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69B1 -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69B1
KR102476569B1 KR1020220064512A KR20220064512A KR102476569B1 KR 102476569 B1 KR102476569 B1 KR 102476569B1 KR 1020220064512 A KR1020220064512 A KR 1020220064512A KR 20220064512 A KR20220064512 A KR 20220064512A KR 102476569 B1 KR102476569 B1 KR 10247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eature
height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Priority to KR102022006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정보DB, 보안정보DB, MMS정보DB, 좌표별 검색모듈, 영상처리모듈, 입체변환모듈, 영상검수모듈, 보정모듈,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영상편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AND UPDATING ERROR POINT OF IMAGE}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공촬영 등을 통해 수집한 촬영이미지는 그 즉시 보안 관련 기관에 우선적으로 전달되고, 보안 관련 기관은 해당 촬영이미지에서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 등을 제거해 편집한 최종 촬영이미지를 수치지도 제작 관련 업체에 제공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보안 관련 기관은 세밀한 편집 작업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주변 지물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해 편집한다. 이러한 편집은 정확한 영상이미지 처리가 불가하고, 일부 또는 전체가 제거 편집된 지물 이미지의 형태와 크기 등을 불명확히 해서 신뢰도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촬영이미지는 촬영 당시의 지물의 상태, 촬영각,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 지물 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되는 영상이미지는 지물 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정확한 영상이미지 제작이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3D 영상이미지 제작을 위해서는 지물 이미지의 평면도에 정확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3D 영상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물 이미지의 신뢰할 수 있는 평면이미지인 지물 이미지 제작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결국, 해당 편집 과정에서 생성된 불분명 영상이미지를 명확히 보정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가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에서 비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의 제거 부분을 합성 처리를 통해 복구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로 완성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촬영이미지와, 촬영이미지 내에 속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과, 영상처리된 제2편집구간과, 상기 제2편집구간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 상기 정보수집장치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DB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하며, 상기 제1편집구간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대상지물 검색장치를 통해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 상기 좌표별 검색모듈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를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에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을 파트 단위로 분할하며, 상기 파트별로 대체이미지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영상 처리하고 하기 보정모듈에서 보정이 완료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을 2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1기준라인 및 좌표라인과 비교해서, 상기 제1기준라인과의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과, 상기 좌표라인에 따른 위치 및 배치각을 각각 확인하고, 3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2기준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을 따라 영상 처리해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와 3D 형식의 대체이미지를 구성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해서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지물 이미지의 수집정보에 따른 높이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생성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별 좌표값을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 및 구역 데이터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와 입체형 3D 형식의 대체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를 각각 해당하는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구역 이미지 및 대체이미지 각각의 위치 및 형태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영상처리모듈 및 입체변환모듈이 영상처리한 대체이미지를 확인해서 입체변환모듈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해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끝점을 사각지대의 경계점으로 확인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해당 경계점을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와, 상기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해당 경계점을 포함하는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파악하며,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한 입체형 지물이미지의 사각지대 범위는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경계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이루는 범위로 하며, 상기 MMS정보DB에 저장된 MMS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수집정보를 수정하며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높이를 수정하는 영상검수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집정보DB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하는 보정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해서,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정보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CCD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높낮이부는,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중앙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2중앙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으며,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가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에서 비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의 제거 부분을 합성 처리를 통해 복구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로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 내에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를 제거해 편집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복구하기 위해 수집한 2D 형식의 합성이미지를 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영상 처리한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5의 이미지를 각각 영상처리하여 2D 형식으로 도시한 영상이미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검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에 대한 오류 수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한 도면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하고,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에 보완이미지를 합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도면을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변환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갱신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영상처리시스템은, 영상이미지를 생성하고 검수하는 관리장치(100)와, 제1편집구간(DS1; 도 3 참조)에서 훼손된 지물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는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관리장치(100)는, 정보수집장치(200)에서 수집정보를 수집하고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110)와, 촬영이미지 내에 편집구간(DS1) 등에 대한 좌표를 보안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120)와, 지물별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130)와,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와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 도 4 참조)를 각각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140)와, 영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150)과, 지물 이미지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160)과, 2D 및 3D 이미지와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영상검수모듈(170)과, 영상검수모듈(170)의 검수에서 확인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와 비교해서 보정하는 보정모듈(175)과,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과, 사각지대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19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의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관리장치(100)의 좌표별 검색모듈(140) 및 다수의 클라이언트(400, 400', 400"; 이하 '400')와 온라인 통신하며, 좌표별 검색모듈(140)의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평면형 영상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검색해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조건은 해당 지물의 GPS좌표, 상호, 건물명, 주소, 연락처 등일 수 있고, 해당 검색조건에 상응하는 정보들 중 평면형 영상이미지만을 추출해서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로 저장한다.
클라이언트(400)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데이터서버일 수 있고,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좌표별 검색모듈(140)로부터 수신한 검색조건 중 하나인 좌표값과 지물의 명칭과 상호 등에 따라 클라이언트(400)를 검색해서 해당 좌표값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 등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검색한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중개서버와 지도 안내서비스 서버 등은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지물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므로,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해당하는 서버 등의 클라이언트(400)를 검색해서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수집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수집정보DB(110)는, 측지측량 및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한다. 정보수집장치(200)는 해당 지역을 측지측량하고 촬영해서 관련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한 수집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실시의 보안정보DB(120)는, 촬영이미지 내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의 좌표와, 영상처리된 상기 제2편집구간의 좌표와, 상기 제2편집구간 내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범위에 정보를 보안정보로 저장 관리한다.
본 실시의 MMS정보DB(130)는, 정보수집장치(200)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MMS는 'Mobile Mapping System'의 약자이며, 이동 지도제작 시스템을 뜻한다.
MMS정보는 사진측량기술로 구현된 CCD카메라(500)와 위치측정 장비(GPS)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통합하여 이동 가능한 차량(A)에 탑재한 정보수집장치(200)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차량(A)의 운행과 함께 도로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치측정과 시각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러한 정보수집장치(200)가 수집한 MMS정보는 현장에서 해당 지물 간에 간격과 높이 및 크기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해서 좀 더 높은 정확성을 갖는 입체형 영상이미지와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수집정보DB(110)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각각 검색한다. 또한 제1편집구간(DS1)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각각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를 통해 검색한다.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훼손 지물 이미지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작업자에게 출력하고, 작업자의 선택값에 따라 해당하는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로 지정한다.
본 실시의 영상처리모듈(15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300)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CB1 내지CB4)를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도 9 참조) 단위로 분할하며,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 도 9 참조)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편집구간(DS2)에 대한 파트(DZ)별 분할과 대체이미지(IM) 합성은 3D 변환 이후에 이루어진다.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상기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에 따라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로 분류해서 도 6과 같은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영상처리모듈(150)은 위치별로 좌표값이 설정된 2D 기반의 좌표면에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실행되며, 이를 통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물 이미지는 건물 또는 구조물 등의 평면모습이고, 구역 이미지는 블록화된 구간별 범위에 대한 평면모습이다.
본 실시의 입체변환모듈(16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3D 기반의 좌표면 내에 좌표라인에 맞춰진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지물 데이터에 포함된 지물별 높이에 맞춰 지물 이미지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는 도 6과 같이 지물과 평면 모습만을 영상화한 것이므로, 해당 지역의 구역에 대한 범위는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지물에 대한 형태와 현장 모습을 이해하는데 사실상 한계가 있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한 후에 각 지물별 수집정보를 토대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의 영상검수모듈(17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데이터 별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구역 이미지 내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의 영상처리 여부를 스캐닝해서 오차 여부를 확인 및 수정을 하며, 보안정보DB(120)에서 확인한 구역에 대해 입체변환모듈(160)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한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경계점을 확인하고, 입체변환모듈(160)이 변환하여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에서 외곽라인에 상기 경계점을 갖는 지물의 지물 이미지와, 상기 사각지대 내에 해당하는 지물의 지물 이미지를 확인한다. 영상검수모듈(170)은 2D 형식 및 3D 형식의 영상이미지와 입체형 영상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을 스캐닝해서 지물별로 영상처리 상태를 파악하고 오차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를 위한 방법 등의 설명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보정모듈(175)은, 영상검수모듈(170)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한다.
본 실시의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은,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130)에서 검색한다.
본 실시의 영상편집모듈(190)은, 상기 경계점을 갖는 지물 이미지에서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해당 평면형 3D 형식에 맞춰 사각지대 내에 삭제라인을 경계점을 기준으로 보강하고, 해당 지물 이미지의 지물에 관한 MMS정보에 따라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사각지대 내에 위치하는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는 해당하는 지물의 좌표와 높이를 기준으로 해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지물의 좌표와 높이는 MMS정보를 기초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 내에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를 제거해 편집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복구하기 위해 수집한 2D 형식의 합성이미지를 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영상 처리한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5의 이미지를 각각 영상처리하여 2D 형식으로 도시한 영상이미지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검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에 대한 오류 수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한 도면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하고,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에 보완이미지를 합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도면을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변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S10; 영상처리 대상지역 확인 단계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작업자가 입력한 영상처리 대상지역의 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110)에서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한다. 작업자가 입력하는 영상처리 대상지역의 정보는, GPS 기반의 좌표값 또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 등의 고유코드 등일 수 있다.
수집정보는 도 3의 (b)도면과 같이 촬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수집정보DB(110) 검색 시에 상기 촬영 이미지도 함께 검색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제1편집구간(DS1)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각각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를 통해 검색한다.
S20; 영상 처리 단계
영상처리모듈(15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L)에 맞춰서, 도 6과 같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1 내지 Z7; 이하 'Z')로 분류한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모듈(150)은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을 구성하는데,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은 GPS와는 다른 고유의 좌표값이 설정된 베이스이며,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 상에 지정된 좌표값에 맞춰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입력해 도시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물 데이터에 해당 지물의 위치좌표와 범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영상처리모듈(150)은 상기 위치좌표와 범위 등을 2D 기반의 좌표면의 좌표값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로 영상 처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역(Z1 내지 Z7) 또한 그 범위와 위치 등을 확인해서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에 영상화 한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영상처리모듈(150)은 도 6의 (b)도면에 도시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완성하고, 작업자는 도 5에서 보인 촬영 이미지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참고로, 최근 버전에는 없던 새로운 지물이 생성되어서 도 5에서 보인 촬영 이미지에 촬영되면, 작업자는 영상처리모듈(15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서 도 5의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지물 이미지(B1, B2)를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모듈(150)은 작업자가 입력하는 명령값에 따라 2D 기반의 좌표면의 지정된 위치에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라인이 위치하는 2D 기반의 좌표면 상에 좌표값과, 실제 지물에 대한 수집정보를 비교해서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라인 위치를 자동 조정한다.
영상처리모듈(150)은, 앞서 검색된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확인하고,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합성해서 최종적인 제2편집구간(DS2)을 확정한다.
참고로, 도 5에서 보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다수의 지물 이미지을 집단화해서 하나의 이미지로 보인 모습이나, 도 5에서 보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위해 단순화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훼손된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 하나하나가 객체별로 완전한 모습을 이루어서, 도 4와 같이 해당하는 위치에 합성되고, 도 6의 (b)도면과 같이 편집이 이루어져야 할 실제 구간인 제2편집구간(DS2)을 완성한다. 따라서 훼손된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수십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제2편집구간(DS2)이 완성되면,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단위로 분할하며,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 합성은 아래에서 설명하듯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한 이후에야 실질적인 합성이 이루어지므로, 본 단계에서 설명한 대체이미지(IM) 합성 사항은 참고로만 이해하면 된다.
한편 영상검수모듈(17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데이터 별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하고, 구역 이미지(Z) 내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의 영상 처리 여부를 스캐닝해서 오차 여부 확인 및 수정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검수모듈(170)은 수집정보DB(110)에서 구역 데이터와 지물 데이터를 검색하고, 각 구역별로 위치하는 지물을 파악한다. 따라서 영상검수모듈(170)은 구역 이미지(Z) 내에 위치해야 하는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를 파악해서 해당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의 일부 또는 전체가 구역 이미지(Z)를 이탈하거나, 임의의 구역 이미지(Z) 내에 지정되지 않은 지물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면 이를 파악해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물론 작업자는 해당 영상이미지의 불량 여부를 파악해서 수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종 영상이미지를 완성한다.
S30; 영상 보정 단계
보정모듈(175)은 영상검수모듈(170)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B3)를, 도 7의 (b)도면과 같이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L)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B3)의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을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를 도 8과 같이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은 좌표면의 좌표라인(L)을 바탕으로 하며, 보정모듈(175)은 지물 이미지(B3)의 중점 좌표값(CP0)을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한다.
Figure 112022055675499-pat00001
주지된 바와 같이, 좌표라인(L)에 대한 2D 형식의 좌표값은 (x, y)이므로, 중점 좌표값(CP0)의 'x' 값은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 각각의 'x' 값을 합산한 것이고, 해당 합산을 10으로 나누어서 연산한다. 물론, 중점 좌표값(CP0)의 'y' 값 역시 'x' 값 연산과 동일한다.
이렇게 확인한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는 도 8과 같이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와 비교한다. 새롭게 생성된 지물 이미지(B3)와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의 비교는 각각의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의 차이값에서 해당 개수인 11로 나눔으로써 그 평균값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평균이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면, 새롭게 생성된 지물 이미지(B3)는 오류로 간주하고, 좌표면에 영상화한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를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로 보정한다.
S40; 3D 변환 단계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의 외곽라인을 입체변환모듈(160)이 2D 기반의 좌표면의 기준라인과 비교해서 위치 및 배치각을 확인하고, 입체변환모듈(160)이 3D 기반의 좌표면의 기준라인 대비 상기 위치 및 배치각에 해당하도록 외곽라인을 생성하여 3D 형식의 좌표면에 영상처리하여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는 도 6과 같이 단순한 평면형 이미지이므로, 실제 현장에서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큰 지물의 위치와 도로 구조만을 이해하는 용도로만 활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3D 형식의 입체적인 지도는 현장에서 지물의 위치는 물론 크기 등, 현장의 구조적 상황과 동일 및 유사하므로 파악에 유리하다. 따라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 생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그 기초를 이룰 수 있는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도 9와 같이 변환해 생성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1기준라인(S1, S2)을 지정하고, 제1기준라인(S1, S2)를 도 9와 같이 회전시켜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새로운 제2기준라인(S1', S2')을 생성한다. 계속해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1기준라인(S1, S2) 대비 지물 이미지(B1, B2)의 외곽라인의 위치 및 배치각에 대한 상대치를 파악해서, 상기 상대치가 제2기준라인(S1', S2')과 동일하도록 지물 이미지(B1', B2')의 외곽라인의 위치 및 배치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2D 기반의 좌표면에 제1기준라인(S1, S2)을 구성하는 횡선 및 종선은 3D 기반의 좌표면에 제2기준라인(S1', S2')을 구성하는 횡선 및 종선과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지 않는다. 즉, 제1기준라인(S1, S2)의 횡선과 제2기준라인(S1', S2')의 횡선간에 각도 차이가 30도를 이루어도, 제1기준라인(S1, S2)의 종선과 제2기준라인(S1', S2')의 종선간에 각도 차이가 30도를 이루지 않는다.
따라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2기준라인(S1', S2')의 횡선과 종선을 기준으로 좌표라인을 형성하고, 그 좌표라인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의 외곽라인을 생성한다.
이러한 외곽라인 조정을 통해 입체변환모듈(160)은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한다.
영상이미지가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되면, 영상처리모듈(150)은 도 9의 (a)도면과 같이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단위로 분할하며, 도 9의 (b)도면과 같이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S50; 입체형 영상이미지 생성 단계
입체변환모듈(160)은 상기 지물 데이터에 포함된 지물별 높이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로 생성한다.
상기 지물 데이터는 해당 지물의 위치는 물론 높이 정보를 포함하므로, 입체변환모듈(160)은 도 10의 (a)도면과 같이 평면형 3D 형식의 이미지를 기초로 지물 이미지(B1', B2')의 높이에 맞춰 입체화한다.
이러한 입체형 영상이미지 생성 과정에서 도 10의 (a)도면과 같이 사각지대가 형성되는데, 입체변환모듈(160)은 해당 사각지대에 속하는 생성 라인을 삭제해서 입체형 영상이미지의 지물 이미지(B1", B2") 파악이 시각적으로 유리하도록 처리한다.
S60; 대체이미지 구간 확인 단계
영상검수모듈(170)은 보안대상DB(120)를 검색해서 보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입체형 영상이미지 내에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에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합성된 대체이미지(IM)를 확인한다.
참고로, 상기 입체형 영상이미지에 구성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는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가 각각 링크되므로, 이를 토대로 위치 스캐닝 모듈(170)은 보안정보를 기준으로 대체이미지(IM)와 제2편집구간(DS2)을 확인할 수 있다.
S70; 편집대상 지물 확인 단계
영상검수모듈(170)은 입체변환모듈(160)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에서 해당 경계점(P1 내지 P5; 이하 P)을 갖는 지물 이미지(B1")와, 경계점(P)을 시작점으로 대체이미지(IM)의 크기에 상응하는 범위의 3D 기반의 좌표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확인해서 사각지대 내에 지물 이미지(B1', B2')로 간주한다.
여기서 경계점(P)은, 사각지대에서 삭제된 지물 이미지(B1", B2")를 검색하고 복원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경계점(P)은 상기 사각지대에서 일부분만이 가려져 삭제된 구간을 갖는 지물 이미지(B1")의 외곽라인에 위치하며, 대체이미지(IM)의 외곽라인과 접하는 교차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정보DB(120)는 대체이미지(IM)와 편집구간(DS1, DS2)에 관한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므로, 영상검수모듈(170)은 보안대상 확인 단계(S50)에서 해당 입체형 영상이미지 내에 대체이미지(I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대체이미지(IM)가 존재한다면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확인한다. 대체이미지(IM)에 의해 사각지대를 이루는 범위는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기준으로 유추할 수 있고, 영상검수모듈(170)은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기초로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 범위에 속하는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의 간격을 기반으로 대체이미지(IM)의 크기인 좌우폭과 높이가 각각 '3' 과 '4'라면, 대체이미지(IM)가 이루는 사각지대의 범위는 경계점(P)을 시작점으로 '3' 또는 '4' 범위가 될 것이다.
영상검수모듈(170)은 전술한 방법으로 대체이미지(IM)에 의한 사각지대의 범위를 확인하고, 좌표별 검색모듈(140)을 통해 수집정보DB(110)를 검색해서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에 속하는 지물 이미지(B1", B2")를 검색한다.
본 실시는 도 10과 같이 사각지대 내에 대략 9개의 지물 이미지(B1", B2"; 일부 삭제된 지물 이미지도 포함)가 구성된다.
한편,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은 영상검수모듈(170)이 앞서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평면형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지물 이미지(B1', B2')의 MMS정보를 MMS정보DB(130)에서 검색하고, 영상검수모듈(170)은 MMS정보를 기초로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 내에 위치한 지물 이미지(B1', B2')의 위치와, 이웃하는 지물 이미지(B1', B2') 간의 간격 등을 검증한다.
또한 상기 사각지대 내에 위치한 지물 이미지(B1', B2')의 지물 높이를 MMS정보에서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서 확인한 지물 높이를 비교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 생성을 위한 높이값을 검증한다.
만일 수집정보DB(110)의 수집정보와 MMS정보DB(130)의 MMS정보에 차이가 있다면, 영상검수모듈(17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을 통해 수집정보DB(110)를 수정한다.
S80; 영상이미지 편집 단계
영상편집모듈(190)은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를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부분도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해 출력한다.
결국, 입체형 영상이미지에는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사각지대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가 표시되어서, 사용자는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지물 이미지(B1", B2")도 그 형태와 위치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수집장치(200)는, 이동 가능한 차량(A)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600), 이동수단(6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700),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800) 및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결합되는 CCD카메라(50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810), 높이로드(820), 높이조절판(830), 유압펌프(840) 및 공급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8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8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로드(820)는 높이케이스(8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높이로드(820)의 상단에는 CCD카메라(500)가 결합된다. 높이로드(8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CCD카메라(50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830)은 높이로드(8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82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8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높이로드(8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900), 제1열교환기(850) 및 제2열교환기(8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9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8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8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8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8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811)은 높이케이스(8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8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900)는 밸브케이스(910), 공급유로(920), 제1이동부(930), 중간유로(940), 제2이동부(950), 제1배출유로(960) 및 제2배출유로(9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3의 (a)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의 (c)는 제2개폐유닛(954)이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9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911) 및 유체배출실(9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9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높이케이스(8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9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9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유체배출실(9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9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1열교환기(8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9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9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9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931), 제1이동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932), 제1이동로드(9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9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934) 및 제1이동케이스(931)와 제1개폐유닛(9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9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13(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8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9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9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85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940)와 제1배출유로(9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954)은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951), 제2이동케이스(9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952), 제2이동로드(9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9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954) 및 제2이동케이스(951)와 제2개폐유닛(9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9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13(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9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9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86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850)와 제2열교환기(8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진동흡수부(700)는, 높이조절부(800)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87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710), 단턱(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720),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30),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740), 일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871)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체(750) 및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71)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7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2탄성체(7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 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710)은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다리(87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다리(87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높이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상부지지구(72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높이다리(870)의 내벽에 단턱(7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상면이 높이다리(870)에 형성된 단턱(710)에 맞닿고 하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7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하면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높이다리(87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높이다리(870)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7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상면이 높이다리(870)의 하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형성된 결합부(87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7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상방돌기(7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7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750)가 하방돌기(7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구(730)는 제2탄성체(75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740)의 타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740)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740)는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의 하면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7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높이조절부(80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높이조절부(8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750)는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제1탄성체(7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7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좁고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의 직경이 높이다리(870)의 하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760)는 상부지지구(720), 하부지지구(730) 및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제1탄성체(740)와 제2탄성체(7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7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진동흡수부(700)는 하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하방돌기(732)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770), 하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상방돌기(73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지지구(72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중심지지부(780),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7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승강 시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제1중심지지부(7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는, 받침부(871)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771a)이 마련된 하부조절바(771),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772), 상측부는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772)이 지지되는 상부조절바(7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하부조절바(771)는 받침부(871)에 나사 결합되므로 하부조절바(771)의 받침부(871)에의 결합 깊이를 조절하면 제1스프링(772)의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절바(771)를 상부조절바(773)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상부에는 제1홈(771a)이 마련되고, 제1홈(771a)의 내벽에는 하부지지구(730)의 하강 시 상부조절바(773)에 마련된 제1돌기(77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하측 외벽에는 제1나사산(771b)이 마련되어 받침부(871)에 마련된 홈을 통과한 후 이동블럭(620)에 마련된 블럭홈(6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부(871)에 마련된 홈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나사산(771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의 제1스프링(772)은 하측부는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제1돌기(773a)를 통과하여 상부조절바(773)의 저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스프링(772)은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부조절바(771)와 상부조절바(773)의 결합 깊이 조절에 의해 제1스프링(772)의 탄성 에너지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상부조절바(773)는 외벽에 마련되는 제2나사산(773b)에 의해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3나사산(7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는 결합 상태에서 하부지지구(730)에 마련된 제2홈(73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를 하부조절바(771)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의 사이즈는 제2탄성체(750)보다 작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도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2탄성체(750)의 수축 및 팽창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중심지지부(780)는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승강 시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감쇄할 수 있고, 제2중심지지부(7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중심지지부(780)는 상방돌기(731)에 마련된 제3홈(735)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781), 하측부는 제2스프링(781)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4홈(721)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78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하측부는 제3홈(735)에 슬라이딩 승강되고, 이는 제2스프링(781)이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상부에는 제4나사산(782a)이 마련되고, 중심바(782)는 제4나사산(782a)을 통해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5나사산(7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심바(782)를 하부지지구(730)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2스프링(781)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와 상부지지구(7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축(791), 가이드축(791)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에 마련된 다리홀(87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792), 덮개(872)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792)의 양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포스트(79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포스트(793)에는 가이드바(79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가이드홈(793a)이 마련되는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7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630),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부(630)는 상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71)를 지지함으로써 CCD카메라(500)의 이동 시 받침부(8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CCD카메라(5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7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수평부(631), 제1수평부(6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마련되는 수직부(632), 수직부(632)의 단부에서 레일(610)의 방향으로 마련되어 레일(610)의 측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부(6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수평부(633)는 레일(6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레일홈(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CCD카메라(500)가 레일(610)을 이동 시 제2수평부(633)도 제2레일홈(6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7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쇄부(640)는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부(640)는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바디(641), 일측부는 진동감쇄바디(64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이동블록(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바디(641)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4개의 영역에서 등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기준으로 정할 때,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제1수평부(631)에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수직부(632)에 결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제2수평부(633)에 결합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이동블록(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CCD카메라(500)를 차량(A) 상에서 수평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600)은 차량(A)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610), 받침부(871)에 구비되며 레일(6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610)은 차량(A)의 상면에 배치되되 차량(A)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71) 저면에 구비되어 레일(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에는 블럭돌기(621)가 마련되고, 블럭돌기(621)는 레일(610)에 마련된 제1레일홈(6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7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관리장치 200 : 정보수집장치 300 : 대상지물 검색장치
400 : 클라이언트 500 : CCD카메라 600 : 이동수단
610 : 레일 611 : 제1레일홈 612 : 제2레일홈
620 : 이동블럭 621 : 블럭돌기 622 : 블럭홈
630 : 지지다리부 631 : 제1수평부 632 : 수직부
633 : 제2수평부 640 : 진동감쇄부 641 : 진동감쇄바디
642 : 진동감쇄스프링 700 : 진동흡수부 710 : 단턱
720 : 상부지지구 721 : 제4홈 722 : 제5나사산
730 : 하부지지구 731 : 상방돌기 732 : 하방돌기
733 : 제2홈 734 : 제3나사산 735 : 제3홈
740 : 제1탄성체 750 : 제2탄성체 760 : 흡수체
770 : 제1중심지지부 771 : 하부조절바 771a : 제1홈
771b : 제1나사산 772 : 제1스프링 773 : 상부조절바
773a : 제1돌기 773b : 제2나사산 780 : 제2중심지지부
781 : 제2스프링 782 : 중심바 782a : 제4나사산
790 : 승강가이드부 791 : 가이드축 792 : 가이드바
793 : 가이드포스트 793a : 가이드홈 800 : 높이조절부
810 : 높이케이스 811 : 역류방지판 820 : 높이로드
830 : 높이조절판 840 : 유압펌프 850 : 제1열교환기
851 : 제1열교환유로 860 : 제2열교환기 861 : 제2열교환유로
870 : 높이다리 870a : 다리홀 871 : 받침부
872 : 덮개 873 : 결합부 900 : 공급밸브
910 : 밸브케이스 911 : 온도감지실 912 : 유체배출실
920 : 공급유로 930 : 제1이동부 931 : 제1이동케이스
932 : 제1이동로드 933 : 제1이동스프링 934 : 제1개폐유닛
940 : 중간유로 950 : 제2이동부 951 : 제2이동케이스
952 : 제2이동로드 953 : 제2이동스프링 954 : 제2개폐유닛
960 : 제1배출유로 970 : 제2배출유로

Claims (1)

  1. 촬영이미지와, 촬영이미지 내에 속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과, 영상처리된 제2편집구간과, 상기 제2편집구간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
    상기 정보수집장치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DB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하며, 상기 제1편집구간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대상지물 검색장치를 통해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
    상기 좌표별 검색모듈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를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에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을 파트 단위로 분할하며, 상기 파트별로 대체이미지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영상 처리하고 하기 보정모듈에서 보정이 완료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을 2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1기준라인 및 좌표라인과 비교해서, 상기 제1기준라인과의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과, 상기 좌표라인에 따른 위치 및 배치각을 각각 확인하고, 3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2기준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을 따라 영상 처리해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와 3D 형식의 대체이미지를 구성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해서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지물 이미지의 수집정보에 따른 높이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생성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별 좌표값을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 및 구역 데이터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와 입체형 3D 형식의 대체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를 각각 해당하는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구역 이미지 및 대체이미지 각각의 위치 및 형태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영상처리모듈 및 입체변환모듈이 영상처리한 대체이미지를 확인해서 입체변환모듈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해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끝점을 사각지대의 경계점으로 확인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해당 경계점을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와, 상기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해당 경계점을 포함하는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파악하며,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한 입체형 지물이미지의 사각지대 범위는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경계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이루는 범위로 하며, 상기 MMS정보DB에 저장된 MMS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수집정보를 수정하며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높이를 수정하는 영상검수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집정보DB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하는 보정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해서,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CCD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20064512A 2022-05-26 2022-05-26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12A KR102476569B1 (ko) 2022-05-26 2022-05-26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12A KR102476569B1 (ko) 2022-05-26 2022-05-26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569B1 true KR102476569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512A KR102476569B1 (ko) 2022-05-26 2022-05-26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995B1 (ko) * 2023-03-31 2024-03-19 중앙항업(주)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28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502871B1 (ko) *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942063B1 (ko) * 2018-07-27 2019-01-24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KR102307336B1 (ko) * 2021-06-0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KR102325635B1 (ko) * 2021-05-18 2021-11-12 (주)원지리정보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71B1 (ko) *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494828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942063B1 (ko) * 2018-07-27 2019-01-24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KR102325635B1 (ko) * 2021-05-18 2021-11-12 (주)원지리정보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07336B1 (ko) * 2021-06-0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995B1 (ko) * 2023-03-31 2024-03-19 중앙항업(주)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063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KR101938401B1 (ko)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US71967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e 3D object and area digitizing
DE102013202393A1 (de) Bestimmen von Neigungswinkel und Neigungsrichtung unter Verwendung von Bildverarbeitung
KR101938402B1 (ko)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수치도화 이미지 합성처리시스템
KR102503630B1 (ko)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US20120257086A1 (en)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ing program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27648B1 (ko)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27649B1 (ko)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493769B1 (ko) 지리 참조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해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476678B1 (ko)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942065B1 (ko) 불분명 영상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통한 수정방식의 영상처리 및 관리시스템
Burkhard et al. Stereovision mobile mapping: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KR101938400B1 (ko) 입체영상지도에서의 보안지역 연출 기능을 갖는 수치도화 처리시스템
KR101813206B1 (ko)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KR100924008B1 (ko)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KR102512694B1 (ko)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0952136B1 (ko) 경사영상의 외부표정요소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Kalinowski et al. Data Fusion of Historical Photographs with Modern 3D Data for an Archaeological Excavation–Concept and First Results
KR102486283B1 (ko) 3차원 입체이미지 형성을 위해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4315B1 (ko) Gis의 기반이 되는 영상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el Pozo et al. Sensor fusion for 3D archaeological documentation and reconstruction: Case study of “Cueva Pintada” in Galdar, Gran Canaria
KR102642145B1 (ko) 오차 수정으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48995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