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648B1 -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648B1
KR102527648B1 KR1020220135346A KR20220135346A KR102527648B1 KR 102527648 B1 KR102527648 B1 KR 102527648B1 KR 1020220135346 A KR1020220135346 A KR 1020220135346A KR 20220135346 A KR20220135346 A KR 20220135346A KR 102527648 B1 KR102527648 B1 KR 10252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pport
unit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2013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공간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공간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지리 정보 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수집한 다양한 지리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수치 지도(Digital Map)로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 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GIS는 공공시설이나 상점의 입지 같은 공간적 의사 결정은 물론 시설물의 관리나 재난· 재해 관리,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는 교통 안내 시스템도 GIS 활용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GIS를 기반으로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의 업데이트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기는,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 입출력수단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 버스장착유닛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표정처리수단은,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는 이미지분석모듈;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보정모듈; 및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버스장착유닛은,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를 통해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신호입력부; 정류장신호입력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며, 노선버스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NS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의 GNS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NSS모듈;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며, 충전지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촬영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촬영지지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및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정류장신호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GNSS모듈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NSS모듈로부터 제공되는 GNS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를 비교 후 GNSS모듈의 GNS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진동부는, 기초대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회전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모듈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정처리수단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을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버스장착유닛(100), 데이터베이스서버(200) 및 도화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장착유닛(100)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101)에 설치된다. 여기서, 버스장착유닛(100)은 설치 비용 및 운용 비용의 절감을 위해 노선별로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버스(101)들 중 한 대의 노선버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장착유닛(100)은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명칭에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정류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연계된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 및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버스장착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210) 및 이러한 촬영이미지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220)를 포함한다.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된 이미지들로서, 위치와 배율 등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링크해 저장한다. 도화이미지는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완성된 지상 이미지로서, 이웃하는 도화이미지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이미지 간의 배율은 물론 상기 경계에 위한 지상물이미지의 형상을 일체화시킨다.
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도화기(3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도화기(300)는 촬영이미지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2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 입출력수단(3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320),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330), 버스장착유닛(10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340),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100)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50) 및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수단(3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지점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수단(310)에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도화 작업자가 도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이미지는 상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310)에 출력하고,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작업한 도화이미지는 하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310)에 출력할 수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항공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모든 입출력수단(310)에 항공촬영이미지를 출력시키고, 이 중 한 곳에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이미지가 오버레이어(Over Layer) 형태로 도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화수단(330)은 표정처리된 항공촬영이미지를 대상으로 도화해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도화이미지를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정처리수단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표정처리수단(320)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표정처리모듈(325)과, 이미지분석모듈(321)과, 경계확인모듈(322)과, 좌표확인모듈(323)과, 보정모듈(324)을 포함한다.
이미지분석모듈(321)은 표정처리 과정 중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한다.
경계확인모듈(322)은 분석된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한다.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는 색깔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경계확인모듈(322)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계확인모듈(322)은 지상물이미지(GI, 도 5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는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지상물이미지(GI', 도 6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되는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하는 종경계확인모듈(322b)과, 지상물이미지(GI,GI')의 그림자를 확인하는 그림자확인모듈(322c)과, 항공촬영이미지 내 지상에서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인하는 구역설정모듈(322d)로 구성된다.
층경계확인모듈(322a), 종경계확인모듈(322b), 그림자확인모듈(322c) 및 구역설정모듈(322d)에 대한 구성은 후술한다.
좌표확인모듈(323)은 상기 좌표점의 지상물이미지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서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해당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여부 또한 확인한다.
보정모듈(324)은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만 통일시켜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정모듈(32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표정처리모듈(325)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모듈로서, 후술하는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 처리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S10 : 내부표정 단계
내부표정(Interior Orientation)은 항공촬영이미지 자체가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는 카메라의 특성, 대기의 굴절, 지구의 곡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왜곡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왜곡으로 항공촬영이미지상에서 왜곡이 없는 경우 (x'a,y'a)의 좌표이어야 할 지점이 왜곡으로 인해서 (xa,ya)의 좌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을 갖는 항공사진의 각 좌표 (xa,ya)를 왜곡이 보정된 새로운 좌표 (x'a,y'a)로 재배열시키는 것이 내부표정이다.
아날로그 항공사진의 경우 내부표정을 위해서는 항공사진의 주점을 도화기의 출력 중심에 일치시키고 초점거리를 도화기의 눈금에 맞춘다.
즉, 도화기에서 스캐닝된 영상 좌표와 주점을 기준으로 하는 항공사진 좌표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도화기(300)를 활용해서 디지털 항공사진에 대한 내부표정 작업은 좌표 정립과 이를 기초로 한 이미지 편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은 입출력수단(310)에 출력된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표정처리를 디지털 편집처리로 진행한다.
S20: 상호표정 단계
내부표정이 카메라 내부의 광학적 환경을 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외부표정(Exterior Orientation)은 카메라와 대상 물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표정은 다시 그 목적에 따라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 및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으로 구성된다.
상호표정은 내부표정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입체모델의 좌표를 취득함과 동시에 공액점에 대한 종시차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다.
상호표정을 통해 모든 종시차가 소거된 한 쌍의 사진은 완전한 입체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입체모델은 한쪽 사진을 고정한 상태에서 두 사진의 상대적인 관계를 규정한 것이므로 축척과 수평이 제대로 맞지 않으며 실제의 지형과 정확한 상사 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입체모델을 실제의 지형과 맞추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 좌표인 모델좌표를 대상좌표(object space coordinate system)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참고로, 상호표정에 쓰이는 요소는 좌우투사기의 x,y,z 각 축 둘레의 회전 ω1,ω2,Ψ1,Ψ2,x1,x2 가운데서 독립된 5개를 취한다.
S30 : 절대표정 단계
상호표정 단계(S20)에서 맞추지 못한 실제 지형과 이미지 간의 축적, 수준치, 수평위치 등에 대한 상사 관계를 맞추기 위해서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을 진행한다.
절대표정 시에는 최소 3점의 지상기준점(예를 들어, 표정점의 좌표)을 알아야 하며, 소요되는 점수가 입체 모형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선정 및 측량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항공삼각측량은 지상기준점 측량을 통해 수행된다.
항공삼각측량은 항공사진상에서 무수한 좌표점들을 관측한 다음 소수의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관측된 무수한 좌표점들의 좌표값을 전자계산기를 통해 절대 혹은 측지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 상호표정 및 절대표정은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에 의해 진행되고, 이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는 균일화 및 규격화되어 실측에 상응하는 축척, 수준치 및 수평위치에 맞도록 처리된다.
도화를 위해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이 항공촬영이미지를 표정처리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 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각 표정에서 적용되는 연산식과 법칙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화기(300)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모든 좌표점의 좌표값을 무조건 연산하지 않고 지상에서 지정된 위치의 좌표점 또는 지상물이미지 내에서도 지정된 좌표점의 좌표값만을 연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정처리수단(320)은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에서 유효한 좌표점만을 분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보강된 기능을 통해 도화 과정에서 도화 작업자는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수치지도의 기초가 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S40 : 도화단계
표정처리수단(320)에 의해 표정처리가 완료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완성된 도화이미지는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화기(300)는 항공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절대표정 과정에서 좌표점을 보정하는데, 이에 대한 절대표정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S31 : 이미지 모양 확인단계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은 표정처리를 위한 대상 항공촬영이미지를 촬영이미지DB(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분석모듈(321)은 검색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GI,GI')를 구분한다.
이미지분석모듈(321)은 지상물이미지(GI,GI')가 항공촬영이미지의 다른 배경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310)으로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픽셀단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1차로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을 확인한다.
즉, 이미지분석모듈(321)은 항공촬영이미지를 색깔을 기준으로 모양을 구분하는 것이다.
S32 : 층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이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322)은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해서 배경으로부터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항공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지상물이미지(GI)는 평면이미지(10)뿐만 아니라 측면이미지(20)까지 노출된다.
한편, 건축물과 같은 일반적인 지상물은 지면과 접하는 하층경계선(21) 부분과, 평면과 측면이 접하는 상층경계선(11) 부분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GI)의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는 명암 및 실제 색상 차이 등으로 인해서 명확한 경계 차이를 보인다.
결국, 경계확인모듈(322)의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점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에 반복을 관측하게 되고, 이렇게 관측하게 된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GI)로 1차 추정한다.
따라서,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기 위해서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의 경계라인이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경계라인 중 폐구간을 이루는 경계라인은 상층경계선(11)으로 보고, 남은 하나의 경계라인은 하층경계선(21)으로 본다.
S33 : 지상물 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322)을 구성하는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하나 한 쌍이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322)을 구성하는 종경계확인모듈(322b)을 구동시켜서 해당 구역의 지상물이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상물의 상층경계는 옥상에 해당하므로 항공촬영시 간섭없이 전체가 모두 촬영되나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므로 항공촬영시 이웃하는 다른 구조물(ex; 조경, 이웃 건물 등)에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상물 자체에 의해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고, 그림자 등에 의해 간섭될 수도 있다.
결국,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층경계의 항공촬영이미지인 상층경계선(11) 대비 상기 하층경계의 촬영 이미지인 하층경계선(21)은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 아닌 것으로 판독될 수 있는 것이다.
S34 : 종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항공촬영이미지내 해당 구역에서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 대비 하층경계선(21)의 평행비율이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방향에 대한 모서리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계라인인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한다.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는 지상물이미지(GI')에서 측면이미지(20)에 해당하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종경계선(31,32,33)의 확인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항공촬영이미지로부터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종경계확인모듈(322b)이 항공촬영이미지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명암 및 실제 색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GI')인 경우엔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질 것이다.
결국,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경계선(31,32,33)을 추출하고, 더불어서 종경계선(31,32,33)이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항공촬영이미지 내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한다.
여기서,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이 서로 나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한정해 확인한다.
한편,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되면,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 중 가장 긴 종경계선 또는 하층경계선(21)과 접하는 종경계선(31, 32)을 확인한다.
해당하는 종경계선이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의 하층경계의 위치를 상기 종경계선의 말단으로 결정한다.
S35 : 명암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322)의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에 색깔을 확인해서 그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지상물은 햇빛에 의해 그림자를 자연 형성시키므로 항공촬영시 상기 그림자는 당연 촬영되고, 지상물이미지(GI,GI')에는 그림자이미지가 당연히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확인모듈(322)의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확인하고,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자이미지가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GI,GI')로 최종 결정한다.
참고로,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중심으로 지정된 색상(ex; 암색)의 이미지가 균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면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상기 이미지를 그림자이미지로 간주한다.
동일 항공촬영이미지에서는 그림자이미지가 지상물이미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고, 색상 또한 암색 계열의 동일한 색상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림자확인모듈(322c)에는 그림자이미지를 구별하도록 그 기준이 입력된다.
결국,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입력된 기준에 따라 그림자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림자이미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1,2차 추정된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최종 결정한다.
S36 : 구역설정단계
구역설정모듈(322d)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확정된 상기 구역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기준으로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를 구분한다.
여기서, 하층경계선(21)은 일부만이 확인되는데 반해 상층경계선(11)은 경계라인 전체가 모두가 확인되므로 구역설정모듈(322d)은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 형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하층경계선(21)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층경계선(2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항공촬영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미지(GI,GI')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므로 지상물이미지(GI,GI')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점유하지 않는 위치까지 점유하면서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입체적으로 표현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대상이 고층빌딩인 경우, 실제로 위치하지 않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좌표점까지 상기 고층빌딩의 위치로 입력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구역설정모듈(322d)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에 의해 확인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를 이미지 편집 기술 등을 통해 하층경계선(12)의 해당 구간으로 이동시켜서 미완성 형태의 하층경계선(12)이 상층경계선(11)과 같이 폐구간을 이루는 특정 형상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역설정모듈(322d)은 상층경계선(11) 전체를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12) 중 서로 평행하는 부분이 만나도록 한다.
결국, 상층경계선(11)으로 둘러싸인 평면이미지(1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일지점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평면이미지(10)의 이미지 편집 방식을 통해서, 구역설정모듈(322d)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구역 범위를 확인한다.
S37 : 좌표점 확인단계
좌표확인모듈(323)은 항공촬영이미지 내 구성되는 좌표점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에 각각 2개의 좌표점(PP2,PP3)이 구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좌표확인모듈(323)의 좌표점 확인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표확인모듈(323)은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종경계확인모듈(322b)이 확인한 지상물이미지(GI,GI')의 전체 범위와, 구역설정모듈(322d)이 확인한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만의 범위에 위치한 각각의 좌표점(PP2,PP3)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서 'PP2' 좌표점과 'PP3' 좌표점이 확인되었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에서 'PP3' 좌표점만이 확인되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PP2' 좌표점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가 아니고 'PP3' 좌표점만이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임을 확인하였다.
좌표확인모듈(323)은 이러한 기준을 통해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을 'PP3'로 확인한다.
즉, 구역설정모듈(322d)에 의해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으로 확인된 범위 내에 있는 좌표점만을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38 : 좌표점 보정단계
보정모듈(324)은 유효한 좌표점으로 결정된 'PP3' 좌표점을 제외하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 위치한 좌표점을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정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당 항공촬영이미지의 데이터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수치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수작업 보정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S39 : 항공삼각측량단계
표정처리모듈(325)은 항공삼각측량 기술을 기반으로 지상기준점을 이용해서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점(PP3)에 대한 좌표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수치데이터를 항공촬영이미지에 입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장착유닛(100)은 정류장신호입력부(110), 하우징(120), 저장부(130),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모듈(140), 제어부(150), 무선통신모듈(160), 태양전지패널(170), 전원공급부(190), 이동수단(600), 진동흡수부(700), 승강회전부(500), 모듈연결부(400), 카메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류장신호입력부(110)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20)은 정류장신호입력부(110)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101)의 루프패널(102) 안쪽 면에 결합된다.
저장부(13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저장부(130)는 노선버스(101)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NS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GNSS모듈(14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100)의 GNS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5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정류장신호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가 불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GNS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NSS모듈(140)로부터 제공되는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를 비교 후 GNSS모듈(140)의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통신모듈(160)은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태양전지패널(170)은 노선버스(101)의 루프패널(102)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카메라부(8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전원공급부(190)는 태양전지패널(17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91)를 포함하며, 충전지(191)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버스장착유닛(100)에서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의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정류장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전송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10)을 통해 전송된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30)을 통해 GNS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단계(14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30)을 통해 GNS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GNSS모듈(140)의 GNSS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5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40)을 통해 수신된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GNSS정보 및 저장부(130)의 GNS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부(800)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NS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지형지물의 변화가 아니라 해당 노선버스(101)의 노선 변경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17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부(800)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8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70)을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80)의 수행 후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루프패널(102)의 상부에는 이동수단(600)이 설치되고, 이동수단(600)의 상부에는 진동흡수부(700)가 장착되며,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는 기초대(820)가 결합되고, 기초대(820)의 상부에는 촬영지지대(810)가 이격 배치되며, 기초대(820)의 상부에는 승강회전부(500)가 결합되며 승강회전부(500)는 촬영지지대(8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810)를 승강 및 회전시키고, 촬영지지대(810)의 상부에는 모듈연결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모듈연결부(400)에는 카메라부(8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진동흡수부(700)는, 기초대(820)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83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710), 단턱(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720),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30),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740), 일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831)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체(750) 및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31)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7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2탄성체(7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 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710)은 기초대(820)의 기초다리(830)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기초다리(8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초다리(83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기초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상부지지구(72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초다리(830)의 내벽에 단턱(7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상면이 기초다리(830)에 형성된 단턱(710)에 맞닿고 하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7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하면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기초다리(83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기초다리(830)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7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상면이 기초다리(830)의 하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83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32)에 형성된 결합부(83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7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상방돌기(7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7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750)가 하방돌기(7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구(730)는 제2탄성체(75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740)의 타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740)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740)는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의 하면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7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기초대(8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기초대(820)의 기초다리(83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기초대(82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750)는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31)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제1탄성체(7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7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좁고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831)의 내측 바닥면의 직경이 기초다리(830)의 하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831)의 내측 바닥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760)는 상부지지구(720), 하부지지구(730) 및 받침부(831)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제1탄성체(740)와 제2탄성체(7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7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진동흡수부(700)는 하측부는 받침부(83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하방돌기(732)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770), 하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상방돌기(73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지지구(72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중심지지부(780),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3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3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7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기초대(82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830)의 승강 시 기초다리(83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대(82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83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제1중심지지부(7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8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는, 받침부(831)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771a)이 마련된 하부조절바(771),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772), 상측부는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772)이 지지되는 상부조절바(7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하부조절바(771)는 받침부(831)에 나사 결합되므로 하부조절바(771)의 받침부(831)에의 결합 깊이를 조절하면 제1스프링(772)의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절바(771)를 상부조절바(773)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기초다리(830)의 지지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상부에는 제1홈(771a)이 마련되고, 제1홈(771a)의 내벽에는 하부지지구(730)의 하강 시 상부조절바(773)에 마련된 제1돌기(77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하측 외벽에는 제1나사산(771b)이 마련되어 받침부(831)에 마련된 홈을 통과한 후 이동블럭(620)에 마련된 블럭홈(6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부(831)에 마련된 홈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나사산(771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의 제1스프링(772)은 하측부는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제1돌기(773a)를 통과하여 상부조절바(773)의 저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스프링(772)은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부조절바(771)와 상부조절바(773)의 결합 깊이 조절에 의해 제1스프링(772)의 탄성 에너지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상부조절바(773)는 외벽에 마련되는 제2나사산(773b)에 의해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3나사산(7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는 결합 상태에서 하부지지구(730)에 마련된 제2홈(73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를 하부조절바(771)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의 사이즈는 제2탄성체(750)보다 작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도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2탄성체(750)의 수축 및 팽창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중심지지부(780)는 기초대(82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830)의 승강 시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기초다리(83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대(82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83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감쇄할 수 있고, 제2중심지지부(7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8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중심지지부(780)는 상방돌기(731)에 마련된 제3홈(735)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781), 하측부는 제2스프링(781)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4홈(721)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78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하측부는 제3홈(735)에 슬라이딩 승강되고, 이는 제2스프링(781)이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상부에는 제4나사산(782a)이 마련되고, 중심바(782)는 제4나사산(782a)을 통해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5나사산(7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심바(782)를 하부지지구(730)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2스프링(781)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와 상부지지구(7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3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3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축(791), 가이드축(791)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기초대(820)의 기초다리(830)에 마련된 다리홀(83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792), 덮개(832)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792)의 양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포스트(79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포스트(793)에는 가이드바(79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가이드홈(793a)이 마련되는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부는 받침부(83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3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630),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부(630)는 상측부는 받침부(83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31)를 지지함으로써 카메라부(800)의 이동 시 받침부(8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카메라부(8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3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수평부(631), 제1수평부(6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마련되는 수직부(632), 수직부(632)의 단부에서 레일(610)의 방향으로 마련되어 레일(610)의 측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부(6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수평부(633)는 레일(6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레일홈(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카메라부(800)가 레일(610)을 이동 시 제2수평부(633)도 제2레일홈(6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3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쇄부(640)는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부(640)는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바디(641), 일측부는 진동감쇄바디(64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이동블록(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바디(641)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4개의 영역에서 등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기준으로 정할 때,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제1수평부(631)에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수직부(632)에 결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제2수평부(633)에 결합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이동블록(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부(800)를 루프패널 상에서 수평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600)은 루프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610), 받침부(831)에 구비되며 레일(6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610)은 루프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되 루프패널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31) 저면에 구비되어 레일(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에는 블럭돌기(621)가 마련되고, 블럭돌기(621)는 레일(610)에 마련된 제1레일홈(6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3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촬영지지대(810)는 카메라부(8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촬영지지대(810)의 상단에는 모듈연결부(400) 및 카메라부(8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500)는 카메라부(800)가 장착되는 촬영지지대(8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메라부(800)의 수직선상 위치를 더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500)는, 기초대(82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510)와,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520)과,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530)와, 모터프레임(520)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530)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81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540)과, 좌우이동프레임(540)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540)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550)와, 회전부회전모터(550)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810)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8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560)과,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5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520)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57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회전본체(510)는 복수의 세로프레임(511)과 복수의 가로프레임(512)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세로프레임(511)에는 세로프레임(5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가이드랙(513)이 마련되고, 이 승강가이드랙(513)은 상하승강모터(570)의 구동 기어와 맞물려 모터프레임(5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530)는 좌우이동프레임(540)을 촬영지지대(810)의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회전모터(550)는 홀더프레임(5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홀더프레임(560)에 결합된 촬영지지대(810)도 홀더프레임(560)과 같이 시계 방향(후방) 또는 반시계 방향(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승강모터(570)는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5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52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프레임(520)의 승강에 따라 카메라부(80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회전부(500)에 의해 능동적으로 카메라부(800)의 수직 선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지지대(81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마련되고, 제1커넥터(450)는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45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돌기(451)가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연결부(400)는 촬영지지대(810)와 카메라부(800)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부에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460)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410)와,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410)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420)와,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커버(430)와, 커플러바디(410)의 타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커버(4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록킹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복수의 단턱부(412)의 사이에 마련되며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턱부(412) 중 어느 하나의 단턱부(412)에서 다른 하나의 단턱부(412)까지 두께가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록킹부(420)의 제1두께부(421b)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얇게 마련되고, 록킹부(420)의 제2두께부(421c)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단턱부(4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부(412)는 3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에는 복수의 바디홀(4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바디홀(413)에 잠금 부재를 삽입시켜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바디홀(413)의 내벽에 마련된 나사산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전방 외벽과 후방 외벽에는 바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커버(430)와 제2커버(4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는, 커버 바디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록킹부(420)는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421)와,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422)와,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간극을 유지시키는 연결부재(42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퍼돌기(421a)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는 제1두께부(421b)와, 제1두께부(421b)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4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두께부(421b)에서 제2두께부(421c)로 갈수록 록킹바디(42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스토퍼플랜지(422)는 록킹바디(421)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록킹바디(421)에 접하는 영역이 길게 마련되고,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연결부재(423)는 각각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록킹바디(421)가 같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된 바디홈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에 탈착 시 스프링의 힘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커플러바디(41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23)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록킹부(420)가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글 시, 잠그기 전보다 더 노출되어 록킹바디(421)의 잠금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록킹바디(42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록킹부(4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부(420)가 커넥터를 잠그기 전에 제2두께부(421c)는 단턱부(412)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410)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시키면, 두꺼운 영역의 록킹홈(411)이 제2두께부(421c)를 가압하여 제1커넥터(4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이 잠금의 회전은 커플러바디(4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30)는 커플러바디(4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440)는 커플러바디(4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00)의 하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형성되어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46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2돌기(461)가 이격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버스장착유닛 101 : 노선버스 102 : 루프패널
110 : 정류장신호입력부 120 : 하우징 130 : 저장부
140 : GNSS모듈 150 : 제어부 160 : 무선통신모듈
170 : 태양전지패널 190 : 전원공급부 200 : 데이터베이스서버
210 : 촬영이미지DB 220 : 도화이미지DB 300 : 도화기
310 : 입출력수단 320 : 표정처리수단 321 : 이미지분석모듈
322 : 경계확인모듈 322a : 층경계확인모듈 322b : 종경계확인모듈
322c : 그림자확인모듈 322d : 구역설정모듈 323 : 좌표확인모듈
324 : 보정모듈 325 : 표정처리모듈 330 : 도화수단
340 : 통신모듈 350 : 디스플레이수단 360 : 표시수단
400 : 모듈연결부 410 : 커플러바디 411 : 록킹홈
412 : 단턱부 413 : 바디홀 420 : 록킹부
421 : 록킹바디 421a : 스토퍼돌기 421b : 제1두께부
421c : 제2두께부 422 : 스토퍼플랜지 423 : 연결부재
430 : 제1커버 440 : 제2커버 450 : 제1커넥터
451 : 제1돌기 460 : 제2커넥터 461 : 제2돌기
500 : 승강회전부 510 : 승강회전본체 511 : 세로프레임
512 : 가로프레임 513 : 승강가이드랙 520 : 모터프레임
530 : 좌우이동모터 540 : 좌우이동프레임 550 : 회전부회전모터
560 : 홀더프레임 570 : 상하승강모터 600 : 이동수단
610 : 레일 611 : 제1레일홈 612 : 제2레일홈
620 : 이동블럭 621 : 블럭돌기 622 : 블럭홈
630 : 지지다리부 631 : 제1수평부 632 : 수직부
633 : 제2수평부 640 : 진동감쇄부 641 : 진동감쇄바디
642 : 진동감쇄스프링 700 : 진동흡수부 710 : 단턱
720 : 상부지지구 721 : 제4홈 722 : 제5나사산
730 : 하부지지구 731 : 상방돌기 732 : 하방돌기
733 : 제2홈 734 : 제3나사산 735 : 제3홈
740 : 제1탄성체 750 : 제2탄성체 760 : 흡수체
770 : 제1중심지지부 771 : 하부조절바 771a : 제1홈
771b : 제1나사산 772 : 제1스프링 773 : 상부조절바
773a : 제1돌기 773b : 제2나사산 780 : 제2중심지지부
781 : 제2스프링 782 : 중심바 782a : 제4나사산
790 : 승강가이드부 791 : 가이드축 792 : 가이드바
793 : 가이드포스트 793a : 가이드홈 800 : 카메라부
810 : 촬영지지대 820 : 기초대 830 : 기초다리
830a : 다리홀 831 : 받침부 832 : 덮개
833 : 결합부

Claims (1)

  1.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 를 포함하되,
    상기 도화기는,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 입출력수단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 버스장착유닛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표정처리수단은,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는 이미지분석모듈;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보정모듈; 및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장착유닛은,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를 통해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신호입력부; 정류장신호입력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며, 노선버스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NS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의 GNS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NSS모듈;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며, 충전지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촬영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촬영지지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및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류장신호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GNSS모듈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NSS모듈로부터 제공되는 GNS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를 비교 후 GNSS모듈의 GNS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NS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기초대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며,
    상기 승강회전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20135346A 2022-10-20 2022-10-20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2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346A KR102527648B1 (ko) 2022-10-20 2022-10-20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346A KR102527648B1 (ko) 2022-10-20 2022-10-20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648B1 true KR102527648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346A KR102527648B1 (ko) 2022-10-20 2022-10-20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54B1 (ko) * 2023-05-23 2024-01-03 네이버시스템(주) 기준점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19919B1 (ko) * 2023-06-28 2024-01-05 주식회사 도명메타 항공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10B1 (ko) * 2019-11-14 2020-02-07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영상왜곡의 신속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260073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33008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10B1 (ko) * 2019-11-14 2020-02-07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영상왜곡의 신속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260073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33008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해 도로기반시설물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54B1 (ko) * 2023-05-23 2024-01-03 네이버시스템(주) 기준점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19919B1 (ko) * 2023-06-28 2024-01-05 주식회사 도명메타 항공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648B1 (ko)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0462686B (zh) 用于从场景获得深度信息的设备和方法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347260B1 (ko)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Barazzetti et al. Can we use low-cost 360 degree cameras to create accurate 3D models?
KR101347248B1 (ko)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06097300A (zh) 一种基于高精度运动平台的多相机标定方法
CN104330074A (zh) 一种智能测绘平台及其实现方法
KR101804937B1 (ko)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12629431B (zh) 土木结构变形监测方法及相关设备
KR101683784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지도 처리시스템
CN103874193A (zh) 一种移动终端定位的方法及系统
KR101813205B1 (ko) 기준점과 항공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시스템
Ahmadabadian et al. An automatic 3D reconstruction system for texture-less objects
KR101443321B1 (ko) 정밀 도화원도 제작을 위한 항공사진 활용 영상도화시스템
KR102474068B1 (ko)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2093065B (zh) 一种基于无人机技术的测绘扫描设备
KR102527649B1 (ko)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10445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527650B1 (ko) Gis의 지형 변화가 반영되어 수치지도 이미지를 높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2694B1 (ko)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494440B1 (ko) 영상이미지와 도화정보를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