 도 3의 분압 저항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분압 저항의 부분 후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컬러 음극선관의 동작시의 전기적 구성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컬러 음극선관을 스폿-노킹하기 위한 전기적 구성의 개략도.
도 8은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개략적 세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전자총의 라인 X-X를 따라 절취된 단면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할당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음극선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필수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음극선관의 부분 전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를 따라 절취된 컬러 음극선관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3빔 인-라인형 전자총(9)는, 캐쏘드(K), 제1 그리드 전극(G1), 제2 그리드전극(G2), 제3 그리드 전극(G3), 제4 그리드 전극(G4), 제5 그리드 전극(G5), 중간 전극(GM), 및 제6 그리드 전극(G6)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6 그리드 전극(G1-G6)과 중간 전극(GM)은, 그들의 말단 플랜지(peripheral flange) 또는 이들에게 부착된 지지탭(support tab)을 한 쌍의 유리 비드(23)에 임베딩함으로써, 선정된 순서로 한 쌍의 유리 비드(23, 멀티폼 유리 비드)에 고정된다.
내부 분압 저항(25)는 네크부(2)와 대향하는 유리 비드(23)의 한 면에 장착된다. 내부 분압 저항(25)의 고전압 단자(26)은, 제6 그리드 전극(G6)에 부착된 차폐컵에 접속되고, 중간 전압 단자(27)은 중간 전극(GM)에 접속되며, 저전압 단자(28)은 스템 핀(15)들 중 하나를 통해 접지된다.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는 내부 분압 저항(25) 및 이 저항(25)를 장착하고 있는 유리 비드(23)들 중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5 그리드 전극(G5)에 접속된다.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는 니켈, 스텐레스강등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전 억제용 도전막(29A)는, 스폿-노킹 단계후에, 네크부(2)의 외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고주파 유도 가열기를 사용하여 차폐 와이어(29)를 가열시키는 네크부(2)의 내측벽 상의 차폐 와이어(29)에 포함된 금속부를 기화시킴으로써, 네크부(2)의 내측벽상에 형성된다.
차폐 와이어(29)에 의해 유도되는 아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도전막(30)의 제공은, 본 발명의 특징이며, 네크부(2)의 내측벽과 대향하는 내부 분압 저항(25)측에 배치된다.
우선, 내부 분압 저항(25)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4는, 각각 분압 저항(25)의 상부도, 측면도, 및 부분 후면 단면도이다. 내부 분압 저항(25)는 주로 루테늄 산화물(ruthenium oxide)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나 세라믹 기판(31) 상에 형성된 저항 소자(32), 고전압 단자(26), 저전압 단자(28), 및 저항 소자(32)의 두 끝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 중간 전압 단자(27)을 포함한다. 저항 소자(32)는 (예를 들어, 리드 글래스로 만들어진) 오버코트 유리막으로 피복되고, 세라믹 기판(31)의 상부면은 (예를 들어, 리드 글래스로 만들어진) 오버코트 유리막으로 피복된다.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에 대응하는 위치는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세라믹 기판(31)은 Al2O3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여 파이어링(?)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기판(31) 자체는 엄격한 의미에서 다공성(porous)이기 때문에, 세라믹 기판(31)에서 전계의 국부적인 집중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오버코트 유리막(34)는, 표면 상에 전하가 저항 소자(32)에 집중된 차폐 와이어(29)로부터의 아크 방전을 억제하여 완성된 음극선관의 정상 동작 동안에 분압 저항(25)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저항 소자(32)와는 마주보는 세라믹 기판(31)의 면 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분압 저항(25)의 전체 길이 M, 폭 W, 및 두께 T는 각각 대략 50㎜ 내지 100㎜, 5㎜ 내지 10㎜, 1㎜ 내지 2㎜ 범위 내에 있다.
차폐 와이어에 의해 유도된 아크 방전의 방지를 위한 도전막(30, 이후부터는 아크방전-방지 도전막이라 언급함)은, 도전성이 높고 스퍼터링하기 쉬운 Au-Pd 또는 Cr을 스퍼터링함으로써 오버코트 유리막(34) 상에 형성된다. 아크방전 방지 도전막(30)은 Au-Pd 또는 Cr로 만들어진 타겟을 이온으로 폭격하고, 개구를 가진 스텐레스 스틸 마스크를 사용하여 오버코트 유리막(34) 상에 Au-Pd 또는 Cr을 스퍼터링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분압 저항(25)은 유리 비드(23) 상에 장착되되, 저항 소자(32)가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 기판(31)의 한면이 유리 비드(23)을 향하도록, 즉, 오버코트 유리막(33)이 유리 비드(23)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도 6은 도 1의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의 동작동안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캐쏘드(K)로부터 방출된 전자들은, 제1 그리드 전극(G1, 접지됨)과 제2 그리드 전극(G2, 예를 들어 250V)에 의해 빔으로 만들어진 다음, 제3 그리드 전극(G3), 제4 그리드 전극(G4), 제5 그리드 전극(G5), 중간 전극(GM), 및 제6 그리드 전극(G6,애노드)에 의해 형광 스크린(4) 상에 충돌하도록 포커싱된다.
이러한 유형의 전자총(9)에서, 제6 그리드 전극(G6)에는 애노드 전압(Eb)인 가장 높은 전압(예를 들어, 30kV)가 공급되고, 중간 전극(GM)에는 (예를 들어, 애노드 전압의 55%에 대응하는 16.5 kV 정도의) 분압 저항(25)을 사용하여 애노드 전압으로부터 분할된 전압이 제공되고, 제5 그리드 전극(G5)와 제3 그리드 전극(G3)은 음극선관내에서 함께 접속되어 동일한 전압(예를 들어, 7kV)을 공급받는다. 제4 그리드 전극(G4) 및 제2 그리드 전압(G2)은 내부적으로 서로 접속되어 직류 전압(예를 들어, 650V)을 공급받는다. 제1 그리드 전극(G1)은 접지된다. 캐쏘드(K)에는 비디오 신호가 제공된다.
도 6에서, 제5 그리드 전극(G5)와 아크방전 방지 도전막(30)에 부착된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는 각각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방전 억제용 도전막(29A)는, 스폿-노킹 단계후에 네크부(2)의 외부에 있는 고주파 유도 히터를 사용하여 차폐 와이어(29)를 가열하여 차폐 와이어(29)에 포함된 금속부를 기화시켜 네크부(2)의 내측벽상에 피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후부터 스폿-노킹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을 스폿-노킹하기 위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스폿-노킹 단계에서, 방전 억제용 도전막(29A)는 아직 네크부(2)의 내측벽상에 형성되지 않았는데, 이는 도전막(29A)가 스폿-노킹 단계에서 산란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교를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방지 도전막(30)을 포함하지 않는 음극선관을 살펴보자. 음극선관으로부터 개스가 배출되고 밀봉된후,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을 제외한 모든 전극을 접지하고, 60kV의 고전압을 제6 그리드 전극(G6)에 인가하고, 분압 저항(25)을 통해 60 kV의 고전압으로부터 분할된 33kV의 전압을 중간 전극(GM)에 인가한다.
스폿-노킹의 목적은,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사이에는 27 kV를 인가하고, 중간 전극(GM)과 제5 그리드 전극(G5)사이에는 33kV를 인가하여,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사이와, 중간 전극(GM)과 제5 그리드 전극(G5)사이와, 제6 그리드 전극(G6)과 네크부(23)의 내측벽 사이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도록하여, 전자총의 전극에서의 돌출부나 음극선관 내의 외부 입자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와 제6 그리드 전극(G6)사이 또는 60 kV의 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을 갖는 내부 도전 코팅(11)사이에 아크방전이 발생하는데, 이는, 차폐 와이어(29)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5 그리드 전극(G5)가 스폿-노킹 단계 동안에 접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사이, 중간 전극(GM)과 제5 그리드 전극(G5)사이, 제6 그리드 전극(G6)과 네크부의 내측벽(2)사이, 및 중간 전극(GM)과 네크부(2)의 내측벽 사이에서 아크방전을 생성하기에 충분히 큰 전압차가 얻어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스폿-노킹의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제, 음극선관이 도 7에 도시된 본원에 따른 아크방지 도전막(30)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해보자.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개스를 배출하고 밀봉된 후에, 제6 전극(G6)과 중간 전극(GM)을 제외한 모든 전극들은 접지되고, 60kV의 고전압이 제6 그리드 전극(G6)에 인가되고, 분압 저항(25)를 통해 60kV의 고전압으로부터 분할된 33kV의 전압이 중간 전극(GM)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서, 제6 그리드 전극(G6)과 60kV의 고전압이 인가되는내부 도전 코팅(11)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의 아크방지 도전막(30)이 제공되고, 방전 억제용 차폐 와이어(29)는 접지되기 때문에, 제6 그리드 전극(G6)과 60kV의 고전압인 내부 도전 코팅(11)과 차폐 와이어(29) 사이에서 아크방전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 사이에 27kV가 인가되고, 중간 전극(GM)과 제5 그리드 전극(G5)사이에는 33kV가 인가되고, 제6 그리드 전극(G6)과 중간 전극(GM)사이, 중간 전극(GM)과 제5 그리드 전극(G5)사이, 제6 그리드 전극(G6)과 네크부(2)의 내측벽사이, 및 중간 전극(GM)과 네크부(2)의 내측벽 사이에는 충분히 강한 아크 방전이 생성된다. 그 결과, 전자총의 전극들에서 돌출부, 및 음극선관 내부의 외래 입자가 충분히 제거된다.
본원의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은, 도 3에서 분압 저항(25)의 중앙선 C-C상에서 측정된 음극선관의 축방향으로의 아크방지 도전막(30)의 길이 L은 적어도 1㎜로 설정되고 아크방지 도전막(30)과 방전억제용 차폐 와이어(20)간의 간격(G)는 적어도 1㎜로 설정된 아크 방지 도전막(30)에 의해, 충분한 아크 방지 효과를 보장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폿-노킹 단계후에, 음극선관의 정규 동작 동안에 방전 억제용 도전막(29A)는, 차폐 와이어(29)에 포함된 금속부를 네크부(2)의 외부 고주파 유도 히터를 사용하여 차폐 와이어(29)를 가열하는 네크부(2)의 내측벽상에 기화시킴으로써, 네크부(2)의 내측벽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빔 인라인형 전자총에 적용되지만, 1빔 전자총에도 역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간 전압 단자와 방전 억제용 금속 도전체 사이에 축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네크부의 내측벽과 마주보는 내부 분압 저항의 절연막 상의 금속 도전막으로부터 적어도 1㎜정도 떨어진 적어도 1㎜의 금속막을 배치하여, 스폿 노킹 동작 동안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자총과 금속 도전체 사이에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음극선관상에 스폿-노킹 효과를 향상시켜 음극선관의 정규 동작 동안에 음극선관의 내압 특성을 개선시킨다.

Claims (20)

  1. 내측벽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을 갖는 패널부, 네크부, 및 상기 패널부와 네크부를 접속시키는 퍼널부를 포함하는 진공관;
    상기 네크부 내에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캐쏘드, 제1 그리드 전극, 제2 그리드 전극,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 및 애노드가 그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쏘드로부터 방출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빔을 상기 형광 스크린 상에 포커싱하기 위한 전자총―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쏘드, 상기 제1 그리드 전극, 상기 제2 그리드 전극,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 및 상기 애노드는 선정된 축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적어도 2개의 유리 비드(glass bead)에 의해 고정됨―;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리 비드들중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애노드에 인접한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1 포커스 전극에 인가될 중간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분압 저항;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1 포커스 전극의 상류에 배치된 제2 포커스 전극에 대향 부착되어 상기 분압 저항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리 비드들 중 하나를 둘러싸는 금속 도전체; 및
    상기 금속 도전체와 상기 분압 저항의 중간 전압 단자 사이에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분압 저항의 절연 기판의 한 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1 포커스 전극에 상기 중간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금속막―상기 금속막은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축 방향으로 적어도 1㎜연장되며 상기 금속 도전체로부터 적어도 1㎜ 간격이 떨어져 있음―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Au-Pd 및 Cr중 하나로 만들어진 스퍼터링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쏘드, 상기 제1 그리드 전극, 상기 제2 그리드 전극, 상기 제3 그리드 전극, 제4 그리드 전극,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2 포커스 전극과 제1 포커스 전극, 및 애노드가 그 순서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2 포커스 전극은 상기 제3 그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4 그리드 전극은 상기 음극선관 내의 상기 제2 그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쏘드, 상기 제1 그리드 전극, 상기 제2 그리드 전극, 제3 그리드 전극, 제4 그리드 전극,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제2 및 제1 포커스 전극, 및 상기 애노드가 그 순서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 중 상기 제2 포커스 전극은 상기 제3 그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4 그리드 전극은 상기 음극선관 내의 상기 제2 그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금속 도전체에 포함된 금속부를 스퍼터링하여 형성된 상기 네크부의 내측벽 상에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00010139A 2000-02-29 2000-02-29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KR20010084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139A KR20010084814A (ko) 2000-02-29 2000-02-29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139A KR20010084814A (ko) 2000-02-29 2000-02-29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814A true KR20010084814A (ko) 2001-09-06

Family

ID=3753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139A KR20010084814A (ko) 2000-02-29 2000-02-29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81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7A (ja) * 1983-06-20 1985-01-07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JPS60212943A (ja) * 1984-04-06 1985-10-25 Sony Corp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H0794117A (ja) * 1993-09-28 1995-04-07 Sony Corp 陰極線管
JPH10289673A (ja) * 1997-04-16 1998-10-27 Sony Corp 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7A (ja) * 1983-06-20 1985-01-07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JPS60212943A (ja) * 1984-04-06 1985-10-25 Sony Corp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H0794117A (ja) * 1993-09-28 1995-04-07 Sony Corp 陰極線管
JPH10289673A (ja) * 1997-04-16 1998-10-27 Sony Corp 陰極線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498A (en) Pinched electron beam cathode-ray tube with high-voltage einzel focus lens
US4503357A (en) Cathode-ray tube
US4567400A (en) CRT Comprising metallized glass beads for suppressing arcing therein
US4977348A (en) Electron discharge tube with bipotential electrode structure
US662456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US6445117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er resistor
US6433469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US6495952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KR20010084814A (ko) 내부 분압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US4095138A (en) Electron gun having an arc-inhibiting electrode
EP0281197B1 (en) Colour cathode ray tube
KR100351080B1 (ko) 내장형 분압 저항기를 구비한 음극선관
KR10024394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15424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KR100349425B1 (ko) 분압 저항기를 내장한 음극선관
EP0333421B1 (en) Cathode ray tubes
JP2004095284A (ja) 陰極線管
WO2002052605A1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JP2000021329A (ja) 陰極線管
KR20000066888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17763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4172061A (ja) 陰極線管
JP200017349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11154473A (ja) 陰極線管
JPH07114887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