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09A -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09A
KR19980024709A KR1019970047546A KR19970047546A KR19980024709A KR 19980024709 A KR19980024709 A KR 19980024709A KR 1019970047546 A KR1019970047546 A KR 1019970047546A KR 19970047546 A KR19970047546 A KR 19970047546A KR 19980024709 A KR19980024709 A KR 1998002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data
character
electronic device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알베사
Original Assignee
요트. 게. 아. 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 게. 아. 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요트. 게. 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1998002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의해서 참조되는 데이터의 집합에서 한 개의 입력데이타를 발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문자가 선택된 후에, 데이터 집합에서 검색을 시작하는 단계와, 데이터 집합 내에서 발견된 제1의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이러한 입력데이타중 첫 번째로 구분되는 문자위에 선택커서를 배치시킨 후에, 사용자가 그것을 수정할 수 있고, 수정된 문자에 근거하여, 검색을 다시 시작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선택작업이 어려운 작은 화면들과 작은 키보드들을 가지고 있는 전자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이동전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장치.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의해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 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장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표시화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상기 방법은, 문자가 선택된 후에, 데이터 집합에서 검색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러한 입력데이타가 존재한다면, 선택된 문자로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문자로 끝이나는 문자로 시작되는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 선택커서를 배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택수단, 표시수단과 데이터의 집합을 참조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참조수단(consulting measns)은, 특히, 문자가 선택된 후에, 데이터 집합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수단과, 이러한 입력데이타가 존재한다면, 선택된 문자로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문자로 끝이나는 문자들을 가지고 있는 입력데이타 표시하는 수단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 선택커서를 배치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사용된다.
사실은 현재의 추세는 가능한한 전자장치, 특히 휴대용장치들을 소형화시키는 것이다. 소형화를 통하여, 많은 경우에 있어서, 키(key)들의 수가 줄어든 소형의 키보드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 개이면서 동일한 키 아래에 여러개의 문자들을 재그룹(regroup)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키(2) 아래에 문자 A, B, C가 있고, 키(3) 아래에는 문자 D, E, F가 결합되어 있는 전화기가 대표적인 보기이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i번째 문자는 관련된 키를 i번 만큼 빨리 그리고 연속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한 그룹의 문자들을 억세스(access)하는 동작은 특히 불편하게 된다.
상기 입력데이타를 억세스하는데 필요한 키보드 동작둘의 수를 줄이며,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 개의 입력데이타를 검색하는 방법은 특허번호 W96/27947호인 국제특허출원에 서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선택된 문자들의 열(chain)에 가장 가까운 입력데이타가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검색되는 단계와, 이러한 입력데이타가 표시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선택된 마지막 문자가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 있는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는 문자와 동일하다면, 처서는 다음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행되는 키보드의 동작 단계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검색을 간단히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두에 언급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커서는 데이터 집합내의 다른 입력데이타와 서로 구분시켜주는 표시된 입력데이타의 제1 문자위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두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커서를 배치시키는 상기 수단은 커서를 데이터 집합내의 다른 입력데이타와 서로 구분시켜주는 표시된 입력데이타의 제1 문자위에 배치시킨다.
사용자가, 검색되어지며, 스트링내에 있는 이러한 문자와 대응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검색은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수정에 근거하여, 다시 시작되어 진다. 그리고 이것은 원하는 결합상태가 발견될 때까지 계속된다.
선택동작들의 단계는 사용자들이 볼 때에,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장치의 보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확성기 이어폰
14 : 마이크로폰
12 : 화면
15 : 안테나
13 : 키보드
다음 보기에서 서술된 전자장치는 전화기이며, 서술된 검색절차는 전화번호부내에서 이름을 찾는 과정이다. 본 발명은 사실상 이러한 응용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장치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도1에서 도시된 전자장치는 이동전화이다. 그것은 확성기 이어폰(10), 화면(12), 키보드(13), 마이크로폰(14) 그리고 안테나(15)로 구성되어 있다. 키보드(13)는 메뉴내에서 이동작업을 수행하는 키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삭제기능과 대응하는 키 C와, 선택기능과 대응하는 키 →, 그리고 전화 키보드에 있는 12개의 종래의 키들(0-9 키들, *, #)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키(1)에는 공간기능이 주어졌으며, 키(2)에는 A, B, C가 키(3)에는 D, E, F 그리고 키(4)에는 G, H, I 키(5)에는 J, K, L 키(6)에는 M, N, O 키(7)에는 P, Q, R, S 키(8)에는, T, U, V 키(9)에는 W, X, Y, Z의 기능이 주어져 있다. 게다가 이러한 전화기는 작업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6)로 구성되어 있다. ETACS와 AMPS 표준에 따르는 아나로그 셀룰러 전화기에 있어서,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장치는 필립스 반도체 회사에서 제조한 8051 유닛에 근거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억세스 과정은 보기를 참조로 하여 먼저 서술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다음의 내용들을 가지고 있는 한 개의 표가 고찰되어질 것이다.
Mariette
Marie alice
Marie Anne
Marie Antoinette
그리고, 사용자가 Marie Antoinette라는 이름을 찾을려고 한다고 가정하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6)를 일단 누르게 된다. 그러면 화면에, M이 나타난다. 그리고 제1 검식이 시작된다. 선택된 문자와 대응되는 표의 제1 입력데이타가 표시된다. 제1 입력 데이타는 문자들의 연속인 Mariette가 된다. 커서는 목록에 있는 다른 입력데이타와 상기 연속된 문자(Mariette)를 구분해주는, 이러한 입력데이타의 제1 문자, 즉 t위에 놓이게 된다. (이 후에는 구분문자라고 호칭하겠다.) 사용자는 스트링내에 있는 관련된 다음 문자, 즉 공간(키(1)를 한 번 누르는 것이 의미함)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된 입력데이타를 수정할 수 있다. 스트링 Marie Alice는 스트링 Marie_와 대응하는 목록의 제1 입력데이타이며, 표시가 된다. 그리고 커서는 문자 l위에 놓이게 된다. 사용자는 키(6)를 두 번 누름으로써, 문자 n를 선택하게 된다. 지금은 Marie Anne이 화면에 나타나 있다. 커서는 문자 n위에 놓여져 있다. 사용자는 마지막으로 키(8)를 한번 누름으로써, 문자 t를 선택한다. 원하는 Marie Antoinette가 화면에 나타난다. 이러한 검색방법 동안에 화면에 나타나는 선택작업과 표시들은 다음 표에 요약되어져 있다.
선택표시
M(키6을 한 번 누름)M
Mariette
_(키1을 한 번 누름)Marie_
Marie Alice
n(키6을 두 번 누름)Marie An
Marie Anne
t(키8을 한 번 누름)Marie Ant
Marie Antoinette
그러므로, 다섯 번의 키 동작들이 원하는 이름을 찾기 위해서 필요하다. 비교를 해보면, 사용자가 Marie Antoinette라는 이름을 찾는데 필요한 Marie Ant문자들의 스트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15번의 키 동작들을 요구했었다. (M, a, 공간, tA를 위해서는 한 번, n, e를 위해서는 두 번, r, i를 위해서는 세 번)
본 발명에 따르는 검색방법의 보기가 도2의 흐름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전화 메뉴내의 검색목록을 선택했을 때에 수행된다. 이러한 선택은 도2의 화살표(S)로 표시되어 있다. 박스(5)에서는, 커서가 사용자가 찾고 있는 스트링의 제1 문자를 선택해야 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화면에 도시되어져 있다. 박스(51)에서, 상기 방법의 다음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의 선택을 기다리는 것이다. 사용자가 키를 눌렀을 때에, 일 초의 카운터가 통작된다. 이러한 카운터가 동작을 완전히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행되는 키 동작들의 단계는 많아지게 된다. 일단 카운터가 동작을 완료했을 때에는, 수행된 키 동작들의 단계와 대응하는 문자가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박스(52)로 이동하게 된다. 박스(52)에서는, 선택된 마지막 문자로 끝나는 문자들의 스트링이 표시되어져 있다. 박스(53)에서는, 목록에 있는 검색절차가 수행된다. 박스(54)에서는, 검색결과가 화면에 나타나며, 이 때, 커서는 표시된 문자들의 스트링의 제1 구분문자위에 놓이게 된다. 그 후에는, 동작이 박스(51)로부터 다시 시작된다.
사용자는 모든 순간에서 삭제키를 누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박스(50)에서 동작을 다시 시작하게하는 간섭(interruption : IT1)단계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박스(54)내에 표시된 문자들의 스트링이 사용자가 찾을려고 원하는 스트링과 대응할 때에는, 사용자는 키보드의 선택을 누른다. 그러면, 박스(55)에서 동작을 멈추게하는 간섭(IT2)을 구동시키게 된다.
한 개의 화면으로도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한 개의 문자가 선택된 후에,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단계와, 만약 전자장치에 의해서 참조되는 입력데이타가 존재한다면, 선택된 문자 또는 선택된 문자로 끝다는 문자들로 시작되면,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한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서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선택 수단과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치에 의해서 참조되며,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한 개의 입력데이타를 발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는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다른 입력데이타들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를 구분해주는 제1 문자(구분문자 : distinguished character)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데이터는 전화 번호부이며, 상기 전자장치는 메모리내에 상기 데이터의 집합이 저장되어 있는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데이터 선택 수단과 표시수단, 그리고, 한 개의 문자가 선택된 후에, 상기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수단과, 만약 상기 입력데이타가 존재한다면, 선택된 문자 또는 선택된 문자로 끝나는 문자들로 시작되며,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한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는 수단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서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집합을 참조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화기와 같은 전자장치에 있어서,
    선택커서를 이동시키는 상기 수단은,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다른 입력데이타들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를 구분해주는 제1 문자(구분문자 :distinguished character)위에 커서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데이터 선택 수단과 표시수단, 그리고, 한 개의 문자가 선택된 후에, 상기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수단과, 만약 상기 입력데이타가 존재한다면, 선택된 문자 또는 선택된 문자로 끝나는 문자들로 시작되며,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한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는 수단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내에서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집합을 참조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선택커서를 이동시키는 상기 수단은, 데이터의 집합내에 있는 다른 입력데이타들과 표시된 입력데이타를 구분해주는 제1 문자(구분문자 :distinguished character)위에 커서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19970047546A 1996-09-18 1997-09-18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KR19980024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1384 1996-09-18
FR9611384 1996-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09A true KR19980024709A (ko) 1998-07-06

Family

ID=949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546A KR19980024709A (ko) 1996-09-18 1997-09-18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82876A (ko)
EP (1) EP0831631A1 (ko)
JP (1) JPH10136075A (ko)
KR (1) KR19980024709A (ko)
CN (1) CN11039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909B1 (fi) 1997-04-01 1998-09-15 Nokia Mobile Phones Ltd Elektroninen tietojen hakumenetelmä ja laite
FI108757B (fi) * 1997-11-07 2002-03-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tietokannasta hakemiseksi
US7092511B1 (en) * 1997-12-01 2006-08-15 Sanyo Electric Co., Ltd. Telephone for retrieving memory content through simple operation
US6608895B1 (en) * 1998-11-04 2003-08-19 Tadiran Telecom Business Systems, Ltd. Method of anticipatory dialing
JP3235577B2 (ja) * 1998-12-10 2001-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のインデックス管理方法
US6388877B1 (en) * 1999-02-04 2002-05-14 Palm, Inc. Handheld computer with open accessory slot
JP3478232B2 (ja) * 2000-03-28 2003-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検索電話番号表示方法及び装置
FI20010616A (fi) * 2001-03-26 2002-09-27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tyn kohdan löytämiseksi indeksoidusta muistista
US6643371B2 (en) * 2001-08-31 2003-11-04 Wildsee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7467089B2 (en) 2001-09-05 2008-12-16 Roth Daniel L Combined speech and handwriting recognition
US7526431B2 (en) 2001-09-05 2009-04-28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Speech recognition using ambiguous or phone key spelling and/or filtering
US7809574B2 (en) * 2001-09-05 2010-10-05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Word recognition using choice lists
US7444286B2 (en) * 2001-09-05 2008-10-28 Roth Daniel L Speech recognition using re-utterance recognition
US7505911B2 (en) 2001-09-05 2009-03-17 Roth Daniel L Combined speech recognition and sound recording
FI20031758A (fi) 2003-12-02 2005-06-03 Nokia Corp Merkkijonojen muokkaaminen kosketusnäytöllä
US7945546B2 (en) 2005-11-07 2011-05-17 Google Inc. Local search and mapping for mobile devices
US20070161368A1 (en) * 2006-01-11 2007-07-12 Inventec Corporation Method for searching a function op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41436A1 (en) * 2007-11-30 2009-06-04 Yoshimichi Matsuoka Trim element for housing of computing device
JP5374071B2 (ja) * 2008-05-23 2013-12-25 株式会社Pfu 携帯端末および領域特定処理実行方法
US8635236B2 (en) * 2008-12-22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ed list for searching large index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217A (en) * 1982-01-04 1984-06-0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Directory lookup method and apparatus
US4633041A (en) * 1984-04-09 1986-12-30 At&T Information Systems Inc. Station set directory assistance arrangement
US5218536A (en) * 1988-05-25 1993-06-08 Franklin Electronic Publishers, Incorporated Electronic spelling machine having ordered candidate words
AU631276B2 (en) * 1989-12-22 1992-11-19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Name resolution in a directory databas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H0795279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Ltd メモリダイヤル制御方式
DE4333398C2 (de) * 1993-09-30 2000-06-08 Siemens Ag Verfahren für ein rechnergesteuertes Vermittlungssystem zur Ermittlung einer Geräteanschlußnummer
US5724597A (en) * 1994-07-29 1998-03-03 U S Wes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names and addresses
US5677949A (en) * 1994-12-22 1997-10-14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minimal switches for dialing
JP2001509921A (ja) * 1995-03-08 2001-07-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キーパッドから文字を選択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従って動作する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6075A (ja) 1998-05-22
CN1190221A (zh) 1998-08-12
EP0831631A1 (fr) 1998-03-25
CN1103976C (zh) 2003-03-26
US5982876A (en)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4709A (ko)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CN104731450B (zh) 用于显示用户接口的设备和方法
EP2953332B1 (en) User interface for a wireless device
KR100490855B1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US66974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database
EP1780994A2 (en) Mobile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input units
JPH08237338A (ja) セルラー電話機用ローラーバーメニューアクセス装置及び方法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US200801072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peed dial
JP3278628B2 (ja) 携帯電話機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JP2000112612A (ja) 電子機器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5001713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할 화면 출력 방법
KR200400954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처리 방법
KR20030052615A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2003316500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0400363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JP2000276473A (ja) 携帯電話機の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40055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방법
KR1006087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방법
KR1009992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검색 방법
JP3735562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情報入力方法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