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5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59B1
KR102495259B1 KR1020180040846A KR20180040846A KR102495259B1 KR 102495259 B1 KR102495259 B1 KR 102495259B1 KR 1020180040846 A KR1020180040846 A KR 1020180040846A KR 20180040846 A KR20180040846 A KR 20180040846A KR 102495259 B1 KR102495259 B1 KR 10249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toggle button
user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7908A (en
Inventor
김하영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4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259B1/en
Publication of KR2019011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Abstract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이 수신되면 확대 모드로 전환하고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동작;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타겟팅하고 선택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제2 입력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타겟팅되는 대상체를 변경하고 변경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are disclosed. A targe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switching to an enlarged mode when a first input from a user is received, and determining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the enlarged mode based on the first input;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selecting and targeting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ment area based on a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enlargement area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object has been targeted; and an operation of changing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put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d object is targeted.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아래의 기술은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대상체들을 플레이어의 의도에 맞게 정확히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targeting objects appearing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 player's intention.

RPG는 유저가 이야기 속의 캐릭터들을 연기하며 즐기는 역할 수행 게임(Role Playing Game)을 지칭한다.RPG refers to a role-playing game that users enjoy playing characters in a story.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하나의 기기로만 즐길 수 있던 싱글 플레이(Single Play)에서 벗어나 다수의 유저가 동시에 즐기는 멀티 플레이(Multi Play)가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특히 수많은 동시접속자가 동시에 진행하는 RPG를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와 같이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게임 내 스토리 또는 자유도를 즐기는 싱글 플레이 RPG와 달리 온라인 RPG는 대규모 공성전, 파티 플레이 등 유저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ulti-play, which can be enjoyed by multiple users at the same time, has become popular, breaking away from single play, which was enjoyed only with one devic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is also classified separately. Unlike single-player RPGs that enjoy in-game stories or freedom, online RPGs emphasize interaction between users, such as large-scale sieges and party play.

이와 같은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나 NPC(Non-Player Character)와 전투를 벌이거나 사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의해 공격 대상을 결정하는 것을 타겟팅(targeting)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구비된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상체를 타겟팅하면 타겟팅된 대상체와 플레이어 캐릭터가 전투를 수행하게 된다. In such an online game, users fight or hunt with other users' characters or NPCs (Non-Player Characters) using their player characters. targeting). Specifically, when a user targets an object using a mouse, keyboard, or touch input unit provided in a terminal, a battle is performed between the targeted object and the player character.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대상체 타겟팅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determining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ode based on a first input of a user; displaying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targeted based on a second input of a user received with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이 변경됨에 따라 타겟팅되는 대상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of changing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cond input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d object is targeted.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2 입력의 종료 시점에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의 유형에 기초하여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타겟팅된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즉시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whe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ends,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play command based on the type of an object target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put; and controlling the user's character to immediately execute the predetermined play command with respect to the targeted obj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확대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확대 영역을 제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leasing the magnification mode and removing the magnification area when the second input is terminated.

상기 제1 입력은 게임 화면에서 대상체들이 밀집한 영역에서 소정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는 롱 프레스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롱 프레스 이후 다른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이며, 상기 제2 입력의 종료는 드래그 중 화면 터치를 릴리즈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The first input is a long press input that touches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n area where objects are concentrated on the game screen, the second input is an input that drags to another location after the long press, and the end of the second input is a drag It may be a gesture of releasing a screen touch.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 영역에 포함된 대상체들이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를 게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of providing a plan view displaying an enlarged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me screen so that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can be identified.

상기 방법은,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된 유형의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 toggle button capable of setting the type of targetable object; and controlling so that only objects of a type set through the toggle button are targeted.

상기 토글 버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of the toggle butt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acter controlled by the user; and determ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t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대상체 타겟팅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대상체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및 상기 제공된 토글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 유형을 결정하고 타겟팅 가능한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toggle button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haracter controlled by a user;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lec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generating and providing a toggle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 types; and determining a targetable object type based on a user's input through the provided toggle button, and targeting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argetable type. A control operation; may be included.

상기 방법은,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은, 상기 캐릭터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소정 유형의 몬스터가 있는 경우 PC(Player Character)와 NPC(Non-Player Character)를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정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in the operation of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lec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a player character (PC) and a non-player character (NPC) are selected when there is a monster of a predetermined typ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efining a toggle button that is distinguished and selectable.

상기 방법은,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은, 상기 캐릭터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PC(Player Character)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 아군과 적군을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정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operation of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that can be selected through the toggle button is a toggle that distinguishes between friendly and enemy groups when the number of player characters (PC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An operation of defining a button;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터치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가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의 실행중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ouch input unit, a display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determines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ode based on a user's first input while an online game client is running; displaying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targeted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확대 모드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 따라 대상체의 정밀 타겟팅을 보조하기 위한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확대 모드를 이용한 정밀 타겟팅 방법이 적용된 게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정밀 타겟팅을 보조하기 위한 토글 버튼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정밀 타겟팅을 위해 토글 버튼을 사용한 게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online game system capable of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to 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6 to 9 illustrate examples of screens for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using an enlarged mode.
10 illustrates a plan view for assisting in precise targeting of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llustrates a game screen to which a precise targeting method using an enlarged mod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llustrates a toggle button for assisting precise targeting of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llustrates a game screen using a toggle button for precise targe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below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a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below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mean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embodiment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online game system 100 capable of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120)는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을 서비스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 컴퓨터가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game server 120 refers to a server computer that users access to use game contents. In the case of a game with a very large capacity or a large number of real-time users, a plurality of server computers may exist to service one game.

아래에서, 온라인 게임은 게임 서버(120)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여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경험치를 획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레벨을 상승시키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게임 플레이상의 그룹으로 파티를 결성하여 서로 협업하고 게임 플레이에 따른 각종 보상을 분배할 수 있다.Hereinafter, online games refer to game contents that can be used by users by accessing the game server 120 . In particular, it refers to a gam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access and play an online game at the same time, and raise a level through actions such as acquiring experience points while developing a character by playing the game. In addition, in an online game, a plurality of users may form a party in a game play group,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distribute various rewards according to game play.

도 1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예시로 타블렛과 스마트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팅 장치라면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게임 서버(12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의 일부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정밀 타겟팅 방법을 수행한다.In FIG. 1, a tablet and a smart phone are shown as examples of the user terminal 1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mputing device having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can perform a method for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You will be able to.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game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30, executes an online game client, and performs a precise targeting method for an object by a part of the online game client or separate software.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의 실행중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모듈, 사용자의 제1 입력이 수신되면 확대 모드로 전환하고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확대 모드 전환 모듈, 및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타겟팅하고 선택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입력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타겟팅되는 대상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타겟팅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 processor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execute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targeting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s input while an online game client is running, converting to an enlarged mode when a user's first input is received, and displaying the image in the enlarged mode based on the first input. An enlargement mode conversion module for determining a selection area to be selected,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enlargement area in which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is enlarged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enlargement area based on a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enlargement area A targeting control module for selecting and targeting one of the objects in the object,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object is targeted, changing the target object as the location of the second input changes,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d object has been targeted. can include

상기의 확대 모드 전환 모듈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확대 모드를 제공하고 해제하는 동작 등 확대 모드에 관련된 구체적인 기능들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겟팅 제어 모듈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확대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또는 토글 버튼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정밀 타겟팅하는 구체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magnification mode conversion module may also perform specific functions related to the magnification mode, such as providing and canceling the magnification mode. Similarly, in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targeting control module may perform specific functions of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while operating in an enlarged mode or using a toggle button.

"대상체"는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객체(object)들 중 사용자의 플레이어 캐릭터가 공격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 몬스터와 같이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NPC(Non-Player Charac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object” refers to an object that a user's player character can attack among objects appearing in an online game. For example, the target object may include a non-player character (NPC) appearing in an online game, such as a character controlled by another user or a monster.

접속자 수가 많은 온라인 게임에서는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필드 내에 다양한 속성의 객체가 섞여 있다. 사용자의 캐릭터뿐만 아니라, 아군, 적군, 몬스터, NPC 등 다양한 유형의 많은 대상체가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캐릭터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와 캐릭터의 이름이 서로 겹쳐서 보이는 경우가 많아 공격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정확하게 타겟팅하는 것이 게임의 수행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In an online game with a large number of users, objects of various properties are mixed in a field displayed on the screen. Not only the user's character, but also many objects of various types, such as allies, enemies, monsters, and NPC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so the graphic image representing the character and the name of the character often overlap each other, so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target the target to attack. It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the gam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해 소정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제스처에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touch&hold), 롱 프레스(long press), 드래그(drag), 패닝(pannin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릴리스(release) 등이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have a touch screen and include a touch input means. A touch screen means a screen o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input through a user's gesture, and the user's gesture includes a tap, a double tap, a press (touch&hold), and a long press. , drag, panning, flick, drag & drop, release, and the like.

네트워크(130)는 사용자의 단말(110)과 게임 서버(12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또는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etwork 130 includes a wired or wireless local area and/or wide area data transmission/reception network that supports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user's terminal 110 and the game server 120, and includes, for example, wired or wireless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타겟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처리는 주로 단말(11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수행하고 게임 서버(120)에 의해 데이터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음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2 to 13,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processing of data for performing the targeting method described below is mainly performed in the terminal 110, but the user terminal 110 performs only the user interface and display functions, and the game server 120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data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도 2 및 도 3은 확대 모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확대 모드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2 and 3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using an enlarged mode, and FIGS. 6 to 11 are flowcharts for precisely targeting an object using an enlarged mode. It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사용자의 캐릭터가 위치한 장소에 다양한 속성의 많은 객체가 존재하여 원하는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대상체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특정한 후에 공격 등의 행위를 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arget a desired object because there are many objects of various properties in the place where the user's character is located, the user can use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method to precisely and accurately specify the desired object, and then attack, etc. action can be taken

도 6을 참조하면, 게임 화면(6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611) 주변에 많은 수의 대상체가 존재함으로 인해 대상체들에 대응하는 캐릭터와 명칭들이 겹쳐서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객체들이 밀집한 영역(610)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원하지 않는 대상체가 타겟팅되기 쉬우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체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면 최소한의 자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6 , since a large number of objects exist around the character 611 controlled by the user on the game screen 600, it can be seen that characters and names corresponding to the objects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In this way, in the area 610 where many objects are dense, unwanted objects are likely to be targeted differently from the user's intention, and if the user can accurately specify the desired object, the gam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using minimal resources. .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curat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의 동작 201에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1 입력이 수신되면 확대 모드로 전환하고 게임 화면의 일부를 확대 모드로 표시할 영역으로 결정한다.In operation 201 of FIG. 2 ,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the enlarged m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first input. Specifically, when the user's first input is received, the mode is switched to an enlarged mode, and a portion of the game screen is determined as an area to be displayed in the enlarged mode.

확대 모드를 지시하는 제1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 중 하나로 미리 설정된 입력일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를 위한 다른 입력 명령들과 구분되는 제스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상체들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롱 프레스(long press)가 수신되면, 확대 모드의 수행을 지시하는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확대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indicating the magnification mode may be preset as one of gesture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means, and is preferably set as a gesture distinct from other input commands for game play. For example, if a long press is receiv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at a location where objects exist, it may be recognized as a first input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the enlargement mode an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nlargement mode may be performed.

사용자의 제1 입력이 감지되어 확대 모드로 전환되면,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영역을 결정하며, 이 영역을 편의상 선택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When a user's first input is sensed and converted to the enlarged mode, an area to be displayed in the enlarged m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input, and this area will be referred to as a selection area for convenience.

선택 영역의 결정은 제1 입력이 인식된 화면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이 수신된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의 영역 또는 소정 수의 셀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Determination of the selection area may be performed using a position on the screen where the first input is recognized. For example,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n area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input is received may be determined as the selection area.

선택 영역의 결정시, 제1 입력 정보 이외에 사용자 캐릭터(611)의 위치, 사용자 캐릭터(611)의 방향, 사용자 캐릭터(611)가 장착하고 있는 무기의 유형, 공격 가능 범위 등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캐릭터(611)가 현재 위치에서 장착 무기로 공격 가능한 범위 내의 대상체들이 선택 영역에 포함되도록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When determining the selection area, in addition to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position of the user character 611, the direction of the user character 611, the type of weapon the user character 611 is equipped with, and the attackable range At least one more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selection area may be determined such that objects within an attackable range of the user character 611 with the equipped weapon from the current location are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도 7은, 사용자가 제1 위치(700)에서 제1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취했을 때 제1 위치(700)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영역(710)을 표시하고 있다.7 shows a selection area 710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position 700 when the user makes a gesture for a first input at the first position 700 .

도 2의 동작 202에서, 선택 영역의 결정 후에는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고 표시한다.In operation 202 of FIG. 2 , after the selection area is determined,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is generated and displayed.

선택 영역(710)의 이미지를 확대하는 비율은 사용자가 대상체를 정밀하게 구분하여 타겟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율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 영역(710)을 확대하면 선택 영역(710) 보다 큰 확대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며, 이 확대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확대 영역으로 하여 선택 영역(710)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e at which the image of the selection area 710 is enlarged is determined at a rate that allows the user to accurately classify and target the object. When the selected area 710 is enlarged, an enlarged image larger than the selected area 710 will be generated, and all or part of the enlarged image can be displayed as an overlay on the selected area 710 as the enlarged area.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선택 영역(710)을 확대한 이미지 중 일부를 표시하기 위해, 확대 이미지 중에서 제1 입력의 위치(700)에 가까운 부분을 선택 영역(710)의 크기 만큼 잘라 확대 영역(800)으로 결정하고 선택 영역(710) 위에 확대 영역(800)을 오버레이하였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 in order to display a part of an enlarged image of the selection area 710, a portion close to the position 700 of the first input is cut and enlarged by the size of the selection area 710 in the enlarged image. It can be seen that the area 800 is determined and the enlarged area 800 is overlaid on the selected area 710 .

도 2의 동작 203에서는,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타겟팅한다.In operation 203 of FIG. 2 ,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selected and targeted based on the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enlarged area.

도 8을 참조하면, 확대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표시된 확대 영역(800)에서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체를 정밀 타겟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입력을 이용하여 확대 영역(800)에 표시된 대상체들 중 원하는 것이 선택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롱 프레스 이후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제2 입력으로 이용된다. 사용자가 드래그에 의해 제2 위치(810)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대상체 "GGGG"가 타겟팅된다.Referring to FIG. 8 , when switching to an enlarged mode, an object may be accurately targeted based on a second input received 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800 . The user may manipulate to select a desired object from among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enlarged area 800 by using the second input. In the example of FIG. 8 , a drag input for moving a touch position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after a long press is used as a second input.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position 810 by dragging, the object "GGGG" existing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targeted.

도 2의 동작 204에서는, 선택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도 8의 예에서는, 대상체 "GGGG"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대상체의 명칭을 진하게 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특정 대상체의 타겟팅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소정 위치에 타겟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타겟 근처에 특정 표시를 하거나 타겟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해 다른 대상체들과 구별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추가로 또는 대체로 사용될 수 있다.In operation 204 of FIG. 2 ,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object is targeted is displayed. In the example of FIG. 8 , the name of the object is displayed in bold to indicate that the object "GGGG" is targete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show targeting of a specific object. For example,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targe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screen, displaying a specific mark near the target, or giving a visual effect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o that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may b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used. there is.

대상체 "GGGG"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 사용자 캐릭터(611)이 대상체 "GGGG"에 대한 공격을 수행할 것이다.If the user manipulates the user interface for an attack while the object “GGGG” is being targeted, the user character 611 will attack the object “GGGG”.

또한, 제2 입력이 변경됨에 따라 확대 영역(800)에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 영역(710) 내부를 이동하면서 공격을 원하는 대상체를 찾아 타겟팅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입력의 위치에 따라 타겟팅되는 대상체를 동적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타겟팅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area displayed in the magnification area 80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cond input, the user can find and target an object to attack while moving inside the selection area 710 . A targeting situation may be notified to a user in real time by dynamically changing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put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d object has been target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위치(810)로부터 제3 위치(820)로 제2 입력을 변경함에 따라 대상체 "DDD"가 새로 타겟팅되고, 대상체 "DDD"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대상체의 명칭이 진한 글씨로 변경된다. 또한, 확대 영역(800)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 역시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as the user changes the second input from the second position 810 to the third position 820, the object "DDD" is newly targeted, indicating that the object "DDD" has been targeted. For this reason, the name of the object is changed to bold tex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larged image displayed on the enlarged area 800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input.

이에 같이, 게임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수신되는 제1 입력과 제1 입력 이후에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정밀 타겟팅과 타겟팅 대상의 변경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As such, both precision targeting and targeting target chang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input receiv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ame screen and the second input received after the first input.

이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은 게임 화면에서 대상체들이 밀집한 영역에서 소정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는 롱 프레스 입력으로, 제2 입력은 상기 롱 프레스 이후 손가락을 움직여 다른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정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다른 유형의 제스처로 설정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put is defined as a long press input in which the screen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n area where objects are concentrated on the game screen, and the second input is defined as an input in which a finger is moved and dragged to another location after the long pres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may be set to other types of gesture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curately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전환한다. 확대 모드로의 전환은, 게임 화면의 일부를 확대 모드로 표시할 영역 즉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고, 선택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대상체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이미지를 생성하고 확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operation 301, an enlarged mode is switched based on a first user input. Switching to the magnification mode involves determining a part of the game screen as an area to be displayed in the magnification mode, that is, a selection area, generating an enlarged image obtained by enlarging one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in the enlargement area. Actions may be included.

도 3의 동작 302에서는,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타겟팅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확대 모드로의 전환과 확대 영역을 이용한 정밀 타겟팅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In operation 302 of FIG. 3 ,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selected and targeted based on the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enlarged area. In the embodiment of FIG. 3 , the specific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applied to switching to the enlarged mode and precise targeting using the enlarged area.

사용자의 제2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동작 303로 이행한다. 동작 303에서는, 제2 입력의 종료 시점에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의 유형에 기초하여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는다. 소정의 플레이 명령은 대상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적군이거나 몬스터인 경우 공격 명령, 아군인 경우 대화 명령, 대상체가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 획득 명령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user's second input is detected, operation 303 is executed. In operation 303, it is determined whether to execute a predetermined play command based on the type of the target object at the end of the second input, and the predetermined play command is executed or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predetermined play comm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For example, an attack command when the object is an enemy or a monster, a conversation command when the object is an ally, and an item acquisition command when the object is an item may be determined.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가 적군인 예에서는 제2 입력이 종료되면 즉시 공격 명령을 수행하도록 판단될 수 있으며,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팅된 대상체를 즉시 공격하도록 사용자의 캐릭터를 제어한다. In an example in which the targeted object is an enemy, it may be determined to immediately execute an attack command when the second input ends, and the user's character is controlled to immediately attack the targeted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동작 304에서는 제2 입력의 종료에 대한 응답으로 확대 모드를 해제하고 확대 영역을 화면에서 제거한다. 즉, 제2 입력의 종료는 확대 모드의 해제를 지시하는 것으로, 동시에 타겟에 대한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바로 수행할지 아니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Also, in operation 304, in response to the end of the second input, the magnification mode is released and the magnification area is removed from the screen. That is, the end of the second input indicates release of the enlarged mode, and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o immediately execute a predetermined play command for the target or to execute it when there is a separate user input.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드래그 중 제3 위치(820)를 터치하고 있다가 터치 입력을 종료하는 경우, 즉 손가락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입력 도구를 터치 스크린에서 떼어 화면 터치를 릴리즈하는 경우,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 "DDD"를 즉시 공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user touches the third position 820 while dragging and then ends the touch input, that is, when the user releases the screen touch by removing the finger or the corresponding input tool from the touch screen, the target is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immediately attack the object “DDD” located there.

즉시 공격 여부의 결정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 "DDD"가 NPC일 경우는 해당 타겟에 대해 바로 공격을 시작하고, 대상체 "DDD"가 PC(Player Character)일 경우는 타겟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한채 사용자의 공격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공격을 수행한다.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attack immediately is determined based on preset conditions. For example, if the object "DDD" is an NPC, the attack starts immediately against the target, and if the object "DDD" is a PC (Player Character), the user's attack command is executed while maintain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 is being targeted. Perform an attack when input.

일 실시예에서, 확대 모드로 전환되면 선택 영역에 포함된 대상체들이 식별 가능하도록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를 생성하고, 확대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게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평면도를 제공할 수 있다. 평면도는 선택 영역을 단순하게 표현한 맵이라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switching to the magnification mode, a plan view in which distances between objects are enlarged and displayed is generated so that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can be identified, and the plan view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me screen until the magnification mode is released. can do. A floor plan can be regarded as a map that simply expresses a selection area.

도 10은 일 실시예 따라 대상체의 정밀 타겟팅을 보조하기 위한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다.10 illustrates a plan view for assisting in precise targeting of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사용자가 제1 입력에 의해 지정한 제1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 선택 영역을 확대 모드에 의해 보더라도 쿼터뷰로 인하여 겹쳐서 표시되는 대상체들이 잘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잘 식별되지 않는 대상체들에 대한 정보를 더욱 명확히 제공함으로써 정밀 타겟팅을 보조하기 위한 평면도를 제공한다. Even if the user views the selection area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position specified by the first input in the enlarged mode, overlapping objects may not be distinguished due to the quarter view. In this embodiment, a plan view is provided to assist precise targeting by more clearly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that are not well identified.

도 10을 참조하면, 선택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체들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평면도(1000) 내에 대상체들이 실제 거리보다 떨어져 있는 것으로 표시하였다. 즉, 게임 화면에서 겹쳐져 구분하기 어렵게 표시되어 있는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고 대상체의 명칭도 겹쳐지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are displayed as being farther apart than the actual distance in the plan view 1000 so that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can be grasped. That is,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displayed on the game screen that overlap and mak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and display the names of the object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이 실시예에 따라 선택 영역의 대상체 정보를 포함하는 평면도는 상기에서 설명한 확대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도는 게임 화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게임 수행에 방해되지 않을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확대 모드 전환 후 확대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게임 맵이 표시되던 영역에 게임 맵 대신 평면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정밀 타겟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lan view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of a selected area may be provided while the above-described enlargement mode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plan view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game screen, and is preferably displayed at a location that will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game performance. For example, a floor plan instead of a game map may be displayed in an area where a game map was displayed until the enlarged mode is released after switching to enlarged mod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precisely target.

평면도(1000)에는 현재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1010)를 다른 대상체와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타겟팅 대상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타겟팅 상황을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평면도(1000)에는 각 대상체의 캐릭터 이미지 대신 유형을 나타내는 간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평면도를 통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체들의 위치와 명칭, 그리고 유형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타겟팅 상황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평면도를 보면서 확대 영역 내를 이동하여 정밀한 타겟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plan view 1000, the currently targeted object 1010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and when the targeting object changes, the targeting situation may be dynamically displayed by reflecting this. In addition, a simple image indicating a type may be displayed on the plan view 1000 instead of a character image of each object. The user can grasp the locations, names, and types of objects in the selection area at a glance through the plan view, and can easily know the targeting situ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precise targeting by moving within the enlarged area while viewing a plan view.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정밀 타겟팅 방법이 적용된 게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game screen to which a method for precise targeting of an objec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의 예에서, 게임 화면에서 대상체들이 몰려 있는 영역에서 사용자가 롱 프레스 제스처를 입력하면 확대 모드가 제공되며, 롱 프레스가 입력된 위치와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가 서 있는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 영역이 확대된 확대 영역(1100)이 표시된다.In the example of FIG. 11 , when a user inputs a long press gesture in an area where objects are concentrated on a game screen, an enlargement mode is provided, and an area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long press is input and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own character is standing is An enlarged magnification area 1100 is displayed.

롱 프레스가 입력된 위치 또는 드래그가 입력되는 경로에 대상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해당 대상체를 타겟팅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겟팅된 대상체 "나이서"의 명칭을 다른 대상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타겟이 "나이서"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특정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대상체의 위치에 강조 표시 등의 특정 표시를 하는 것 외에도 게임 화면의 상단에 타겟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타겟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타겟 정보 영역(1120)으로 칭하기로 한다.If an object exists in a location where a long press is input or a path where a drag is input, the corresponding object is controlled to be targeted. Referring to FIG. 11 , the name of the targeted object "Nicer" is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target is "Nicer". In order to indicate that a specific object has been targete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arget may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game screen in addition to a specific mark such as highlighting at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An area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a target will be referred to as a target information area 1120 .

롱 프레스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움직이면, 즉 손을 떼지 않은 채로 드래그하면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대상체들이 하나씩 선택되어 타겟팅되며 상단의 타겟 정보 영역(1120)의 내용도 그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In the long press state, if the user moves his or her finger, that is, if the user drags without releasing the hand, objects in the moving direction are selected and targeted one by one, and the content of the target information area 1120 at the top is changed accordingly.

또한, 화면 우측 상단에 확대 모드가 적용되는 선택 영역을 평면도(1110)로 나타낸 이미지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도에는 선택 영역 내의 대상체 배치 현황, 각 대상체의 명칭과 유형, 타겟팅 상황 등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representing a selection area to which the enlargement mode is applied as a plan view 1110 is provided at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plan view may display the object arrangement status in the selection area, the name and type of each object, the targeting situation, and the like.

도 4는 대상체의 타겟팅에 토글 버튼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using a toggle button for targeting an object.

도 4의 동작 40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토글 버튼은 상시 제공되지 않으며, 사용자 캐릭터 주변의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제공 여부가 결정된다.In operation 401 of FIG. 4 , whether to provide a toggle button is determined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character controlled by the user. The toggle button is not provided at all times, and whether or not provided is determin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s character.

동작 402에서,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제공하되, 사용자의 캐릭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 가능한 2개 이상의대상체 유형을 결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토글 버튼을 제공한다. In operation 402, if it is determined to provide a toggle button, a toggle button capable of setting the type of targetable object is provided, but two or more set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are provided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r's character. It determines the object type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toggle button.

즉, 사용자 캐릭터 주변의 상황에 따라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 및 토글 버튼의 정의가 동적으로 변경된다. 예컨대, A 유형과 B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이 제공되다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표시된 토글 버튼이 제거되거나 C 유형과 D 유형을 구분 설정할 수 있는 다른 토글 버튼이 대신 제공될 수 있다.That is, whether or not the toggle button is provided and the definition of the toggle button ar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character. For example, a toggle button capable of distinguishing type A from type B may be provided, and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the displayed toggle button may be removed or another toggle button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type C and D may be provided instead.

동작 403에서는,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된 유형의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토글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선택하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2 이상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의 유형을 결정하여 타겟팅을 제어한다.In operation 403, only target objects of a type set through the toggle button are controlled to be targeted. When the user touches or clicks the toggle button to select one, one of two or more typ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may be selected, and targeting is controlled by determining a targetable object type based on the user input.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중인 게임의 상황에 따라 타겟팅 대상을 특정 유형으로 한정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한 정밀 타겟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이 동적으로 제공되므로, 전투 중 플레이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대상체를 타겟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a toggle button for conveniently targeting an object is dynamically provided by limiting the targeting target to a specific typ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game being played, it is possible to target the target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play situation during battle. can do.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동적으로 토글 버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대상체의 정밀 타겟팅을 보조하기 위한 토글 버튼을 예시한 것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ynamically providing a toggle butt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12 illustrates a toggle button for assisting precise targeting of an object.

도 5의 동작 501에서는 사용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예: 반경 N 셀) 내의 상황을 분석한다. In operation 501 of FIG. 5 , a situ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radius N cells) around the user character is analyzed.

동작 502에서는 소정 거리 내에 소정 유형의 몬스터(예: 보스 몬스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거리 내에 해당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동작 503으로 진행하여 PC/NPC 구분 버튼을 제공한다. 도 12의 (b)는 PC와 NPC를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예시한 것이다.In operation 502, it is determined whether a monster of a predetermined type (eg, a boss monst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 of FIG. 12 illustrates a toggle button that enables selec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PC and NPC.

화면에 표시된 PC/NPC 구분을 위한 토글 버튼을 통해 "PC"로 설정된 상태라면, 대상체들 중 "PC"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것이다. 반대로, 화면에 표시된 PC/NPC 구분을 위한 토글 버튼을 통해 "NPC"로 설정된 상태라면, 대상체들 중 "NPC"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것이다. If it is set to “PC” through the toggle button for distinguishing PC/NPC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C” type among objects will be activated so that they can be targeted. Conversely, if it is set to “NPC” through the toggle button for distinguishing PC/NPC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NPC” type among objects will be activated so that they can be targeted.

한편, 소정 거리 내에 소정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동작 504로 진행하여 PC가 소정 수(예: M 명)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PC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는 동작 505으로 진행하여 아군/적군 구분 버튼을 제공한다. 도 12의 (a)는 아군과 적군을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예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predetermined monst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proceed to operation 504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ar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Cs (eg, M), and proceed to operation 505 if there ar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Cs Separate buttons are provided. (a) of FIG. 12 illustrates a toggle button that distinguishes between friends and enemies and allows selection.

화면에 표시된 아군/적군 구분을 위한 토글 버튼을 통해 "적군"으로 설정된 상태라면, 대상체들 중 "적군"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것이다. 이때, 동일 혈맹 또는 동맹 혈맹에 속하는 캐릭터를 아군으로, 이외의 혈맹에 속하는 캐릭터를 적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혈맹간 전투시 밀집되어 있는 유저들 중 적군의 구분이 용이하여 정밀한 타겟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정 거리 내에 적대 혈맹이 들어올 경우 공격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기능 역시 제공될 수 있다.If it is set as “enemy” through the toggle button for classifying friend/enemy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enemy” type among objects will be activated so that they can be targeted. At this tim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same clan or allied clan can be classified as allies, and characters belonging to other clans can be classified as enemies, and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enemy group among users densely populated during battles between clans, enabling precise targeting. In addition, a function of changing to an attackable state when a hostile clan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also be provided.

사용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PC가 소정 수 미만이고 소정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토글 버튼을 제공할 상황이 아니므로 동작 506으로 진행하여 화면에 토글 버튼이 있으면 제거한다. 이후 다시 상황 분석을 위한 동작 501을 수행한다.If there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C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r character and there is no predetermined monster, it is not a situation to provide a toggle button, so the process proceeds to operation 506 to remove the toggle button if there is one on the screen. Thereafter, operation 501 for situation analysis is performed again.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소정 유형의 몬스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보스 몬스터 등 소정 유형의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PC가 소정 수 이상 존재하더라도 PC/NPC 구분 버튼을 우선하여 제공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5,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ertain type of monste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character, and if there is a certain type of monster, such as a boss monster, even if there ar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PCs, PC/NPC Priority is given to the classification button.

상황의 분석(동작 501)은 지속적으로 수행되며 상황의 변화에 따라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가 동적으로 결정되고 제공되는 토글 버튼의 유형 또한 동적으로 변경될 것이다.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제공되는 토글 버튼을 통해 타겟 대상을 쉽게 한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Analysis of the situation (operation 501)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whether or not to provide a toggle button is dynam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ituation, and the type of the provided toggle button is also dynamically changed. The user can easily limit and change the target subject through the toggle button provided automatical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술한 확대 모드에서 토글 버튼이 사용되는 경우는 확대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체들 중 토글 버튼에 의해 설정된 유형의 대상체만 타겟팅 가능하도록 한정될 수 있다. 토글 버튼은 일반 모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확대 모드에서 설정된 토글 버튼은 확대 모드 해제 후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toggle button is used in the above-described magnification mode, targeting may be limited to only objects of a type set by the toggle button among objects existing in the magnification area. The toggle button can be used even in the normal mode, and the toggle button set in the enlarged mode can operate the same even after canceling the enlarged mode.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정밀 타겟팅을 위해 토글 버튼을 사용한 게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13 illustrates a game screen using a toggle button for precise targe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PC/NPC 구분이 가능한 토글 버튼(1310)이 제공되었고 PC를 타겟 대상으로 한정하기 위해 토글 버튼을 조작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13 , a toggle button 1310 capable of distinguishing PC/NPC is provided, and the toggle button is operated to limit the PC as the target.

한편, 토글 버튼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것으로 활성화된 유형의 대상체들이 다른 대상체들과 구별되도록 특정 표시를 부가하거나 특정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타겟으로 선택 가능한 PC에 해당하는 대상체들의 명칭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해당 대상체들을 타겟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Meanwhile, a specific mark may be added or a specific effect may be applied so that objects of a type activated as selectable by the toggle button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In the example of FIG. 13 , names of objects corresponding to PCs selectable as targets may be emphasized to help the user target the corresponding objects.

상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0: 온라인 게임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게임 서버
130: 네트워크
100: online game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game server
130: network

Claims (14)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선택 영역에 포함된 대상체들이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를 게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determining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ode based on a user's first input;
displaying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providing a plan view in which the distances between the objects are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can be identifi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me screen; and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omprising: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e of the objects in the enlarged area is targeted based on a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이 변경됨에 따라 타겟팅되는 대상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대상체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cond input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d object has been targ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2 입력의 종료 시점에 타겟팅되어 있는 대상체의 유형에 기초하여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타겟팅된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명령을 즉시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ends,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play command based on the type of an object target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put; and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user's character to immediately execute the predetermined play command with respect to the targeted obj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확대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확대 영역을 제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of canceling the magnification mode and removing the magnification area when the second input is termin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게임 화면에서 대상체들이 밀집한 영역에서 소정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는 롱 프레스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롱 프레스 이후 다른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이며, 상기 제2 입력의 종료는 드래그 중 화면 터치를 릴리즈하는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input is a long press input that touches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n area where objects are concentrated on the game screen, the second input is an input that drags to another location after the long press, and the end of the second input is a drag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sture of releasing a screen touc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된 유형의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a toggle button for setting the type of targetable object; and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of controlling so that only the object of the type set through the toggle button is targe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버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toggle butt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a toggle button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character controlled by the user; and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omprising: determ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t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컴퓨터와 결합되어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선택 영역에 포함된 대상체들이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를 게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by being combined with a compute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ode based on a user's first input;
displaying an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providing a plan view in which the distances between the objects are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can be identifi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me screen; and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targeted based on a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대상체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공된 토글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 유형을 결정하고 타겟팅 가능한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toggle button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character controlled by a user;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lec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generating and providing a toggle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 types; and
The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omprising: determining targetable object types based on the user's input through the provided toggle button and controlling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argetable type to be targe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은, 상기 캐릭터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소정 유형의 몬스터가 있는 경우 PC(Player Character)와 NPC(Non-Player Character)를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정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operation of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lec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PC (Player Character) and NPC (Non-Player Character) can be selected separately when there is a certain type of monste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character.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omprising: defining a toggle button to do so.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은, 상기 캐릭터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PC(Player Character)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 아군과 적군을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토글 버튼을 정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operation of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that can be selected through the toggle button defines a toggle button that distinguishes and selects friendly and enemy groups when the number of PCs (Player Charac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acter's pos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peration.
컴퓨터와 결합되어 온라인 게임에서 대상체를 타겟팅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대상체들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토글 버튼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토글 버튼의 제공이 결정되면 상기 토글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대상체 유형을 정의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대상체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토글 버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공된 토글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팅 가능한 대상체 유형을 결정하고 타겟팅 가능한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체만 타겟팅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method of targeting an object in an online game by being combined with a compute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toggle button based on type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character controlled by a user;
defining a plurality of object types selectable through the toggle button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toggle button;
generating and providing a toggle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 types; and
determining targetable object types based on the user's input through the provided toggle button and controlling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argetable types to be targeted;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터치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의 실행중 사용자의 제1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모드로 표시할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영역에 포함된 대상체들이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대상체들간의 거리를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를 게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고, 상기 표시된 확대 영역 내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영역 내의 대상체 중 어느 하나가 타겟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A computing device having a touch input unit, a display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While the online game client is running, a selection area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ode is determined based on a user's first input, and the enlarged area obtained by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selected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is displayed and included in the selection area. A plan view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enlarged objects is enlarged and displayed is provid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me screen so that the enlarged objects can be identified, and one of the objects within the enlarged area is provided based on a user's second input received within the displayed enlarged area.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e has been targeted.
KR1020180040846A 2018-04-09 2018-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KR102495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46A KR102495259B1 (en) 2018-04-09 2018-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46A KR102495259B1 (en) 2018-04-09 2018-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08A KR20190117908A (en) 2019-10-17
KR102495259B1 true KR102495259B1 (en) 2023-02-02

Family

ID=6842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46A KR102495259B1 (en) 2018-04-09 2018-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1037B2 (en) * 2020-09-11 2023-08-22 Riot Games, Inc. Rapid target selection with priority zones
KR20220160790A (en)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objects of a g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778A (en) * 2004-02-09 2005-08-18 Nintendo Co Ltd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KR101726549B1 (en) * 2016-06-29 2017-04-12 정상문 Touch control method for mobile real time simulation (rts) g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778A (en) * 2004-02-09 2005-08-18 Nintendo Co Ltd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KR101726549B1 (en) * 2016-06-29 2017-04-12 정상문 Touch control method for mobile real time simulation (rts)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08A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8847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760268B (en) Path find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game
KR102559288B1 (en) Techniques for choosing a fixed offset targeting location
US20120028700A1 (en) Online parallel play
WO2022166143A1 (en) Gam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8042466A1 (en) Game program, game processing method, game system, and game device
JP2017051493A (en) Program and game system
JP5252879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KR1024952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precisely at objects in on-line game
JP6966836B2 (en) Game program, recording medium, game processing method
JP2008237372A (en)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control method
KR1026092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game action
KR1025849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event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ng event information
JP6872889B2 (en) Game program, recording medium, game processing method
JP2020127707A (en) Gam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20089496A (en) Game program, game processing method and game terminal
KR1024635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KR2013014316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difying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online game character
JP73736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OBJECTS OF A GAME
JP7170454B2 (en) System, terminal device and server
KR102185576B1 (en) Smart controler, apparatus for controling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ing user terminal
KR1021708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KR1019453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interface
JP6872890B2 (en) Game program, recording medium, game processing method
KR202201618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 managemen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