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06B1 -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06B1
KR101813206B1 KR1020170092280A KR20170092280A KR101813206B1 KR 101813206 B1 KR101813206 B1 KR 101813206B1 KR 1020170092280 A KR1020170092280 A KR 1020170092280A KR 20170092280 A KR20170092280 A KR 20170092280A KR 101813206 B1 KR101813206 B1 KR 10181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gital map
solenoid actuator
survey
featur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17009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조사되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인근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감시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신속하게 자동 확인 후 보완 측량의 요청 신호를 해당 작업자에게 원격으로 전송하며, 이에 따른 해당 작업자로부터의 보완 측량 정보 전송에 따라 수치지도 모듈에서 해당 지역의 수치지도를 수정 작업하게 되는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수치지도 모듈, 중앙제어모듈, 원격제어부, 개인 단말기, CCTV 카메라, 보완 측량 작업자 단말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은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량 어시스트 모듈은 베이스 프레임,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승하강 프레임, 태양전지패널, 투명커버,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위치알림장치, 기울기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Operating system for digital map making system capable of real-time remote modific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조사되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인근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감시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신속하게 자동 확인 후 보완 측량의 요청 신호를 해당 작업자에게 원격으로 전송하며, 이에 따른 해당 작업자로부터의 보완 측량 정보 전송에 따라 수치지도 모듈에서 해당 지역의 수치지도를 수정 작업하게 되는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치지도 제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항공사진 촬영은 카메라를 장착한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 지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얻는 과정으로, 이는 항공사진 측량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업으로서 후속되는 사진판독과 좌표측정 및 수치 데이터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촬영시의 기상조건은 사진의 질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촬영 전 항공기의 비행 계획을 수립하고, 촬영카메라, 사진 축척, 촬영 고도 및 촬영 기준면을 설정한 후 기후를 고려하여 촬영한다. 이때 사진의 중복도는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촬영된 필름은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현상(develop), 정착, 수세현상, 항공필름, 플로팅([0005] plotting) 작업, 보안 검열, 필름 주기삽입, 밀착 및 양화 필름 제작 등의 세부 공정을 거쳐 지상기준점 측량 및 수치도화 공정에 필요한 양화필름 및 밀착사진으로 제작된다.
지상 기준점 측량은 사진 기준점 측량 및 해석 도화 작업에 필요한 기준점의 성과를 얻기 위하여 현지에서 실시하는 지상 측량으로서,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을 기준으로 경도 및 위도와 평면 직각좌표를 구하기 위한 측량을 의미한다.
사진 기준점 측량은 도화기 또는 좌표측정기에 의하여 항공사진상에서 측정된 구점의 모델(기계) 좌표를 지상기준점 측량 성과와 연결하여 지상좌표로 전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수치도화는 측량된 항공사진상의 지형지물을 해석 도화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측정한 후 이를 컴퓨터로 수록하는 과정으로, 내부표정, 상호표정, 절대표정의 작업을 거쳐 도화기의 좌ㆍ우 2개의 투영기에 한 모델을 이루는 좌ㆍ우 사진의 투명 양화를 장착한 후 빛을 비추면 그 광속의 교점들이 실제 지형과 동일한 입체 모델을 재현하게 되고, 표정점들을 찾아 그 절대 좌표를 도화기 상에 입력한 후 측표(Measuring Mark) 또는 부표(Floating Mark)로 원하는 지형지물을 추적하면 그에 따라 지형도상에 도화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여기서, 도화는 원칙적으로 건물, 도로, 식생, 하천, 등고선의 순으로 계층(Layer)별로 분류한 표준코드와 도형의 형태, 크기, 구조 및 방향을 규정한 표준도식을 따른다.
지리조사는 정위치 편집을 위하여 지리/지명 조사와 항공사진을 기초로 도면상에 나타내어야 할 지형 및 지물과 이에 관련되는 사항을 현지에서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지리조사 작업은 디지털 데이터를 도면으로 출력한 도화원도와 2배 확대 사진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조사 표기한다.
보완측량은 촬영 당시의 지형지물과 도화 완료 후의 지형변경에 대한 수정작업으로 모든 측점(total station) 및 GPS를 이용하여 지형도 보완수정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현장에서 조사한 내용과 자료 수집한 내용을 "현지조사 표기요령"에 의거 2배 확대 사진 위에 투명지를 덮어 지형, 지물, 지명 등의 순으로 정리 편집한다.
또한 일반적인 수치지도모듈은 항공사진 촬영, 밀착사진 및 양화필름 제작, 지상 기준점 측량, 사진 기준점 측량, 수치도화, 지리조사 및 보완측량, 정위치 편집, 구조화 편집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수치지도 제작 방식은 수치지도모듈의 오류를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일련의 수치지도 제작 공정 중 정위치편집의 수정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이 없어 담당자를 통해 상이한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정밀한 수치지도 작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등록특허 제1228292호(2013.01.31.공고)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상술한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의 보다 효율적인 운용 및 그에 따른 기능 극대화를 위해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28292호(2013.01.31.공고),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097894호(2011.12.23.공고), “공간영상도화이미지의 실시간 보정을 통한 오차범위 조정용 도화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조사되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인근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감시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신속하게 자동 확인 후 보완 측량의 요청 신호를 해당 작업자에게 원격으로 전송하며, 이에 따른 해당 작업자로부터의 보완 측량 정보 전송에 따라 수치지도 모듈에서 해당 지역의 수치지도를 수정 작업하게 되는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은 수치지도 정보를 전송받아 수치지도를 작성하는 수치지도 모듈(125) 및 상기 수치지도 모듈(125)의 오류를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시키는 중앙제어모듈(115) 그리고 상기 경고 정보의 오류에 대응하는 오류코드를 생성하여 개인 단말기(250)에 전송하고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원격제어부(145) 및 상기 원격제어부(145)에 무선으로 제어코드를 전달하는 상기 개인 단말기(25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145)는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오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 전달하는 오류송신모듈(145a) 및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전달받는 명령수신모듈(145b)을 포함하되 상기 오류송신모듈(145a)은 명령수신모듈(145b)이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수신할 경우 수치지도 모듈(125)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치지도이미지 변화를 상기 개인 단말기(250)에 전송하고, 상기 개인 단말기(250)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50a) 및 상기 수치지도 모듈(1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출력부(250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하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이라 함)들이 미리 정해져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300)에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을 기설정된 촬영 주기에 따라 촬영하고, 매 촬영 시마다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모듈(115)에 전송되며, 상기 중앙제어모듈(115)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의 기준 영상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상기 CCTV 카메라(30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와 기저장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기준 영상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별 해당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별 시 해당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부(145)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단말기(250)는 상기 원격제어부(145)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 변화 정보의 수신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기배정된 토탈스테이션(400)에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토탈스테이션(400)은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신호를 수신 시 해당 정보를 기배정된 담당 작업자가 휴대하는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에 전송하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사전 선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를 개방한 중공형이고, 테두리 영역의 상면 중 한 지점에 상부를 개방한 수직 방향의 삽입홈(611)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6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내측에 지지 대상의 수평 유지 및 높이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로드(621) 선단과 각각 대응되는 하부의 여러 지점이 해당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의 로드(621) 선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별 로드(621)의 작동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 및 수평이 유지되는 승하강 프레임(630)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640)과, 상기 태양전지패널(64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토탈스테이션(400)의 설치를 위한 삼각대(700)의 다리(710)별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삼각대 지지홈(651)이 복수로 형성되는 투명커버(65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삽입홈(611)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그 로드(661)를 승하강 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승강 시 연동하여 승강되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에 대한 제어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위치를 보완 측량을 담당한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작동을 하는 위치알림장치(670)와,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680)와,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와 각종 시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685)와,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및 위치알림장치(670)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를 작동시켜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높이를 조정하며, 상기 기울기 센서(6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690)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패널(640)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위치알림장치(670) 및 기울기 센서(680)의 작동용 전원을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조사되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인근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감시가 시행되며, 이를 통해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지역이 신속하게 자동 확인되면서 그 보완 측량을 요청하는 신호가 해당 작업자에게 원격으로 전송되어 보완 측량이 신속하게 진행되고, 이를 통해 얻어진 보완 측량 정보를 토대로 수치지도 모듈에서 해당 지역의 수치지도를 수정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지능형인 동시에 원격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수치지도들의 수정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고 신속한 과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서 세부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서 측량 어시스트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측량 어시스트 모듈의 단면도 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은 수치지도 모듈(120), 중앙제어모듈(110), 원격제어부(140) 및 개인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수치지도 모듈(120)은 수치 정보를 전송받아 수치지도를 작성하는 모듈이다.
중앙제어모듈(110)은 수치지도 모듈(120)의 오류를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치지도 모듈(120)의 오류는 이미지 스캔 오류, 수치 지도 제작 오류, 수치 오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치 지도 제작 오류에는 철도오류인 경우 철도선 누락오류, 철도선 코드입력오류, 하천오류인 경우 유수방향오류, 수계선 누락오류, 저수지경계선오류, 모래표시 오류, 하천누락오류인 경우 제방 누락오류, 교량 누락오류, 수부코드 폐합오류, 도로오류인 경우 도로선 폐합오류, 도로선 연결오류, 도로선번호 누락오류, 도로중심선 누락오류, 도로선 누락오류, 도로선 건물통과오류, 도로폭 오류, 도로선 코드입력오류, 건물오류인 경우 건물형태오류, 건물크기오류, 건물유무오류, 심볼표기오류, 심볼크기오류, 건물폐합오류, 건물기호위치오류 등이 있다.
수치지도 모듈(120)의 오류 감지는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이 하고, 이에 대응하는 오류 코드를 생성한다.
Figure 112017069942439-pat00001
원격제어부(140)는 오류코드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오류송신모듈(142) 및 원격제어명령을 개인 단말기(200)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받는 명령수신모듈(144)로 구성된다.
오류송신모듈(142)은 명령수신모듈(144)이 동일한 수치지도 모듈(120)에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명령의 선후를 따져 먼저 수신된 제어명령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미리 수치지도 모듈(120)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치지도이미지 변화를 개인 단말기(200)에 보내어 최종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치지도의 일정 지역에 대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원격으로 오류에 대한 제어 명령을 2 이상의 개인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경우,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탑재한 최종 수치지도이미지를 개인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추가로 2 이상의 개인 단말기 담당자를 표시하여 상호간 조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단말기(200)는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원격제어부(140)로부터 경고 정보를 수신받고, 원격제어부(140)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개인 단말기(200)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40), 수치지도 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경고 정보”는 수치지도 모듈(120)의 벡터 평균 연산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경고하는 것을 의미하고, “오류코드”는 상기 경고 종류에 따른 오류의 종류별 코드를 의미하며, “제어코드”는 상기 오류코드를 정상화시킬 수 있는 정상화 제어 정보 종류별 코드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명령은 제어코드에 대응하는 명령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어코드를 잘 아는 전문적인 인력이 아니라도 쉽게 제어명령을 전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은 다수의 수치지도 모듈(120), 중앙제어모듈(110), 원격제어부(140) 및 개인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개인 단말기(200)가 1개의 수치지도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개의 개인 단말기(200)가 2 이상의 수치지도 모듈(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치지도 모듈(120), 중앙제어모듈(110), 원격제어부(140) 및 개인 단말기(200)의 수는 임의로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서 측량 어시스트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측량 어시스트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은 수치지도 모듈(125), 중앙제어모듈(115), 원격제어부(145), 개인 단말기(250), CCTV 카메라(300), 보완 측량 작업자 단말기(500),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수치지도 모듈(125), 중앙제어모듈(115), 원격제어부(145) 및 개인 단말기(25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치지도 모듈(120), 중앙제어모듈(110), 원격제어부(140) 및 개인 단말기(200)의 구성 및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동시에 후술되는 구성 및 기능들을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 수치지도 모듈(125), 중앙제어모듈(115), 원격제어부(145) 및 개인 단말기(250)의 구성 및 기능 중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수치지도 모듈(120), 중앙제어모듈(110), 원격제어부(140) 및 개인 단말기(200)의 구성 및 기능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추가적인 구성 및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은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하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이라 함)들이 미리 정해져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300)에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을 기설정된 촬영 주기에 따라 촬영하고, 매 촬영 시마다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가 중앙제어모듈(115)에 전송된다. 여기서 CCTV 카메라(300)는 교통, 방범 등의 용도로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면 될 것이고, 필요에 따라 전용의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모듈(115)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의 기준 영상데이터가 기저장되어 CCTV 카메라(30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와 기저장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기준 영상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별 해당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모듈(115)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별 시 해당 정보를 원격제어부(145)에 전송한다.
개인 단말기(250)는 원격제어부(145)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 변화 정보의 수신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기배정된 토탈스테이션(400)에 해당 신호를 출력한다.
토탈스테이션(400)은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신호를 수신 시 해당 정보를 기배정된 담당 작업자가 휴대하는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은 베이스 프레임(610),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 승하강 프레임(630), 태양전지패널(640), 투명커버(65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위치알림장치(670), 기울기 센서(680), 무선통신모듈(685) 및 제어부(6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610)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사전 선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610)은 상부를 개방한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610)은 테두리 영역의 상면 중 한 지점에 상부를 개방한 수직 방향의 삽입홈(611)이 형성된다.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는 베이스 프레임(610)의 내측에 지지 대상의 수평 유지 및 높이 조절을 위해 복수 개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은 이어서 설명될 승하강 프레임(630)을 베이스 프레임(610) 내에서 수평 유지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이 베이스 프레임(6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하강 프레임(630)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로드(621) 선단과 각각 대응되는 하부의 여러 지점이 해당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의 로드(621) 선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별 로드(621)의 작동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 및 수평이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의 로드(621) 선단 및 승하강 프레임(630) 하부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이 베어링(631)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전지패널(640)은 승하강 프레임(63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즉, 태양전지패널(640)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위치알림장치(670) 및 기울기 센서(680)의 작동용 전원을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한다.
투명커버(650)는 태양전지패널(640)의 상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투명커버(650)는 상면에 토탈스테이션(400)의 설치를 위한 삼각대 지지홈(651)이 복수로 형성된다. 즉, 투명커버(650)의 삼각대 지지홈(651)에 토탈스테이션(400) 설치용 삼각대(700)의 다리(710)별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는 베이스 프레임(610)의 삽입홈(611)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그 로드(661)를 승하강 시킨다. 다시 말해,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는 제어부(6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그 로드(661)를 승하강 시키며, 이렇게 승하강되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선단에는 이어서 설명될 위치알림장치(670)가 결합된다.
위치알림장치(670)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선단에 결합되어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승강 시 연동하여 승강되며, 이러한 위치알림장치(670)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에 대한 제어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위치를 보완 측량을 담당한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작동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위치알림장치(670)가 경광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울기 센서(680)는 승하강 프레임(630)에 설치되어 승하강 프레임(630)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무선통신모듈(685)는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690)는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및 위치알림장치(670)를 작동시키고,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를 작동시켜 승하강 프레임(630)의 높이를 조정한다. 또한, 제어부(690)는 기울기 센서(680)의 신호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여 승하강 프레임(63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조사된 지역, 다시 말해 상술한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 정보가 인근 CCTV 카메라(300)를 통해 주기적으로 촬영되어 중앙제어모듈(115)에 실시간 전송되고, 이에 따라 중앙제어모듈(115)에서는 CCTV 카메라(300)를 통해 전송되는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이 존재하는지 주기적으로 감시하면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발견 시 그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신호를 원격제어부(145), 개인 단말기(250) 및 토탈스테이션(400)의 중계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이를 수신한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의 작업자가 토탈스테이션(400)을 사용하여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에 대한 보완 측량을 실시 후 그 측량 정보를 개인 단말기(250) 및 원격 제어부(145)의 중계를 통해 중앙제어모듈(115)에 전송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모듈(115)은 수신한 보완 측량의 정보를 수치지도 모듈(125)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모듈(125)은 수신되는 보완 측량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수치지도를 수정 작업하게 된다.
또한, 보완 측량을 하는 작업자는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위치알림장치(670)를 통해 해당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한 후 해당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기능을 통해 토탈스테이션(300)을 적정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설치시킨 후 보완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115 : 중앙제어모듈 120,125 : 수치지도 모듈
140,145 : 원격제어부 142,145a : 오류 송신 모듈
144,145b : 명령 수신 모듈 200,250 : 개인 단말기
240,250a : 입력부 260,250b : 출력부
300 : CCTV 카메라 400 : 토탈스테이션
500 : 보완 측량 작업자 단말기 600 : 측량 어시스트 모듈
610 : 베이스 프레임 611 : 삽입홈
620 :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621 : 로드
630 : 승하강 프레임 631 : 베어링
640 : 태양전지패널 650 : 투명커버
651 : 삼각대 지지홈 660 :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661 : 로드 670 : 위치알림장치
680 : 기울기 센서 685 : 무선통신모듈
690 : 제어부 700 : 삼각대
710 : 다리

Claims (1)

  1. 수치지도 정보를 전송받아 수치지도를 작성하는 수치지도 모듈(125) 및 상기 수치지도 모듈(125)의 오류를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시키는 중앙제어모듈(115) 그리고 상기 경고 정보의 오류에 대응하는 오류코드를 생성하여 개인 단말기(250)에 전송하고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원격제어부(145) 및 상기 원격제어부(145)에 무선으로 제어코드를 전달하는 상기 개인 단말기(25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145)는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오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 전달하는 오류송신모듈(145a) 및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전달받는 명령수신모듈(145b)을 포함하되 상기 오류송신모듈(145a)은 명령수신모듈(145b)이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수신할 경우 수치지도 모듈(125)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치지도이미지 변화를 상기 개인 단말기(250)에 전송하고, 상기 개인 단말기(250)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50a) 및 상기 수치지도 모듈(1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출력부(250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지형지물의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하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이라 함)들이 미리 정해져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300)에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을 기설정된 촬영 주기에 따라 촬영하고, 매 촬영 시마다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모듈(115)에 전송되며,
    상기 중앙제어모듈(115)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의 기준 영상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상기 CCTV 카메라(30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촬영데이터와 기저장된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기준 영상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들별 해당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별 시 해당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부(145)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단말기(250)는 상기 원격제어부(145)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해당 지형지물 변화 정보의 수신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기배정된 토탈스테이션(400)에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토탈스테이션(400)은 상기 개인 단말기(250)로부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신호를 수신 시 해당 정보를 기배정된 담당 작업자가 휴대하는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에 전송하며,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해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은
    상기 지형지물 변화 예상 지역의 보완 측량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사전 선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를 개방한 중공형이고, 테두리 영역의 상면 중 한 지점에 상부를 개방한 수직 방향의 삽입홈(611)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610);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내측에 지지 대상의 수평 유지 및 높이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로드(621) 선단과 각각 대응되는 하부의 여러 지점이 해당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의 로드(621) 선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별 로드(621)의 작동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 및 수평이 유지되는 승하강 프레임(630);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640);
    상기 태양전지패널(64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토탈스테이션(400)의 설치를 위한 삼각대(700)의 다리(710)별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삼각대 지지홈(651)이 복수로 형성되는 투명커버(650);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삽입홈(611)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그 로드(661)를 승하강 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의 로드(661) 승강 시 연동하여 승강되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에 대한 제어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량 어시스트 모듈(600)의 위치를 보완 측량을 담당한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작동을 하는 위치알림장치(670);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680);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685);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및 위치알림장치(670)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완측량 작업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685)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를 작동시켜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의 높이를 조정하며, 상기 기울기 센서(6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들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프레임(63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690)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패널(640)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660), 위치알림장치(670), 기울기 센서(680) 및 무선통신모듈(685)의 작동용 전원을 생산하는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KR1020170092280A 2017-07-20 2017-07-20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KR10181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80A KR101813206B1 (ko) 2017-07-20 2017-07-20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80A KR101813206B1 (ko) 2017-07-20 2017-07-20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06B1 true KR101813206B1 (ko) 2017-12-28

Family

ID=6093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80A KR101813206B1 (ko) 2017-07-20 2017-07-20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74B1 (ko)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실시간 오류의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KR102512694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642147B1 (ko) * 2023-03-29 2024-02-29 중앙항업(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신속하게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328A (ja) 2002-07-18 2004-02-19 Ichiro Tanaka 測点観測が困難な箇所に対する測量方法及び装置
KR101097894B1 (ko) 2011-06-02 2011-12-23 (주)그린공간정보 공간영상도화이미지의 실시간 보정을 통한 오차범위 조정용 도화시스템
KR101228292B1 (ko)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328A (ja) 2002-07-18 2004-02-19 Ichiro Tanaka 測点観測が困難な箇所に対する測量方法及び装置
KR101097894B1 (ko) 2011-06-02 2011-12-23 (주)그린공간정보 공간영상도화이미지의 실시간 보정을 통한 오차범위 조정용 도화시스템
KR101228292B1 (ko)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74B1 (ko)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실시간 오류의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KR102512694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642147B1 (ko) * 2023-03-29 2024-02-29 중앙항업(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신속하게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136B1 (ko) 맵핑드론을 이용한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CN102034238B (zh) 基于光学成像测头和视觉图结构的多摄像机系统标定方法
CN112147633A (zh) 一种电力线路安全距离检测方法
KR101721467B1 (ko) 촬영 후 왜곡된 영상의 보정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KR101813206B1 (ko)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의 운용 시스템
CN110006408A (zh) LiDAR数据“云控制”航空影像摄影测量方法
JP2016194515A (ja) 点群データ生成用画像の撮影方法、及び当該画像を用いた点群データ生成方法
KR101650525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CN105931200A (zh) 一种小面阵星载tdi ccd相机的快速几何精校正方法
JP2007107962A (ja) 測定対象物計測システム、及び送電線下離隔計測システム
KR20170094030A (ko) 실내 내비게이션 및 파노라마 사진 맵핑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12292B (zh) 一种基于无人机航拍的ar远程施工监控方法及系统
CN111959803B (zh) 一种无人机倾斜拍摄平台及倾斜拍摄无人机
WO2017051552A1 (ja) 点検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89210B1 (ko) 모바일 측량장치의 수평조절을 통한 지형지물의 변화감지 및 측지정보 취득 시스템
US20230222642A1 (en) Inundation damage determination device, inundation damag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N110398760A (zh) 基于图像分析的行人坐标捕获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25724B1 (ko) 지형지물의 변화 확인을 통한 원격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CN112001277A (zh) 无人机填图方法、填图装置及填图系统
KR101259921B1 (ko) 위치정보 및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228292B1 (ko)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KR101721456B1 (ko) 영상촬영 후 영상 데이타와 영상이미지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481914B1 (ko) 핸드폰 라이다 및 사진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3차원공간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지하시설물 3차원공간정보 획득 방법
KR102494273B1 (ko) 기존과 갱신 정보를 비교하여 높은 정확도로 수치지도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1426304A (zh) 基于视觉、卫星定位和gis算法的精确姿态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